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1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D14는 세균성 지질다당류(LPS) 검출을 위한 공동 수용체로, 톨유사수용체 TLR4 및 Ly96(MD-2)와 함께 작용한다. CD14는 주로 대식세포에서 발현되며, 단핵구, 수지상 세포 등에서도 발견된다. CD14+ 단핵구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으며, 지질다당류 결합 단백질과 상호 작용한다. 가용성 형태(sCD14)는 간과 단핵구에서 분비되어 CD14를 발현하지 않는 세포에 LPS 반응성을 부여하며, 모유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CD14 | |
---|---|
기본 정보 | |
![]() | |
유전자 기호 | CD14 |
염색체 | 5q31.1 |
외양 | ~55 kDa 당단백질 |
식별 | |
외부 데이터베이스 | GeneCards HGNC: 1638 OMIM: 159590 PDB: 5IT1 UniProtKB: P08571 |
기타 데이터 | |
위치 (염색체) | 인간: 5q31.1 |
2. 기능
CD14는 세균성 지질다당류(LPS) 검출을 위한 공동 수용체(톨유사수용체 TLR4 및 MD-2) 역할을 한다.[24][25][5][6] CD14는 지질다당류 결합 단백질(LBP)이 있어야만 LPS에 결합할 수 있다. LPS는 주요 리간드로 간주되지만, CD14는 리포테이코산과 같은 다른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도 인식한다.[26][7]
CD14는 주로 대식세포와 호중구에서 발현되며, 수지상 세포에서도 발현된다.[27] 수용성 형태의 수용체(sCD14)는 간과 단핵구에서 분비되며, CD14를 발현하지 않는 세포에 LPS 반응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낮은 농도로 존재한다. mCD14와 sCD14는 장 세포에도 존재한다.[27] sCD14는 모유에도 존재하며, 유아의 장에서 미생물 성장을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D14+ 단핵구는 사이토카인의 일종인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M-CSF) 및 인터루킨 4에 의해 촉진되는 분화 경로를 통해 수지상 세포 등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CD14는 지질다당류 결합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8][29]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통해 지질다당류 결합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10][11]
[1]
논문
Mouse and human CD14 (myeloid cell-specific leucine-rich glycoprotein) primary structure deduced from cDNA clones
1989-07
CD14는 지질다당류(LPS) (그람 음성 세균에서 방출), 펩티도글리칸, 리포테이코산(그람 양성 세균의 구성 요소)을 포함한 매우 광범위한 미생물 생성물에 대한 수용체이다.[8]
CD14는 보조 수용체로서 (TLR4 또는 MD-2와 함께) 세균 유래의 지질다당류 (LPS)를 인식한다.[16][17] CD14와 LPS의 결합은 지질다당류 결합 단백질(LBP)에 의존하며, LBP가 존재할 때만 CD14와 TLR4는 LPS와 결합할 수 있다. LPS는 CD14의 주요 리간드이지만, CD14는 그 외에도 세균 유래의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18]
또한, CD14는 TLR4뿐만 아니라 TLR2나 TLR3의 리간드 결합에도 관여한다.[19]
3. 조직 분포
CD14는 단핵구, 대식세포, 과립구 등의 골수계 세포에 발현되어 있다.[19]
4. 분화
5. 상호 작용
CD14는 보조 수용체로서 (TLR4 또는 MD-2와 함께) 작용하여, 세균 유래의 지질다당류(LPS)를 인식한다.[16][17] CD14와 LPS의 결합은 지질다당류 결합 단백질(LBP)에 의존하며, LBP가 존재할 때만 CD14와 TLR4는 LPS와 결합할 수 있다. LPS는 CD14의 주요 리간드이지만, CD14는 그 외에도 세균 유래의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18]
또한, CD14는 TLR4뿐만 아니라 TLR2나 TLR3의 리간드 결합에도 관여한다.[19]
참조
[2]
논문
Monocyte antigen CD14 is a phospholipid anchored membrane protein
1989-01
[3]
논문
Structure-function analysis of soluble and membrane-bound CD14
[4]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human soluble CD14 reveals a bent solenoid with a hydrophobic amino-terminal pocket
2013-02
[5]
논문
Role of CD14 in cellular recognition of bacterial lipopolysaccharides
[6]
논문
Soluble CD14-mediated cellular responses to lipopolysaccharide
[7]
논문
Human lipopolysaccharide-binding protein (LBP) and CD14 independently deliver triacylated lipoproteins to Toll-like receptor 1 (TLR1) and TLR2 and enhance formation of the ternary signaling complex
2013-04
[8]
논문
Genetic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response to injury, inflammation, and sepsis
2005-01
[9]
논문
CD14 is expressed and released as soluble CD14 by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 vitro: lipopolysaccharide activation of epithelial cells revisited
2001-06
[10]
논문
Evidence of a trimolecular complex involving LPS, LPS binding protein and soluble CD14 as an effector of LPS response
2002-11
[11]
논문
LPS-dependent interaction of Mac-2-binding protein with immobilized CD14
[12]
논문
Mouse and human CD14 (myeloid cell-specific leucine-rich glycoprotein) primary structure deduced from cDNA clones
null
[13]
논문
Monocyte antigen CD14 is a phospholipid anchored membrane protein
http://www.bloodjour[...]
1989-01-01
[14]
논문
Structure-function analysis of soluble and membrane-bound CD14
null
[15]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Human Soluble CD14 Reveals a Bent Solenoid with a Hydrophobic Amino-Terminal Pocket
http://www.jimmunol.[...]
[16]
논문
Role of CD14 in cellular recognition of bacterial lipopolysaccharides
null
[17]
논문
Soluble CD14-mediated cellular responses to lipopolysaccharide
null
[18]
논문
Human LBP and CD14 independently deliver triacylated lipoproteins to TLR1 and TLR2 and enhance formation of the ternary signaling complex.
[19]
서적
의계면역학
[20]
논문
Mouse and human CD14 (myeloid cell-specific leucine-rich glycoprotein) primary structure deduced from cDNA clones
1989-07
[21]
논문
Monocyte antigen CD14 is a phospholipid anchored membrane protein
1989-01
[22]
논문
Structure-function analysis of soluble and membrane-bound CD14
[23]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human soluble CD14 reveals a bent solenoid with a hydrophobic amino-terminal pocket
2013-02
[24]
논문
Role of CD14 in cellular recognition of bacterial lipopolysaccharides
[25]
논문
Soluble CD14-mediated cellular responses to lipopolysaccharide
[26]
논문
Human lipopolysaccharide-binding protein (LBP) and CD14 independently deliver triacylated lipoproteins to Toll-like receptor 1 (TLR1) and TLR2 and enhance formation of the ternary signaling complex
2013-04
[27]
논문
CD14 Is Expressed and Released as Soluble CD14 by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 Vitro: Lipopolysaccharide Activation of Epithelial Cells Revisited
https://archive.org/[...]
2001-06
[28]
논문
Evidence of a trimolecular complex involving LPS, LPS binding protein and soluble CD14 as an effector of LPS response
2002-11
[29]
논문
LPS-dependent interaction of Mac-2-binding protein with immobilized CD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