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PD-L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D-L1은 1999년 처음 특징지어진 면역 조절 분자로, PD-1 수용체에 결합하여 T 세포의 활성 또는 억제를 조절한다. PD-L1은 인터페론, 대식세포, microRNA, 후성유전학적 요인에 의해 조절되며, 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감염,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하여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 특히 암의 경우, PD-L1의 상향 조절은 종양의 면역 회피를 돕고, PD-L1 억제제는 면역 종양학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9번 염색체상 유전자 - TLR4
    TLR4는 선천 면역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서 병원체 유래 분자와 손상 관련 분자를 인지하여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며, 특히 그람 음성 세균의 지질다당류를 인지하여 사이토카인 및 인터페론 생성을 유도하고 다양한 질병 발병에 관여하여 치료 전략에 활용될 수 있다.
  • 인간 9번 염색체상 유전자 - ABO식 혈액형
    ABO식 혈액형은 1900년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발견한 A, B, O, AB형으로 나뉘는 혈액형 분류 체계로, 9번 염색체의 복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며 수혈 안전성 확보와 혈액형 유전 원리 규명에 기여했지만, 일부에서는 혈액형과 성격의 연관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 암 - 피부암
    피부암은 피부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자외선 노출, 유전적 요인, 면역 저하 등이 원인이 되며 기저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 흑색종으로 나뉘고 조기 발견과 자외선 차단이 중요하다.
  • 암 -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주원인인 자궁 경부의 악성 종양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진행 시 질 분비물 증가, 성교통, 골반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조직 생검 등으로 진단하고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으로 치료하며, HPV 백신 접종과 정기 검진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PD-L1
일반 정보
PD-L1 단백질
PD-L1 단백질
식별
유전자 기호CD274
앙상블ENSG00000169101
위치9p24.21
단백질 정보
단백질PD-L1
유전자CD274
기타
외부 데이터베이스Entrez Gene: 29126
UniProt: Q9NZ70

2. 역사

1999년, 미국 메이요 클리닉에서 면역 조절 분자인 B7-H1(이후 PD-L1으로 명명됨)이 처음으로 특징지어졌다.[4] 당시 B7-H1이 종양 세포가 항종양 면역을 회피하도록 돕는다는 결론이 내려졌다.[5] 2003년, B7-H1은 수지상 세포에서 면역 관문 단백질로 발현되는 것이 밝혀졌으며, 인체 임상에서 암 면역 치료법의 잠재적 표적으로 제안되었다.[6]

3. 결합

PD-L1은 활성화된 T 세포, B 세포, 골수 세포에서 발견되는 수용체인 PD-1에 결합하여 활성화 또는 억제를 조절한다. PD-L1과 PD-1 사이의 친화도는 해리 상수 Kd로 정의되며, 770 nM이다. PD-L1은 공동 자극 분자 CD80(B7-1)에 상당한 친화력을 가지지만, CD86(B7-2)에는 친화력을 가지지 않는다.[7] PD-L1의 CD80에 대한 친화도는 1.4μM로, CD28 및 CTLA-4에 대한 친화도(각각 4μM 및 400nM)의 중간 정도이다. 관련 분자인 PD-L2는 CD80 또는 CD86에 대한 친화력이 없지만, PD-1을 수용체로 공유하며 더 강한 Kd (140nM)를 가진다. Said 등은 활성화된 CD4 T 세포에서 상향 조절된 PD-1이 단핵구에서 발현된 PD-L1에 결합하여 IL-10 생성을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8]

4. 신호 전달

PD-L1이 T 세포의 수용체인 PD-1과 결합하면 TCR 매개 IL-2 생성 및 T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신호를 전달한다. 이 기전에는 ZAP70 인산화 억제와 CD3ζ와의 결합이 포함된다.[9] PD-1 신호전달은 PKC-θ의 활성 루프 인산화를 약화시켜 NF-κB 및 AP-1 전사 인자의 활성화와 IL-2 생성을 억제한다. PD-L1이 PD-1에 결합하면 초기 T 세포에 항원을 제시하는 동안 E3 유비퀴틴 연결 효소인 CBL-b의 상향 조절을 유도하여 리간드 유도 TCR 다운 조절에도 기여한다.[10]

5. 조절

PD-L1은 처음에 B7-H1으로 식별되었으나, PD-1리간드임이 밝혀져 PD-L1으로 개명되었다. 이 단백질은 T 세포 활성을 억제하거나 정지시키는 면역 억제 기능을 가지며, 주로 항원 제시 세포 표면에 발현된다. 종양세포나 종양 미세 환경에 존재하는 비형질전환 세포의 세포 표면에서도 PD-L1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면역 관문 억제제로 PD-L1을 차단하면 종양 증식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으며, 면역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로도 주목받고 있다.[34][35] PD-L1 발현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5. 1. 인터페론에 의한 조절

감마 인터페론 자극에 의해 PD-L1은 T 세포, NK 세포, 대식세포, 골수성 수지상 세포, B 세포, 상피 세포, 혈관 내피 세포에서 발현된다.[11] PD-L1의 유전자 프로모터 영역에는 IRF-1에 대한 반응 요소가 있다.[12] I형 인터페론은 또한 마우스 간세포, 단핵구, 수지상 세포 및 종양 세포에서 PD-L1을 상향 조절할 수 있다.[13]

5. 2. 대식세포와 단핵구에서의 조절

PD-L1은 특히 대식세포에서 발현된다. 쥐에서 고전적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제1형 T 헬퍼 세포 또는 LPS인터페론 감마의 조합에 의해 유도됨)는 PD-L1을 크게 상향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IL-4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대체 대식세포)는 PD-L1을 "약간" 상향 조절하는 반면, PD-L2는 크게 상향 조절한다. STAT1 결핍 유전자 제거 쥐에 의해 STAT1은 LPS 또는 인터페론 감마에 의한 대식세포의 PD-L1 상향 조절에 주로 관여하지만, 이 쥐에서 활성화되기 전의 구성적 발현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PD-L1은 정상 상태에서 쥐 Ly6Clo 비고전적 단핵구에서 구성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5. 3. MicroRNA의 역할

휴지 상태의 인간 담관세포는 PD-L1 mRNA를 발현하지만, microRNA miR-513에 의한 번역 억제로 인해 단백질은 발현하지 않는다.[16] 인터페론-감마를 투여하면 miR-513이 감소하여 PD-L1 단백질의 억제가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터페론-감마는 mRNA 번역의 유전자 매개 억제를 억제하여 PD-L1 단백질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 반면,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V) 잠재 막 단백질-1 (LMP1)은 PD-L1의 강력한 유도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EBV miRNA miR-BamH1 fragment H rightward 개방형 리딩 프레임 1 (BHRF1) 2-5p는 LMP1 유도 PD-L1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

5. 4. 후성유전학적 조절

PD-L1 프로모터 DNA 메틸화는 일부 암 환자의 수술 후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다.[18]

6. 임상적 의의

PD-L1은 처음 발견되었을 때 B7-H1으로 식별되었지만, 이후 PD-1리간드임이 밝혀져 PD-L1으로 개명되었다. PD-L1은 T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정지시키는 면역 억제 기능을 가진 단백질 분자이며, 일반적으로 항원 제시 세포의 표면에 발현된다. 또한 종양세포나 종양 미세 환경에 존재하는 비형질전환 세포의 세포 표면에서도 PD-L1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면역 관문 억제제에 의한 차단은 종양의 증식을 억제하고[34], 면역 치료 결과를 판단하는 바이오마커로도 주목받고 있다[35]

6. 1. 암

PD-L1은 다양한 악성 종양, 특히 폐암에서 높은 발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PD-1 및 PD-L1 체크포인트를 차단하는 유전자 치료 또는 전신 면역 요법의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PD-L1은 예후 지표이자 항암 면역의 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19] PD-L1의 상향 조절은 암이 숙주 면역 체계를 회피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세포암종 환자 196명의 종양 표본 분석 결과, PD-L1의 높은 종양 발현은 종양의 공격성 증가 및 사망 위험 4.5배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20]

현미경 사진으로 PD-L1 양성 폐 선암종을 보여줌. PD-L1 면역 염색.


많은 PD-L1 억제제가 면역 종양학 치료법으로 개발 중이며, 임상 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22]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예로는 두르발루맙, 아테졸리주맙 및 아벨루맙이 있다.[23] 정상 조직에서 STAT3 및 NF-κB와 같은 전사 인자 간의 피드백은 면역 반응을 제한하여 숙주 조직을 보호하고 염증을 제한한다. 암에서는 전사 인자 간의 피드백 제한이 손실되어 국소 PD-L1 발현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PD-L1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을 이용한 전신 치료의 효과를 제한할 수 있다.[24] 키메라 항원 수용체 T 세포 (CAR-T)[25] 및 PD-L1을 표적으로 하는 자연 살해 세포 (NK 세포)[26]는 암 치료를 위해 평가되고 있다.

면역 세포(특히 골수성 세포)의 PD-L1 상향 조절은 또한 암 세포의 증식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국소적인 면역 억제 환경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28]

삼중 음성 유방암 (TNBC)에서 PD-L1 분석은 면역 요법 대상 환자를 선택하는 데 필수적이다.

6. 1. 1. 대한민국에서의 폐암 치료 지침

2017년에 개정된 NCCN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에서 PD-L1 발현이 양성(50% 이상)이고 EGFR, ALK, ROS1이 음성인 경우 펨브롤리주맙(PD-1 억제제)을 1차 치료 약제로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Category 1: high-level evidence)[1]

6. 2.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감염

세포 내 감염의 마우스 모델에서, ''L. 모노사이토제네스''는 T 세포, NK 세포, 대식세포에서 PD-L1 단백질 발현을 유도했다. PD-L1 차단(차단 항체 사용)은 감염된 마우스의 사망률 증가를 초래했다. 차단은 대식세포의 TNFα 및 산화 질소 생성을 감소시켰고, NK 세포의 그랜자임 B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L. 모노사이토제네스'' 항원 특이적 CD8 T 세포의 증식을 감소시켰다(CD4 T 세포는 아님).[30] 이러한 증거는 PD-L1이 세포 내 감염에서 양성 공동 자극 분자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6. 3. 자가면역질환

PD-1/PD-L1 상호작용은 특히 염증성 질환 동안 파괴적인 자가면역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좋은 예는 위에서 나타나는데, 여기서 PD-1 발현은 가스트린을 발현하는 G 세포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의해 유발된 염증 동안 면역계로부터 보호한다.[31] 또한 PD-1/PD-L1 상호작용이 자가면역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다양한 전임상 연구들이 있다. 제1형 당뇨병 및 기타 자가면역 질환의 자발적인 발병에 대한 감수성을 보이는 자가면역의 동물 모델인 NOD 마우스는 PD-1 또는 PD-L1(PD-L2는 아님)의 차단으로 인해 당뇨병의 발병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32]

인간의 경우, PD-L1은 전신성 홍반 루푸스(SLE)를 앓고 있는 소아 환자에서 변형된 발현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건강한 어린이로부터 분리된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를 연구한 결과, 미성숙 골수 수지상 세포단핵구는 초기 분리 시 PD-L1을 거의 발현하지 않았지만, 24시간 이내에 PD-L1을 자발적으로 상향 조절했다. 반대로, 활동성 SLE 환자로부터 얻은 mDC와 단핵구는 5일 동안 PD-L1을 상향 조절하는 데 실패했으며, 질병 완화 기간 동안에만 이 단백질을 발현했다.[33] 이는 SLE에서 말초 관용이 상실되는 한 가지 메커니즘일 수 있다.

7. 검출 방법

면역 염색을 통해 검출한다.

참조

[1] 웹사이트 Entrez Gene: CD274 CD274 molecule https://www.ncbi.nlm[...]
[2] 논문 SHP-1 and SHP-2 associate with immunoreceptor tyrosine-based switch motif of programmed death 1 upon primary human T cell stimulation, but only receptor ligation prevents T cell activation 2004-07
[3] 논문 PD-L1 has distinct functions in hematopoietic and nonhematopoietic cells in regulating T cell responses during chronic infection in mice 2010-07
[4] 논문 B7-H1, a third member of the B7 family, co-stimulates T-cell proliferation and interleukin-10 secretion 1999-12
[5] 논문 Tumor-associated B7-H1 promotes T-cell apoptosis: a potential mechanism of immune evasion 2002-08
[6] 논문 Blockade of B7-H1 improves myeloid dendritic cell-mediated antitumor immunity 2003-05
[7] 논문 Interaction of human PD-L1 and B7-1 2008-08
[8] 논문 Programmed death-1-induced interleukin-10 production by monocytes impairs CD4+ T cell activation during HIV infection 2010-04
[9] 논문 PD-1 inhibits T-cell receptor induced phosphorylation of the ZAP70/CD3zeta signalosome and downstream signaling to PKCtheta 2004-09
[10] 논문 PD-L1 co-stimulation contributes to ligand-induced T cell receptor down-modulation on CD8+ T cells 2011-10
[11] 논문 The new B7s: playing a pivotal role in tumor immunity 2007-04
[12] 논문 Interferon regulatory factor-1 is prerequisite to the constitutive expression and IFN-gamma-induced upregulation of B7-H1 (CD274) 2006-02
[13] 논문 Expression of programmed death 1 ligands by murine T cells and APC 2002-11
[14] 논문 PD-L1 and PD-L2 are differentially regulated by Th1 and Th2 cells 2003-04
[15] 논문 PD-L1 expression on nonclassical monocytes reveals their origin and immunoregulatory function 2019-06
[16] 논문 MicroRNA-513 regulates B7-H1 translation and is involved in IFN-gamma-induced B7-H1 expression in cholangiocytes 2009-02
[17] 논문 EBV microRNA-BHRF1-2-5p targets the 3'UTR of immune checkpoint ligands PD-L1 and PD-L2 2019-12
[18] 논문 PD-L1 promoter methylation is a prognostic biomarker for biochemical recurrence-free survival in prostate cancer patients following radical prostatectomy 2016-11
[19] 논문 Soluble PD-L1 Expression After Intravenous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With Selenite in Phase I Clinical Trial 2022-06-02
[20] 논문 Costimulatory B7-H1 in renal cell carcinoma patients: Indicator of tumor aggressiveness and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2004-12
[21] 논문 Differential Engraftment of Parental A20 PD-L1 WT and PD-L1 KO Leukemia Cells in Semiallogeneic Recipients in the Context of PD-L1/PD-1 Interaction and NK Cell-Mediated Hybrid Resistance 2022-06-20
[22] 논문 Programmed death ligand-1 express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2014-01
[23] 웹사이트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to treat cancer https://www.cancer.o[...] 2017-03-27
[24] 논문 Aberrant control of NF-κB in cancer permits transcriptional and phenotypic plasticity, to curtail dependence on host tissue: molecular mode 2017-08
[25] 논문 Nanobody-based CAR T cells that target the tumor microenvironment inhibit the growth of solid tumors in immunocompetent mice 2019-04
[26] 논문 PD-L1 targeting high-affinity NK (t-haNK) cells induce direct antitumor effects and target suppressive MDSC populations 2020-05
[27]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PI3K, JAK/STAT pathways with the PDL-1 expression in prostate cancer 2022-07
[28] 논문 The Spatial Landscape of Progression and Immunoediting in Primary Melanoma at Single-Cell Resolution 2022-06
[29] 간행물 Inter- and Intra-Observer Agreement of PD-L1 SP142 Scoring in Breast Carcinoma—A Large Multi-Institutional International Study https://doi.org/10.3[...] 2023
[30] 논문 Blockade of endogenous B7-H1 suppresses antibacterial protection after primary Listeria monocytogenes infection 2008-01
[31] 논문 Constitutive programmed death ligand 1 expression protects gastric G-cells from Helicobacter pylori-induced inflammation 2022-10
[32] 논문 The programmed death-1 (PD-1) pathway regulates autoimmune diabetes in nonobese diabetic (NOD) mice 2003-07
[33] 논문 Activ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s associated with failure of antigen-presenting cells to express programmed death ligand-1 2008-09
[34] 웹사이트 がん免疫療法と PD-1/PD-L1 チェックポイント・シグナル伝達 https://www.abcam.co[...] abcam.co.jp 2020-09-08
[35] 웹사이트 癌治療効果のバイオマーカーとして有用な免疫チェックポイント分子 PD-L1 https://www.abcam.co[...] abcam.co.jp 2020-09-08
[36] 뉴스 면역세포 즉시 출동, 교란공작 막고 암세포 소탕 중앙SUNDAY 2016-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