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포암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세포암종(RCC)은 신장의 다양한 부분에서 기원하며 유전적, 조직학적 특징과 임상 양상이 다른 여러 종류의 종양을 포괄하는 질환이다. 가장 흔한 아형은 맑은 세포 신세포암종(CCRCC)이며, 유두 신세포암종(PRCC), 염색체친화세포 신세포암종(ChRCC) 등이 있다. 신세포암종은 발병률이 지리적, 인구 통계학적 요인에 따라 다르며, 흡연, 비만, 고혈압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진단은 병력 청취, 신체 검사, 혈액 검사, 영상 검사(초음파, CT, MRI) 및 조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암의 병기, 유형, 환자 상태 등을 고려하여 수술(신절제술, 부분 신절제술), 약물 요법(면역 요법, 표적 치료),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한다. 예후는 종양의 크기, 침윤 정도, 전이 여부, 조직학적 유형, 핵 등급 등에 따라 다르며,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금연, 정상 체중 유지,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가 권장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장암 - 빌름스 종양
빌름스 종양은 소아에게 주로 나타나는 신장의 악성 종양으로, 유전자 변이와 관련되어 발생하며, 복부 종괴, 복통, 혈뇨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고, 영상 검사, 생검 등으로 진단하여 수술, 항암 화학 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신세포암종 | |
---|---|
일반 정보 | |
![]() | |
개요 | |
분야 | 종양학 |
의학 주제 제목 (MeSH) | |
MeSH | D012120 |
2. 분류
신세포암종은 단일 질환이 아니라, 신원의 다양한 부분에서 기원하며 뚜렷한 유전적, 조직학적 특징과 임상 양상을 보이는 여러 종류의 종양 집합체이다. 크게 산발성(비유전적)과 유전적 아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두 아형 모두 3번 염색체 단완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다. 관련된 유전자는 종양 억제 유전자(VHL, TSC) 또는 종양 유전자(c-Met)이다.[5]
2004년 세계 보건 기구(WHO)는 40개 이상의 신장 신생물 아형을 분류했으며, 이후 새로운 신장 종양 아형들이 추가로 발견되었다.[27]
- 맑은 세포 유두 신세포암종 및 매끄러운 근육 기질을 가진 맑은 세포 신세포암종[28]
- 점액성 관상 및 방추 세포 암종 (MTSCC) [27]
- 다방성 낭성 맑은 세포 신세포암종[27]
- 세관낭성 신세포암종
- 갑상선 유사 여포 신세포암종
- 후천성 낭성 신장 질환 관련 신세포암종
- t(6;11) 전좌를 동반한 신세포암종 (TFEB)
- 혼합 세포종/염색체친화세포 신세포암종
- 유전성 평활근종증 및 신세포암종 (HLRCC)

신세포암종은 육안 및 현미경적으로 매우 다양한 외관을 보인다. 혈관이 많아 출혈이 있는 붉은색 부위와 수성 액체를 포함하는 낭종이 나타날 수 있다.[49] 육안 검사 시 신장 피질에서 황색의 다엽 종양이 관찰되며, 괴사, 출혈, 반흔 부위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현미경적 관점에서, 신세포암의 주요 조직학적 아형은 맑은 세포(75%), 유두상(15%), 염색체 혐오성(5%), 집합관(2%)이다. 육종양 변화는 모든 신세포암종 아형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더 공격적인 임상 경과 및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다.[49]
최근 연구에서는 암세포 유형과 질병의 공격성 사이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암세포는 글리코겐과 지질을 축적하여 세포질이 "맑게" 보이고, 세포 핵은 세포 중앙에 위치하며, 세포막이 분명하게 나타난다.[50]
신세포암종의 조직학적 등급 분류에는 Fuhrman 시스템(1982)이 사용되며, 헤마톡실린과 에오신(H&E 염색)으로 신생물의 현미경적 형태, 특히 핵 특성에 따라 1등급에서 4등급까지 분류한다.[53]
등급 | 핵 특성 |
---|---|
1등급 | 둥글고 균일한 핵, 10 μm; 핵소체 없음. |
2등급 | 불규칙한 외관, 15 μm; 핵소체 뚜렷. |
3등급 | 매우 불규칙, 20 μm; 핵소체 크고 두드러짐. |
4등급 | 기괴하고 다엽성, 20 μm 이상; 핵소체 두드러짐. |
핵 등급은 중요한 예후 인자 중 하나이지만, Delahunt 등의 연구(2007)에 따르면 Fuhrman 등급은 맑은 세포 암종에는 적합하지만 염색체 혐오성 신세포암종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암의 병기 설정(CT 스캔)이 예후를 더 잘 예측한다고 한다.[54]
신장 종양 분류에 따라, 연구자들은 신장 암종의 기원 조직을 규명하려 시도했다. 신장 상피 종양의 발생 기전에 대한 논쟁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되었다. 1883년 파울 그라비츠는 작고 노란색 신장 종양의 형태를 관찰하고 폐포 종양만이 부신 기원이며, 유두 종양은 신장 조직에서 유래한다고 결론지었다.[104]
1893년, 파울 수덱은 그라비츠의 이론에 이의를 제기하며, 신장 세뇨관 내에서 비정형적인 특징을 보이는 신장 종양을 설명했고, 이러한 비정형적인 특징이 세뇨관과 인접한 악성 종양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1894년, 그라비츠의 이론을 지지한 오토 루바르쉬는 이러한 종양을 설명하기 위해 "과신장종양"이라는 용어를 만들었고, 펠릭스 빅토르 비르히-히르슈펠트에 의해 "과신장종"으로 수정되었다.[107]
1908년, 오스카 스퇴르크는 그라비츠를 비판하며, 신장 종양의 부신 기원은 증명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부신적 의미를 내포하는 과신장종이라는 용어는 계속 사용되었다.[104]
풋과 험프리스, 그리고 풋 외 연구진은 종양의 신장 세뇨관 기원을 강조하기 위해 "신장 세포 암종"이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이 명칭은 페터에 의해 "신세포 암종"으로 수정되어 현재 널리 사용된다.[108]
1959년 오버링 외 연구진은 8개의 신장 암종에서 채취한 투명 세포의 초미세 구조를 연구하여, 종양 세포 세포질에 다수의 미토콘드리아, 글리코겐, 지방 침착물이 있고, 세포질 막이 기저막에 수직으로 삽입된 것을 확인했다. 이들은 종양이 신장 세뇨관의 상피 세포에서 발생한다고 결론지었다.[104][109]
2. 1. 주요 아형
신세포암종(RCC)은 뚜렷한 유전적, 조직학적 특징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종양 집합체이다. 주요 아형은 다음과 같다.신세포암종 아형 | 빈도 | 유전적 이상 | 특징 |
---|---|---|---|
맑은 세포 신세포암종(CCRCC) | 60–70% | ||
유두상 신세포암종(PRCC) | 10–15% | ||
염색체친화세포 신세포암종(ChRCC) | 3–5% | ||
집합관 암 | 집합관 상피 세포에서 발생 | ||
신수질 암 | |||
Xp11.2/TFE3 전좌형 신세포암 | |||
신경모세포종 관련 신장암 | |||
점액 관상 방추 세포 암 | |||
방추 세포 암 |
- '''투명 세포형(clear cell)'''
신세포암종의 70%를 차지한다.[49] 광학 현미경으로 세포질이 밝게 보이는 종양 세포로 보인다.[50] 근위 세뇨관에서 발생하며, 염색체 3p의 결손, VHL 유전자 결손이 종종 관찰된다.[49] - '''유두상(papillary)'''
신장암의 10~15%를 차지한다.[49] 원위 세뇨관에서 발생한다. - '''혐색소성(chromophobe)'''
신장암의 4%를 차지한다.[49] 집합관의 간재 세포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
2. 2. 희귀 아형
- 다방 낭포성 신세포암종 (Multilocular cystic RCC)
- 맑은 세포 신세포암종(CCRCC)의 한 종류로, CCRCC의 5%를 차지한다.[20]
- 평균 발병 연령은 51세(20~76세)이다.[20]
- 남성 발병 비율이 여성보다 2~3배 높다.[20]
- 세포질이 맑고, 세포핵은 작고 어둡다.[20]
- CCRCC에서 나타나는 3p 염색체 결실이 관찰된다.[20]
- 예후가 좋아, 외과적으로 완전히 제거하면 국소 전이나 원격 전이가 발생하지 않는다.[20]
- 신수질 암종 (Renal medullary carcinoma)
- 매우 드문 암종으로, 환자 대부분이 겸형 적혈구 혈색소병증 또는 형질을 앓고 있다.[20]
- 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서 발병한다.[20]
- 평균 발병 연령은 19세(5~69세)이다.[20]
- 남성 발병 비율이 여성보다 2배 높다.[20]
- 출혈과 괴사를 동반하며, 호산성 세포질을 가진 고등급 종양 세포가 특징이다.[20]
- 매우 공격적인 암종으로, 95%의 환자에게서 전이가 나타난다.[20]
- 대부분 진단 후 6개월 이내에 사망한다.[20]
- Xp11.2 전좌/TFE3 유전자 재배열 신세포암종 (Xp11.2 translocation/TFE3 gene fusion RCC)
- 주로 어린이와 젊은 성인에게 발병하며, 해당 연령대 신세포암종의 40%를 차지한다.[20]
- 성인 환자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발병률이 높다.[20]
- 유두 신세포암종(PRCC)과 유사한 형태를 보일 수 있다.[20]
- 세포질이 맑고 호산성을 띈다.[20]
- Xp11.2 염색체에 위치한 TFE3 유전자의 염색체 전좌로 인해 TFE3 단백질이 과도하게 발현된다.[20]
- 진행 속도가 빠르지만, 어린이 환자는 비교적 양호한 임상 경과를 보인다.[20]
- 성인 환자는 더 공격적인 경과를 보일 수 있다.[20]
- 신경모세포종 관련 신세포암종 (Neuroblastoma-associated RCC)
- 평균 진단 연령은 13.5세(2~35세)이다.[20]
- 세포종 특징을 가진 호산성 세포(CCRCC와 동일)가 나타난다.[20]
- 다른 흔한 신세포암종 아형과 유사한 예후를 보인다.[20]
- 점액 관상 방추 세포 암종 (Mucinous tubular and spindle cell carcinoma)
- 평균 발병 연령은 53세(13~82세)이며,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4배 더 많이 발생한다.[20]
- 대부분 특별한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된다.[20]
- 관, 세포 외 뮤신, 방추 세포가 특징이다.[20]
- 예후가 좋아, 외과적 절제 후 대부분 재발하지 않는다.[20]
- 방추 세포 암종 (Spindle cell carcinoma)
- 어떤 조직형에서 기원했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탈분화가 심하게 진행된 암종이다.
3. 역학
신세포암종의 발병률은 지리적, 인구 통계학적 요인 및 유전적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몇 가지 알려진 위험 요소가 있지만, 다른 잠재적 위험 요소의 중요성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신세포암종 발병률은 최근 몇 년 동안 신규 환자 수가 안정되기 전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10년마다 2~3%씩 증가해 왔다.[101]
발병률은 성별, 연령, 인종 및 전 세계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르다.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률이 높으며(약 1.6:1)[102], 대다수가 65세 이후에 진단을 받는다.[102] 아시아인은 백인보다 발병률이 현저히 낮고, 아프리카 국가에서 가장 낮은 발병률을 보이지만, 미국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101] 선진국은 개발도상국보다 발병률이 높으며, 북미, 유럽, 호주/뉴질랜드에서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103]
3. 1. 한국의 역학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신장암 발생률이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 남성이 여성보다 약 1.6배 더 많이 발생하며, 60-7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1] 흡연, 비만, 고혈압, 만성 신장 질환 등이 주요 위험 요인이다.[1]신세포암종은 남성 10만 명당 5.6명, 여성 10만 명당 4.1명의 확률로 나타난다. 20세까지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소아 신장 종양에서는 2%만을 차지한다. 40세 이후, 특히 60대에서 70대에 걸쳐 많이 발생한다.[1]
흡연은 신세포암종의 주요 위험 인자이며, 발병률을 30% 증가시킨다. 그 외에 비만(특히 여성), 카드뮴, 일부 해열진통제의 장기 사용(아세트아미노펜, 페나세틴) 등도 위험 인자이다.[1]
3. 2. 위험 요인
흡연은 신세포암종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발병 확률을 30% 증가시킨다.[10] 비만(특히 여성), 카드뮴, 일부 해열진통제(아세트아미노펜, 페나세틴)의 장기 사용 또한 위험 요인이다.[101][11][12] 고혈압은 최대 50%의 발병 원인으로 추정된다.[10] 석면, 납, 염소화 용매, 석유화학 제품 및 PAH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와 같은 일부 화학 물질에 대한 직업적 노출과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결과는 불확실하다.[101][11][1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NSAIDs)의 장기간 사용도 위험 요인으로 의심된다.[13]자궁 절제술을 받은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신세포암종 발병 위험이 두 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4] 반면, 적당한 음주는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5]
유전적 요인은 개인의 감수성에 미미한 영향을 미치며, 신세포암종 환자의 직계 가족은 이 질환의 발병 위험이 2~4배 증가한다. 유전성 유두 신장암종, 유전성 평활근종증, 버트-호그-두비 증후군,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턱 종양 증후군, 가족성 유두 갑상선암, 폰 히펠-린다우병, 겸상 적혈구 빈혈증과 같은 유전 질환 또한 신세포암종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투석을 필요로 하는 신장의 후천성 낭성 질환 환자는 일반 인구보다 신세포암종 발병 가능성이 30배 더 높다.
4. 증상
신세포암종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종양이 진행됨에 따라 혈뇨, 옆구리 통증, 복부 종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러한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이미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이 질환은 전이가 잘 되는 악성 종양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폐, 뼈, 간 등으로 전이되기 쉽다. 그 중에서도 폐 전이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110]
4. 1. 주요 증상
과거에는 신세포암종 환자에게 세 가지 주요 증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 세 가지 증상은 혈뇨(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옆구리 통증(엉덩이와 갈비뼈 사이의 통증), 복부 종괴(복부에서 만져지는 덩어리)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 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경우는 10~15%에 불과하며, 이는 신세포암종이 이미 진행된 단계임을 의미한다.오늘날 신세포암종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질병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작은 종양의 경우 무증상으로 진단되는 비율이 최근 몇 년 동안 계속 증가하고 있다.[9]
그 외 다른 증상으로는 혈뇨, 옆구리 통증, 복부 종괴, 전반적인 컨디션 저하(불쾌감), 체중 감소 및/또는 식욕 부진, 빈혈(에리트로포이에틴 감소로 인한), 적혈구 증가증(에리트로포이에틴 분비 증가로 인한 적혈구 생산 증가), 정계정맥류(남성의 고환에서 배액되는 정맥이 확대되는 것, 주로 왼쪽 고환), 고혈압(종양에 의한 레닌 분비로 인한), 고칼슘혈증(혈액 내 칼슘 수치 상승), 수면 장애 또는 야간 발한, 재발성 발열, 만성 피로 등이 있다.
4. 2. 기타 증상
다른 징후 및 증상으로는 불쾌감(전반적인 컨디션 저하), 체중 감소 및/또는 식욕 부진, 빈혈(에리트로포이에틴 감소로 인한), 적혈구 증가증(에리트로포이에틴 분비 증가로 인한 적혈구 생산 증가), 정계정맥류(남성에게서 고환에서 배액되는 정맥의 망상정맥총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남(더 흔하게 왼쪽 고환)), 종양에 의한 레닌 분비로 인한 고혈압(높은 혈압), 고칼슘혈증(혈액 내 칼슘 수치 상승), 수면 장애 또는 야간 발한, 재발성 발열, 그리고 만성 피로 등이 있다.5. 진단
신세포암종은 초기 단계에서 뚜렷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아 진단이 어렵지만, 다양한 임상 증상과 방사선 치료 및 화학 요법에 대한 저항성을 바탕으로 진단을 고려해야 한다.[18] 이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징후와 증상을 고려하고, 위험 요소를 평가하기 위한 병력 파악이 필요하다.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생화학 검사를 통해 전해질, 신장 및 간 기능, 혈액 응고 시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신체 검사 시 복부를 만져 덩어리나 장기 비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7]
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 등이 신세포암종을 감지하는 주요 진단 도구로 사용된다.[18] 신세포암종은 무증상 특성으로 인해, 담낭 질환과 같은 다른 질병 검사 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29] 실험 분석은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 전 다른 신체 부위로의 전이 단계 및 정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현재 신세포암종의 선별 검사로서 효율적이고 조기 발견을 가능하게 하는 특이적인 종양 표지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신세포암종 선별 검사에는 복부 초음파 검사가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신장 종괴 병변이 의심되는 경우 확진을 위해 동적 조영 CT 검사가 유용하다.
5. 1. 검사 방법
신세포암종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신체 검사: 복부를 만져보아 덩어리나 장기가 커져 있는지 확인한다.[17]
- 요검사: 소변에 혈액, 단백질, 당 등이 있는지 검사한다. 혈액 속 헤모글로빈은 소변 색깔을 녹슨 색, 갈색, 붉은색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30]
- 혈액 검사: 암이 혈액 내 특정 화학 물질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혈액 검사를 실시한다.
- 간 효소인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T)와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날 수 있다.[32]
- 칼슘 수치 증가로 암의 뼈 전이 가능성을 확인할 수도 있다.[33]
- 전체 혈구 계산(CBC):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수치를 측정한다. 신세포암종 환자는 빈혈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31]
- 응고 검사: 적혈구 침강 속도(ESR), 프로트롬빈 시간(PT),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등을 검사한다.
- 영상 검사:
- 컴퓨터 단층 촬영(CT): 복부 및 골반 CT 스캔은 신세포암종의 병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신정맥, 림프절, 하대정맥 침범 등 전이 여부를 확인한다.[39]
- 초음파 검사: 고주파 음파를 이용하여 신장 종양 및 낭성 신장 병변을 평가한다.[38]
- 자기 공명 영상(MRI): 전파와 강한 자석을 이용하여 연조직 이미지를 제공하며, CT 조영제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사용한다.[42][43] 종양이 주요 혈관으로 확장되었는지 평가할 때도 고려한다.
- 정맥 신우 조영술(IVP): 조영제를 주사하여 비뇨기 계통의 이상을 확인한다. CT나 MRI 스캔을 한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45]
- 신혈관조영술: 조영제를 사용하여 신장 혈관을 검사한다. 종양 관련 혈관 배열을 확인하여 수술 전 혈관 지도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39]
- 조직 검사: 신장 종괴가 악성으로 의심되는 경우 초음파 또는 CT 유도 하에 세침 흡인 생검을 시행하여 조직학적 확진을 한다.
검사 종류 | 내용 |
---|---|
신체 검사 | 복부 촉진으로 종괴나 장기 비대 확인[17] |
요검사 | 소변 내 혈액, 단백질, 당 등 검사[30] |
혈액 검사 | 일반 혈액 검사, 신장 기능 검사, 간 기능 검사, 전체 혈구 계산(CBC), 응고 검사 등[31][32] |
영상 검사 | 컴퓨터 단층 촬영(CT), 초음파 검사, 자기 공명 영상(MRI), 정맥 신우 조영술(IVP), 신혈관조영술 등[38][39][42][43][45] |
조직 검사 | 세침 흡인 생검을 통한 조직학적 확진 |
6. 병기
신세포암종의 병기는 예후를 예측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47] 병기는 TNM 병기 시스템을 따르며, 종양의 크기와 범위(T), 림프절 침범(N), 전이(M)를 별도로 분류한다. AJCC 1997년 개정판을 사용하여 전체 병기를 I~IV기로 묶을 수 있다.[47]
TNM 병기 시스템 및 종합 병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진단 시 신세포암종의 30%는 동측 신장 정맥으로 전이되었고, 5~10%는 하대정맥까지 진행된다.[48]
6. 1. TNM 병기
TNM영어 병기는 전산화 단층 촬영술(CT)을 이용하여 복부 및 골반 부위의 신세포암종 병기를 결정한다. CT 스캔은 고형 종괴와 낭성 종괴를 구별하고, 암의 위치, 병기, 전이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신정맥, 림프절, 하대정맥 침범 여부를 검사한다.[39]6. 2. 종합 병기
신세포암종의 병기는 예후를 예측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47] 병기는 TNM 병기 시스템을 따를 수 있으며, 여기서 종양의 크기와 범위(T), 림프절 침범(N), 전이(M)를 별도로 분류한다. 또한, AJCC 1997년 개정판을 사용하여 전체 병기를 I~IV기로 묶을 수 있다.[47]1기 | 지름이 7cm 이하이고 신장에 국한된 종양. 림프절 침범이나 원격 장기 전이 없음. |
---|---|
2기 | 7cm보다 크지만 여전히 신장에 국한된 종양. 림프절 침범이나 원격 장기 전이 없음. |
3기 다음 중 하나 | 인접 림프절 침범이 있지만 원격 장기 전이가 없는 모든 크기의 종양. 이 단계의 종양은 신장 주변의 지방 조직으로의 전이 유무, 신장에서 심장으로 이어지는 큰 정맥으로의 침범 유무를 동반할 수 있다. |
신장 주변의 지방 조직으로의 전이 및/또는 신장에서 심장으로 이어지는 큰 정맥으로의 침범이 있지만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의 전이는 없음. | |
4기 다음 중 하나 | 신장을 둘러싼 지방 조직 및 근막 인대와 같은 조직을 직접 관통하여 전이된 종양. |
신장 근처 림프절 2개 이상 침범 | |
신장 근처가 아닌 림프절 침범 | |
폐, 뼈, 또는 뇌와 같은 원격 전이. |
7. 치료
신세포암종의 치료는 암의 병기, 종류, 환자의 기존 질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및 연령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된다.[57] 모든 치료법에는 위험과 이점이 따르므로, 의료 전문가는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최선의 치료법을 제시한다.
신세포암종이 신장을 벗어나 림프절, 폐, 또는 신장의 주요 정맥 등으로 전이된 경우, 수술과 약물 요법을 포함한 다양한 치료법이 사용된다. 신세포암종은 대부분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지만, 인터류킨-2나 인터페론-알파, 생물학적 제제, 또는 표적 치료를 사용한 면역 요법에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초기 단계의 신세포암종은 냉동 요법과 수술이 주로 선택된다.
신세포암종 치료에는 크게 수술, 능동적 감시, 경피적 치료, 약물 치료, 방사선 치료 등이 있다.
- '''수술:''' 종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신장 절제술 또는 부분 신장 절제술을 시행한다.
- '''능동적 감시:''' 종양의 크기가 작고 성장 속도가 느린 경우,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경과를 관찰한다.
- '''경피적 치료:''' 컴퓨터 단층 촬영, 초음파, 자기 공명 영상 등의 영상 유도 하에 고주파 절제술이나 냉동 요법을 통해 종양을 제거한다.
- '''약물 치료:''' 전이성 신장암의 경우, MSKCC 분류[116]와 IMDC 분류[117]를 사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약제를 선택한다.
- '''방사선 치료:''' 뼈 전이 등으로 인한 통증 완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이성 신세포암종은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증상 완화 및 생존 기간 연장을 목표로 치료한다. 면역 요법과 표적 치료제가 주로 사용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 '''약물 요법:''' 면역 요법은 환자의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강화하며, 표적 치료제는 종양의 성장과 확산을 촉진하는 성장 인자를 억제한다.
- '''수술적 치료:''' 신장을 절제하는 신절제술과 전이된 부위를 절제하는 전이 병변 절제가 있다.
7. 1. 치료 방법
신세포암종의 치료는 종양의 병기, 유형, 환자의 건강 상태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된다.[57]- '''수술:''' 신세포암종의 주된 치료법이며, 종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신장 전체를 제거하는 신장 절제술 또는 종양만 제거하는 부분 신장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4] 암이 신장에만 국한된 경우(약 60%) 수술로 약 90%의 완치율을 기대할 수 있다. 작은 신장 종양(4 cm 미만)은 부분 신장 절제술로 치료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59][60][61] 예후가 좋은 경우가 많다.[62] 부분 신장 절제술은 신장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여 장기적인 건강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63]

- '''능동적 감시:''' 종양의 크기가 작고 성장 속도가 느린 경우, 즉각적인 치료 대신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경과를 관찰한다.[58] 고령 환자나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게 유용하다.
- '''경피적 치료:''' 수술이 어려운 경우, 컴퓨터 단층 촬영, 초음파, 자기 공명 영상 등의 영상 유도 하에 고주파 절제술이나 냉동 요법을 통해 종양을 제거한다.
- '''고주파 절제술:''' 프로브 전극을 사용하여 고주파로 열을 발생시켜 종양 조직을 파괴한다.
- '''냉동 절제술:''' 매우 차가운 화학 액체로 냉각된 프로브를 사용하여 종양 세포를 얼려 죽인다.
- '''약물 치료:''' 전이성 신장암의 경우, 약물 치료를 시행하기 전에 MSKCC(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분류[116]와 IMDC(International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Database Consortium) 분류[117]를 사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한다.
진단 후 치료 시작까지 1년 미만 | Karnofsky 수행 상태 < 80% | 보정 칼슘 > 정상 상한 | 혈청 헤모글로빈 < 정상 하한 | LDH > 정상 상한의 1.5배 | 호중구 수 > 정상 상한 | 혈소판 수 > 정상 상한 | |
---|---|---|---|---|---|---|---|
MSKCC 분류 | ○ | ○ | ○ (>10 mg/dL) | ○ | ○ | ||
IMDC 분류 | ○ | ○ | ○ | ○ | ○ | ○ |
위험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약물 치료를 시행한다.
분류 | 권장 치료제 | 대체 치료제 |
---|---|---|
투명 세포형 신세포암 (저위험) | 펨브롤리주맙+아시티니브 병용 아벨루맙+아시티니브 병용 수니티닙 파조파니브 | 소라페닙 인터페론-α 저용량 인터류킨-2 |
투명 세포형 신세포암 (중위험) | 이필리무맙+니볼루맙 병용 펨브롤리주맙+아시티니브 병용 아벨루맙+아시티니브 병용 카보잔티닙 수니티닙 파조파니브 | 소라페닙 인터페론-α 저용량 인터류킨-2 |
투명 세포형 신세포암 (고위험) | 이필리무맙+니볼루맙 병용 펨브롤리주맙+아시티니브 병용 아벨루맙+아시티니브 병용 카보잔티닙 | 수니티닙 템시롤리무스 |
비투명 세포형 신세포암 | 수니티닙 템시롤리무스 |
분류 | 권장 치료제 | 대체 치료제 |
---|---|---|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후 | 니볼루맙 카보잔티닙 아시티니브 | 에베롤리무스 소라페닙 |
사이토카인 요법 후 | 아시티니브 소라페닙 | 수니티닙 파조파니브 |
mTOR 억제제 후 | 임상 시험 등 |
분류 | 권장 치료제 | 대체 치료제 |
---|---|---|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2제 후 | 니볼루맙 카보잔티닙 | 에베롤리무스 |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mTOR 억제제 후 | 소라페닙 아시티니브 | 수니티닙 파조파니브 |
기타 | 임상 시험 등 |
- '''방사선 치료:''' 신세포암종은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이 낮은 편이지만, 뼈 전이 등으로 인한 통증 완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7. 2. 전이성 신세포암종 치료
신세포암종이 신장 밖으로 전이된 경우,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증상 완화 및 생존 기간 연장을 목표로 치료한다.[89] 여러 치료법이 사용되는데, 여기에는 수술, 약물 요법 등이 포함된다.[57]약물 요법전이성 신세포암종은 대부분의 경우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요법에 저항성이 있지만, 면역 요법에는 잘 반응하는 편이다.[8] 면역 요법은 환자의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 치료법이다.[72]
최근에는 종양의 성장과 확산을 촉진하는 성장 인자를 억제하는 표적 치료제도 많이 사용된다.[73][74] 이러한 약물 대부분은 지난 10년 안에 승인되었다.[75]
다음은 전이성 신세포암종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들이다:[76]
- 니볼루맙[77]
- 악시티닙[78]
- 수니티닙[79]
- 카보잔티닙[77]
- 에베롤리무스
- 렌바티닙
- 파조파닙
- 베바시주맙
- 소라페닙
- 티보자닙
- 템시롤리무스[80]
- 인터류킨-2: 소수의 환자에서 "지속적인 관해"를 보였지만 상당한 독성을 동반한다.[81]
- 인터페론-α
이필리무맙은 신장암에 대해 승인된 약물은 아니지만, 활성도가 보고된 바 있다.[83][84]
아테졸리주맙, 바릴리무맙, 두르발루맙, 아벨루맙 등 새로운 표적 치료제에 대한 임상 시험도 진행 중이므로, 더 많은 약물이 가까운 장래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85]
위험 분류 및 약물 선택전이성 신세포암종 환자의 치료 약물 선택을 위해, 예후 인자를 바탕으로 한 위험 분류가 사용된다. 대표적인 분류는 MSKCC 분류[116]와 IMDC 분류[117]이다. 현재는 IMDC 분류를 사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약제를 선택하는 것이 권장된다.[118]
초진 시부터 치료 개시까지 1년 이내 |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80% | 보정 칼슘 >ULN | 혈청 헤모글로빈 LDH >1.5ULN | 호중구 수 >ULN | 혈소판 수 >ULN | MSKCC 분류 | ○ | ○ | ○ (>10mg/dL) | ○ | ○ | IMDC 분류 | ○ | ○ | ○ | ○ | ○ | ○ | |
---|
- ULN: 정상 상한
- LLN: 정상 하한
각 분류에서 해당하는 예후 불량 인자가 0개면 저위험, 1~2개면 중위험, 3개 이상이면 고위험으로 평가한다.
일본에서 권장되는 약물 요법일본 신장암 진료 가이드라인(2017년판, 2020년 개정판)에서는 다음과 같은 약물 요법을 권장한다.[119]
분류 | 권장 치료제 | 대체 치료제 |
---|---|---|
투명 세포형 신세포암 (저위험) | 펨브롤리주맙+아시티니브 병용 아벨루맙+아시티니브 병용 수니티닙 파조파니브 | 소라페닙 인터페론-α 저용량 인터류킨-2 |
투명 세포형 신세포암 (중위험) | 이필리무맙+니볼루맙 병용 펨브롤리주맙+아시티니브 병용 아벨루맙+아시티니브 병용 카보잔티닙 수니티닙 파조파니브 | 소라페닙 인터페론-α 저용량 인터류킨-2 |
투명 세포형 신세포암 (고위험) | 이필리무맙+니볼루맙 병용 펨브롤리주맙+아시티니브 병용 아벨루맙+아시티니브 병용 카보잔티닙 | 수니티닙 템시롤리무스 |
비투명 세포형 신세포암 | 수니티닙 템시롤리무스 |
분류 | 권장 치료제 | 대체 치료제 |
---|---|---|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후 | 니볼루맙 카보잔티닙 아시티니브 | 에베롤리무스 소라페닙 |
사이토카인 요법 후 | 아시티니브 소라페닙 | 수니티닙 파조파니브 |
mTOR 억제제 후 | 임상 시험 등 |
분류 | 권장 치료제 | 대체 치료제 |
---|---|---|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2제 후 | 니볼루맙 카보잔티닙 | 에베롤리무스 |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mTOR 억제제 후 | 소라페닙 아시티니브 | 수니티닙 파조파니브 |
기타 | 임상 시험 등 |
수술적 치료수술적 치료가 가능한 경우, 원발 종양(신장) 또는 전이 병변을 제거하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 신절제술: 신장을 절제하는 수술이다. CARMENA 시험에서는 수니티닙 단독 요법이 신절제술 후 수니티닙을 시행한 경우보다 전체 생존 기간에서 열등하지 않음이 나타났다.[113]
- 전이 병변 절제: 전이된 부위를 절제하는 수술이다. 후향적 연구에서 전이 병변 절제에 의한 전체 생존 기간 연장이 시사되었으나, 불완전 절제, 뇌 전이, CRP 상승, 고등급 종양 등은 예후 불량 인자로 여겨진다.[115]
신장암 진료 가이드라인에서는, 예후 불량 환자에게는 즉시 신절제술을 신중하게 판단하고, 예후 양호 환자에게는 충분한 검토 후 원발 종양 절제를 고려하도록 권고한다. 전이 병변 절제의 경우, 환자 상태가 양호하고, 무병 기간이 길며, 완전 절제가 가능한 경우 등, 신중하게 선택된 환자에서 생존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8. 예후
신세포암종의 예후는 암의 병기, 종양의 분화도, 환자의 전신 상태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병기는 신세포암의 예후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93] 국립 암 데이터베이스(National Cancer Data Base)에서 2001년과 2002년에 처음 진단받은 환자를 기준으로 한 5년 생존율은 다음과 같다:[93]
병기 | 설명 | 5년 생존율 |
---|---|---|
I | 신장에 국한됨 | 81% |
II | 신장 피막을 통과하여 제로타 근막에 국한됨 | 74% |
III | 신정맥 또는 힐러 림프절 포함 | 53% |
IV | 인접 장기(부신 제외)로 침윤되거나 원격 전이가 있는 종양 포함 | 8% |
한국 연구에서는 질병 특정 전체 5년 생존율을 85%로 추정했다.[94] 4cm 미만의 종양은 5년 생존율이 약 90~95%이며, 정맥 침윤 없이 신장에 국한된 더 큰 종양의 경우에도 생존율은 80~85%로 비교적 높다. 그러나 신장 피막을 통과하여 국소 근막 밖으로 확장되는 종양의 경우 생존율은 60% 가까이 감소한다.
조직학적 등급은 암의 공격성과 관련이 있으며, 1등급은 예후가 가장 좋고(5년 생존율 89% 이상), 4등급은 예후가 가장 나쁘다(5년 생존율 46%).
CT 스캔이나 초음파 검사를 통해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우연히 신세포암종을 발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증상이 나타난 후 진단된 경우보다 예후가 좋다.[96] 우연히 발견된 신세포암종의 5년 생존율은 85.3%로, 증상이 있는 경우의 62.5%보다 높았다.[96] 이는 우연히 발견된 병변이 증상을 유발하는 병변보다 병기가 낮은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96]
림프절로 전이된 경우 5년 생존율은 약 5%에서 15%이다. 전이성 신세포암종의 경우, 낮은 카르노프스키 수행 상태 점수, 낮은 혈색소 수치, 높은 혈청 젖산 탈수소 효소 수치, 높은 보정된 혈청 칼슘 수치와 같은 요인들이 예후가 좋지 않음을 나타낸다.[97][98]
최근 표적 치료제와 면역 관문 억제제의 발전으로 전이성 신세포암종 환자의 생존 기간이 연장되고 있지만, 여전히 예후가 불량하여 5년 생존율은 10% 미만이다.[90]
9. 예방
신세포암종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등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56]
9. 1. 예방 수칙
정상 체중한국어을 유지하면 신세포암종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56]참조
[1]
웹사이트
Renal Cell Carcinoma
http://emedicine.med[...]
WebMD
2014-02-26
[2]
서적
EAU Guidelines: Renal Cell Carcinoma – limited update March 2023
https://d56bochluxqn[...]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2023
[3]
논문
International variations and trends in renal cell carcinoma incidence and mortality
https://citeseerx.is[...]
2015-03
[4]
논문
Renal cell carcinoma
[5]
웹사이트
Kidney cancer
http://www.nhs.uk/co[...]
2017-10-23
[6]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Saunders
2004
[7]
논문
Evolving therapeutic targets in renal cell carcinoma
[8]
논문
De-novo and acquired resistance to immune checkpoint targeting
[9]
논문
Clinical T1a Renal Cell Carcinoma, Not Always a Harmless Disease—A National Register Study
2022-05-01
[10]
논문
Metabolic Factors Associated with Risk of Renal Cell Carcinoma
[11]
논문
Risk factors for adult renal cell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on
[12]
논문
Occupational exposure to arsenic, cadmium, chromium, lead and nickel, and renal cell carcinoma: A case-control study from Central and Eastern Europe
[13]
논문
Prospective Evaluation of Analgesic Use and Risk of Renal Cell Cancer
[14]
논문
Reproductive, menstrual, and other hormone-related factors and risk of renal cell cancer
[15]
논문
Alcohol drinking and risk of renal cell carcinoma: results of a meta-analysis
2012-09-01
[16]
웹사이트
Renal Cell Carcinoma
http://www.merckmanu[...]
Merck Sharp & Dohme Corp.
2013-11
[17]
논문
Reactive Hypertrophy of an Accessory Spleen Mimicking Tumour Recurrence of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18]
서적
Step-Up to Medicine (Step-Up Serie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
논문
The Changing Face of Renal Cell Carcinoma: The Impact of Systematic Genetic Sequencing on Our Understanding of This Tumor's Biology
[20]
서적
Renal Cell Carcinoma
[21]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
[22]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Saunders
[23]
논문
2004 WHO Classification of the Renal Tumors of the Adults
[24]
논문
Virtual karyotyping with SNP microarrays reduces uncertainty in the diagnosis of renal epithelial tumors
[25]
논문
Whole genome SNP arrays as a potential diagnostic tool for the detection of characteristic chromosomal aberrations in renal epithelial tumors
[26]
논문
Optimization of the Affymetrix GeneChip Mapping 10K 2.0 Assay for routine clinical use o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s
[27]
논문
Renal cell carcinoma: Evolving and emerging subtypes
[28]
논문
Clear-cell papillary renal cell carcinoma: Molecular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ith emphasis on the von Hippel-Lindau gene and hypoxia-inducible factor pathway-related proteins
[29]
논문
Renal Cell Carcinoma
2009-11-30
[30]
논문
Urine test for renal-cell carcinoma
2004-01-31
[31]
논문
Combined Blood/Tissue Analysis for Cancer Biomarker Discovery: Application to Renal Cell Carcinoma
[32]
논문
A multi-institution analysis of outcomes of liver-directed surgery for metastatic renal cell cancer
[33]
논문
Renal cell carcinoma: a priority malignancy for development and study of novel therapies
2003-04-01
[34]
논문
REVIEW: Biopsy of renal masses: when and why
2009-01-01
[35]
논문
A case of arteriovenous fistulae secondary to renal cell carcinoma accompanied by congestive heart failure
[36]
논문
Tuberculosis Arthritis and Tenosynovitis
[37]
논문
How I Do It: Evaluating Renal Masses1
[38]
논문
The use of modern radiologic methods in identifying incidental renal cell carcinoma
[39]
논문
Renal cell carcinoma involving the inferior vena cava: radiologic evaluation and surgical management
1997-10
[40]
논문
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Multiphasic Multidetector CT Imaging Features Help Predict Genetic Karyotypes
[41]
논문
Renal Mass Biopsy—A Renaissance?
[42]
논문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e diagnosis and staging of renal and perirenal neoplasms
[43]
논문
Comparison of MRI and CT for study of renal and perirenal masses
[44]
논문
Staging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renal cell carcinoma: A compariso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computed tomography (CT)
[45]
논문
CT/MRI in staging renal cell carcinoma
2004-02-14
[46]
논문
Using MR Angiography for Surgical Planning in Pelvic Kidney Renal Cell Carcinoma
[47]
웹사이트
Kidney Cancer / General Information
http://www.cornellur[...]
[48]
논문
Inferior vena cava tumor thrombus in renal cell carcinoma: Staging by MR imaging and impact on surgical treatment
[49]
웹사이트
Clear-cell Carcinoma, Hypernephroid Tumour, or Hypernephroma
http://www.britannic[...]
2010-03-31
[50]
논문
Morphological diagnosis of renal cell carcinoma. Histo-cytological parallels
[51]
웹사이트
Renal clear cell carcinoma (Grawitz tumor)
http://www.pathology[...]
2009-01-30
[52]
논문
Renal tumors with clear cells. A review
2013-03
[53]
논문
Le grade nucléaire de fuhrman, facteur pronostique du cancer du rein depuis 25 ans
2006-11
[54]
논문
Fuhrman Grading is not Appropriate for Chromophobe Renal Cell Carcinoma
[55]
논문
The Heidelberg classification of renal cell tumours
[56]
논문
Body Fatness and Cancer—Viewpoint of the IARC Working Group
https://discovery.du[...]
2016-08-25
[57]
서적
Renal Cell Carcinoma Clinical Management
Humana Pr Inc.
2012-09-26
[58]
서적
Renal Cell Carcinoma
[59]
논문
Nephron-sparing surgery for renal cell carcinoma
1998-09
[60]
논문
Partial nephrectomy for unilateral renal carcinoma and a normal contralateral kidney: 10-year followup
1999-01
[61]
논문
Partial nephrectomy for renal cell carcinoma can achieve long-term tumor control
1998-09
[62]
논문
Watchful waiting for small renal masses
2008-01
[63]
논문
Nephrectomy Induced Chronic Renal Insufficienc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eath and Death from Any Cause in Patients with Localized cT1b Renal Masses
[64]
논문
Practice-setting and surgeon characteristics heavily influence the decision to perform partial nephrectomy among American Urologic Association surgeons
[65]
논문
Renal cell carcinoma with IVC and atrial thrombus: A single centre's 10 year surgical experience
[66]
논문
Surgical Management of Renal Cell Carcinoma with Tumor Thrombus in the Renal and Inferior Vena Cava: The University of Miami Experience in Using Liver Transplantation Techniques
Elsevier BV
[67]
논문
Renal cell carcinoma with tumor thrombus extending above diaphragm: Avoiding cardiopulmonary bypass
Elsevier BV
[68]
논문
Cytoreductive nephrectom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ancer: a combined analysis
2004-03
[69]
논문
"[Guideline 'Renal cell carcinoma']"
2008-02
[70]
논문
Percutaneous MR-guided cryoablation for malignancies, with a focus on renal cell carcinoma
2007-04
[71]
논문
Image-guided radiofrequency ablation of renal cell carcinoma
2007-03
[72]
서적
Renal Cell Carcinoma Clinical Management
Humana
[73]
논문
Management of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patients with poor-risk features: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2013-06
[74]
서적
Renal Cell Carcinoma Clinical Management
Humana
[75]
논문
The current status of tailor-made medicine with molecular biomarkers for patients with 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2014-01
[76]
논문
State of the science: an update on renal cell carcinoma
2012-07
[77]
논문
Renal-Cell Cancer – Targeting an Immune Checkpoint or Multiple Kinases
[78]
논문
Small molecule targeted therapies for the second-line treatment for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and indirect comparison of safety and efficacy
2013-11
[79]
논문
Sunitinib versus Interferon Alfa in Metastatic Renal-Cell Carcinoma
[80]
웹사이트
TORISEL® (temsirolimus) -Safety Info- Renal Cell Carcinoma Treatment
http://www.torisel.c[...]
2018-03-19
[81]
웹사이트
Renal Cell Carcinoma
https://www.nlm.nih.[...]
2010-09-10
[82]
논문
Targeted therapy for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https://doi.org/10.1[...]
2020-10-14
[83]
논문
Ipilimumab (anti-CTLA4 antibody) causes regression of metastatic renal cell cancer associated with enteritis and hypophysitis
[8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packageinsert[...]
2014-10-29
[85]
웹사이트
Kidney Cancer
https://www.cancerre[...]
2018-03-19
[86]
논문
FDA approves pembrolizumab for adjuvant treatment of renal cell carcinoma
https://www.fda.gov/[...]
2021-11-17
[87]
논문
Novel approaches in the therapy of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88]
논문
Renal Cell Carcinoma Guideline
[89]
논문
Chemotherapy in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today? A systematic review
[90]
논문
Improvement in Overall Survival of Patients with Advanced Renal Cell Carcinoma: Prognostic Factor Trend Analysis from an International Data Set of Clinical Trials
[91]
논문
What is the optimal therapy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who progress on an initial VEGFr-TKI?
[92]
논문
A contemporary update on rates and management of toxicities of targeted therapies for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93]
웹사이트
Kidney Cancer (Adult) – Renal Cell Carcinoma
http://www.cancer.or[...]
2010-09-10
[94]
간행물
IN THIS ISSUE
[95]
웹사이트
Renal Cancer Causes, Symptoms, Treatment
http://www.emedicine[...]
2010-09-10
[96]
논문
Renal cell carcinoma: prognostic significance of incidentally detected tumors
2000-02
[97]
논문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in Previously Treated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98]
논문
Survival and prognostic stratification of 670 patients with advanced renal cell carcinoma
[99]
논문
Prediction of progression after radical nephrectomy for patients with 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100]
논문
Epidemiologic and socioeconomic burden of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mRCC): A literature review
[101]
논문
The Epidemiology of Renal Cell Carcinoma
[102]
논문
Renal-Cell Carcinoma
https://semanticscho[...]
[103]
서적
Renal Cell Carcinoma
[104]
논문
History of Renal Neoplasia
http://www.uscap.org[...]
2009-03-08
[105]
논문
Renal cell carcinoma. A historical perspective
[106]
논문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Classification of Renal Cell Neoplasia
[107]
논문
Carcinoma of the Renal Cortex with Factors Bearing on Prognosis
[108]
논문
Renal tumors: Pathology and prognosis in 295 cases
[109]
논문
Ultrastructure of the Clear Cells in Renal Carcinomas and its Importance for the Demonstration of their Renal Origin
[110]
간행물
腎癌診療ガイドライン2011年版
日本泌尿器科学会
[111]
간행물
Systematic review of oncological outcomes following surgical management of localised renal cancer
[112]
간행물
Radical versus partial nephrectomy: effect on overall and noncancer mortality
[113]
간행물
Sunitinib Alone or after Nephrectomy in Metastatic Renal-Cell Carcinoma
[114]
간행물
Comparison of Immediate vs Deferred Cytoreductive Nephrectomy in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Receiving Sunitinib: The SURTIME Randomized Clinical Trial
[115]
간행물
Prognostic factors of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with removed metastases: a multicenter study of 556 patients
[116]
간행물
Interferon-Alfa as a comparative treatment for clinical trials of new therapies against advanced renal cell carcinoma
[117]
간행물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in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treated with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targeted agents: Results from a large, multicenter study
[118]
간행물
腎癌診療ガイドライン2017年版 2019年改訂版
日本泌尿器学会編
[119]
간행물
腎癌診療ガイドライン2017年版 2020年改訂版
日本泌尿器学会編
[120]
간행물
NCCN Guidelines Kidney Version 2.2020
[121]
웹인용
Renal Cell Carcinoma
http://emedicine.med[...]
WebMD
2014-02-26
[122]
웹인용
EAU Guidelines: Renal Cell Carcinoma
https://uroweb.org/g[...]
2020-04-24
[123]
저널 인용
Renal cell carcinoma
[124]
웹인용
Kidney cancer
http://www.nhs.uk/co[...]
2017-10-23
[125]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Saunders
2004
[126]
웹인용
Renal Cell Carcinoma
http://www.merckmanu[...]
Merck Sharp & Dohme Corp.
2013-11
[127]
저널 인용
Evolving therapeutic targets in renal cell carcinoma
[128]
저널 인용
De-novo and acquired resistance to immune checkpoint target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