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4중적 의미의 해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중적 의미의 해석은 성경을 포함한 텍스트를 해석하는 중세 시대의 방법으로, 문자적, 유형론적, 도덕적, 영해적 해석의 네 가지 범주를 사용한다. 유대교의 미드라쉬에서 기원하여 필로 유다이우스와 오리게네스를 거쳐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발전된 이 해석 방법은 중세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다. 4중적 해석은 과거 사건(문자적), 과거와 현재의 연결(유형론적), 현재 사건(도덕적), 미래(영해적)를 다루며, 단테는 이를 "4중적 방법" 또는 "신학자들의 비유"로 설명했다. 이 해석 방법은 구약과 신약의 불일치를 종합하고 이교 신화와 자연 세계를 해석하는 데에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학적 해석학 - 알레고리 성경해석
    알레고리 성경해석은 성경 내용을 문자적 의미를 넘어 상징적, 비유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으로, 오리게네스에 의해 강조되었고 중세 시대 4중적 의미 해석으로 발전했으나, 주관적인 해석과 교리 강화의 도구로 남용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 신학적 해석학 - 안명준
    안명준은 독립운동가 안봉순의 손자이자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로, 칼빈 신학에 근거한 성경 해석학 연구와 다양한 학회 활동을 통해 한국교회와 해석학 분야에 기여했다.
  • 해석학 (철학) - 폴 리쾨르
    폴 리쾨르는 프랑스의 철학자로서 현상학과 해석학을 융합한 해석학적 현상학을 발전시켰으며, 철학, 윤리학, 언어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깊이 있는 사상을 제시하고 2005년에 사망했다.
  • 해석학 (철학) -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마르틴 하이데거의 "형이상학 서론"은 1935년 강의를 토대로 1953년 출판된 책으로, 전(前) 소크라테스 철학자들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존재와 무(無)를 탐구하며, 하이데거 사상의 전환점인 '케어레'를 보여주지만 나치즘 연관 논란과 함께 한국에서 수용과 비판이 공존하는 저서이다.
  • 신학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신학 - 성령
    성령은 기독교 삼위일체 중 한 위격으로, 구원의 은총을 사람에게 적용하며, 신자에게 영적 은사와 능력을 부여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하는 역할을 한다.
4중적 의미의 해석
성경의 네 가지 의미
개요성경의 네 가지 의미는 성경 본문을 해석하는 방법론이다.
4중적 의미의 해석문자적 의미
비유적 의미
도덕적 의미
신비적 의미
문자적 의미
정의문자적 의미는 필사자나 독자가 친숙한 역사적, 문화적 의미이다.
설명문자적 의미는 성경 구절에 대한 가장 명백한 의미이며, 표면적인 이해이다.
또한 성경의 기초로 여겨지는데, 다른 의미들이 이 기초 위에 세워지기 때문이다.
비유적 의미
정의비유적 의미는 성경 구절의 상징적인 의미이다.
설명비유적 의미는 성경의 인물, 사건, 사물이 다른 것들을 상징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덕적 의미
정의도덕적 의미는 성경 구절이 우리에게 가르치는 도덕적 교훈이다.
설명도덕적 의미는 우리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교훈을 제공한다.
이는 의롭게 행동하고 하느님을 기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신비적 의미
정의신비적 의미는 성경 구절의 영적인 의미이다.
설명신비적 의미는 하느님과 우리 영혼의 관계에 대한 더 깊은 진리를 드러낸다.
이는 믿음, 소망, 사랑을 통해 하느님과 연합하도록 이끈다.

2. 역사

유대교의 성서 해석학은 미드라쉬를 사용하여 히브리 성경과 유대 율법을 해석했다.[1] 3세기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의 신학자 오리게네스는 사도 바오로의 유대교 해석 방법을 바탕으로 성서의 세 가지 의미(문자적, 도덕적, 영적) 원리를 정립했다.[3] 4세기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를 발전시켜 성서의 네 가지 의미를 제시했다.[4]

프루덴티우스는 400년경 ''프시코마키아''("영혼 전쟁")를 통해 의인화된 덕목과 악덕의 싸움을 묘사했다.[5] 5세기 초 클라우디아누스, 마크로비우스, 마르티아누스 카펠라는 우화를 통해 지식을 표현하는 방식을 중세 교육에 영향을 주었다.[8] 신플라톤주의 주석가들은 호메로스[6] 플라톤을 읽는 데 우화를 사용했다.[7] 보에티우스는 ''철학의 위안''에서 의인화된 레이디 철학을 소개했다.[8]

중세 시대에는 생 빅토르의 휴의 《디다스칼리콘》(1125년), 베르나르 실베스트리스의 《코스모그래피아》(1147년) 등이 있었다.

2. 1. 고대 후기

유대교의 성서 해석학은 미드라쉬를 사용하는데, 이는 히브리 성경과 유대 율법을 해석하는 방법이다.[1]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헬레니즘 유대인 필로 유다이우스70인역을 우화적으로 읽어 유대교적 서술과 플라톤주의를 통합했다. 필로의 우화적 해석은 후기 유대교 사상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2]

3세기에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 출신 신학자 오리게네스는 사도 바오로가 갈라디아서 4장에서 사용한 유대교 해석 방법을 바탕으로 성서의 세 가지 의미(문자적, 도덕적, 영적) 원리를 정립했다.[3] 4세기에 신학자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교리를 발전시켜 성서의 네 가지 의미를 만들었다.[4]

프루덴티우스는 서기 400년경에 ''프시코마키아''("영혼 전쟁")를 썼다.[5] 이 줄거리는 희망, 절제, 순결, 겸손 등의 의인화된 "선" 덕목들이 자만심, 분노, 이교주의, 탐욕 등의 의인화된 "악" 부덕과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의인화된 존재들은 여성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라틴어에서 추상적인 개념의 단어가 여성 명사로 사용되기 때문이다.[5]

5세기 초, 클라우디아누스, 마크로비우스, 마르티아누스 카펠라는 우화의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배운 내용을 의인화를 통해 우화적 형태로 표현하는 경향을 물려주었고, 이는 나중에 중세 학교 교육 방식의 표준이 되었다.[8] 클라우디아누스의 ''In Rufinum''은 루피누스를 비판했고, ''안티클라우디아누스''의 모델이 되었다. 그의 ''프로세르피나의 강탈''은 신화적 우화, 의인화, 우주론적 우화를 쏟아냈다.[8] 신플라톤주의 주석가들은 고대 신화, 호메로스,[6] 그리고 플라톤을 읽는 데 있어서 우화를 사용했다.[7] 마크로비우스는 ''스키피오의 꿈에 대한 주석''을 썼고, 꿈에 대한 우화적 처리에 대한 전통을 제공했다.[8] 마르티아누스 카펠라는 ''필롤로기아와 메르쿠리우스의 결혼''을 썼는데, 이 작품은 "7 자유 과목"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중세 시대에 큰 영향을 미치는 표준 교과서가 되었다.[8]

보에티우스는 ''철학의 위안''을 통해 의인화된 레이디 철학을 소개했다.[8] 보에티우스 이후에는 12세기까지 우화 문학 작품이 알려진 바가 없다.[8]

2. 2. 중세 시대

중세 시대의 작품으로는 생 빅토르의 휴의 《디다스칼리콘》(1125년), 베르나르 실베스트리스의 《코스모그래피아》(1147년), 그리고 형이상학과 과학적 질문에 대한 추상적 사색을 위해 우화(주로 의인화)를 개척한 알라누스 아 빈술리스의 《자연의 탄원》(1170년)과 《안티클라우디아누스》가 있다. 중세 후기에는 많은 우화 작품과 기법이 등장했다. 이 시기에는 다음의 4가지 주요 작품이 있었다:[8]

  • 《장미의 로망》: 주요 우화 작품으로, 서양 문학에 많은 영향을 미쳐 새로운 장르를 창조하고 방언을 발전시켰다.
  • 신곡》: 우화적 측면과 문학 작품으로서 중세 시대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며, 지금도 인기가 높다.
  • 《농부 피어스》: 백과사전적인 우화 기법을 담고 있다. 꿈-환상, 순례, 의인화, 풍자, 유형론적 이야기 구조(꿈을 꾸는 자의 진보는 아담의 타락에서 요한계시록에 이르는 성경 역사의 진보를 반영한다)를 포함한다.
  • 《진주》: anagogical 우화를 바탕으로 한 줄거리에서 꿈을 꾸는 자는 천상의 예루살렘에 소개된다. 죽음의 의미에 초점을 맞춘다. 《철학의 위안》에 대한 종교적 응답.

3. 중세 시대의 네 가지 해석 유형

중세 시대 대부분의 사상가들은 초기 기독교 시대의 성경 주석가들에게서 유래된 네 가지 범주의 해석(또는 의미)을 사용했다.[8][9]


  • 문자적 해석: 이야기 속 사건들의 역사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으로, 그 이상의 숨겨진 의미는 없다.
  • 유형론적 해석: 구약성경의 사건들을 신약성경과 연결한다. 특히, 그리스도의 삶과 구약성경 이야기 사이에 비유적인 관계를 찾는다.
  • 윤리적 해석: 현재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훈, 즉 "이야기의 교훈"을 찾는다.
  • 영해적 해석: 기독교 역사의 미래 사건들, 즉 천국, 지옥, 최후의 심판과 같은 예언을 다룬다.


이 네 가지 해석 유형은 과거 사건(문자적), 과거와 현재의 연결(유형론적), 현재 사건(윤리적), 미래(영해적)를 다룬다.[8]

예를 들어, 산상수훈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10][11]

  • 문자적 해석: 예수가 언덕에서 설교했다는 이야기.
  • 유형론적 해석: 예수는 율법을 전하는 새로운 모세이다.
  • 윤리적 해석: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말씀을 듣고 평화를 이루는 자가 되어야 한다.
  • 영해적 해석: 그리스도가 자신의 죽음을 예언하고, 종말론에서의 궁극적인 축복을 약속했다.


단테는 칸 그란데 델라 스칼라에게 보낸 서간에서 자신의 작품이 "다의성", 즉 여러 의미를 지닌다고 설명하며, "4중적 방법"(또는 "신학자들의 비유")을 통해 해석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는 "글자 자체에서 유래하는 첫 번째 의미는 '문자적' 의미, 글자가 의미하는 것에서 유래하는 두 번째는 '비유적' 또는 '윤리적' 또는 '영해적' 의미"라고 말한다.

중세 학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라틴어 격구를 통해 네 가지 해석을 요약했다.[12]

3. 1. 구약과 신약의 해석

유대교의 성서 해석학은 미드라쉬를 사용하는데, 이는 히브리 성경과 유대 율법 해석의 유대교적 방법이다.[1] 헬레니즘 유대인 필로 유다이우스70인역을 우화적으로 읽어 유대교적 서술과 플라톤주의를 통합했다. 필로의 우화적 해석은 4세기까지 알렉산드리아의 유대 문화가 흩어지면서 후기 유대교 사상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2]

3세기에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 출신 신학자 오리게네스는 사도 바오로의 해석 방법을 바탕으로 성서의 세 가지 의미(문자적, 도덕적, 영적) 원리를 정립했다.[3] 4세기에 신학자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교리를 발전시켜 성서의 네 가지 의미를 만들었다.[4]

중세 알레고리는 구약과 신약 사이의 불일치를 종합하기 위한 기독교적 방법으로 시작되었다.[5] 두 성경 모두 하느님의 영감을 받아 연구되었고 동일하게 여겨졌지만, 구약은 기독교인들에게 불연속성을 포함했다. 예를 들어 유대교의 코셔 율법이 그렇다.[5] 따라서 구약은 특히 구약의 사건들이 그리스도의 삶의 사건들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고려하여 신약의 사건들을 예언하는 방식으로 간주되었다. 구약의 사건들은 이야기의 일부로 여겨졌으며, 그리스도의 삶의 사건들은 이러한 이야기들을 완전하게 결론짓는 역할을 했다. 신약이 구약에 나타나는 것을 보는 기술적인 명칭은 ''유형론''이라고 한다.

그리스도가 무덤에서 부활하는 모습과 요나가 해변으로 뱉어지는 모습, 유형론적 알레고리. 15세기 빈자들의 성경에서


유형론의 한 예는 구약의 요나와 고래 이야기이다.[5] 이 이야기에 대한 중세 알레고리적 해석은 고래의 뱃속이 그리스도의 무덤인 것처럼 그리스도의 매장을 예시한다는 것이다. 요나는 결국 사흘 후에 고래에게서 풀려났고, 그리스도 또한 사흘 후에 무덤에서 부활했다. 따라서 중세 미술중세 문학에서 요나에 대한 암시는 일반적으로 그리스도의 매장과 부활에 대한 알레고리이다.

또 다른 일반적인 유형론적 알레고리는 구약의 네 명의 주요 예언자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다니엘이다. 이 네 예언자는 네 명의 사도 마태오, 마르코 복음사가, 루카 복음사가, 요한을 예시한다. 주석가들은 구약과 신약의 이야기 사이에서 여러 가지 유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udaism Rowman & Littlefield
[2] 서적 The Civilization of the Middle Ages https://www.goodread[...]
[3] 서적 Dictionary f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aker Academic
[4] 서적 Holm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B&H Publishing Group
[5] 서적 Discovering the Middle Ages The Teaching Company
[6] 서적 Homer the Theologian: Neoplatonist Allegorical Reading and the Growth of the Epic Tra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간행물 “Clarifications” of Obscurity: Conditions for Proclus’s Allegorical Reading of Plato’s Parmenides https://www.research[...] Institut für Realienkunde des Mittelalters und der frühen Neuzeit
[8] 서적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9] 서적 Christian Theology: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10] 웹사이트 Aquinas & Sacred Scripture https://www3.nd.edu/[...] Notre Dame University 2023-12-20
[11] 서적 Treasure in Heaven: A Study of the Sermon on the Mount Using the Four Senses of Scripture https://www.fidelity[...] Angelico Press
[12] 웹사이트 Typology https://www.uvm.edu/[...] 2010-Summer
[13] 서적 The Book of Beas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