맨위로가기

4년 세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년 세임은 1788년부터 1792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진행된 국정 개혁을 위한 세임(Sejm, 폴란드 의회)이다. 잦은 전쟁과 귀족들의 특권 강화로 국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개혁파는 자유 거부권 폐지, 의회 권한 강화, 헌법 제정 등을 추진했다. 1791년 5월 3일 헌법을 채택하여 입헌군주제를 확립하려 했으나, 러시아의 개입으로 헌법이 폐지되고 폴란드는 분할되었다. 4년 세임은 폴란드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로 평가받으며, 5월 3일 헌법은 폴란드 민족주의와 개혁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4년 세임
개요
명칭대 세임 (폴란드어: Sejm Wielki)
다른 명칭4년 세임 (폴란드어: Sejm Czteroletni)
기간1788년 – 1792년
장소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정치
소집 주체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
주요 목표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개혁
정부 강화
주요 업적5월 3일 헌법 제정
관련 법률시민 권리 보장
자유 거부권 폐지
반대 세력타르고비차 연맹
구성
의원 수약 180명
주요 인물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
이그나치 포토츠키
스타니스와프 스타시츠
유고 코원타이
얀 데르차크
역사적 배경
이전 상황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정치적 불안정 및 외세 간섭 심화
주요 사건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년-1792년) 발발
프로이센과의 동맹
결과러시아-폴란드 전쟁 (1792년) 발발
폴란드 분할 가속화
영향
긍정적 영향폴란드 민족 의식 고취
근대적인 법치주의 확립 시도
부정적 영향외세의 간섭 심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멸망 초래

2. 배경

폴란드-리투아니아는 18세기에 이르러 정치 기구가 정지되고, 정부는 사실상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은 '폴란드 무정부 상태'로 불렸으며, 국왕 정부는 유명무실해지고 각 지방은 세이믹(지방 의회)과 마그나트가 독자적으로 관리하는 상태였다.[3] 이러한 상황의 주요 원인으로는 1652년부터 세임에서 채택된 모든 법률을 무효화할 수 있었던 자유 거부권(리베룸 베토)이 꼽힌다.[4]

4년 세임 의장 스타니스와프 마와호프스키


마지막 폴란드 왕이 되는 스타니스와프 2세 아우구스트 치세(1764년-95년)에 계몽사상이 유입되어 꽃피웠다.[8] 1772년 러시아, 프로이센, 합스부르크 제국에 의한 제1차 폴란드 분할은 폴란드 내 진보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이들은 연방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했다.[8]

2. 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쇠퇴

17세기 후반부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잦은 전쟁과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국력이 약화되기 시작했다. 귀족 계급(슐라흐타)의 특권 강화와 자유 거부권(리베룸 베토) 남용으로 인해 중앙 정부의 권위는 실추되었고, 국정 운영은 마비 상태에 빠졌다. 이러한 상황은 '폴란드 무정부 상태'로 불리게 되었으며, 국왕 정부의 존재는 유명무실해졌고 각 지방은 세이믹(지방의회)과 마그나트가 각각 독자적으로 관리하게 되었다.[3] 많은 역사가들은 이러한 상황의 주요 원인으로 자유거부권을 지적한다. 이 권리로 인해 1652년 이후 세임에 제출된 법안은 거의 통과되지 못했다.[4] 18세기 초, 폴란드와 리투아니아는 지방의 마그나트들이 자신의 특권을 약화시킬 수 있는 모든 법률 제정을 방해하며 '황금의 자유'를 구가하는 국가가 되었다.[5] 자유 선거로 선출되는 국왕은 무력했고,[6] 주변국들은 연방을 약화시키려 했다.[7] 이러한 정치적 불안정은 경제 발전에도 악영향을 미쳤고, 사회 전반의 침체를 초래했다.

2. 2. 계몽주의 사상의 유입과 개혁 운동

폴란드-리투아니아 공화국의 상황이 악화되면서 국내에서는 개혁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18세기 중반, 계몽주의 사상이 폴란드에 유입되면서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스타니스와프 2세 아우구스트 치세(1764년-95년)에 폴란드 계몽주의가 꽃피웠다.[8]

1772년 러시아, 프로이센, 합스부르크 제국에 의한 제1차 폴란드 분할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식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이들은 연방이 개혁되지 않으면 멸망할 것이라고 생각했다.[8] 이에 바르 동맹의 미하우 비엘호르스키는 프랑스의 필로조프(철학자)인 가브리엘 보노 드 마블리와 장 자크 루소에게 편지를 보내 폴란드의 새 헌법 제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10][11][12][13] 마블리는 1770년부터 1771년까지 ''폴란드의 정부와 법''을 통해, 루소는 1772년 『폴란드 통치론』을 통해 폴란드 정부와 법에 대한 견해를 제시했다.[14]

폴란드-리투아니아 국내에서도 개혁의 필요성과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귀족학원 창설자 스타니스와프 코나르스키, 폴란드는 아직 죽지 않았다(현재 폴란드 국가) 작곡가 유제프 비비츠키, 폴란드 계몽주의를 이끈 후고 콜론타이, 스타니스와프 스타시츠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13][15]

3. 4년 세임 (1788-1792)

4년 세임의 의회일지


1788년 10월 6일, 개혁 분위기 속에서 181명의 의원이 모여 4년 세임이 시작되었다. 1790년에는 171명의 의원이 추가 선출되어 의원 수가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 세임은 자유거부권으로 인한 폐회를 막기 위해 이틀 만에 연맹 주최 형태인 연맹 세임으로 전환되었다. 세임의 의장으로는 스타니스와프 마와호프스키가 선출되었다.

당시 러시아 제국예카테리나 2세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폴란드의 지원을 얻기 위해 4년 세임을 승인했다.

개혁 지지자들은 애국파를 결성하여 결집했다. 이들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사회 각계각층의 지지를 받았으며, 프로이센과의 동맹을 추구하고 국왕 스타니스와프 2세에 반대하는 우파(이그나치 포토츠키, 스타니스와프 코스트카 포토츠키, 아담 카지미에시 차르토리스키)와, 국왕과의 협력을 원하는 중도파(스타니스와프 마와호프스키), 바르샤바 시민의 지지를 구하는 좌파(휴고 골룬타이, 폴란드 자코뱅파)로 구성되었다.

당시 러시아와 오스트리아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제2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제8차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과 스웨덴과의 전쟁(제1차 러시아-스웨덴 전쟁)으로 인해 폴란드에 개입할 여력이 없었다.

스타니스와프 2세와 일부 개혁파는 오스트리아-러시아 동맹에 폴란드를 참여시켜 러시아의 지지를 얻으려 했으나, 러시아 내부 문제로 좌절되었다. 이후 폴란드는 영국, 프로이센, 네덜란드의 3국 동맹과 협력하려 했고, 특히 폴란드-프로이센 동맹을 통해 러시아에 대항하려 했다.

4년 세임 초반 2년 동안은 큰 개혁이 없었으나, 후반 2년 동안 극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3. 1. 개혁파와 반개혁파의 대립

4년 세임 내에서는 개혁을 추진하는 세력과 이에 반대하는 세력 간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개혁을 추진하는 '애국파'는 이그나치 포토츠키, 스타니스와프 코스트카 포토츠키, 아담 카지미에시 차르토리스키 등 급진적인 개혁을 주장하는 우파와, 스타니스와프 마와호프스키처럼 국왕 스타니스와프 2세 아우구스트와의 협력을 지향하는 중도파, 그리고 휴고 콜룬타이 등 바르샤바 시민의 지지를 받는 좌파(폴란드 자코뱅파)로 구성되었다.

초기에는 애국파와 국왕 사이에 갈등이 있었다. 국왕은 이그나치 포토츠키 등 반(反)국왕적 공화주의자들에 대한 저항감이 강해 애국파와 협력하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당시 폴란드의 강력한 이웃 국가인 러시아 제국과 오스트리아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제2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제8차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중이었고, 러시아는 스웨덴과의 전쟁(제1차 러시아-스웨덴 전쟁)도 치르고 있어 폴란드 문제에 개입할 여유가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애국파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러시아의 간섭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스타니스와프 2세와 애국파는 협력하게 되었다. 스타니스와프 2세는 오스트리아-러시아 동맹에 폴란드도 참여하여 폴란드의 입지를 강화하려 했으나, 러시아 정부 내 분쟁으로 인해 좌절되었다. 이후 폴란드는 영국, 프로이센, 네덜란드의 3국 동맹과 협력하려 했고, 특히 프로이센과의 동맹(폴란드-프로이센 동맹)을 통해 러시아에 대항하려 했다. 시피오네 피아톨리의 중재로 포토츠키와 스타니스와프 2세는 입헌 군주제적 개혁에 합의하고 헌법 초안 작성에 착수했다.

3. 2. 1790년 의원 추가 선거

1790년 의원 추가 선거에서 171명의 의원이 새로 선출되어 4년 세임에 합류하면서 의원 수가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16][17][18] 이 선거에서 보수적인 왕당파가 이그나치 포토츠키 등의 혁신 세력을 능가하는 의석을 획득하여 애국파에게 타협을 강요했다.[35][36] 그러나 스키피오네 피아토리의 중재로 포토츠키와 스타니스와프 2세는 보다 입헌군주제적인 개혁을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헌법 초안 작성에 착수했다.[25]

3. 3. 5월 3일 헌법 채택

1790년 가을, 추가 선거로 선출된 의원들이 4년 세임에 합류하면서 카지미에시 네스토르 사피에하가 새로운 세임 의장으로 선출되었다.[38][39] 의원 수가 두 배로 늘어나 자리가 부족했고, 심의를 방청하려는 군중들로 인해 회의장은 자주 만원이었다.[41]

개혁파 의원들은 부르주아지의 지원을 받았다. 이들은 1789년 가을 바르샤바에서 검은 행렬(Czarna procesja)을 벌여 정치적 권리를 요구했다.[42] 당시 프랑스 혁명과 폴란드의 상황을 겹쳐 본 세임 의원들은 평화적 항의가 폭력 혁명으로 번질 것을 우려하여 1791년 4월 18일 자유 왕국 도시법을 제정해 도시의 지위와 부르주아지에게 권리를 부여했다.[43] 3월 24일에는 투표권을 인정한 세이미크 법이 제정되었고, 이들은 5월 3일 헌법의 요소로 결실을 맺었다.[44][45]

새 헌법은 스타니스와프 2세, 이그나치 포토츠키, 휴고 코와타이 등의 주도로 초안이 작성되었다.[46][47] 스타니스와프 2세는 잉글랜드와 같은 입헌 군주제를 목표로 했고, 포토츠키는 의회(세임)를 국가 최고 권력 기관으로, 코와타이는 귀족에게 종속된 사람들을 폭력 없이 해방시키는 "온건한 혁명"을 추구했다.[20]

헤트만파 등 보수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49][50] 개혁파는 헌법 채택일을 5월 5일에서 5월 3일로 앞당겼다. 이는 부활절 휴가로 자리를 비운 보수파 의원들이 돌아오기 전이었다.[51] 개혁파 의원들은 비밀리에 바르샤바 왕궁에 모였고, 러시아 지지자들의 방해를 막기 위해 왕궁 주변은 근위병으로 경비가 강화되었다.[51] 5월 3일, 전체 의원의 절반 정도인 182명이 참석한 가운데 헌법이 압도적인 찬성으로 채택되었고, 왕궁 밖 군중들의 환영을 받았다.[52][53][51][54]

바르샤바 왕궁 상원 회의실, 5월 3일 헌법이 채택된 곳


5월 3일 헌법 성립 후에도 4년 세임은 헌법을 뒷받침하기 위한 입법을 계속했다. 5월 5일에는 정부 법을 확인한 'Deklaracja Stanów Zgromadzonych'(집회된 신분 선언)이, 10월 22일에는 폴란드 왕관령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합동 및 독자성, 단일 정부 내에서의 평등을 보장한 'Zaręczenie Wzajemne Obojga Narodów'(양국 상호 보증법)이 성립되었다.[55][56] 이 법은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결합을 더욱 심화시켰다.[57][58]

4. 5월 3일 헌법의 주요 내용

5월 3일 헌법은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 국왕과 이그나치 포토츠키, 휴고 코와타이 등의 주도로 기초되었으며, 1791년 5월 3일 바르샤바 왕궁에서 채택되었다. 이 헌법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입헌군주제로 전환하고, 삼권 분립, 국민 주권, 법치주의 등 근대적 헌법 원칙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헌법 채택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헤트만스당 등 보수파의 반발이 거셌고, 개혁파는 이들의 방해를 피하고자 예정보다 이틀 앞당겨 5월 3일 헌법을 채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월 3일 헌법은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되었으며, 바르샤바 왕궁 밖에 모인 군중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4. 1. 정치 체제 개혁

카지미에시 네스토르 사피에하가 두 번째 세임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처음에는 보수주의자로 여겨졌으나, 나중에 개혁파에 합류했다. 1789년 가을, 정치 참여를 원했던 부르주아지(도시민)들은 검은 행진을 조직하여 자신들의 요구를 알렸다.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부르주아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평화 시위가 폭력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세임은 1791년 4월 18일 자유왕국도시법을 채택하여 도시의 지위와 부르주아의 권리를 보장했다. 1791년 3월 24일에는 세임키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투표권을 규정했으며, 이 두 법률은 최종적으로 5월 3일 헌법에 통합되었다.

새 헌법은 국왕이 초안을 작성했으며, 이그나치 포토츠키, 휴고 코와타이 등이 참여했다. 국왕은 주요 조항을 작성하고, 코와타이가 최종 수정을 담당했다.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는 영국과 같은 입헌군주제를 지향하며, 강력한 왕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 정부를 원했다. 포토츠키는 의회(세임)의 권한 강화를, 코와타이는 귀족 외 다른 계층에게도 참정권을 주는 "온건한" 사회 혁명을 추구했다.

헤트만스당을 비롯한 보수 세력은 개혁에 반대했다. 개혁파는 반대파의 폭력 위협 속에서, 헌법 논의를 예정보다 앞당겨 진행했다. 1792년 5월 29일, 세임은 러시아의 폴란드 침공 소식을 듣고 국왕에게 총사령관 직을 부여하고 폐회를 결정했다.

4. 2. 사회 개혁

1789년 가을, 바르샤바에서 흑의 행렬(Czarna procesja)이라는 시위를 벌인 부르주아지의 지원을 받았다. 이들은 정치적 권리를 공개적으로 요구했었다. 같은 시기 프랑스 혁명과 폴란드의 상황을 주시한 세임 의원들은 평화적 시위가 폭력 혁명으로 바뀔 것을 우려, 1791년 4월 18일 도시의 지위를 정하고 부르주아지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자유왕국도시법을 제정했다. 3월 24일에는 투표권을 인정한 세이믹법이 제정됐으며, 이들은 최종적으로 5월 3일 헌법의 요소로 결실을 맺게 된다.

농노제를 완전히 폐지하지는 않았지만, 농민의 법적 지위를 일부 개선하고, 농민에게 토지 소유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4. 3.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통합 강화

1791년 10월 22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4년 세임은 "양국 상호 보증법"(Zaręczenie Wzajemne Obojga Narodów)을 성립시켰다. 이 법은 폴란드 왕관령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단일 국가 내에서 통합하고, 양국의 동등한 대표성을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를 통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은 더욱 강화되었지만, 동시에 연방 국가로서의 성격도 유지되었다.

5. 헌법의 폐지와 폴란드 분할

5월 3일 헌법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개혁을 위한 중요한 시도였지만, 국내외의 반발로 인해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4년 세임 폐회 후, 개혁파는 폴란드 최초의 정당이라고도 불리는 헌법의 벗 모임을 결성하여 개혁을 지키려 했다.[60][61] 새 헌법은 도시 지역에서는 열광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헤트만파가 힘을 가진 지방에서는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62]

5. 1. 타르고비차 연맹과 러시아의 개입

헌법에 반대하는 폴란드 귀족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가서 타르고비차 연맹을 결성하고 러시아 제국예카테리나 2세에게 의지하여 함께 폴란드를 침공했다. 압도적인 전력 차이 앞에 폴란드는 러시아에 항복했고, 1793년 11월 23일 흐로드나 세임은 5월 3일 헌법을 포함한 4년 세임의 모든 성과를 파기했다.

5. 2. 흐로드나 세임과 헌법 폐지

4년 세임에서 실현된 개혁을 지키고 더욱 진전시키기 위해 개혁파는 폴란드 최초의 정당이라고도 불리는 헌법의 벗 모임을 결성했다. 그러나 새 헌법은 헤트만파가 힘을 가진 지방에서는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 타르고비차 연맹을 결성한 반개혁파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러시아 제국예카테리나 2세에 의지하여 함께 폴란드를 침공했다. 압도적인 전력차 앞에 폴란드는 러시아에 항복했고, 1793년 11월 23일 흐로드나 세임은 5월 3일 헌법을 포함한 4년 세임의 모든 성과를 파기했다.

6. 5월 3일 헌법의 역사적 의의와 영향

5월 3일 헌법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개혁 노력과 근대적 헌법 제정 시도를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이다. 이 헌법은 유럽 최초의 성문 헌법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제정된 근대적 헌법으로, 당시 유럽에 널리 퍼져 있던 계몽주의 사상을 반영하여 국가 권력을 입법, 행정, 사법으로 분리하고, 국민 주권의 원칙을 명시하였다.

특히, 5월 3일 헌법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정치적 혼란을 극복하고 국가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한 개혁의 일환으로 제정되었다. 당시 연방은 귀족들의 과도한 특권과 자유 거부권(liberum veto)으로 인해 중앙 정부의 권위가 약화되고, 주변 강대국들의 간섭에 취약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5월 3일 헌법은 왕권 강화, 의회 개혁, 시민권 확대 등을 통해 국가 체제를 근대적으로 개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5월 3일 헌법은 주변 강대국들, 특히 러시아 제국프로이센 왕국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들 국가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개혁이 자국의 이익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고, 헌법에 반대하는 폴란드 귀족들과 결탁하여 연방을 침공하였다. 결국 5월 3일 헌법은 시행된 지 1년여 만에 폐지되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제2차, 제3차 분할을 거쳐 멸망하게 되었다.

비록 5월 3일 헌법은 단명하였지만, 폴란드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헌법은 폴란드 국민들에게 자유와 개혁의 상징으로 기억되었으며, 이후 폴란드의 독립 운동과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5월 3일 헌법은 근대 헌법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폴란드에서 국가 기념일로 지정되어 기념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2] 서적 The price of freedom: a history of East Central Europe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8-13
[3] 서적 Europe: a history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11-08-13
[4]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The ascendancy of France, 1648–8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6-11
[5] 서적 God's Playground: The origins to 1795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08-13
[6]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7] 서적 The Russian empire and the world, 1700–1917: the geopolitics of expansion and containm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7-05
[8] 서적 A concise history of Po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7-05
[9]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10] 서적 Rousseau's Platonic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11-09-05
[11] 서적 Contested spaces of nobility in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1-09-05
[12] 서적 Disorderly liberty: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1-09-05
[13]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14] 서적 The solitary self: Jean-Jacques Rousseau in exile and advers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07-05
[15]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16]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17] 서적 Democratic government in Poland: constitutional politics since 1989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1-07-05
[18] 서적 The Origin of human rights: the constitution of 3 May 1791, the French declaration of rights, the Bill of Rights : proceedings at the seminar held at the Nicolaus Copernicus University, May 3–5, 1991 https://books.google[...] Wydawn. Adam Marszałek 2011-09-11
[19] 서적 Żywot Tomasza Ostrowskiego, ministra rzeczypospolitej póżniej,prezesa senatu xięstwa warszawskiego i królestwa polskiego: obejmujacy rys wypadḱow krajowych od 1765 roku do 1817 https://books.google[...] Nakł. K. Ostrowskiego 2011-07-04
[20] 서적 Historia państwa i prawa polskiego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21] 간행물 Stanisław August Poniatowski Polski Słownik Biograficzny
[22] 서적 A Republic of nobles: studies in Polish history to 1864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011-08-17
[23] 서적 The political history of Poland https://books.google[...] Polish Book Importing Co. 2011-08-18
[24] 웹사이트 Stronnictwo Patriotyczne http://portalwiedzy.[...]
[25] 간행물 Potocki Ignacy Zakład Narodowy Imenia Ossolińskich I Wydawnictwo Polskieh Akademii Nauk
[26] 서적 Democratic government in Poland: constitutional politics since 1989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1-07-05
[27]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28]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9-11
[29] 서적 Disorderly liberty: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1-09-23
[30] 서적 Geneza i obalenie Konstytucji 3 maja https://books.google[...] Wydawn. Lubelskie 2011-12-17
[31] 서적 Geneza i obalenie Konstytucji 3 maja https://books.google[...] Wydawn. Lubelskie 2011-12-17
[32] 서적 Geneza i obalenie Konstytucji 3 maja https://books.google[...] Wydawn. Lubelskie 2011-12-17
[33] 서적 Uchwalenie i obrona Konstytucji 3 Maja https://books.google[...] Wydawnictwa Szkolne i Pedagogiczne 2012-01-02
[34] 서적 The price of freedom: a history of East Central Europe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7-05
[35]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36] 서적 Potocki Ignacy Zakład Narodowy Imenia Ossolińskich I Wydawnictwo Polskieh Akademii Nauk 1983
[37] 서적 Historia państwa i prawa polskiego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1987
[38] 서적 Historia państwa i prawa polskiego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1987
[39]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40]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41]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42]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43]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44]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45]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46]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47] 서적 Democratic government in Poland: constitutional politics since 1989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1-07-05
[48] 서적 Historia państwa i prawa polskiego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1987
[49]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50] 서적 Konstytucja trzeciego Maja r. 1791 https://books.google[...] Druk. Narodowa 2011-08-18
[51]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52] 웹사이트 Marek Jerzy Minakowski, Genealogia Potomków Sejmu Wielkiego http://www.sejm-wiel[...] 2019-06-26
[53]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54]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55] 서적 The constitutions of Poland and of the United States: kinships and genealogy https://books.google[...] American Institute of Polish Culture 2011-07-06
[56] 서적 Konstytucja 3 Maja 1791 https://books.google[...] Państwowe Wydawn. Nauk 2011-07-06
[57] 웹사이트 My, Litwa https://web.archive.[...] 2011-09-12
[58] 문서 Historia panstwa i prawa polskiego Paristwowe Wydawnictwo Naukowe 1987
[59] 간행물 Rzeczpospolita wobec wojny wschodniej (1787–1792) i wojny szwedzko-rosyjskiej (1788–1790) Kraków 2009
[60]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61] 서적 Konstytucja 3 Maja 1791 PWN 1991
[62] 서적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77: a guide to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EJJ Books 2011-08-13
[63] 문서 Volumina Legum Poznań 195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