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Daydream Nation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aydream Nation》은 1988년에 발매된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소닉 유스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턴스턴 무어의 작곡을 기반으로 잼 세션을 통해 곡을 발전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힙합 엔지니어 닉 산사노와 함께 뉴욕의 그린 스트리트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Daydream Nation》은 아방가르드 록, 인디 록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독특한 기타 튜닝과 긴 기악 섹션, 사회 비판적인 가사가 특징이다. 발매 당시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으며, 1980년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2006년에는 미국 의회 도서관의 국립 녹음 보관소에 추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음반 - Rattle and Hum
    《Rattle and Hum》은 U2의 1987년 조슈아 트리 투어를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화 사운드트랙이자 라이브 앨범으로, 라이브 공연과 새로운 스튜디오 녹음을 통해 비틀즈, 밥 딜런, B.B. 킹 등 여러 아티스트의 곡을 재해석하며 미국 뿌리 음악에 대한 밴드의 탐구와 음악적 전환점을 보여준다.
  • 1988년 음반 -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
    퍼블릭 에너미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인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은 더 밤 스쿼드의 혁신적인 프로듀싱, 척 D의 사회 비판적인 가사, 플래버 플래브의 독특한 스타일이 결합되어 힙합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앨범으로,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역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게펀 레코드 음반 - G N' R Lies
    《G N' R Lies》는 건즈 앤 로지스가 1986년 EP와 1988년 신곡을 묶어 1988년에 발표한 두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지만, 수록곡 "One in a Million"은 논란을 일으켰다.
  • 게펀 레코드 음반 - Use Your Illusion II
    Use Your Illusion II는 건즈 앤 로지스가 1991년에 발매한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와 실험적인 사운드를 담아내며 상업적인 성공과 함께 "Civil War", "Knockin' on Heaven's Door", "You Could Be Mine" 등의 대표곡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 언론과의 갈등, 가사에 대한 논란 등 다양한 이슈를 낳으며 한국 사회 대중음악계와 젊은 세대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Daydream Nation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제목Daydream Nation
종류스튜디오 음반
아티스트소닉 유스
발매일1988년 10월 18일
녹음 기간1988년 7월 – 8월
스튜디오그린 스트리트 레코딩 (소호, 맨해튼)
장르노이즈 록
얼터너티브 록
길이70분 47초
레이블에니그마
프로듀서닉 산사노
소닉 유스
이전 음반The Whitey Album
이전 음반 발매일1988년
다음 음반Goo
다음 음반 발매일1990년
싱글
싱글 1Silver Rocket
싱글 1 발매일1988년 9월
싱글 2Teen Age Riot
싱글 2 발매일1988년 10월
싱글 3Candle
싱글 3 발매일1989년 10월
싱글 4Providence
싱글 4 발매일1989년
Daydream Nation 음반 커버
Daydream Nation 음반 커버

2. 역사

Daydream Nation영어은 턴스턴 무어가 멜로디와 코드 진행을 가져오면 밴드 전체가 몇 달에 걸쳐 곡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작곡되었다.

2. 1. 작곡 및 녹음

소닉 유스는 일반적인 작곡 방식과 달리 턴스턴 무어가 멜로디와 코드 진행을 가져오면 밴드 전체가 몇 달에 걸쳐 곡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작업했다. 특히 《Daydream Nation》에서는 긴 잼을 통해 곡을 발전시켰으며, 일부는 30분 이상 지속되기도 했다.[1] 헨리 롤린스를 포함한 밴드의 몇몇 친구들은 밴드의 긴 라이브 즉흥 연주를 칭찬했고, 밴드의 레코드에는 그들이 담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무어가 작곡에 몰두하면서 앨범은 결국 더블 앨범으로 확장되어야 했다.[1]

1988년 7월, 소닉 유스는 뉴욕의 그린 스트리트 스튜디오에서 힙합 엔지니어 닉 산사노와 함께 녹음 작업을 진행했다.[2] 산사노는 힙합 아티스트와 주로 작업했으며, 밴드는 퍼블릭 에너미 등의 힙합 음악에서 영감을 받아 공격적인 사운드를 추구했다.[2] 밴드는 하루에 1000USD를 지불했는데, 이는 당시까지 앨범을 녹음하기 위해 지불한 최고 금액이었다.[2]

밴드가 음악을 작곡하는 데 많은 준비를 했기 때문에 녹음 과정은 효율적이었다.[3] 그러나 블라스트 퍼스트의 대표인 폴 스미스가 8월 18일에 마스터링 날짜를 정하면서 세션은 막바지에 서둘러 진행되었다.[3] 킴 고든은 시간적 압박으로 인해 보컬 녹음에 만족하지 못했지만, 밴드는 밤샘 작업 끝에 앨범을 완성했다.[3] 이 레코드에는 결국 30000USD가 들었고, 이로 인해 무어는 이 앨범을 "우리의 첫 번째 비-이코노 레코드"라고 언급했다.[3]

3. 음악 및 가사

《Daydream Nation》은 아방 록, 얼터너티브 록, 인디 록, 아트 펑크, 포스트 펑크 앨범으로 평가받으며, 독특한 기타 튜닝과 곡 구성이 특징이다. 많은 곡들이 긴 기악 연주로 끝을 맺는다. 이 앨범은 특히 후대의 얼터너티브와 인디 록 장르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너바나와 같은 그런지 밴드에도 영향을 미쳤다. 가사는 번아웃, 음악 산업, 1980년대 후반의 크랙 유행 등 사회 비판적인 주제를 다룬다.

"The Sprawl"은 SF 작가 윌리엄 깁슨의 작품(특히 스프롤 3부작)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곡의 첫 번째 절 가사는 데니스 존슨의 소설 《정오의 별들》에서 가져왔다.[4] "'Cross the Breeze"는 고든의 격렬한 보컬이 돋보이는 곡으로, "물을 걸어보자/이제 당신은 내가 사탄의 딸이라고 생각하겠지/나는 알고 싶어, 내가 머물러야 할지 떠나야 할지/나는 당신의 증오를 들여다보았고/그것은 나를 매우 최신의 상태로 느끼게 했어"와 같은 가사를 담고 있다. "Eric's Trip"은 앤디 워홀의 영화 《첼시 걸스》에서 에릭 에머슨이 LSD에 취해 독백하는 내용을 가사로 담고 있다.[5]

"Hey Joni"는 록 스탠다드 "Hey Joe"와 캐나다 싱어송라이터 조니 미첼에게 헌정하는 곡이다.[6] 라날도가 불렀으며, "텅 빈 들판 한가운데서 총성이 울려 퍼지네/조니는 키 큰 풀 속에 있네/그녀는 아름다운 정신적 주크박스, 돛단배 폭발/찰싹거리는 전기 채찍 소리"와 같은 초현실주의적인 가사가 특징이다. 이 곡은 또한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를 "이 부서진 도시에서, 당신은 여전히 접속할 수 있나요?/그리고 무엇을 해야 할지 알 수 있나요?"라는 가사로 언급한다.

"프로비던스"는 무어의 어머니 집에서 워크맨으로 녹음한 피아노 솔로, 피비 로드마스터 앰프 과열 소리, 마이크 와트가 로드아일랜드 주 프로비던스의 공중전화에서 무어에게 건 두 개의 전화 메시지를 겹쳐서 만들었다.[7]

"The Wonder"의 제목은 범죄 소설 작가 제임스 엘로이가 로스앤젤레스의 핵심에 있는 미스터리를 표현한 문구에서 따왔다. 무어는 "The Wonder"가 "좋든 싫든 [엘로이가] 계속 나아가게 하고, 매일 침대에서 일어나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8] 마지막 트랙 "Eliminator Jr."은 "프레피 킬러" 로버트 에멧 챔버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이 곡은 밴드가 Dinosaur Jr.와 《Eliminator》 시절 ZZ 탑의 교차점처럼 들린다고 생각하여 붙인 제목이다. ZZ 탑을 언급하고 디스크의 마지막 곡이기 때문에 "Trilogy"에서 "z"를 부여받았다.[9]

4. 앨범 커버 및 제목

''데이드림 네이션''의 제목은 "Hyperstation"의 가사에서 따왔다.[10] 소닉 유스는 1975년 닐 영의 앨범 ''Tonight's the Night''을 언급하는 "Candle"의 가사에서 따온 ''Tonight's the Day''라는 제목도 고려했다.[11] ''데이드림 네이션''의 커버는 1983년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그림 ''Kerze'' ("''Candle''")를 특징으로 한다.[12] 뒷면 커버 아트는 1982년 리히터의 비슷한 그림이다.[13] LP 음반의 네 면과 콤팩트 디스크 내부 트레이에는 밴드 멤버를 각각 나타내는 4개의 기호가 들어있으며, 이는 레드 제플린 4집의 4개의 기호에 대한 오마주이자 패러디이다. 기호는 리 랄도(Ranaldo)의 1987년 앨범 ''From Here to Infinity''를 참조하는 무한대 (∞), 킴 고든(Gordon)을 위한 여성 (♀), 서스턴 무어(Moore)를 위한 대문자 오메가 (Ω) (그의 별자리인 사자자리를 참조), 그리고 스티브 셸리(Shelley)를 위한 드럼 스틱을 들고 있는 악마적-천사적 아기의 그림이다.[12]

5. 발매 및 홍보

《Daydream Nation》은 1988년 10월 18일에 CD, 카세트 테이프, 더블 바이닐 형식으로 발매되었다.[15] 미국 차트에는 오르지 못했지만, 영국 앨범 차트에서 99위를 기록했다.[16] "Teen Age Riot"(1988년 12인치 바이닐 및 CD 발매),[17] "Providence"(1989년 영국 발매),[18] "Candle"(1989년 10월 12인치 바이닐 발매)[19] 등의 싱글과 뮤직 비디오가 발매되었고, ''Forced Exposure''에는 "Silver Rocket" 라이브 버전이 수록되었다.[12][20] "Teen Age Riot"는 얼터너티브 라디오에서 인기를 얻어 빌보드 모던 록 트랙 차트에서 20위를 기록했다.[21] 소닉 유스는 1988년 10월부터 12월까지 북미 투어를 진행하고, 1989년에는 뉴질랜드, 호주, 일본, 소비에트 연방, 유럽 투어를 진행했다. 또한, ''나이트 뮤직''에 출연하여 "Silver Rocket"을 연주하며 처음으로 네트워크 텔레비전에 출연했다.[12] 2007년에는 Don't Look Back 콘서트 시리즈의 일환으로 이 앨범을 라이브로 연주했으며, 2008년까지 유럽과 호주 투어를 진행했다.[12][22]

6. 평가 및 유산

《Daydream Nation》은 발매 당시 빌보드, 빌리지 보이스, 롤링 스톤, Q, NME 등 주요 매체로부터 극찬을 받았다.[33] 빌보드는 이 앨범을 소닉 유스의 "전력 질주 기술"의 "최고의 완성"이라고 칭했다. 빌리지 보이스의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앨범에 "A" 등급을 부여하며, 밴드의 끊임없이 불협화음적인 음악은 "철학적 승리"라고 평가했다.[34] 롤링 스톤의 로버트 팔머는 별 다섯 개 중 세 개 반의 점수를 매기며, "80년대 최고의, 그리고 선견지명이 있는 미국의 기타 밴드"를 제시한다고 말했다.[35]

영국 음악 언론 역시 《Daydream Nation》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Q 매거진은 이 음반이 "매혹적인 소리"를 낸다고 평했으며, NME는 이 앨범을 "올해 가장 급진적이고 정치적인 앨범"이라고 칭하며 최고 점수인 10점을 부여했다.[36] 레코드 미러는 소닉 유스를 "우주 최고의 밴드"라며 5점 만점을 주었다.[37]

1988년 말, 《Daydream Nation》은 그 해 최고의 앨범 목록에 여러 차례 선정되었으며, 롤링 스톤에서 2위, CMJ에서 1위, NME에서 9위를 기록했다.[38] 또한, 이 앨범은 빌리지 보이스의 연례 Pazz & Jop 여론 조사에서 그 해 최고의 음반 2위로 선정되었다.[39] 이 여론 조사의 창시자이자 감독자인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자신의 목록에서 1988년 최고의 앨범 4위로 이 앨범을 선정했다.[40]

《Daydream Nation》은 이후에도 계속해서 찬사를 받았다. 이 앨범은 아방가르드 록 표현의 연대기에서 획기적인 랜드마크로 평가받고 있다. 올뮤직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이 앨범을 "포스트 펑크 아트 록의 걸작"으로 칭하며 "노이즈와 자기 의식적인 아방가르드 예술이 어떻게 록에 통합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결과가 그저 놀랍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평했다.[2] 시카고 트리뷴의 그렉 코트는 이 앨범을 "매혹적인 기타 잼과 밴드의 최고이고 정직한 곡"의 조합으로 1980년대 가장 인지도가 높은 앨범 중 하나라고 불렀다.[25] 스핀의 윌 헤르메스는 이 앨범을 "역대 최고의 아트 펑크 명반"이라고 평했다.[30]

2002년, 피치포크는 《Daydream Nation》을 1980년대 최고의 앨범 100선 목록에서 1위로 선정했다.[1] (2018년 목록에서는 7위[42]) 또한, 스핀 매거진의 1985년부터 2010년까지 최고의 앨범 100선 목록에서 13위,[43] 슬랜트 매거진의 "1980년대 최고의 앨범"에서 30위,[44] 롤링 스톤의 1980년대 최고의 앨범 100선 목록에서 45위를 기록했다.[45] 스핀 얼터너티브 레코드 가이드(1995)는 이 앨범을 아홉 번째로 최고의 얼터너티브 앨범으로 선정했으며,[46] 기타리스트의 2000년 필수 기타 레코드 101선 목록에서 11위를 차지했다. 2003년, 이 앨범은 롤링 스톤의 역대 최고의 앨범 500선 목록에서 328위로 선정되었으며,[47] 2012년에는 2020년 에디션에서 171위를 기록했다.[48]

2006년 미국 의회 도서관은 《Daydream Nation》을 국립 녹음 보관소에 추가하기 위해 선택한 50개의 녹음물 중 하나로 선정했다.[3] 팝매터스는 이 앨범을 "1980년대 필수 얼터너티브 록 앨범 12선" 목록에 포함시켜 "소닉 유스의 다양한 영향이 놀랍고 타는 듯한 전체로 융합되는 야심 찬 더블 앨범"이라고 평했다.[49] 또한 이 앨범은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 포함되었다.[50]

데이비드 보위는 "''Daydream Nation''은 특별한 앨범입니다."라고 말했다.[51]

7. 곡 목록

《Daydream Nation》의 곡 목록은 다음과 같다. 모든 곡은 소닉 유스(서스턴 무어, 킴 고든, 리 랄랄도, 스티브 셸리)가 작곡했다.

《Daydream Nation》 곡 목록
Side번호곡명작사보컬길이
Side one1Teen Age Riot무어고든, 무어6:57
2Silver Rocket무어무어3:47
3The Sprawl고든고든7:42
Side two4'Cross the Breeze고든고든7:00
5Eric's Trip랄랄도랄랄도3:48
6Total Trash무어무어7:33
Side three7Hey Joni랄랄도랄랄도4:23
8Providence와트와트2:41
9Candle무어무어4:58
10Rain King랄랄도랄랄도4:39
Side four11Kissability고든고든3:08
12Trilogy14:07


  • 앨범의 일부 에디션과 디지털 릴리스에서는 "Trilogy"의 각 파트가 개별 트랙으로 분리되어 있다.

7. 1. 오리지널 앨범

《Daydream Nation》의 오리지널 앨범은 총 12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P 기준으로 네 면(Side)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모든 곡은 소닉 유스(서스턴 무어, 킴 고든, 리 랄랄도, 스티브 셸리)가 작곡했다. 각 면별 수록곡은 다음과 같다.

  • '''Side one''' (총 18분 26초): Teen Age Riot, Silver Rocket, The Sprawl
  • '''Side two''' (총 18분 21초): 'Cross the Breeze, Eric's Trip, Total Trash
  • '''Side three''' (총 16분 41초): Hey Joni, Providence, Candle, Rain King
  • '''Side four''' (총 17분 15초): Kissability, Trilogy (The Wonder, Hyperstation, Eliminator Jr.)


일부 앨범 에디션과 디지털 릴리스에서는 "Trilogy"의 각 파트가 개별 트랙으로 분리되어 있다.

7. 1. 1. Side one

Side one영어소닉 유스 (서스턴 무어, 킴 고든, 리 랄랄도, 스티브 셸리)가 작곡한 세 곡을 수록하고 있다.

번호곡명작사길이
1Teen Age Riot무어6:57
2Silver Rocket무어3:47
3The Sprawl고든7:42


7. 1. 2. Side two

'Cross the Breeze영어킴 고든이 작사하고 노래했으며 재생 시간은 7분이다.[1] Eric's Trip영어은 리 랄랄도가 작사하고 노래했으며 재생 시간은 3분 48초이다.[1] Total Trash영어서스턴 무어가 작사하고 노래했으며 재생 시간은 7분 33초이다.[1]

Daydream Nation영어의 Side Two 트랙 목록
제목작사보컬재생 시간
'Cross the Breeze영어킴 고든킴 고든7:00
Eric's Trip영어리 랄랄도리 랄랄도3:48
Total Trash영어서스턴 무어서스턴 무어7:33


7. 1. 3. Side three

Hey Joni영어는 리 랄랄도가 작사, 작곡하고 노래한 곡이다.[3] Providence영어는 마이크 와트가 작사, 작곡하고 노래한 곡이다.[3] Candle영어서스턴 무어가 작사, 작곡하고 노래한 곡이다.[3] Rain King영어은 리 랄랄도가 작사, 작곡하고 노래한 곡이다.[3]

제목작사보컬재생 시간
Hey Joni영어리 랄랄도리 랄랄도4:23
{{lang마이크 와트마이크 와트2:41
Candle영어서스턴 무어서스턴 무어4:58
Rain King영어리 랄랄도리 랄랄도4:39


7. 1. 4. Side four

Kissability영어킴 고든이 가사를 썼으며 3분 8초 길이이다.[3]

"Trilogy"는 세 곡으로 구성된 14분 7초 길이의 곡이다.[3]

  • a) The Wonder영어서스턴 무어가 가사와 보컬을 맡았으며 4분 16초이다.
  • b) Hyperstation영어 역시 무어가 가사와 보컬을 맡았고 길이는 7분 13초이다.
  • z) Eliminator Jr.영어는 고든이 가사와 보컬을 맡았으며 2분 38초이다.


일부 에디션에서는 "Trilogy"의 모든 파트가 개별 트랙으로 분리되어 있기도 하다.

7. 2. 디럭스 에디션 (2007)

2007년, 소닉 유스(Thurston Moore, Kim Gordon, Lee Ranaldo, Steve Shelley)는 『Daydream Nation』의 디럭스 에디션을 발매했다. 이 디럭스 에디션에는 오리지널 앨범 곡들의 라이브 버전과 커버 곡들이 추가로 수록되었다.[52] 4-LP 바이닐 버전은 2007년 7월 17일에 발매되었다.[52]

디럭스 에디션의 4-LP 바이닐 버전은 CD 버전과 트랙 목록이 약간 다르다. 처음 두 LP는 오리지널 더블 LP와 트랙 목록이 같지만, "Eric's Trip"의 홈 데모는 오리지널 앨범 바로 뒤가 아닌 네 번째 LP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다.

보너스 디스크에는 1988년과 1989년에 녹음된 라이브 음원이 수록되어 있으며, 공연 장소는 다음과 같다.

공연 장소날짜곡 목록
필립스할레 (뒤셀도르프)1989년 3월 27일"The Sprawl", "Cross the Breeze", "Silver Rocket", "Erics Trip"
파라디소 (암스테르담)1989년 3월 26일"Hey Joni", "Eliminator Jr.", "Providence", "Teen Age Riot"
뉴욕 브루클린 (다큐멘터리 Put Blood in the Music)1988년 8월"Kissability", "Rain King"
카바레 메트로 (시카고)1988년 11월 5일"Candle"
CBGB1988년 12월 13일"The Wonder", "Hyperstation"
Maxwell's (호보켄)1988년 6월 9일"Totally Trashed", "Total Trash"


7. 2. 1. 추가 곡 (예시)

2007년에 발매된 『Daydream Nation』 디럭스 에디션에는 다음과 같은 커버 곡들의 스튜디오 녹음이 포함되어 있다. [52]

  • Within You Without You영어 (비틀즈 커버, 1988년 컴필레이션 ''Sgt. Pepper Knew My Father'' 수록) - 해리슨 작곡.
  • Touch Me I'm Sick영어 (머드허니 커버, 1988년 12월 Sub Pop Singles Club에서 머드허니와 스플릿 7인치로 발매) - 머드허니 작곡.
  • Computer Age영어 (닐 영 커버, 1989년 컴필레이션 ''The Bridge: A Tribute to Neil Young'' 수록) - 닐 영 작곡.
  • Electricity영어 (캡틴 비프하트 커버, 1988년 컴필레이션 ''Fast 'n' Bulbous – A Tribute to Captain Beefheart'' 수록) - 반 블리엣, 허브 버만 작곡.

8. 참여진

wikitext

참여진
프로덕션


8. 1. 소닉 유스


  • 서스턴 무어 – 기타, 보컬, 피아노, 프로듀싱
  • 킴 고든 – 베이스 기타, 기타, 보컬, 프로듀싱
  • 리 러날도 – 기타, 보컬, 프로듀싱
  • 스티브 셸리 – 드럼, 프로듀싱

8. 2. 프로덕션


  • 닉 산사노 – 프로듀싱, 음향 엔지니어
  • 하우이 와인버그 – 마스터링
  • 데이브 스완슨 – 엔지니어링 지원
  • 마이클 라빈 – 사진
  • 맷 트리토 – 엔지니어링 지원

9. 차트

차트 (1988)최고 순위
영국 음반 차트[53]99
차트 (2007)최고 순위
울트라탑 (벨기에 플란데런)[54]91


참조

[1] 웹사이트 Staff Lists: Top 100 Albums of the 1980s https://pitchfork.co[...] 2002-11-20
[2] 웹사이트 Daydream Nation – Sonic Youth https://www.allmusic[...]
[3] 웹사이트 The National Recording Registry 2005 : National Recording Preservation Board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4]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5]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6]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7]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8] 간행물 Cities on Fire With Electric Guitars — I: Sonic Youth: Lost in the O-Tone https://reader.exact[...] 1989-01
[9]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10]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11]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12] 웹사이트 sonicyouth.com Discography – Album: ''Daydream Nation'' http://www.sonicyout[...]
[13] CD booklet Daydream Nation
[14] 웹사이트 'Daydream Nation' Is 25 http://www.theawl.co[...] 2013-10-18
[15] 서적 The Great Rock Discography Giunti
[16] 웹사이트 The Official Charts Company - Daydream Nation by Sonic Youth Search https://www.official[...] The Official Charts Company 2019-02-09
[17]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18]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19]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20] 웹사이트 Sonic Youth Site Menu http://www.sonicyout[...]
[21] 웹사이트 Sonic Youth – Awards https://www.allmusic[...] AllMusic
[22] 간행물 The ''Spin'' Interview https://books.google[...] 2007-09
[23] 웹사이트 Daydream Nation – Sonic Youth https://www.allmusic[...]
[24] 간행물 Sonic Youth 2006-10
[25] 뉴스 The Evolution Of Sonic Youth https://www.chicagot[...] 1992-09-27
[26] 뉴스 Sonic Youth, Daydream Nation https://www.theguard[...] 2007-06-29
[27] 웹사이트 Sonic Youth: Daydream Nation: Deluxe Edition https://pitchfork.co[...] 2007-06-13
[28] 간행물 Sonic Youth: Daydream Nation http://www.rollingst[...] 2007-06-28
[29]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30] 간행물 Reissues https://books.google[...] 2007-07
[31] 서적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32] 간행물 Sonic Youth: Daydream Nation 2007-08
[33] 뉴스 They're keepers of the grunge https://www.latimes.[...] 2008-06-05
[34] 뉴스 Christgau's Consumer Guide https://robertchrist[...] 1988-11-22
[35] 간행물 Daydream Nation https://www.rollings[...] 1989-01-12
[36] 간행물 Sonic Youth: Daydream Nation 1988-10-22
[37] 간행물 Sonic Youth: Daydream Nation 1988-11-05
[38] 저널 Albums and Tracks of the Year for 1988 https://www.nme.com/[...] 2013-07-08
[39] 뉴스 The 1988 Pazz & Jop Critics Poll https://robertchrist[...] 2013-07-08
[40] 뉴스 Pazz & Jop 1988: Dean's List https://robertchrist[...] 2013-07-08
[41] 뉴스 Sonic Youth 'Daydream Nation' (1988) DGC https://www.latimes.[...] 2013-06-20
[42] 웹사이트 The 200 Best Albums of the 1980s https://pitchfork.co[...] 2021-10-05
[43] 웹사이트 125 Best Albums of the Past 25 Years spin.com https://web.archive.[...] 2012-09-29
[44] 웹사이트 Best Albums of the 1980s | Music | Slant Magazine https://www.slantmag[...] 2012-09-29
[45] 간행물 100 Best Albums of the Eighties: Sonic Youth, '''Daydream Nation''' https://www.rollings[...] 2012-09-29
[46] 웹사이트 Rocklist.net...''Spin'' Magazine (USA) Lists...Page 2.. http://www.rocklistm[...] 2012-09-29
[47] 간행물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Sonic Youth, '''Daydream Nation''' | ''Rolling Stone'' https://www.rollings[...] 2012-09-29
[48] 간행물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1-04-21
[49] 웹사이트 Hope Despite the Times: 12 Essential Alternative Rock Albums from the 1980s https://www.popmatte[...] 2020-02-11
[50]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Universe Publishing
[51] 간행물 Q200 – David Bowie 2003-03
[52] 웹사이트 Pitchfork: Sonic Youth Reveal Deluxe ''Daydream Nation'' Details http://www.pitchfork[...] 2012-09-29
[53] 웹사이트 Sonic Youth | Artist http://www.officialc[...]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2013-01-22
[54] 웹사이트 Sonic Youth – Daydream Nation https://www.ultratop[...] Hung Medien 2013-01-22
[55] 웹사이트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1-12-28
[56] 웹인용 Daydream Nation – Sonic Youth https://www.allmusic[...] 2012-09-29
[57] 저널 Back Catalogue: Sonic Youth 2006-10
[58] 뉴스 The Evolution Of Sonic Youth http://articles.chic[...] 2013-06-20
[59]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60] 뉴스 Sonic Youth, Daydream Nation https://www.theguard[...] 2015-10-01
[61] 웹인용 Sonic Youth - Daydream Nation: Deluxe Edition https://pitchfork.co[...] 2021-05-12
[62] 저널 Daydream Nation https://www.rollings[...] 2012-10-02
[63]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015-10-01
[64] 서적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65] 뉴스 Consumer Guide http://www.robertchr[...] 2013-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