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D-10 챕터 VII: 눈과 부속기의 질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CD-10 챕터 VII: 눈과 부속기의 질병은 눈꺼풀, 눈물기관, 안와,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및 섬모체, 수정체, 망막 및 맥락막, 녹내장, 유리체, 안구, 시신경 및 시각경로, 안근, 양안 운동, 굴절, 시각 장애, 실명, 눈 및 부속기의 질환을 포괄하는 질병 분류이다. 각 항목은 세부 질환으로 나뉘며, 다래끼, 결막염, 백내장, 녹내장, 망막 박리, 시신경염, 사시, 시각 장애, 안진 등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질병분류 - ICD-11
ICD-11은 세계보건기구의 국제질병분류 제11차 개정판으로, 사망률 및 이환율 통계를 위한 다축 분류 시스템과 WHO 국제 분류 체계의 두 가지 주요 구조로 구성되며, 유연한 코딩 구조와 여러 주요 변경 사항을 포함하고 REST API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 국제질병분류 - ICD-10
ICD-10은 세계보건기구가 개발한 질병 및 사망의 국제 통계 분류의 10번째 개정판이며, 질병, 증상, 외상 등 건강 관련 상태에 영숫자 코드를 할당하여 22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전 세계에서 통계, 보험 청구 등에 사용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ICD-10 챕터 VII: 눈과 부속기의 질병 | |
---|---|
ICD-10 챕터 VII | |
제목 | 눈 및 부속기의 질병 |
범위 | H00-H59 |
이전 챕터 | 신경계 질환 |
다음 챕터 | 귀 및 유돌의 질환 |
2. (H00-H06) 눈꺼풀, 눈물기관, 안와의 질환
(H00-H06) 눈꺼풀, 눈물기관, 안와(눈을 둘러싼 뼈와 조직)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포함한다. 주요 질환은 다음과 같다.
- '''H00 맥립종(다래끼) 및 산립종(콩다래끼)'''
- '''H01 눈꺼풀의 기타 염증''': 안검염(눈꺼풀테염) 등
- '''H02 눈꺼풀의 기타 질환''': 안검내반(눈꺼풀속말림), 안검외반(눈꺼풀겉말림), 토안(눈꺼풀이 감기지 않는 증상), 안검이완, 안검하수(눈꺼풀처짐), 황색판종(눈꺼풀에 생기는 황색 종양) 등
- '''H04 눈물기관의 질환''': 누선염, 유루증 등
- '''H05 안와의 질환''': 안구돌출증(눈알돌출증), 안구함몰 등
2. 1. H00 맥립종 및 산립종
맥립종(다래끼) 및 눈꺼풀의 심부 염증산립종(콩다래끼)
2. 2. H01 눈꺼풀의 기타 염증
안검염(눈꺼풀테염), 눈꺼풀의 비감염성 피부병 등을 포함한다.2. 3. H02 눈꺼풀의 기타 질환
안검내반(눈꺼풀속말림)안검외반(눈꺼풀겉말림)
토안(눈꺼풀이 감기지 않는 증상)
안검이완
안검하수(눈꺼풀처짐)
기타 눈꺼풀 기능에 영향을 끼치는 질환
- 실눈증
황색판종(눈꺼풀에 생기는 황색 종양)
기타 눈꺼풀 및 눈 주위의 질환
2. 4. H04 눈물기관의 질환
- 누선염
- H04.1 눈물샘의 기타 질환
- 유루증
- H04.3 눈물길의 급성 및 상세불명의 염증
- H04.4 눈물길의 만성 염증
- H04.5 눈물길의 협착 및 부전
- H04.6 눈물길의 기타 변화
- H04.8 눈물기관의 기타 장애
- H04.9 눈물기관의 장애, 상세 불명
2. 5. H05 안와의 질환
안구돌출증(눈알돌출증), 안구함몰 등을 포함한다.H05.0 안와의 급성 염증H05.1 안와의 만성 염증성 장애H05.2 안구돌출증H05.3 안와의 변형H05.4 안구함몰H05.5 안와 관통창 후의 이물질 잔류 (오래된)H05.8 안와의 기타 장애H05.9 안와의 장애, 상세 불명
3. (H10-H13) 결막의 질환
(H10-H13) 결막의 질환은 눈의 흰자위(결막)에 발생하는 질환을 포함한다. 주요 질환으로는 결막염, 익상편(군날개), 결막하 출혈 등이 있다.
H10 결막염은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H11 결막의 기타 장애에는 익상편과 결막의 출혈 등이 있다. H13은 달리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결막 장애를 다룬다.
- H11.1 결막 변성 및 침착증
- H11.2 결막 반흔
- H11.4 기타 결막의 혈관 장애 및 낭포
- H11.8 결막의 기타 명시된 장애
- H11.9 결막의 장애, 상세 불명
- H13.0 결막의 사상충증
- H13.1 달리 분류되는 감염증 및 기생충증에서의 결막염
- H13.2 달리 분류되는 기타 질환에서의 결막염
- H13.3 눈유사천포창
- H13.8 달리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결막의 기타 장애
3. 1. H10 결막염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H10.0 점액농성 결막염
- H10.1 급성 아토피 결막염
- H10.2 기타 급성 결막염
- H10.3 급성 결막염, 상세 불명
- H10.4 만성 결막염
- H10.5 안검 결막염
- H10.8 기타 결막염
- H10.9 결막염, 상세 불명
3. 2. H11 결막의 기타 질환
익상편(군날개), 결막하 출혈 등을 포함한다. 세부 항목은 다음과 같다.- '''H11.0 익상편'''
- '''H11.3 결막의 출혈'''
- ** 결막하 출혈
4. (H15-H22) 공막, 각막, 홍채 및 섬모체의 질환
(H15-H22) 공막, 각막, 홍채 및 섬모체의 질환에는 눈의 흰자위(공막), 검은자위(각막), 홍채, 섬모체에 발생하는 질환을 포함한다.
- H15 공막의 질환
- H16 각막염
- H17 각막의 흉터 및 혼탁
- H18 기타 각막의 질환
- H19 다르게 분류된 질환에서의 공막 및 각막의 질환
- * H19.0 다르게 분류된 질환에서의 공막염 및 상공막염
- * H19.1 헤르페스 바이러스(성) 각막염 및 각결막염
- * H19.2 다르게 분류된 기타 감염증 및 기생충증에서의 각막염 및 각결막염
- * H19.3 다르게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각막염 및 각결막염
- * H19.8 다르게 분류된 질환에서의 공막 및 각막의 기타 질환
- H20 홍채모양체염
- H21 홍채 및 섬모체의 기타 질환
- H22 다르게 분류된 질환에서의 홍채 및 섬모체의 질환
- * H22.0 다르게 분류된 감염증 및 기생충증에서의 홍채모양체염
- * H22.1 다르게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홍채모양체염
- * H22.8 다르게 분류된 질환에서의 홍채 및 모양체의 기타 질환
4. 1. H15 공막의 질환
공막의 질환(H15)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공막염(H15.0)
- 상공막염(H15.1)
- 공막의 기타 질환(H15.8)
- 상세 불명의 공막 질환(H15.9)
4. 2. H16 각막염
각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H16.0 각막 궤양
- H16.1 기타 표층 각막염, 결막염을 동반하지 않는 것
- H16.2 각결막염
- H16.3 실질성 및 심층 각막염
- H16.4 각막 신생혈관
- H16.8 기타 각막염
- H16.9 각막염, 상세 불명
4. 3. H17 각막의 흉터 및 혼탁
각막에 흉터나 혼탁이 생기는 질환이다.- H17.0 유착 백반
- H17.1 기타 각막 중심 혼탁
- H17.8 기타 각막 반흔 및 혼탁
- H17.9 각막 반흔 및 혼탁, 상세 불명
4. 4. H18 기타 각막의 질환
H18.0 각막 착색 및 색소 침착H18.1 수포성 각막병증
H18.2 기타 각막 부종
H18.3 각막의 막양 변화
H18.4 각막 변성
H18.5 유전성 각막 이영양증
H18.6 원추각막
H18.7 기타 각막 변형
H18.8 각막의 기타 명시된 질환
H18.9 각막 질환, 상세 불명
4. 5. H20 홍채섬모체염
홍채모양체염은 홍채와 섬모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앞포도막염, 섬모체염, 홍채염 등이 있다.- '''H20.0''' 급성 및 아급성 홍채모양체염
- '''H20.1''' 만성 홍채모양체염
- '''H20.2''' 수정체성 홍채모양체염
- '''H20.8''' 기타 홍채모양체염
- '''H20.9''' 홍채모양체염, 상세 불명
4. 6. H21 홍채 및 섬모체의 기타 질환
H21.0 전방출혈H21.1 홍채 및 모양체의 기타 혈관 질환
H21.2 홍채 및 모양체의 변성
H21.3 홍채, 모양체 및 전방의 낭포
H21.4 동공막
H21.5 홍채 및 모양체의 기타 유착 및 파괴
H21.8 홍채 및 모양체의 기타 명시된 질환
H21.9 홍채 및 모양체의 질환, 상세 불명
5. (H25-H28) 수정체의 질환
(H25-H28) 수정체의 질환에는 수정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상태가 포함된다. 주요 질환으로는 백내장과 기타 수정체 이상이 있다.
- H28: 다르게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백내장 및 수정체의 기타 장애
H28.0**: 당뇨병(성) 백내장
H28.1**: 기타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에서의 백내장
H28.2**: 다르게 분류되는 기타 질환에서의 백내장
H28.8**: 다르게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수정체의 기타 장애
5. 1. H25 노인성 백내장
노인성 백내장은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질환이다.- '''H25.0''' 노인성 초기 백내장
- '''H25.1''' 노인성 핵 백내장
- '''H25.2''' 노인성 백내장, 모르가니형
- '''H25.8''' 기타 노인성 백내장
- '''H25.9''' 노인성 백내장, 상세 불명
5. 2. H26 기타 백내장
H26 기타 백내장은 백내장의 하위 분류로,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H26.0: 유아, 소년 및 초로기 백내장
- H26.1: 외상성 백내장
- H26.2: 합병 백내장
- H26.3: 약물 유발성 백내장
- H26.4: 후발 백내장
- H26.8: 기타 명시된 백내장
- H26.9: 상세 불명의 백내장
5. 3. H27 수정체의 기타 질환
H27.0은 무수정체(안)를, H27.1은 수정체 편위를 포함한다. H27.8은 수정체의 기타 명시된 장애, H27.9는 수정체의 상세 불명의 장애를 의미한다.코드 | 내용 |
---|---|
H27.0 | 무수정체(안) |
H27.1 | 수정체 편위 |
H27.8 | 수정체의 기타 명시된 장애 |
H27.9 | 수정체의 장애, 상세 불명 |
6. (H30-H36) 망막 및 맥락막의 질환
(H30-H36) 망막 및 맥락막의 질환에는 눈 안쪽을 덮고 있는 망막과 맥락막에 발생하는 질환들이 포함된다.
코드 | 질환명 |
---|---|
H30 | 맥락망막의 염증 |
H31 | 기타 맥락막 질환 |
H32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맥락망막 장애 |
H33 | 망막 박리 및 열공 |
H34 | 망막 혈관 폐쇄 |
H35 | 기타 망막 장애 |
H36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망막 장애 |
H32는 달리 분류된 감염 및 기생충증에서의 맥락망막염(H32.0)과 기타 맥락망막 장애(H32.8)를 포함한다. H33은 망막 열공을 동반하는 망막 박리(H33.0), 망막 분리증 및 망막 낭포(H33.1), 장액성 망막 박리(H33.2), 박리를 동반하지 않는 망막 열공(H33.3), 견인성 망막 박리(H33.4), 기타 망막 박리(H33.5)를 포함한다. H36은 당뇨병성 망막증(H36.0)과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기타 망막 장애(H36.8)를 포함한다.
6. 1. H30 맥락망막의 염증
맥락막과 망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H30 맥락망막염
- * H30.0 국소성 맥락망막염
- * H30.1 산재성 맥락망막염
- * H30.2 후부 섬모체염
- * H30.8 기타 맥락망막염
- * H30.9 맥락망막염, 상세 불명
6. 2. H31 기타 맥락막의 질환
H31.0 맥락막 반흔H31.1 맥락막 변성H31.2 유전성 맥락막 이영양증H31.3 맥락막 출혈 및 파열H31.4 맥락막 박리H31.8 기타 명시된 맥락막 장애H31.9 맥락막 장애, 상세 불명
6. 3. H34 망막 혈관 폐쇄
망막 혈관이 막히는 질환이다.- H34.0 일과성 망막 동맥 폐쇄증
- H34.1 망막 중심 동맥 폐쇄증
- H34.2 기타 망막 동맥 폐쇄증
- H34.8 기타 망막 혈관 폐쇄증
- H34.9 망막 혈관 폐쇄증, 상세 불명
6. 4. H35 기타 망막의 질환
미숙아 망막증, 황반변성 등을 포함한다.- H35.0 배경 망막증 및 망막 혈관 변화
- H35.1 미숙아 망막증
- H35.2 기타 증식성 망막증
- H35.3 황반 및 후극의 변성
- H35.4 주변 망막 변성
- H35.5 유전성 망막 이영양증
- H35.6 망막 출혈
- H35.7 망막층의 분리
- H35.8 기타 명시된 망막 장애
- H35.9 망막 장애, 상세 불명
7. (H40-H42) 녹내장
녹내장(H40-H42)은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이다. 녹내장은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원발성은 개방각 녹내장과 폐쇄각 녹내장으로 나뉜다. 속발성 녹내장은 눈 외상, 염증, 기타 눈 질환, 약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H42 코드는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 등 다른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녹내장을 의미한다.
7. 1. H40 녹내장
녹내장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8. (H43-H45) 유리체 및 안구의 질환
(H43-H45) 유리체 및 안구의 질환에는 유리체와 안구에 발생하는 질환들이 포함된다. 유리체 질환에는 유리체 탈출, 유리체 출혈, 유리체 내 결정 침착 등이 있으며, 안구 질환에는 화농성 안내염, 변성 근시, 저안압 등이 있다. H45는 다르게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유리체 출혈, 안내염 등을 포함한다.
8. 1. H43 유리체의 질환
H43 유리체의 장애는 다음과 같다.8. 2. H44 안구의 질환
안구의 질환은 다음과 같다.- H44.0 화농성 안내염
- H44.1 기타 안내염
- H44.2 변성 근시
- H44.3 안구의 기타 변성성 장애
- H44.4 저안압
- H44.5 안구의 변성 병태
- H44.6 안내 자성 이물 잔류(고)
- H44.7 안내 비자성 이물 잔류(고)
- H44.8 안구의 기타 장애
- H44.9 안구의 장애, 상세 불명
9. (H46-H48) 시신경 및 시각경로의 질환
시신경염(H46)은 시신경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시신경[제2 뇌신경] 및 시각경로의 기타 장애(H47)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H47.0 시신경의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것
- H47.1 유두 부종, 상세 불명
- H47.2 시신경 위축
- H47.3 시신경 유두의 기타 장애
- H47.4 시(신경) 교차의 장애
- H47.5 기타 시(각)로의 장애
- H47.6 시각 피질의 장애
- H47.7 시(각)로의 장애, 상세 불명
달리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시신경[제2 뇌신경] 및 시각경로의 장애(H48)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H48.0 달리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시신경 위축
- H48.1 달리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구후 시신경염
- H48.8 달리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시신경 및 시(각)로의 기타 장애
9. 1. H46 시신경염
시신경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10. (H49-H52) 안근, 양안의 운동, 조절, 굴절의 질환
(H49-H52) 안근, 양안의 운동, 조절, 굴절의 질환에는 눈 근육, 양안 운동, 조절, 굴절과 관련된 질병들이 포함된다. 세부 항목으로는 마비성 사시(H49), 기타 사시(H50), 양안 운동의 기타 질환(H51), 굴절 및 조절의 장애(H52)가 있다.
10. 1. H49 마비성 사시
마비성 사시는 눈 근육이 마비되어 발생하는 사시이다. 세부 항목은 다음과 같다.- H49.0 제3 뇌신경[동안 신경] 마비
- H49.1 제4 뇌신경[활차 신경] 마비
- H49.2 제6 뇌신경[외전 신경] 마비
- H49.3 전(외)안근 마비
- H49.4 진행성 외안근 마비
- H49.8 그 외의 마비성 사시
- H49.9 마비성 사시, 상세 불명
10. 2. H50 기타 사시
- * H50.0 공동성 내사시
- * H50.1 공동성 외사시
- * H50.2 상하 사시
- * H50.3 간헐성 사시
- * H50.4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사시
- * H50.5 사위
- * H50.6 기계적 사시
- * H50.8 그 외 명시된 사시
- * H50.9 사시, 상세 불명
10. 3. H51 양안운동의 기타 질환
10. 4. H52 굴절 및 조절의 장애
11. (H53-H54) 시각장애 및 실명
- H54 실명 및 저시력
- * H54.0 실명, 양안
- * H54.1 실명, 한쪽 눈, 다른쪽 눈의 저시력
- * H54.2 양안의 저시력
- * H54.3 상세 불명의 시력 장애, 양안
- * H54.4 실명, 한쪽 눈
- * H54.5 저시력, 한쪽 눈
- * H54.6 상세 불명의 시력 장애, 한쪽 눈
- * H54.7 상세 불명의 시력 장애
11. 1. H53 시각 장애
12. (H55-H59) 눈 및 부속기의 기타 질환
- H55 안진 및 기타 불규칙 안구 운동
- H57 눈 및 부속기의 기타 장애
- * H57.0 동공 기능 이상
- * H57.1 눈 통증
- * H57.8 눈 및 부속기의 기타 명시된 장애
- * H57.9 눈 및 부속기의 장애, 상세 불명
- H58 다르게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눈 및 부속기의 기타 장애
- * H58.0 다르게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동공 기능 이상
- * H58.1 다르게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시각 장애
- * H58.8 다르게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눈 및 부속기의 기타 명시된 장애
- H59 눈 및 부속기의 처치 후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것
- * H59.0 백내장 수술에 속발하는 유리체 증후군
- * H59.8 눈 및 부속기의 기타 처치 후 장애
- * H59.9 눈 및 부속기의 처치 후 장애, 상세 불명
12. 1. H55 안진 및 기타 불규칙 안구 운동
안진 및 기타 불규칙 안구 운동12. 2. H57 눈 및 부속기의 기타 장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