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톨유사수용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톨유사수용체(TLR)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 다양한 병원체의 특정 분자 패턴을 인식하는 선천 면역 수용체이다. 1990년대에 초파리에서 톨 유전자 발견을 시작으로, 포유류에서도 톨유사수용체가 발견되었다. TLR은 세포막 또는 엔도솜에 위치하며, PAMPs와 결합하여 염증 반응, 항바이러스 반응, 획득 면역 반응 등을 유도한다. TLR은 MyD88 의존적 경로와 TRIF 의존적 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며, 다양한 종류의 백혈구 및 비면역 세포에서 발현된다. TLR은 감염병, 자가면역질환, 암 등의 발병 기전에 관여하며, 이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 조절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면역계 - 알레르기
    알레르기는 면역 체계가 무해한 물질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아토피 피부염, 비염, 천식, 두드러기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Gell과 Coombs 분류법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심각한 경우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고,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알레르겐 회피, 약물, 면역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면역계 - 면역억제
    면역억제는 면역계의 활동을 감소시키는 현상으로, 의도적으로는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방지나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위해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고, 비의도적으로는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며 면역결핍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면역학 - 체취
    체취는 인간의 피부상재균이 분비물을 대사하여 발생하는 냄새로, 유전자,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지며, 데오드란트 등으로 관리하거나 심한 경우 의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 면역학 - 면역계
    면역계는 물리적 장벽, 선천 면역, 후천 면역으로 구성되어 감염으로부터 생물체를 보호하는 다층적인 방어 시스템이며, 기능 이상 시 자가면역 질환, 과민 반응, 면역 결핍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톨유사수용체
개요
톨유사수용체의 류신 풍부 반복 서열
톨유사수용체의 류신풍부반복서열(LRR)
상세 정보
종류면역계 단백질
설명톨유사수용체(TLR)는 선천면역 체계의 핵심 구성 요소인 막관통 수용체의 한 종류이다.
기능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PAMP) 인식
사이토카인 생산 유도
염증 반응 활성화
리간드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미생물 유래 분자
내인성 분자(예: 손상 관련 분자 패턴, DAMP)
역할감염 방어
자가면역 질환 발병
암 발생 및 진행
관련 질병패혈증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 홍반 루푸스
죽상동맥경화증
추가 정보
발견초파리의 배아 발생 과정에서 등쪽-배쪽 축을 결정하는 유전자로 처음 발견됨.
연구 동향선천면역 및 적응면역 연결고리로서의 역할 규명, 다양한 질병에서의 기능 연구 활발.

2. 역사

로베르트 코흐의 제자인 리하르트 프리드리히 요하네스 파이퍼는 그람 음성 세균이 생성하여 실험 모델 생물에서 발열과 쇼크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설명하기 위해 "내독소"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내독소는 화학적으로 특징지어졌고 대부분의 그람 음성 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지질다당류(LPS)로 확인되었다.[4]

이 계열의 전형적인 구성원인 초파리 ''초파리''의 ''톨'' 수용체는 1985년 크리스티안네 뉘슬라인-폴하르트와 에릭 위샤우스를 포함한 연구진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것은 배아 발생에서 배면-복면 축을 설정함으로써 발달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수용체는 초파리 유충의 복부 부분이 덜 발달한 것을 언급하며, 크리스티안네 뉘슬라인-폴하르트가 1985년에 감탄하며 외친 "Das ist ja toll!de" ("정말 놀랍다!")에서 이름을 따왔다.[4] 1988년 캐서린 앤더슨 연구실에서 수용체 클로닝되었다.[69]

1996년 쥘 알퐁스 호프만과 그의 동료들은 ''톨''이 항균 펩타이드의 합성을 활성화함으로써 곰팡이 감염에 대한 초파리의 면역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

첫 번째로 보고된 인간 톨유사수용체는 1994년 노무라와 동료들에 의해 기술되었고,[70] 1996년 타구치와 동료들에 의해 염색체에 매핑되었다.[71] 당시 ''초파리''에서 톨의 면역 기능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TIL(현재 TLR1으로 알려짐)이 포유류의 발달에 참여할 것이라고 추정되었다. 그러나 1991년(TIL 발견 이전) 포유류에서 면역 기능에 명확한 역할을 하는 분자인 인터류킨-1(IL-1) 수용체가 초파리 톨과 상동성을 갖는다는 것이 관찰되었다.[72]

1997년 예일 대학교의 찰스 제인웨이와 루슬란 메지토프는 포유류에도 톨 유전자와 상동성이 높은 유전자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을 Toll-like receptor(톨 유사 수용체)로 명명하였다. 1998년 브루스 보이틀러는 TLR4가 리포다당을 인식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이를 시작으로 각 TLR의 리간드가 밝혀졌다.[7] TLR4가 LPS 감지 수용체로 작용한다는 것은 브루스 A. 보틀러와 동료들에 의해 발견되었다.[73]

다른 TLR 유전자는 주로 아키라 시즈오와 동료들의 연구실에서 유전자 표적화를 통해 쥐에서 제거되었다. 각 TLR은 현재 미생물 기원 및 세포 손상 산물을 포함하는 개별 분자를 감지하고 감염의 존재를 신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4]

2011년, 보틀러와 호프만은 그들의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77] 호프만과 아키라는 2011년 캐나다 게르드너 국제상을 수상했다.[78]

3. 기능

톨유사수용체(TLR)는 병원체가 공유하는 분자를 인식하는 수용체로,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자연 살해 세포, T 세포, B 세포 등 백혈구와 상피 세포, 내피 세포, 섬유아세포 등 비면역 세포의 세포막에서 발현된다.[5]

백신 보조제나 자연 감염 시 침입 분자 형태로 TLR에 리간드가 결합하면 선천 면역 반응과 항원 특이적 획득 면역 발달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분자적 사건이 일어난다.[6][7] TLR은 활성화되면 면역 세포의 세포질 내에서 신호 전달 어댑터 단백질을 모집하고, 단백질 키나제 등을 활성화시켜 신호를 증폭시킨다. 이는 사이토카인 생성, 세포 증식, 생존 등 염증 반응 및 기타 전사 사건을 조율하는 유전자 조절로 이어진다.[7]

세균 인자가 리간드인 경우, 병원체는 탐식작용으로 소화되어 항원이 CD4+ T 세포에 제시된다. 바이러스 인자인 경우, 감염된 세포는 단백질 합성을 중단하고 세포 사멸을 겪거나, 인터페론과 같은 항바이러스 인자를 방출한다. TLR은 수지상 세포에 존재하여 선천 면역과 적응 면역 사이의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한다.[8]

각 TLR은 병원체의 특이적 분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이량체를 형성한다. 대부분 호모 이량체로 작용하지만, TLR2는 TLR1 또는 TLR6과 헤테로 이량체를 형성하여 다른 특이성을 갖는다. TLR은 완전한 기능을 위해 다른 보조 인자를 필요로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TLR4는 LPS 인식을 위해 MD-2가 필요하며, CD14와 LPS 결합 단백질(LBP)은 LPS의 MD-2 제시를 돕는다.

활성화된 TLR은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전사 인자인 IRF 및 NF-κB를 활성화시켜 사이토카인을 유도하여 획득 면역 또는 염증을 유발한다. 세균은 파고사이토시스로 섭취, 소화되어 항원이 헬퍼 T 세포에 제시된다. 바이러스 인자에 대해서는 인터페론이 생성되고, 감염된 세포는 단백질 생산을 중단하고 아폽토시스에 이른다.

포유류의 톨유사수용체 활성은 아래 표와 같다.

알려진 포유류 톨 유사 수용체
수용체리간드하류 신호 전달 경로
TLR1트리아실지질단백질불명
TLR2지질단백질; 그람 양성 세균의 펩티도글리칸; 리포테이코산; 진균의 다당류; 바이러스당단백질MyD88 의존성 TIRAP
TLR3이중 가닥 RNA (일부 바이러스에 존재), 폴리 I:C(합성 핵산)MyD88 비의존성 TRIF/TICAM
TLR4리포다당류; 바이러스의 당단백질MyD88 의존성 TIRAP; MyD88 비의존성 TRIF/TICAM/TRAM
TLR5플라젤린MyD88 의존성 IRAK
TLR6디아실지질단백질불명
TLR7합성 저분자 화합물(항바이러스제 이미다조퀴놀린 등); 단일 가닥 RNAMyD88 의존성 IRAK
TLR8합성 저분자 화합물; 단일 가닥 RNAMyD88 의존성 IRAK
TLR9비메틸화 CpG DNAMyD88 의존성 IRAK
TLR10불명불명
TLR11요도 감염 세균에 있는 분자 (상세 불명)MyD88 의존성 IRAK


3. 1. 신호 전달 경로

톨유사수용체(TLR)의 신호 전달은 크게 MyD88 의존적 경로와 TRIF 의존적 경로로 나뉜다.

MyD88 의존적 경로는 TLR3을 제외한 모든 TLR에서 사용되며, 리간드 결합으로 시작된다. 이 과정은 어댑터 단백질 MyD88을 모집하고, 이어서 IRAK4, IRAK1, IRAK2를 모집한다. IRAK 키나아제는 TRAF6를 인산화하여 활성화시키고, 이는 TAK1에 폴리유비퀴틴화를 유도한다. TAK1은 IKK-β를 인산화하고, 이는 다시 IκB를 인산화하여 분해를 유발한다. 그 결과, NFκB가 세포 핵으로 이동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유도한다.[53]

TRIF 의존적 경로는 TLR3와 TLR4에서 사용된다. TLR3는 이중 가닥 RNA에 의해 활성화되어 어댑터 TRIF를 모집한다. TRIF는 TBK1 및 RIPK1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킨다. TRIF/TBK1 복합체는 IRF3을 인산화하여 핵으로 이동시켜 I형 인터페론 생산을 유도한다. RIPK1 활성화는 MyD88 의존적 경로와 유사하게 TAK1 및 NFκB 전사를 활성화시킨다.[53]

TLR4는 4개의 어댑터(MyD88, TIRAP, TRIF, TRAM)를 모두 사용하는 유일한 TLR이다. TLR4, MD2 및 LPS 복합체는 TIRAP 및 MyD88을 모집하여 NFκB(초기 단계) 및 MAPK를 활성화시킨다. 이후 엔도사이토시스를 거쳐 TRAM 및 TRIF 어댑터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IRF3 활성화와 I형 인터페론 생산, 그리고 후기 단계 NFκB 활성화를 유도한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에는 NFκB의 후기 및 초기 단계 활성화가 모두 필요하다.[53]

요약하면, TLR 신호 전달은 궁극적으로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거나 억제한다.

3. 2. 톨유사수용체의 종류와 리간드

톨유사수용체는 서로 다른 리간드에 결합하여 활성화되며, 이는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체 또는 구조에 위치한다.[25] 또한 활성화에 반응하기 위해 서로 다른 어댑터를 가지며, 때로는 세포 표면에, 때로는 내부 세포 구획에 위치한다.[25] 다양한 종류의 백혈구 또는 기타 세포 유형에 의해 발현된다.[26]

수용체리간드(들)[26]리간드 위치[26]어댑터(들)위치세포 유형[26]
TLR 1다중 트리아실 지질 단백질세균 리포단백질MyD88/MAL세포 표면
TLR 2다중 글리콜리피드세균 펩티도글리칸MyD88/MAL세포 표면rowspan="6" |
다중 리포펩티드 및 단백지질세균 펩티도글리칸
리포테이코산그람 양성 세균
HSP70숙주 세포
자이모산(베타-글루칸)곰팡이
기타 다수
TLR 3이중 가닥 RNA, poly I:C바이러스TRIF세포 구획
TLR 4리포다당류그람 음성 세균MyD88/MAL/TRIF/TRAM세포 표면rowspan=7|
여러 열충격 단백질세균 및 숙주 세포
피브리노겐숙주 세포
헤파란 설페이트 단편숙주 세포
히알루론산 단편숙주 세포
니켈[31]
다양한 아편유사제
TLR 5세균 편모세균MyD88세포 표면rowspan=2|
프로필린[32]톡소플라즈마 곤디
TLR 6다중 디아실 리포펩티드마이코플라스마MyD88/MAL세포 표면
TLR 7이미다조퀴놀린작은 합성 화합물MyD88세포 구획rowspan="5" |
록소리빈 (구아노신 유사체)
브로피리민
레시퀴모드
단일 가닥 RNARNA 바이러스
TLR 8작은 합성 화합물; 단일 가닥 바이러스 RNA, 탐식된 세균 RNA(24)MyD88세포 구획
TLR 9비메틸화 CpG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DNA세균, DNA 바이러스MyD88세포 구획
TLR 10트리아실화 리포펩티드[34]알 수 없음세포 표면
TLR 11프로필린톡소플라즈마 곤디[38]MyD88세포 구획[39]rowspan="2" |
편모세균 (E. coli, Salmonella)[40]
TLR 12프로필린톡소플라즈마 곤디[41]MyD88세포 구획
TLR 13[43][44]세균 리보솜 RNA 서열 "CGGAAAGACC" (하지만 메틸화된 버전은 아님)[45]바이러스, 세균MyD88, TAK-1세포 구획



RNA 및 DNA 바이러스,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 세균, 곰팡이 및 원생생물에서 톨 유사 수용체(TLR) 리간드


톨 유사 수용체(및 기타 선천성 면역 수용체)는 특이성 때문에 진화 과정에서 쉽게 변경될 수 없으며, 이러한 수용체는 위협(즉, 병원체 또는 세포 스트레스)과 지속적으로 관련된 분자를 인식하고 이러한 위협에 매우 특이적이다. 병원체 관련 분자는 병원체의 기능에 중요하며 돌연변이를 통해 변경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것을 진화적으로 보존되었다고 한다. 병원체의 다소 보존된 특징에는 세균 세포 표면 지질다당류(LPS), 지단백질, 리포펩타이드 및 리포아라비노만; 세균 편모의 편모 단백질; 바이러스의 이중 가닥 RNA; 또는 세균 및 바이러스 DNA의 비메틸화 CpG 섬, 진핵생물 DNA의 프로모터에서 발견되는 CpG 섬뿐만 아니라 특정 기타 RNA 및 DNA 분자가 있다. TLR 리간드는 대부분의 병원체에 존재하므로 병원체 유래 백신(예: MMR, 인플루엔자, 소아마비 백신)에도 존재할 수 있다.[46][47]

대부분의 TLR의 경우, 리간드 인식 특이성은 이제 유전자 표적화(일명 "유전자 녹아웃")에 의해 확립되었다. 유전자 녹아웃은 마우스에서 개별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는 기술이다.[48][49]

TLR3는 MyD88 의존적 경로를 사용하지 않는다. 리간드는 레트로바이러스 이중 가닥 RNA(dsRNA)이며, 이는 TRIF 의존적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한다. 레트로바이러스 재프로그래밍에서 이 경로의 역할을 탐구하기 위해 TLR3 또는 TRIF의 녹다운 기술을 준비했으며, 결과는 레트로바이러스 발현 벡터에 의한 표적 유전자 발현의 완전한 유도에는 TLR3 경로만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네 개의 전사 인자(Oct4, Sox2, Klf4 및 c-Myc; OSKM)의 이러한 레트로바이러스 발현은 체세포에서 만능성을 유도한다. 이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하여 인간 iPSC 생성을 효율과 양을 펩타이드 억제제 또는 TLR3 또는 어댑터 단백질 TRIF의 shRNA 녹다운을 통한 경로의 녹다운으로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에 의해 뒷받침된다. 종합하면, TLR3의 자극은 염색질 리모델링 및 핵 재프로그래밍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이러한 변화, 만능성 유전자 유도 및 인간 유도 만능 줄기 세포(iPSC) 집락 생성을 위해서는 염증성 경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23]

많은 TLR은 호모 이량체(동종 분자로 구성)로 작용하지만, TLR2는 TLR1 또는 TLR6과의 사이에서 헤테로 이량체를 형성하며, 이들은 서로 특이성이 다르다.

또한 TLR은 완전한 기능을 얻기 위해 다른 보조 인자가 필요한 경우도 있으며, 이 예로는 TLR4가 있다. 모든 LPS의 인식에는 MD-2가 필요하며, CD14와 LPS 결합 단백질(LBP)은 LPS의 MD-2 제시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TLR은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전사 인자인 IRF 및 NF-κB를 활성화하여 각각 IFN-α, IFN-β 또는 IL-1, IL-6, IL-8 등 사이토카인을 유도하여 획득 면역 또는 염증을 유도한다.

세균은 파고사이토시스로 섭취되어 소화되고, 그 항원은 헬퍼 T 세포(CD4+ T 세포)에 제시된다.

바이러스 인자에 대해서는 인터페론(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사이토카인)을 생성한다. 감염된 세포는 단백질 생산을 중단하고 아폽토시스에 이른다.

현재 알려진 TLR의 활성을 아래 표에 정리했다.

알려진 포유류 톨 유사 수용체
수용체리간드하류 신호 전달 경로
TLR1트리아실지질단백질불명
TLR2지질단백질; 그람 양성 세균의 펩티도글리칸; 리포테이코산; 진균의 다당류; 바이러스당단백질MyD88 의존성 TIRAP
TLR3이중 가닥 RNA (일부 바이러스에 존재), 폴리 I:C(합성 핵산)MyD88 비의존성 TRIF/TICAM
TLR4리포다당류; 바이러스의 당단백질MyD88 의존성 TIRAP; MyD88 비의존성 TRIF/TICAM/TRAM
TLR5플라젤린MyD88 의존성 IRAK
TLR6디아실지질단백질불명
TLR7합성 저분자 화합물(항바이러스제 이미다조퀴놀린 등); 단일 가닥 RNAMyD88 의존성 IRAK
TLR8합성 저분자 화합물; 단일 가닥 RNAMyD88 의존성 IRAK
TLR9비메틸화 CpG DNAMyD88 의존성 IRAK
TLR10불명불명
TLR 11요도 감염 세균에 있는 분자 (상세 불명)MyD88 의존성 IRAK


4. 슈퍼패밀리

TLR은 인터루킨-1 수용체와 함께 "인터루킨-1 수용체 / 톨유사수용체 슈퍼패밀리"로 알려진 수용체 슈퍼패밀리를 형성한다.[9] 이 계열의 모든 구성원은 소위 TIR(toll-IL-1 수용체) 도메인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TLR2의 TIR 도메인

5. 확장 계열

톨유사수용체는 척추동물뿐만 아니라 무척추동물에도 존재한다. 톨유사수용체의 분자 구성 요소는 박테리아와 식물에서 발견되며, 식물 패턴 인식 수용체는 감염에 대한 숙주 방어에 필수적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톨유사수용체는 면역 체계의 가장 오래되고 보존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것으로 보인다.[10]

최근 몇 년 동안 톨유사수용체는 포유류 신경계에서도 확인되었다. 톨유사수용체 계열의 구성원은 신경교세포, 뉴런, 그리고 세포 운명 결정을 조절하는 신경 전구 세포에서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포유류 종은 10개에서 15개 사이의 톨유사수용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간과 쥐에서 총 13개의 톨유사수용체(TLR1부터 TLR13까지)가 확인되었으며, 이들 중 많은 수용체의 동등한 형태가 다른 포유류 종에서도 발견되었다.[11][12][13] 그러나 인간에게서 발견되는 특정 톨유사수용체의 동등물은 모든 포유류에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간의 TLR10과 유사한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에 존재하지만, 과거 어느 시점에 레트로바이러스에 의해 손상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쥐는 TLR11, 12, 13을 발현하지만, 이는 인간에게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포유류는 인간에게서 발견되지 않는 톨유사수용체를 발현할 수 있다. 다른 비포유류 종은 포유류와 구별되는 톨유사수용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Takifugu 복어에서 발견되는 세포벽에 대한 항-TLR14에 의해 입증되었다.[14] 이는 실험 동물을 인간 선천 면역의 모델로 사용하는 과정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척추동물 톨유사수용체는 유사성에 따라 TLR 1/2/6/10/14/15, TLR 3, TLR 4, TLR 5, TLR 7/8/9, 그리고 TLR 11/12/13/16/21/22/23 계열로 나뉜다.[14]

6. 의학적 중요성

톨유사수용체(TLR)는 다양한 감염병, 자가면역질환, 암 등의 발병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퀴모드 (피부과에서 주로 사용됨)는 TLR7 작용제이며, 그 후속 약물인 레시퀴모드는 TLR7 및 TLR8 작용제이다.[54] 최근, 레시퀴모드는 종양 관련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작용하는 암 면역요법제로 연구되고 있다.[55]

몇몇 TLR 리간드는 면역 보조제로서 임상 개발 중이거나 동물 모델에서 시험되고 있으며,[56] 2017년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에서 처음으로 인체에 임상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TLR4오피오이드의 장기적인 부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LR4가 활성화되면 TNF-α 및 IL-1β를 포함한 염증 조절 인자들이 하류로 방출된다. 이러한 조절 인자들의 지속적인 낮은 수준의 방출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피오이드 약물 치료의 효능을 감소시키고, 오피오이드 내성,[58][59] 과민성 통각 및 이질통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60][61] 모르핀 유도 TLR4 활성화는 통증 억제를 약화시키고 오피오이드의 약물 내성, 중독, 약물 남용, 호흡 억제 및 과민성 통각과 같은 다른 부정적인 부작용의 발달을 촉진한다.[62] TNF-α 또는 IL-1β의 작용을 차단하는 약물은 오피오이드의 진통 효과를 증가시키고 내성 및 기타 부작용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63][64] 이는 TLR4 자체를 차단하는 약물에서도 입증되었다.

(+)-모르핀 및 (+)-날록손과 같은 오피오이드 약물의 "비자연적인" 거울상 이성질체는 오피오이드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없지만, "정상적인" 거울상 이성질체와 동일한 TLR4 활성을 생성한다.[65][66] 따라서, (+)-날록손과 같은 오피오이드의 "비자연적인" 이성질체는 μ-오피오이드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 없이 오피오이드 진통제의 TLR4 활성을 차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67][66][68]

7. 척추동물과 곤충의 TLR

사람에게는 10종류의 TLR 분자가 존재한다. 쥐는 TLR10이 존재하지 않지만, TLR11, 12, 13과 같이 사람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TLR을 가지고 있다. 포유류 이외에는 닭에게 TLR2나 TLR1이 두 개 존재하며, 물고기는 사람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TLR21이나 TLR22를 가지고 있다.[14] 사람의 TLR1, 2, 3, 4, 5, 7, 8, 9는 물고기에서 사람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척추동물에서 발견되며, 척추동물의 대부분의 TLR은 보존되어 있다. 척삭동물인 멍게에서는 TLR이 매우 적으며, 척추동물로 진화한 후 현재의 TLR 패밀리가 형성되었다고 생각된다. 초파리에서는 원래의 톨을 포함하여 9종의 TLR이 발견되었으나,[22] 척추동물과는 달리 병원체 분자에 직접 결합하는 것은 아니다.

참조

[1] 논문 Sweeten PAMPs: Role of Sugar Complexed PAMPs in Innate Immunity and Vaccine Biology 2013-09
[2] 논문 TLR10 and Its Uniqu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Potential Use as a Target in Therapeutics http://dx.doi.org/10[...] 2020
[3] 논문 Type B coxsackievirus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the innate and adaptive immune systems
[4] 논문 Toll to be paid at the gateway to the vessel wall 2005-06
[5] 논문 "[Innate i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 of TLRs]" 2007-01
[6] 논문 Toll-like receptors in innate immunity 2005-01
[7] 논문 A human homologue of the Drosophila Toll protein signals activation of adaptive immunity 1997-07
[8] 논문 Sphingosine-1-phosphate suppresses TLR-induced CXCL8 secretion from human T cells 2013-04
[9] 논문 Toll-Like Receptors (TLRs): Structure, Functions, Signaling, and Role of Their Polymorphisms in Colorectal Cancer Susceptibility 2021
[10] 논문 Toll-like receptors modulate adult hippocampal neurogenesis 2007-09
[11] 논문 Three novel mammalian toll-like receptors: gene structure, expression, and evolution http://www.john-libb[...] 2000-09
[12] 논문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sub-family of human toll-like receptors: hTLR7, hTLR8 and hTLR9 http://www.john-libb[...] 2000-09
[13] 논문 Toll-like receptors 9 and 3 as essential components of innate immune defense against mouse cytomegalovirus infection 2004-03
[14] 논문 The evolution of vertebrate Toll-like receptors 2005-07
[15] 논문 The host defense of Drosophila melanogaster http://infoscience.e[...] 2007
[16] 논문 The Drosophila Toll signaling pathway 2011-01
[17] 논문 More Than Black or White: Melanization and Toll Share Regulatory Serine Proteases in Drosophila 2019-04
[18] 논문 Immune genes and divergent antimicrobial peptides in flies of the subgenus Drosophila 2016-10
[19] 논문 The dorsoventral regulatory gene cassette spätzle/Toll/cactus controls the potent antifungal response in Drosophila adults http://infoscience.e[...] 1996-09
[20] 논문 The Circulating Protease Persephone Is an Immune Sensor for Microbial Proteolytic Activities Upstream of the Drosophila Toll Pathway 2018-02
[21] 논문 The Drosophila systemic immune response: sensing and signalling during bacterial and fungal infections 2007-11
[22] 논문 Drosophila 2019-06
[23] 논문 Activation of innate immunity is required for efficient nuclear reprogramming 2012-10
[24] 논문 A mouse model of Salmonella typhi infection 2012-10
[25] 서적 Paul's fundamental immunology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23
[26] 서적 Immunology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7] 논문 The role of Toll-like receptors in the regulation of neutrophil migration, activation, and apoptosis 2005-11
[28] 논문 The instructive role of dendritic cells on T-cell responses
[29] 논문 Regulating B-cell activation and survival in response to TLR signals
[30] 논문 Lipopolysaccharide activates distinct signaling pathways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 lines expressing Toll-like receptors 2000-01
[31] 논문 Ni(II) interaction with a peptide model of the human TLR4 ectodomain 2017-12
[32] 논문 "Toxoplasma gondii- derived profilin triggers human toll-like receptor 5-dependent cytokine production"
[33] 논문 Expression of toll like receptor 8 (TLR8) in specific groups of mouse hippocampal interneurons 2022
[34] 논문 Human TLRs 10 and 1 share common mechanisms of innate immune sensing but not signaling 2010-05
[35] 논문 Identification of hTLR10: a novel human Toll-like receptor preferentially expressed in immune cells 2001-03
[36] 논문 Quantitative expression of toll-like receptor 1-10 mRNA in cellular subsets of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and sensitivity to CpG oligodeoxynucleotides 2002-05
[37] 논문 Identification of TLR10 as a key mediator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to Listeria monocytogenes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nd macrophages 2013-12
[38] 논문 TLR11 activation of dendritic cells by a protozoan profilin-like protein https://zenodo.org/r[...] 2005-06
[39] 논문 UNC93B1 is essential for TLR11 activation and IL-12-dependent host resistance to ''Toxoplasma gondii'' 2011-02
[40] 논문 Toll-Like Receptor 11 (TLR11) Interacts with Flagellin and Profilin through Disparate Mechanisms 2016
[41] 논문 Recognition of profilin by Toll-like receptor 12 is critical for host resistance to ''Toxoplasma gondii'' 2013-01
[42] 논문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Toll-like receptors 11-13 in the brain during murine neurocysticercosis 2008-12
[43] 논문 A novel Toll-like receptor that recognizes vesicular stomatitis virus 2011-02
[44] 논문 TLR13 recognizes bacterial 23S rRNA devoid of erythromycin resistance-forming modification 2012-08
[45] 논문 Bacteria evade immune recognition via TLR13 and binding of their 23S rRNA by MLS antibiotics by the same mechanisms 2013-03
[46] 논문 Commonly used prophylactic vaccines as an alternative for synthetically produced TLR ligands to mature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2010-07-29
[47] 논문 Pattern recognition receptor agonists in pathogen vaccines mediate antitumor T-cell cross-priming 2023-07
[48] 논문 Identification of Lps2 as a key transducer of MyD88-independent TIR signalling 2003-08
[49] 논문 A Toll-like receptor recognizes bacterial DNA 2000-12
[50] 논문 TLR2 is constitutively expressed within the kidney and participates in ischemic renal injury through both MyD88-dependent and -independent pathways 2007-05
[51] 논문 TRAM is specifically involved in the Toll-like receptor 4-mediated MyD88-independent signaling pathway 2003-11
[52] 논문 Essential role for TIRAP in activation of the signalling cascade shared by TLR2 and TLR4 2002-11
[53] 논문 The role of pattern-recognition receptors in innate immunity: update on Toll-like receptors 2010-05
[54] 서적 Dermatologie Venerologie : Grundlagen. Klinik. Atlas. Springer
[55] 논문 TLR7/8-agonist-loaded nanoparticles promote the polarization of tumour-associated macrophages to enhance cancer immunotherapy 2018-08
[56] 논문 Immune Adjuvant Effect of Molecularly-defined Toll-Like Receptor Ligands 2014-04
[57] 논문 Toll like Receptor 7 Messenger Ribonucleic Acid Expression Levels in Dairy Animals in an Outbreak of Foot-and-mouth disease https://ibic.lib.ku.[...] 2017
[58] 논문 Interleukin-1 antagonizes morphine analgesia and underlies morphine tolerance 2005-05
[59] 논문 Dual regulation of mu opioid receptors in SK-N-SH neuroblastoma cells by morphine and interleukin-1β: evidence for opioid-immune crosstalk 2010-10
[60] 서적 Mechanism of allodynia evoked by intrathecal morphine-3-glucuronide in mice
[61] 논문 Evidence that intrathecal morphine-3-glucuronide may cause pain enhancement via toll-like receptor 4/MD-2 and interleukin-1beta 2010-01
[62] 웹사이트 Small Molecules Target Toll-Like Receptors http://cen.acs.org/a[...] 2012-08-22
[63] 논문 Etanercept restores the antinociceptive effect of morphine and suppresses spinal neuroinflammation in morphine-tolerant rats 2011-02
[64] 논문 An IL-1 receptor antagonist blocks a morphine-induced attenuation of locomotor recovery after spinal cord injury 2011-02
[65] 논문 The "toll" of opioid-induced glial activation: improving the clinical efficacy of opioids by targeting glia 2009-11
[66] 논문 Non-stereoselective reversal of neuropathic pain by naloxone and naltrexone: involvement of toll-like receptor 4 (TLR4) 2008-07
[67] 논문 Proinflammatory cytokines oppose opioid-induced acute and chronic analgesia 2008-11
[68] 논문 Possible involvement of toll-like receptor 4/myeloid differentiation factor-2 activity of opioid inactive isomers causes spinal proinflammation and related behavioral consequences 2010-05
[69] 논문 The Toll gene of Drosophila, required for dorsal-ventral embryonic polarity, appears to encode a transmembrane protein 1988-01
[70] 논문 Prediction of the coding sequences of unidentified human genes. I. The coding sequences of 40 new genes (KIAA0001-KIAA0040) deduced by analysis of randomly sampled cDNA clones from human immature myeloid cell line KG-1
[71] 논문 Chromosomal localization of TIL, a gene encoding a protein related to the Drosophila transmembrane receptor Toll, to human chromosome 4p14 1996-03
[72] 논문 Drosophila Toll and IL-1 receptor 1991-05
[73] 논문 Defective LPS signaling in C3H/HeJ and C57BL/10ScCr mice: mutations in Tlr4 gene 1998-12
[74] 논문 Cutting edge: Toll-like receptor 4 (TLR4)-deficient mice are hyporesponsive to lipopolysaccharide: evidence for TLR4 as the Lps gene product 1999-04
[75] 논문 A receptor kinase-like protein encoded by the rice disease resistance gene, Xa21 http://www.escholars[...] 1995-12
[76] 논문 FLS2: an LRR receptor-like kinase involved in the perception of the bacterial elicitor flagellin in Arabidopsis 2000-06
[7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11 https://www.nobelpri[...] 2011-10-03
[78] 뉴스 B.C. doctor wins prestigious medical prize https://www.thestar.[...] 2011-03-23
[79] 저널 Innate immunity: an overview 2019-10-08
[80] 저널 Establishment of dorsal-ventral polarity in the Drosophila embryo: Genetic studies on the role of the ''Toll'' gene product 2019-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