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ASUK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ASUKE는 일본 TBS에서 제작하는 인기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으로, 요코하마 미도리야마 스튜디오에서 촬영된다. 닌자 캐릭터 사루토비 사스케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100명의 참가자가 4개의 스테이지에 도전하여 신체 능력을 겨룬다. 1997년 '근육 번즈케'의 스페셜 프로그램으로 시작하여 2002년부터 독립 프로그램으로 편성되었으며, 2024년까지 42회 개최되었다. SASUKE는 전 세계 160개 이상의 국가에서 방영되며, 'American Ninja Warrior' 등 현지화된 프로그램도 제작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애물 경주 텔레비전 게임 쇼 - 슈퍼바이킹
    슈퍼바이킹은 이경규 진행, 안지환 내레이션으로 2006년 11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방송된 2인 1조 팀의 장애물 코스 통과 게임 쇼 프로그램으로, 연예인과 일반인이 함께 6개 장애물 1라운드와 결선 라운드에 도전한다.
  • 장애물 경주 텔레비전 게임 쇼 - 출발! 드림팀 (시즌 2)
    KBS 2TV에서 방영된 출발! 드림팀 (시즌 2)는 이창명 진행으로 여러 출연자들이 다양한 게임을 통해 경쟁하는 스포츠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었으나, 부상 및 편파 진행 논란도 있었다.
  • 일본의 텔레비전 게임 쇼 - SMAP×SMAP
    SMAP의 프라임 타임 진출작이자 후지TV 최장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인 `SMAP×SMAP`는 '비스트로 SMAP', 다양한 코너, 'S-Live' 등으로 구성되어 20년 9개월간 방송되며 높은 시청률과 화제를 모았으나 SMAP 해체와 함께 종영, 일본 방송계에 큰 영향을 남겼다.
  • 일본의 텔레비전 게임 쇼 - 화풍총본가
    화풍총본가는 TV 도쿄에서 방영된 일본 전통, 문화, 장인 소개 프로그램으로, '선데이 빅 버라이어티'의 코너에서 독립 편성되어 2020년 종영될 때까지 일본 각지를 소개하고 마스코트 마메스케를 통해 볼거리를 제공했으며, 넷플릭스에서 과거 방송분을 유료로 제공하고 관련 서적과 DVD도 발매되었다.
SASUKE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 명칭SASUKE (사스케)
다른 이름Ninja Warrior (닌자 워리어)
Sasuke Rising (사스케 라이징)
Sasuke Ninja Warrior (사스케 닌자 워리어)
장르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장애물 코스
제작자마사토 이누이
연출우시오 히구치 (1997–2011)
마사토 이누이 (1997–2005, 2012–현재)
진행후루다치 이치로 (1997–2003)
도사키 다카히로(ja:戸崎貴広) (1997)
하쓰다 게이스케(ja:初田啓介) (1998–2008, 2010–14)
오가사와라 와타루(ja:小笠原亘) (2005–2011, 2019)
사토 후미야스(ja:佐藤文康) (2009–2011, 2018)
이시이 도모히로 (아나운서)(ja:石井大裕) (2012–14)
이토 류스케(ja:伊藤隆佑) (2010, 2015)
스기야마 신야(ja:杉山真也) (2016–현재)
고마다 겐고(ja:駒田健吾) (2004, 2015–18)
아즈미 신이치로(ja:安住紳一郎) (2018–2019)
기이레 도모히로(ja:喜入友浩) (2020)
구마자키 가자토(ja:熊崎風斗) (2020–현재)
난바 마사토시(ja:南波雅俊) (2021–현재)
내레이션마쓰오 다카시 (1960년생 배우) (1997)
다레키 쓰토무(ja:垂木勉) (1998–2005)
다히라 겐(ja:多比良健) (2005)
고바야시 기요시 (2006–2011)
다카가와 유야(ja:高川裕也) (2012–현재)
오바라 마사토(ja:小原雅人) (2014)
핫토리 준(ja:服部潤) (2018–현재)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에피소드 수41회 대회
에피소드 목록사스케 대회 목록
총괄 프로듀서히구치 우시오(ja:樋口潮)
프로듀서고가케 요시유키
후지이 마코토
촬영 장소미도리야마, 요코하마시 아오바구
러닝 타임120~360분 텔레비전 스페셜
제작사몬스터9(ja:Monster9) (1997–2011)
TBS 텔레비전 (2012–현재)
방송사JNN (TBS)
첫 방송1997년 9월 27일
마지막 방송현재
관련 프로그램근육 랭킹
쿠노이치
프로 스포츠맨 No.1
바이킹: 얼티미트 장애물 코스
추가 정보
방송 횟수42
제작 협력FOLCOM.
제작 저작TBS
총감독이누이 마사토 (종합 연출)
연출시미즈 히로유키
프로듀서오쿠보 노리히로
간다 유코
요코이 유이치로
미야자키 요아키
하야시 사오리
다케나카 유스케 (협력 프로듀서)
스즈키 마사히코 (협력 프로듀서)
나가타 슈헤이 (협력 프로듀서)
책임 프로듀서나나사와 도루
출연자남녀 합계 100명의 도전
데이터 방송2018년 3월 (35회) 부터 방송
오프닝 테마로쿠산시 무사시 "야규 외전"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유튜브 정보
채널 이름SASUKE Ninja Warrior【TBS 공식】SASUKE 채널
채널 URLSASUKE Ninja Warrior【TBS 공식】SASUKE 채널
총 조회수362,165,919회
활동 기간2021년 3월 21일 - 현재
구독자 수30만 명
실버 버튼 획득2023년
통계 업데이트2024년 12월 26일

2. 역사

SASUKE 올스타는 TBS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6명의 유력한 경쟁자 그룹으로, 4개 스테이지를 모두 통과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여겨졌다. 야마모토 신고, 야마다 카츠미, 아키야마 카즈히코, 타케다 토시히로, 나가노 마코토, 시라토리 분페이로 구성된 이들은 ''SASUKE''의 첫 10년 동안 경쟁자들의 성공에 큰 영향을 주었다. 초대 챔피언인 아키야마와 나가노를 포함하여, 모든 토너먼트에 출전한 유일한 경쟁자인 야마모토도 포함되었다.

올스타는 28회 토너먼트에서 공식적으로 '은퇴'했지만, 이 결정은 번복되었다.[9] 야마모토 신고는 29회부터 계속 출전했다. 타케다는 38회, 시라토리는 30회에서 은퇴했다. 나가노는 32회에서 은퇴했지만, 이후 38회, 40회, 41회 토너먼트에 출연했다. 아키야마는 28회에서 은퇴했지만 40회 토너먼트에 복귀했으며, 야마다는 33회부터 모든 토너먼트에 출전하고 있다.

2. 1. 프로그램의 탄생과 발전

1997년 가을, 도쿄 방송 (TBS)의 프로그램 '근육 뱅크'의 스페셜 기획으로 처음 방송되었다.[2] 2002년 가을 제10회 대회부터는 독립 프로그램으로 편성되었다. 그 결과, 현재는 스핀오프의 원조인 '근육 뱅크'보다 인지도와 지속 기간이 더 길어지는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프로그램의 정식 명칭은 '''"궁극의 서바이벌 어택 SASUKE"'''이다. 여성판 SASUKE인 '''"KUNOICHI"'''(쿠노이치), 어린이판 "SASUKE JUNIOR", 노년층 대상 "SASUKE 시니어" 등 자매 프로그램도 개최되었다.

매회 100명이 출전하여 1st, 2nd, 3rd, FINAL의 4개 스테이지로 나뉜 다양한 장애물을 액션 게임처럼 클리어하고 '''완전 제패'''를 목표로 하는 거대한 필드 어슬레틱이다. 프로그램 내에서는 "'''강철의 마성'''"이라고 불린다.

2. 2. 주요 규칙 및 경기 진행 방식

매회 100명이 출전하여 1st, 2nd, 3rd, FINAL의 4개 스테이지에 도전한다. 액션 게임처럼 다양한 장애물을 클리어하며 '완전 제패'를 목표로 하는 거대한 필드 어슬레틱으로, 프로그램 내에서는 '''"강철의 마성"'''이라고 불린다.

지면에 있는 연못이나 매트에 떨어지거나 착수(FINAL 제외), 코스 아웃 또는 스테이지마다 정해진 시간 제한을 넘을 경우(3rd 제외)[22], 그 외 구역별로 정해진 규칙에 위반되는 행위를 하면 탈락(리타이어)되어 그 이후의 구역에는 도전할 수 없다. 단, 세트의 결함이 원인인 경우에는 처음부터 재도전이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

스테이지 시작 전에는 스태프나 오디션 탈락자 등에 의한 구역별 데몬스트레이션(시범)이 진행된다.

제28회 대회부터는 "수영" 구역도 도입되었다. 이에 대해 종합 연출을 맡은 이누이 마사토는 "SASUKE라는 닌자 같은 이름이 붙어있는 이상, 육해공, 모든 것을 제패하지 않으면 완전무결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23]

각 스테이지별 경기 규칙과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1st 스테이지2nd 스테이지3rd 스테이지FINAL 스테이지
클리어자 누계571281446
평균 클리어 수13.66.691.040.14
평균 클리어율13.6%[175]49.2%15.6%13.6%


2. 3. 참가자 선발

SASUKE 참가자 100명은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는 오디션 및 예선회를 통해 선발된다.[31][32][33] 이 과정에서 신체 능력뿐만 아니라 '멋짐', '인간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참가자를 선정한다. 과거 올림픽 메달리스트도 출전한 경험이 있지만, 일반인 참가자들이 더 좋은 성과를 내는 경우가 많다.

2. 4. 제작 비화

SASUKE일본어는 일본 텔레비전 드라마 시즌 사이에 도쿄 방송 (TBS)을 통해 방송된다. 이 쇼의 이름은 일본의 전통적인 이야기에 나오는 허구의 닌자 캐릭터인 사루토비 사스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

이 쇼는 TBS에서 제작했으며, 근육 번즈케의 스핀오프 중 하나이다. 제10회 대회까지 ''Sasuke''는 ''근육 번즈케''의 특별 프로그램으로 방송되었지만, ''근육 번즈케''가 중단되면서 독립적인 프로그램이 되었다.

2011년 11월 몬스터9의 파산 이후, 쇼에 대한 모든 권리는 도쿄 방송에 완전히 귀속되었다. TBS는 ''Sasuke''에 대한 모든 권리를 획득한 후, 제28, 29, 30회에서는 쇼의 이름을 ''Sasuke Rising''으로 변경했지만, 이후 원래 이름으로 되돌렸다. TBS는 다시 한 번 쇼의 이름을 제35회부터 '''''Sasuke Ninja Warrior'''''로 변경했으며, 제36회부터 쇼의 로고를 변경하여 이후 회차에서도 새로운 로고의 연도를 변경했다.

해외에서의 인기 요인으로, 닌텐도의 '슈퍼 마리오 시리즈'를 상정한 "말이 필요 없는 프로그램"이라는 점과 "전 세계 사람들도 SASUKE를 보면서, 마리오를 보고 있는 듯한 감각이 되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39]

2. 5. 명칭 무단 상표 등록 문제

(출력 내용 없음)

3. 국제적 인기 및 영향

SASUKE 올스타는 TBS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야마모토 신고, 야마다 카츠미, 아키야마 카즈히코, 타케다 토시히로, 나가노 마코토, 시라토리 분페이 등 6명의 유력한 경쟁자 그룹이다. 이들은 ''SASUKE''의 첫 10년 동안 큰 활약을 했다.[9]

올스타는 28회 대회에서 공식적으로 '은퇴'했지만, 이후 일부 선수들은 다시 복귀하기도 했다.[9]

2022년 5월, 로이터 통신은 이 프로그램에서 파생된 "장애물 경기"가 근대 올림픽의 새로운 종목으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발생한 동물 학대 사건과 승마 종목의 인기 저하로 인해 근대 5종의 대체 종목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닌자 경쟁"이라는 입체적인 장애물 코스를 통과하는 경기가 될 것이라고 한다.[40][41][46]

국제 근대 5종 연맹(UIPM)은 터키 앙카라에서 장애물 경주 테스트를 실시했으며, TBS 텔레비전은 유럽 현지판 프로그램 세트를 제공했다.[47]

이후 UIPM 온라인 총회에서 종목 변경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제안하기로 결정했고,[48][49] 2023년 10월 국제 올림픽 위원회 총회에서 변경 신청이 승인되어,[50][51]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부터 적용될 예정이다.[48][49]

3. 1. 해외 진출

SASUKE영어홍콩을 시작으로,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중동, 중남미 등 전 세계 16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방영되었다.[15] 현지 포맷으로 제작되는 국가도 20개국 이상인데, 미국, 독일, 프랑스, 호주 등이 대표적이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비만 문제 해결 및 청소년 스포츠 육성을 위해 정부 지원 하에 현지 포맷이 제작되었고(2011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아랍어권판 제작 계약이 체결되기도 했다(2015년).

국제 대회도 개최되었는데, 아메리칸 닌자 워리어의 특별 국제 토너먼트인 아메리칸 닌자 워리어: USA vs. The World를 기반으로 한 '''사스케 월드컵'''(SASUKE WORLD CUP)이 대표적이다.[15] 이 대회에는 일본 3팀을 비롯하여 아메리칸 닌자 워리어를 대표하는 팀 USA, 닌자 워리어 독일을 대표하는 팀 독일, 닌자 워리어 프랑스를 대표하는 팀 프랑스, 호주 닌자 워리어를 대표하는 팀 호주 등 총 7팀이 참가했다.

2024년 8월 21일에는 'SASUKE WORLD CUP 2024'라는 제목으로 5개국 35명(일본(3팀), 미국, 독일, 프랑스, 호주)이 참가하는, 일본에서 개최되는 첫 국제 단체전이 TBS에서 방송되었다.[52]

3. 2. 해외 인기 요인 분석 (이누이 마사토 종합 연출)

SASUKE영어의 해외 인기 요인 중 하나는 슈퍼 마리오를 연상시키는 단순한 프로그램 구성이다. 복잡한 규칙 없이, 참가자들이 다양한 장애물을 통과하는 모습을 통해 시청자들은 쉽게 몰입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게임을 넘어 참가자들의 도전과 성공, 실패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리얼리티 요소가 곁들여져 전 세계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고 있다. 2022년 5월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전 세계 시청자 수는 약 10억 명에 달한다.[40][41][46]

3. 3. American Ninja Warrior (미국판)

American Ninja Warrior|아메리칸 닌자 워리어영어는 2006년 10월, 미국의 케이블 TV 채널 G4에서 방송을 시작했다.[9] 6개월 후 프라임 타임으로 시간대를 옮겼으며, 2011년 4월에는 미국 4대 지상파 네트워크 중 하나인 NBC에서 골든 타임 방송이 결정되었다. 이는 일본에서 제작된 실사 프로그램으로는 최초였다.[9]

미국과 일본 방송국은 동일본 대지진 복구 지원을 위해 공동으로 적십자사 지원 활동을 펼쳤다.[9] 여성 선수들의 활약으로 여성 및 어린이 시청자층을 확보, 전 연령층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스핀오프 프로그램인 '닌자 워리어 주니어'가 제작되었다.[9]

3. 4. 올림픽 종목 채택 가능성

2022년 5월, 로이터 통신은 SASUKE에서 파생된 '장애물 경기'가 근대 올림픽의 새로운 종목으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발생한 동물 학대 사건과 승마 종목의 인기 저하 등으로 인해, 이를 대체할 근대 5종 종목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닌자 경쟁'이라고 불리는 입체적인 장애물 코스를 통과하는 경기가 될 것이라고 한다.[40][41][46]

국제 근대 5종 연맹(UIPM)은 2022년 6월 27일과 28일, 터키 앙카라에서 열리는 근대 5종 월드컵 파이널 등에서 장애물 경주 테스트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TBS 텔레비전유럽 현지판 프로그램 세트를 제공했다.[47]

2022년 11월, UIPM 온라인 총회에서 각국 연맹 대표자들의 투표 결과, 약 83%의 찬성으로 종목 변경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제안하기로 결정했다.[48][49] 2023년 10월, 국제 올림픽 위원회 총회에서 UIPM의 변경 신청이 승인되었으며,[50][51] 이 변경 사항은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부터 적용될 예정이다.[48][49]

4. 경기 구성 및 특징

요코하마의 미도리야마 스튜디오에서 녹화되어 도쿄 방송(TBS)을 통해 방송되는 SASUKE는 매회 100명의 참가자가 4개의 스테이지에 도전하는 거대한 필드 어슬레틱 경기이다. 프로그램 내에서는 "'''강철의 마성'''"이라고 불린다.[2]

각 스테이지는 1st, 2nd, 3rd, FINAL로 구성되며, 다양한 장애물을 액션 게임처럼 클리어하여 '''완전 제패'''를 목표로 한다. 지면에 있는 연못이나 매트에 떨어지거나, 착수(FINAL 제외), 코스 아웃, 또는 스테이지별 제한 시간 초과(3rd 제외) 등의 경우 리타이어되며, 이후 구역에 도전할 수 없다.[22] 단, 세트 결함이 원인일 경우 재도전이 가능하다.

각 스테이지 시작 전에는 스태프나 오디션 탈락자 등에 의한 구역별 데몬스트레이션이 진행된다. 제28회 대회부터는 "수영" 구역도 도입되었는데, 이에 대해 종합 연출 이누이 마사토는 "SASUKE라는 닌자 같은 이름이 붙어있는 이상, 육해공, 모든 것을 제패하지 않으면 완전무결하다고 할 수 없다"라고 언급했다.[23]

등번호(도전 순서)는 스태프가 결정하며, 후반으로 갈수록 유력 선수나 주목받는 선수를 배치하는 경향이 있다.[24] 방송은 기본적으로 등번호 순서대로 진행된다.[25] 10의 배수 회차는 "제O회 기념 대회"로, 이전까지의 누적 도전자 수가 등번호가 되며, 1000의 배수 등번호가 기존의 100번에 해당한다.

참가자 선발은 오디션이나 예선회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과한 사람만이 출전할 수 있다. 출전자는 한 업종 당 한 명을 기준으로 100명이 선발되지만,[26] 일반 응모 자격으로 출장할 수 있는 인원은 응모 총수 5000명 중 20명 정도로 매우 적다.[27][28] 선발 기준에 대해 이누이는 "신체 능력도 중요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멋진' 사람, 즉 시청자가 응원하고 싶어지는 인간성을 중시한다"고 밝혔다.[26]

과거에는 올림픽 메달리스트도 출전했지만, 좋은 성적을 내는 선수들은 대부분 SASUKE에 전념해 온 일반인들이었다. 이에 대해 이누이는 "SASUKE는 올림픽 메달리스트나 톱 애슬리트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이 빛날 수 있는 장소"라고 설명했다.[23]

'''사스케 월드컵'''은 아메리칸 닌자 워리어: USA vs. The World를 기반으로 한 특별 국제 토너먼트였다.[15] 일본 3팀과 아메리칸 닌자 워리어, 닌자 워리어 독일, 닌자 워리어 프랑스, 호주 닌자 워리어 대표팀 등 총 7팀이 참가했다.

4. 1. 스테이지 구성

SASUKE는 1st, 2nd, 3rd, FINAL의 총 4개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스테이지에는 다양한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고 난이도는 점차 높아진다. 다음 스테이지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제한 시간 내에 각 스테이지를 클리어해야 한다.[4]

과거에는 "SASUKE의 숲"을 이미지한 정글과 같은 스테이지 디자인으로 벽에 덩굴 식물이 붙어 있었지만, 제35회 대회 이후에는 덩굴과 나무가 완전히 철거되었다. 스테이지 색상은 제2회~제12회, 제25회는 녹색, 제13회~제17회, 제28회는 검은색, 제18회~제24회, 제26회~제27회, 제29회부터는 빨간색을 강조한 코스가 되었다.[176]

3rd 스테이지는 "강철의 요새"라는 이명처럼 무인 공장이나 교회를 이미지한 스테이지[203]이며, 유일하게 제한 시간이 없는 스테이지[222]이다. 「공중의 닌자」를 이미지한 스테이지이기 때문에 완력을 사용하는 구역이 대부분이며, 제28회 이후에는 어둠을 이미지한 블루 라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FINAL 스테이지는 유일하게 타워를 올라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전자들은 안전을 위해 하네스를 착용하고, 시간 내에 상공의 골 지점(강철 정상)을 목표로 한다. 클리어 버튼은 다른 구역과는 달리 스탠드가 아닌 골 지점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어, 몸이 완전히 골 지점에 들어가지 않아도 손이 닿으면 누를 수 있다.

4. 1. 1. 1st STAGE

SASUKE의 1st STAGE는 주로 속도와 민첩성을 시험하는 구간으로, 100명의 참가자 중 대다수가 탈락하는 곳이다. 대회마다 장애물 구성이 바뀌며 난이도 조절이 이루어진다.[4]

대회장애물제한 시간전체 길이
제1회폭포 오르기매달리기 통나무폭포 내려가기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흔들 다리통나무 내려가기프리 클라이밍+벽 오르기70초74.8m
제2회통나무 오르기매달리기 통나무통나무 내려가기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흔들 다리프리 클라이밍+벽 오르기60초74.8m
제3회통나무 오르기롤링 통나무흔들 다리통나무 내려가기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불명
제4회통나무 오르기롤링 통나무흔들 다리통나무 내려가기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
제5회통나무 오르기롤링 통나무흔들 다리점프 행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75초
제6회통나무 오르기롤링 통나무흔들 다리점프 행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
제7회통나무 오르기롤링 통나무흔들 다리점프 행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
제8회5단 점프롤링 통나무큰 공점프 행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77초
제9회5단 점프롤링 통나무큰 공점프 행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로프 클라임
제10회5단 점프롤링 통나무더스 브리지점프 행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로프 클라임80초
제11회5단 점프롤링 통나무밸런스 브리지점프 행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로프 클라임85초
제12회산 넘기롤링 통나무외나무 다리점프 행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
SASUKE 트라이얼5단 점프롤링 통나무쿼터 브리지점프 행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로프 클라임80초
제13회프리즘 시소3단 롤링 통나무크로스 브리지점프 행(점프 댕글)꼬인 벽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80초85.5m
제14회원추 점프버터플라이 월3단 롤링 통나무크로스 브리지점프 행꼬인 벽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103초94.2m
제15회허들 점프버터플라이 월3단 롤링 통나무크로스 브리지점프 행꼬인 벽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95초98.7m
제16회6단 점프3단 롤링 통나무크로스 브리지점프 행로프 리버스리버스 플라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100초[177]101.2m
제17회6단 점프통나무 언덕3단 롤링 통나무크로스 브리지서클 슬라이더점프 행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점프+로프 클라임85초불명
제18회로프 글라이더로그 그립폴 메이즈점핑 스파이더번지 브리지그레이트 월플라잉 슛타잔 로프+로프 래더130초
제19회6단 점프로그 그립폴 메이즈점핑 스파이더하프 파이프 어택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플라잉 슛타잔 로프+로프 래더115초120m
제20회6단 점프로그 그립폴 메이즈점핑 스파이더하프 파이프 어택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플라잉 슛타잔 로프+로프 래더120초120m
제21회6단 점프로그 그립폴 메이즈점핑 스파이더하프 파이프 어택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플라잉 슛타잔 로프+로프 래더120m
제22회6단 점프서클 해머로그 그립점핑 스파이더하프 파이프 어택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슬라이더 점프타잔 로프+로프 래더102m
제23회12단 점프커튼 슬라이더로그 그립점핑 스파이더하프 파이프 어택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슬라이더 점프타잔 로프+로프 래더130m
제24회12단 점프엑스 브릿지로그 그립점핑 스파이더하프 파이프 어택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슬라이더 점프타잔 로프+로프 래더130m
제25회돔 스텝스롤링 통나무점프 행브리지 점프로그 그립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서클 슬라이더타잔 로프+로프 래더115초130m
제26회스텝 슬라이더해저드 스윙롤링 에스카르고점핑 스파이더하프 파이프 어택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자이언트 스윙타잔 로프+로프 래더130초130m
제27회스텝 슬라이더롤링 에스카르고자이언트 스윙점핑 스파이더하프 파이프 어택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스핀 브리지타잔 로프+로프 래더125초130m
제28회5단 점프롤링 에스카르고스핀 브리지점프 행 개조2연속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로프 래더105초불명
제29회롱 점프로그 그립헤지호그점프 행 개조2연속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로프 래더
제30회롱 점프로그 그립헤지호그점프 행 개조2연속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럼버잭 클라임
제31회롤링 힐로그 그립오르골점프 행 개조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럼버잭 클라임120초109.5m
제32회쿼드 스텝스+롤링 힐타이 파이터오르골더블 펜듈럼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럼버잭 클라임115초[178]불명
제33회쿼드 스텝스+롤링 힐타이 파이터피쉬 본더블 펜듈럼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럼버잭 클라임128초
제34회쿼드 스텝스+롤링 힐타이 파이터피쉬 본더블 펜듈럼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타잔 로프럼버잭 클라임123초
제35회쿼드 스텝스+롤링 힐타이 파이터피쉬 본드래곤 글라이더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85초
제36회[180]쿼드 스텝스+롤링 힐윙 슬라이더피쉬 본드래곤 글라이더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
제37회[181]쿼드 스텝스+롤링 힐윙 슬라이더피쉬 본드래곤 글라이더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88초[182]
제38회[183]쿼드 스텝스+롤링 힐실크 슬라이더피쉬 본드래곤 글라이더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90초[184]
제39회쿼드 스텝스+롤링 힐실크 슬라이더피쉬 본드래곤 글라이더태클2연속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99.9초[42][185]
제40회쿼드 스텝스+롤링 힐실크 슬라이더피쉬 본드래곤 글라이더태클2연속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99.9초[42]
제41회쿼드 스텝스+롤링 힐실크 슬라이더피쉬 본트윈 다이아드래곤 글라이더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110초[42]
WORLD CUP 2024쿼드 스텝스+롤링 힐윙 슬라이더피쉬 본트윈 다이아드래곤 글라이더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186]150초
제42회쿼드 스텝스+롤링 힐스크류 드라이버피쉬 본트윈 다이아드래곤 글라이더태클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110초[42]



'''+'''는 장애물 간 연결을 의미한다.

각 장애물에 대한 상세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쿼드 스텝스 (제32회 - 현재): en에서 사용된 장애물을 역수입한 것으로, 4개의 비스듬한 발판을 뛰어넘는다.[113] 제38회부터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발판에 검은 천이 덮였다.[115]

  • 롤링 힐 (제31회 - 현재): 경사면에 설치된 회전하는 5개의 롤러[116]에 뛰어 올라간 후, 다시 5개의 롤러가 설치된 경사를 내려와 반대편에 착지한다. 제32회부터는 오르는 롤러 아래의 검은 매트를 밟으면 실격[117], 제40회 대회에서는 마타치 료가 롤러 옆 판에 손을 대어 실격되었다.[120][121]

  • 스크류 드라이버 (제42회 - 현재): 제42회 대회에 등장한 새로운 장애물. 버튼을 누르면 가로 T자형 막대가 회전하고, 경사진 발판을 달려 직경 50cm, 가로 길이 1.6m의 회전하는 막대에 뛰어 붙는다.

  • 피쉬 본 (제33회 - 현재): 징검다리 모양으로 설치된 4개의 원주형 발판을, 전동으로 회전하는 빨간 폴을 피하면서 건넌다. 제42회 대회에서는 폴이 더욱 추가되어 난이도가 높아졌다.[131][132]

  • 트윈 다이아몬드 (제41회 - 현재): 자동으로 회전하는 마름모꼴 발판 2개를 건넌다. 첫 등장 시 약 20명이 탈락했다.

  • 드래곤 글라이더 (제35회 - 현재): 트램펄린으로 도약하여 레일에 설치된 바에 매달려 반대편에 착지한다. 제41회 이후에는 레일에 체인이 연결되어 탈선 방지 대책이 실시되었다.

  • 태클 (제31회 - 현재): 240kg, 300kg, 320kg, 총 860kg의 3개 벽을 밀어 12m를 나아간다. 제31회에는 총 480kg이었다.

  •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 (5m판…제5 - 17・22-27회, 5.2m판…제19 - 21회, 4.5m판…제31 - 38회・제41회 - ): 굽어진 벽을 달려 올라 정상에 손을 걸고 기어 올라간다.[137] 높이는 여러 번 변경되었으며, 2023년 현재는 4.5m이다.[138] 제40회부터 비 대책[143]이 실시되었다.

  • 5단 점프 (제8-11회, SASUKE 트라이얼, 제28회): 좌우 대칭으로 세워진 각도 45도, 폭 60cm의 4개의 발판을 번갈아 뛰어 건너 반대편으로 건너간다.

  • 6단 점프 (제16-17회, 제19-22회): 5개의 비스듬한 바위를 템포에 맞춰 뛰어 건너간다.

  • 12단 점프 (제23-24회): 각도가 다르게 세워진 11개의 통나무 발판을 건너간다.

  • 돔 스텝스 (제25회): 5개의 둥근 발판을 건너간다.

  • 스텝스 슬라이더 (제26-27회): 5단 점프의 발판을 건너, 4번째 발판에서 점프하여 로프를 잡고, 잡은 기세로 활공하여 반대편으로 건너간다.

  • 폭포 오르기(제1회) → 통나무 오르기(제2 - 7회): 롤러로 회전하는 5개의 통나무[187]에 뛰어 올라가는 코스이다.

  • 산 넘기(제12회): 산에 뛰어 올라가는 코스. 산은 두 개가 있어, 반대편으로 옮겨가는 것까지 포함하면 총 3번을 옮겨야 한다.

  • 프리즘 시소(제13회): 둔각 삼각형 모양의 시소를 크게 기울이지 않고 건너가는 코스이다.

  • 원뿔 점프(제14회): 전동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원뿔에 뛰어 오르면서 반대편으로 건너가는 코스이다.

  • 허들 점프(제15회): 고무로 만들어진 허들을 넘는 코스이다.

  • 로프 글라이더(제18회): 로프를 잡고 레일을 활강하여 중간에 있는 섬을 향해 착지하는 코스이다.

  • 롱 점프(제29·30회): 멀리뛰기 요령으로, 모래밭이 있는 반대편을 향해 연못을 뛰어넘는 코스이다.

  • 롤링 통나무 (제3회 - 제12회, SASUKE 트라이얼, 제25회): 레일에 깔린 통나무에 매달려 회전하면서 레일을 내려간다.

  • 삼단 롤링 통나무 (제13회 - 제17회): 롤링 통나무 제2 형태. 회전하는 통나무에 안겨 레일을 내려간다.

  • 로그 그립 (제18회 - 제25회) → 로그 그립 (제29회 - 제31회): 움푹 들어간 곳이 많이 있는 통나무에 매달린다.

  • 롤링 에스카르고 (제26회 - 제28회): 롤링 통나무의 진화형. 둥근 판을 잡고 가로로 회전하면서 반대편을 목표로 한다.

  • 실크 슬라이더 (제1형태…제38회, 제2형태…제39회 - 제41회): 매달린 천을 잡고 활공하여, 만곡형의 반대편에 착지한다.

  • 타이 파이터 (제32회 - 제35회) → 윙 슬라이더 (제36, 37회, 월드컵 2024): 아크릴판에 스파이더 워크의 요령으로 양손 양발을 버틴 상태로 붙어 레일을 내려간다.[193]

  • 흔들다리 (제1~7회): 좌우로 기울어지는 다리를 건너는 코스이다.

  • 대옥 (제8·9회): 지름 2.7m의 물에 떠 있는 큰 공을 점프하여 건너는 코스이다.

  • 다스 브릿지 (제10회): 총 12개의 회전하는 발판을 질주한다.

  • 밸런스 브릿지 (제11회) → 쿼터 브릿지 (SASUKE 트라이얼): 십자형으로 장애물의 돌기가 조합된 좌우 비대칭의 다리를 질주한다.

  • 외나무다리 (제12회): 다리가 반쯤 튀어나와 있어, 올라타면 거의 90도로 기울어지는 다리에서 힘껏 점프하여 반대편으로 뛰어넘는다.

  • 크로스 브릿지 (제13~17회): 십자형으로 만들어진 회전하는 4개의 판 위를 질주한다.

  • 통나무 경사 (제17회): 비스듬하게 세워진 굵기 30cm, 길이 4m의 통나무를 건넌다.

  • 번지 브릿지 (제18회): 고무 묶음이 5군데만 달려있는 다리를 건넌다.

  • 엑스 브릿지 (제24회): 크로스 브릿지가 마이너 체인지된 밸런스 에리어. 회전하는 6개의 판 위를 질주한다.

  • 브릿지 점프 (제25회): 그네 모양으로 매달린 3개의 판을 건너, 세 번째 판에서 로프에 뛰어들어 그 기세로 반대편으로 건너간다.

  • 스핀 브릿지 (제27·28회): 로프로 매달린 4개의 공[195] 위를 달려나간다.

  • 헤지호그 (제29·30회): 50개의 막대기가 달린 회전하는 길이 3.6m의 원기둥 위를 막대기를 피해가며 건넌다.

  • 점프 행(제5-12회・SASUKE 트라이얼・제14-17회・제25회): 트램펄린에서 그물에 뛰어 올라 아래를 따라 반대편으로 이동하거나, 그물 위를 올라 이동한다.

  • 점프 행(로프 버전)(제13회): 트램펄린에서 점프하여, 대량으로 늘어져 있는 로프를 잡고, 반대편으로 건너간다.

  • 서클 슬라이더(제17, 25회): 도약판에서 점프하여 링을 잡고, 그 기세로 링을 미끄러뜨려 8m 앞의 반대편으로 이동한다.

  • 점핑 스파이더(제18-24회, 제26, 27회): 트램펄린에서 스파이더 워크와 유사한 개요의 구역으로 뛰어 넘어간다.

  • 자이언트 스윙(제1형태…제26회, 제2형태…제27회): 도약판에서 점프하여 흔들리는 바를 잡는다.

  • 점프 행 개(제28-31회): 트램펄린에서 좌우에 설치되어 있는 그물 중 하나에 뛰어올라 반대편으로 건너간다.

  • 더블 펜듈럼(제32-34회): 트램펄린에서 도약하여 가동하는 바를 잡고, 반동을 이용하여 전방의 샌드백으로 뛰어 넘어간다.

  •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 (1~4회): 경사 50도의 가파른 언덕을 뛰어 올라간다.

  • 그레이트 월 (18회):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을 개량한 것으로, 벽 위에 로프가 붙어 높이가 더 높아졌다.

  • 2연속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 (28~30회, 39·40회):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이 2연속으로 진화. 높이가 다른 두 개의 Warped wall|솟아오르는 벽영어을 오른다.

  • 매달린 통나무 (제1·2회): 회전하는 통나무를 건너는 구간이다.

  • 폭포 하강 (제1회) → 통나무 하강 (제2 - 4회): 통나무 오르기와 반대로, 롤러로 회전하는 통나무[187]의 정상에서 힘껏 점프하여 반대편으로 건너간다.

  • 통나무 하강 (제1회): 높은 발판에서 세로로 세워진 통나무를 이용하여 아래 발판으로 내려간다.

  • 꼬인 벽 (제13 - 15회): 꼬인 벽을 달려 올라가, 꼭대기 부근 옆에 있는 로프에 뛰어든다.

  • 버터플라이 워 (제14·15회): 벽에 점프하여 매달린 다음, 그 기세로 벽을 회전시켜 반대편으로 건너간다.

  • 로프 리버스 (제16회): 위의 발판에서 로프를 사용하여 내려온 반동으로, 2.5m 아래의 발판에 올라탄다.

  • 리버스 플라이 (제16회): 세워진 거대한 트램펄린에 다이빙하여, 그 반동으로 앞쪽 발판으로 옮겨간다.

  • 폴 메이즈 (제18 - 21회): 폴 상단에 걸리는 장애물이 있으며, 그것을 폴을 움직여 피하면서 반대편까지 나아간다.

  • 플라잉 슈트 (제18 - 21회): 거대한 미끄럼틀을 미끄러져 내려가, 그 앞에 있는 지면과 평행으로 뻗은 로프를 잡고, 미끄럼틀 아래에 설치된 그물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 하프 파이프 어택 (제19 - 24회, 제26·27회): 꼬인 벽의 개량판과 같은 구간이다.

  • 서클 해머 (제22회): 원형 레일에 매달린 로프를 달려들어 잡고, 그 기세로 건너간다.

  • 슬라이더 점프 (제22 - 24회): 바에 매달려 경사와 단차가 있는 레일을 내려가, 그 기세로 그물에 점프하여 옮겨간다.

  • 커튼 슬라이더 (제23회): 위장 무늬의 커튼에 뛰어들어, 뛰어든 기세로 레일을 미끄러져, 부유 섬에 착지한다.

  • 해저드 스윙 (제26회): 그네를 타고, 기세를 더해 반대편으로 뛰어넘는다.

  • 오르골 (제31·32회): 회전하는 원기둥에 부착된 둥근 돌기에 매달려, 옆으로 이동하면서 반대편에 도달한다.

  • 프리 클라이밍, 벽 오르기 (제1·2회): 전반부 절반이 프리 클라이밍으로, 전동으로 역주행하는 컨베이어에 달린 수많은 돌기에 거슬러 돌기를 잡고 올라간다.

  • 타잔 점프 (제3 - 9·13 - 17회): 로프를 잡고 벽을 향해 점프하여 로프 클라임으로 이행한다.

  • 로프 클라임 (제3 - 17회): 타잔 점프의 로프를 사용하여[201] 5.4m 높이의 벽을 오른다.

  • 타잔 로프 (제10 - 12회, SASUKE 트라이얼): 고무가 달린 5개의 로프를 이용하여 로프 클라임으로 옮겨간다.

  • 로프 래더 (제18 - 29회): 그물 모양의 로프를 타고 올라 정상에 도달한 뒤, 그곳에 있는 골 버튼을 누르면 스테이지 클리어.

  • 타잔 로프 (제1 형태…제18 - 29회, 제2 형태…제30 - 34회): 로프를 사용하여 타잔의 요령으로 다음 구역으로 진행한다.

  • 럼버잭 클라임 (제30 - 34회): 높이 5.4m[202], 폭 45cm의 벽을 잡고 기어 올라간다.

4. 1. 2. 2nd STAGE

2nd STAGE는 1st STAGE보다 더 어려운 일련의 장애물에 도전하게 된다. 2023년 12월 기준으로, 총 40회 대회까지 522명의 참가자가 2nd STAGE를 통과했다.[4] 1st STAGE와 마찬가지로, 장애물은 대회를 거치면서 변경된다. 장애물에 따라 제한 시간이 결정되며, 보통 50초에서 100초 사이이다.

1st STAGE와 달리, 2nd STAGE는 8회 대회까지 코스 끝에서 부저를 눌러 시간을 멈추고 통과하는 방식이 아니었다. 그전까지 참가자는 단순히 열린 문을 통과하여 시간을 멈췄다. 8회 대회부터 부저를 눌러 문을 열도록 바뀌었다. 만약 참가자가 버튼을 누르지 않고 문을 부수고 통과하면 실격 처리된다. 또한, 2nd STAGE에서 반칙을 범한 참가자는 코스 심판이 문을 닫아 실격을 시킬 수 있다. 가령 12회 대회에서 야마다 카츠미가 스파이더 워크에서 체인 리액션 장갑을 사용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6]

평균적으로 각 대회에서 10명에서 15명의 참가자가 2nd STAGE에 도전한다. 4회 대회에서는 37명의 참가자가 2nd STAGE에 도전하여 최고 기록을 세웠다. 또한 4회 대회에서 11명의 참가자가 2nd STAGE를 통과[4]했는데, 이 기록은 40회 대회에서 12명이 통과하면서 깨지기 전까지 유지되었다. 19회 대회에서는 2명의 진출자 모두 코스를 통과하지 못했는데(연어 사다리에서 낙오 및 시간 초과), 이는 역대 최단 시간의 《사스케》 대회 종료를 기록했다.[5]

"강철의 폐허"라는 이명처럼, 무인 공장이나 교회를 이미지한 스테이지[203]이다. 다른 스테이지의 클리어율이 10% 정도인데 비해, 2nd STAGE의 클리어율은 50% 정도로 SASUKE의 모든 STAGE 중에서 가장 클리어율이 높다.

제7회까지는 골 지점의 버튼이 없어, 몸이 조금이라도 시간 내에 골 매트에 들어가면 클리어가 되었으며, 제7회까지는 타임 오버가 되면 골 게이트가 닫히는 구조였다. 제8회 이후 골 버튼이 도입되었다.

제한 시간 표시가 1st와 달리, 10초를 넘으면 10의 자리가 표시되지 않고, 1의 자리와 소수점 첫째 자리만 표시되었지만, 제8회, 제12회~제23회, 제25회 이후부터는 10의 자리도 표시되었다.

제30회에서는 2nd STAGE가 A와 B로 나뉘었지만, 실제로는 A만 사용되었다.

대회구역제한 시간전체 길이
제1회스파이더 워크(움직이는 벽 3번째, 스파이더 클라임 6번째)5연 해머역주행 컨베이어WALL LIFTING50s65.5m
제2회스파이더 워크(움직이는 벽 3번째, 스파이더 클라임 6번째)5연 해머역주행 컨베이어WALL LIFTING RUN65.5m
제3회스파이더 워크(움직이는 벽 3번째, 스파이더 클라임 6번째)5연 해머역주행 컨베이어65.5m
제4회스파이더 워크(움직이는 벽 3번째, 스파이더 클라임 6번째)5연 해머역주행 컨베이어월 리프팅65.5m
제5회태클 머신스파이더 워크(움직이는 벽 2번째, 4번째)5연 해머역주행 컨베이어월 리프팅불명
제6회내로우스파이더 워크(움직이는 벽 2번째, 4번째)5연 해머역주행 컨베이어월 리프팅
제7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5연 해머역주행 컨베이어월 리프팅90s
제8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5연 해머역주행 컨베이어(정지)월 리프팅100s
제9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5연 해머역주행 컨베이어월 리프팅80s
제10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밸런스 탱크역주행 컨베이어월 리프팅85s
제11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밸런스 탱크역주행 컨베이어월 리프팅80s
제12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밸런스 탱크역주행 컨베이어월 리프팅70s
제13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밸런스 탱크역주행 컨베이어월 리프팅
제14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밸런스 탱크메탈 스핀월 리프팅67s
제15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밸런스 탱크메탈 스핀월 리프팅65s
제16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델타 브릿지메탈 스핀월 리프팅66s
제17회체인 리액션브릭 클라임스파이더 워크 개밸런스 탱크메탈 스핀월 리프팅65s
제18회다운힐 점프서먼 래더+스틱 슬라이더넷 브릿지메탈 스핀숄더 워크95s
제19회다운힐 점프서먼 래더+스틱 슬라이더스카이 워크메탈 스핀워얼 리프팅80s
제20회다운힐 점프서먼 래더+스틱 슬라이더스윙 래더메탈 스핀워얼 리프팅90s
제21회다운힐 점프서먼 래더+스틱 슬라이더스윙 래더메탈 스핀워얼 리프팅80s77.3m
제22회다운힐 점프서먼 래더+스틱 슬라이더스윙 래더메탈 스핀워얼 리프팅77.3m
제23회다운힐 점프서먼 래더+스틱 슬라이더언스테이블 브릿지메탈 스핀워얼 리프팅70s불명
제24회다운힐 점프서먼 래더+언스테이블 브릿지밸런스 탱크메탈 스핀워얼 리프팅85s
제25회슬라이더 드롭더블 서먼 래더+언스테이블 브릿지밸런스 탱크메탈 스핀워얼 리프팅95s
제26회슬라이더 드롭더블 서먼 래더+언스테이블 브릿지밸런스 탱크메탈 스핀워얼 리프팅
제27회슬라이더 드롭더블 서먼 래더+언스테이블 브릿지밸런스 탱크메탈 스핀워얼 리프팅90s
제28회크로스 슬라이더스왑 서먼 래더+언스테이블 브릿지스파이더 워크백 스트림패싱 워얼135s80m
제29회크로스 슬라이더스왑 서먼 래더+언스테이블 브릿지스파이더 워크백 스트림패싱 워얼90s80m
제30회크로스 슬라이더스왑 서먼 래더+언스테이블 브릿지스파이더 워크+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워얼 리프팅110s불명
제31회크로스 슬라이더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워크+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워얼 리프팅100s68.5m
제32회크로스 슬라이더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워크+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115s불명
제33회링 슬라이더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워크+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110s
제34회링 슬라이더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워크+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
제35회링 슬라이더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워크+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
제36회[180]링 슬라이더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워크+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
제37회[181]롤링 로그 (비로 인해 사용 보류)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워크+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100s[204]
제38회[183]롤링 로그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워크+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105s
제39회롤링 로그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워크+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
제40회롤링 로그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런+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100s[205]
제41회롤링 로그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런+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100s
WORLD CUP 2024스파이더 클라임없음15m
제42회롤링 로그서먼 래더 오르기+서먼 래더 내려오기스파이더 런+스파이더 드롭백 스트림리버스 컨베이어워얼 리프팅95s불명



'''+'''는, 구역 간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구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롤링 로그 (제38회 ~ )과거 "롤링 통나무"라는 명칭으로 1st STAGE에 등장했던 구역의 마이너 체인지 버전. 레일에 놓인 통나무에 매달려 회전하면서 레일을 내려가 반대편에 도달한다. 반대편까지는 대략 6회전[144]한다. 통나무와 같은 모습이 아니게 되었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제1 구역에 놓여 있어서, 제2 구역 이후를 어지러운 상태로 공략해야 한다.

참고로, 제37회에도 2nd STAGE의 제1 구역으로 등장했지만, 비의 영향으로 "경기에 안전성과 공정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판단으로 사용이 보류되었고, 제2 구역의 서먼 래더부터 시작했다. 제42회에서도 비가 왔지만, 경기 진행 중에 내리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번 회차에서는 사용되었다.[145].

앞서 언급했듯이, 제39회부터는 이동 거리가 조금 짧아졌고, 회전수도 7회로 줄었다. 하지만, 제41회에서는 통나무의 회전 속도가 빨라졌다.

KUNOICHI|쿠노이치일본어 제12회 대회에서도 도입되었다.
2. 서먼 래더 오르기・3. 서먼 래더 내려가기 (제31회 ~ )서먼 래더 제4 형태. 바에 매달린 상태에서 바를 상단의 돌기에 밀어 올려 올라가는 "'''서먼 래더 오르기'''"를 4번 하고, 다 올린 후 뒤에 있는 또 다른 바에 이동하여, 최상단 돌기에서 최하단 돌기로 내려가는 "'''서먼 래더 내려가기'''"를 3번 한다. 바를 잡으면 부유물이 없어진다. 돌기 간격은 제33회까지는 40cm[146], 제34회에서는 38cm. 이전 형태인 스왑 서먼 래더에 존재했던 "한쪽이 기울어진 시점에서 실격"이라는 규칙은 폐지되었다. 또한, 최하단에서 한쪽이 기울어져도, 와이어로 매달려 있기 때문에 떨어지지 않고, 실격도 되지 않는다[147]. 초기의 서먼 래더와 달리 상부 고정만 되어 있어서, 흔들리기 쉽다.
4. 스파이더 워크[148][31](통산 제4 형태 제28회 - 제39회)→스파이더 런(제40회 ~ )・5. 스파이더 드롭(제30회 ~ )스파이더 워크 통산 제4 형태. 과거 1st STAGE 구역에 있었던 점핑 스파이더의 벽과 마찬가지로, 4개의 벽 사이를 수평→수직→수평으로 이동하고, 그대로 5번째 벽으로 이동한다. 제30회부터, 5번째 1.8m 아래에 있는 6번째 벽으로 이동하는 "'''스파이더 드롭'''" 섹션이 추가되었다[149]. 제40회에서는, 구역명이 "스파이더 런"으로 변경되었다. 참고로, 과거에는 규칙 위반이었지만, 제41회에서는 양손으로 몸을 지지하여 스파이더 런의 종착점에 있는 검은색 그물을 회피하여 날아가는 것으로 스파이더 드롭을 거치지 않고 클리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150][151]. 미끄럼 방지 스프레이 사용이 가능하다.
5. 백 스트림 (제28회 ~ )SASUKE 사상 최초로 착수가 인정된 구역. 전장 9m[152], 깊이 1.5m[153]의 풀을, 수중에 설치된 머신에서 발생하는 역류에 거슬러 헤엄쳐 출구까지 나아간다. 헤엄치는 방법은 자유이며, 고글 착용이 인정된다. 제29회는 역류의 파워가 두 배로 증가하면서 난이도가 상승했고[154], 제29회에서는 본 구역에 도달한 17명 중 11명이 리타이어. 제31회까지는, 풀의 오른쪽을 헤엄쳐 역류의 영향을 회피하는 선수가 많았던 것으로, 제32회 이후는, 수류 머신이 2대가 되었다. 또한, 출구에서 탈출하여 다음 리버스 컨베이어로 이동할 때의 미끄럼틀에서, 오버런하여 노란색 매트에서 벗어나면 코스 아웃으로 실격된다[155]. 참고로 선수가 익사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라이프 세이버가 대기하고 있다.
6. 역주 컨베이어 (제1 - 13회)→리버스 컨베이어 (제32회 ~ )터널 내를 움직이는 길이 8m의 벨트 컨베이어를 시속 20km의 흐름에 거슬러, 엎드려서 나아간다. 제13회까지의 구역명은 "역주 컨베이어"였다. 제7회에 터널의 구조가 약간 변경되어, 컨베이어의 마지막 부분까지 터널이 이어져 있었다. 제8회에서는, 폭우로 인한 감전 방지 관점에서 전원이 차단되었다. 제32회에 "리버스 컨베이어"라는 명칭으로 부활. 백 스트림에 대항하여 "육지의 역류"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백 스트림에서 젖은 몸의 영향으로 미끄러지기 쉬워지고, 난이도가 증가했다. 제32회에서는 컨베이어의 사양에 의해, 선수가 타면 컨베이어가 멈추기 쉬워졌지만, 제33회에서는 컨베이어가 바뀌어, 선수가 타도 멈추지 않게 되었다. 터널의 마지막 부분에서 떨어지면 착수[156]하여 실격된다[157]. 또한, 컨베이어의 가동 부분 이외를 이용하여 나아가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으며, 제36회에서 모리 와타루, 제42회에서 이모토 쿄진이 가동 부분 이외에서 체중을 지탱한 것으로, 심의 끝에 실격되었다. KUNOICHI|쿠노이치일본어 제9회 (2017년 2월 방송)부터의 BLUE 스테이지에서도 이 구역이 등장하고 있다.
7. WALL LIFTING(제1회)→WALL LIFTING RUN(제2・3회)→월 리프팅(제4 - 17회・제19 - 27회・제30회 ~ )1번째 벽・30kg, 2번째 벽・40kg, 3번째 벽・50kg의 벽을 들어 올려 통과한다. '''구역의 개요는 변함없이 가장 많은 회차에 등장한 구역'''이며, 42회 중 39회 사용되었다. 제1회의 표기는 "WALL LIFTING", 제2・3회는 "WALL LIFTING RUN"이었다. 디자인은 몇 번 변경되었고, 제12회까지는 노란색과 검은색 줄무늬에 "1・2・3"의 숫자. 제13-17회는 벽의 색이 은색과 검은색에 (로마 숫자)의 "I・II・III". 제19-27회는 나무로 되어 있으며 숫자가 쓰여 있지 않은 것. 제30회-제34회까지는, 패싱 월(후술)과 마찬가지로 회색 베이스에 "壱・弐・参"이 되어 있다. 제35회-는 은색 베이스, 오른쪽 아래에 아라비아 숫자로 "1・2・3"이 되어 있다. 몸을 끼워버릴 위험성 때문에, 제21회에서는 벽과 바닥의 틈새가 제20회 이전과 비교하여 커졌다. 제28・29회의 패싱 월에서는, 벽을 들어 올리지 않아도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틈새가 있었지만, 제30회에서 약간 개선되었다. 제32회 이후는 안전상의 이유로 제어 장치와 벽의 최상부가 와이어로 연결되어 들어 올린 후에 아래까지 일시적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들어 올린 후 아래를 통과하는 것이 용이해져 난이도가 낮아졌다. 한편, 벽 아래의 틈새가 완전히 메워졌기 때문에 거의 올리지 않고 통과하는 수법은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제21회부터는, 3번째 벽 뒤에서 골까지의 거리가, 제20회 이전보다 길어졌다. KUNOICHI|쿠노이치일본어 제9회 (2017년 2월 방송)부터의 BLUE 스테이지에서도 이 구역이 등장하고 있다.

제2회 대회부터 제34회 대회까지[176]는, 과거의 별명인 "SASUKE의 숲"을 이미지한 정글과 같은 스테이지 디자인으로, 벽에 덩굴 식물이 붙어 있었지만, 제35회 대회 이후에는 덩굴과 나무가 완전히 철거되었다. 또한, 제2회~제12회, 제25회는 녹색. 제13회~제17회, 제28회는 검은색. 제18회~제24회, 제26회~제27회, 제29회부터는 빨간색을 강조한 코스가 되었다.

4. 1. 3. 3rd STAGE

이 스테이지는 난이도가 높으며, 타이머가 없다. 3rd STAGE는 거의 전적으로 상체 근력과 지구력을 시험하며, 평균적으로 2번의 대회 중 1번 정도만 통과자가 나올 정도로 어려운 코스이다.[158]

대회코스
제1회폴 브리지프로펠러 구름다리바늘산
제2회폴 브리지프로펠러 운테이행 무브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3회폴 점프프로펠러 운테이행 무브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4회폴 점프프로펠러 운테이암 바이크클리프행어 (직선형)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5회프로펠러 운테이바디 프로프암 바이크클리프행어 (단차형)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6회프로펠러 운테이바디 프로프암 바이크클리프행어 (단차형)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7회프로펠러 운테이바디 프로프암 바이크클리프행어 (단차형)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8회프로펠러 운테이바디 프로프암 바이크클리프행어 (단차형)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9회럼블링 다이스바디 프로프램프 그라퍼클리프행어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10회럼블링 다이스바디 프로프램프 그라퍼클리프행어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11회럼블링 다이스바디 프로프램프 그라퍼클리프행어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12회럼블링 다이스바디 프로프램프 그라퍼클리프행어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13회럼블링 다이스바디 프로프커튼 클링클리프행어파이프 슬라이더 (더블 레일)
제14회럼블링 다이스바디 프로프커튼 클링클리프행어점핑 바+클라이밍 바데빌 그네+파이프 슬라이더
제15회럼블링 다이스바디 프로프커튼 클링클리프행어점핑 바+클라이밍 바데빌 그네+파이프 슬라이더
제16회암 링바디 프로프커튼 클링클리프행어점핑 바+클라이밍 바데빌 그네+파이프 슬라이더
제17회암 링바디 프로프커튼 클링클리프행어점핑 바+클라이밍 바데빌 그네+파이프 슬라이더
제18회암 링+암 바이크커튼 스윙클리프행어점핑 바+클라이밍 바+스파이더 플립파이널 링
제19회암 링내리막 램프 그라퍼데빌 스텝스클리프행어점핑 바+센딩 클라이머+스파이더 플립파이널 링
제20회암 링내리막 램프 그라퍼데빌 스텝스클리프행어점핑 바+센딩 클라이머+스파이더 플립파이널 링
제21회암 링내리막 램프 그라퍼데빌 스텝스클리프행어점핑 바+행 클라이밍+스파이더 플립글라이딩 링
제22회암 링내리막 램프 그라퍼데빌 스텝스클리프행어점핑 바+행 클라이밍+스파이더 플립글라이딩 링
제23회암 링내리막 램프 그라퍼데빌 스텝스클리프행어점핑 바+행 클라이밍+스파이더 플립글라이딩 링
제24회암 링로프 정션데빌 스텝스클리프행어점핑 바+행 클라이밍+스파이더 플립글라이딩 링
제25회룰렛 실린더+도어 노브 그라퍼플로팅 보드얼티메이트 클리프행어스윙 서클+번지 로프 클라임플라잉 바
제26회룰렛 실린더+도어 노브 그라퍼사이클링 로드얼티메이트 클리프행어스윙 서클+로프 클라임플라잉 바
제27회암 바이크플라잉 바얼티메이트 클리프행어점핑 링+체인 시소+로프 클라임바 그라이더
제28회럼블링 다이스아이언 패들러크레이지 클리프행어커튼 클링버티컬 리미트파이프 슬라이더
제29회럼블링 다이스아이언 패들러크레이지 클리프행어커튼 클링버티컬 리미트파이프 슬라이더
제30회럼블링 다이스아이언 패들러드럼 호퍼크레이지 클리프행어버티컬 리미트파이프 슬라이더
제31회드럼 호퍼아이언 패들러사이드와인더・R크레이지 클리프행어버티컬 리미트 개파이프 슬라이더
제32회드럼 호퍼 개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R 개울트라 크레이지 클리프행어+버티컬 리미트 개파이프 슬라이더
제33회드럼 호퍼 개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 개울트라 크레이지 클리프행어+버티컬 리미트 개+파이프 슬라이더
제34회드럼 호퍼 개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 개울트라 크레이지 클리프행어+버티컬 리미트 개파이프 슬라이더
제35회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 개플래닛 브릿지울트라 크레이지 클리프행어버티컬 리미트 개파이프 슬라이더
제36회[180]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 개플래닛 브릿지울트라 크레이지 클리프행어버티컬 리미트 개파이프 슬라이더
제37회[181]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 개플래닛 브릿지클리프행어 디멘션 (정지)버티컬 리미트 개파이프 슬라이더
제38회[183]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 개플래닛 브릿지클리프행어 디멘션버티컬 리미트 개파이프 슬라이더
제39회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스윙 에지클리프행어 디멘션버티컬 리미트 개파이프 슬라이더
제40회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스윙 에지클리프 디멘션버티컬 리미트 개파이프 슬라이더
제41회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스윙 에지클리프 디멘션버티컬 리미트.BURST파이프 슬라이더
WORLD CUP 2024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스윙 에지클리프 디멘션버티컬 리미트.BURST파이프 슬라이더
제42회플라잉 바+사이드와인더스윙 에지클리프 디멘션버티컬 리미트.BURST파이프 슬라이더



'''+'''는 코스간이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 주요 코스 (상세 설명)
  • 플라잉 바 (제25 - 27회, 제32회 - ): 바에 매달려 점프하여 1.5m 전방 접시에 바를 걸어 나아간다. 제33회부터는 골 지점에 착지하거나 다음 구역으로 직접 뛰어든다.[159] 제35회 대회 이후 3rd의 스타트 구역이 되었다.
  • 사이드 와인더 (제39회 - ): 홈이 있는 폴[160]에 매달려 1.8m 떨어진 다른 폴로 뛰어넘는다. 폴은 4개 있으며, 2번째 폴은 매달리면 60cm 떨어진다. 1·3번째 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 스윙 에지 (제1형태...제39회 - 제41회, 제2형태...제42회 - ): 앞뒤로 흔들리는 X자 모양 판의 좌우 돌기를 잡고, 전방 판의 돌기로 뛰어넘는다. 판은 3장이며, 2번째와 3번째는 돌기가 뒤쪽에 있어 보이지 않는다.[161] 제42회에는 2번째 판이 Y형으로 바뀌어 난이도가 높아졌다.
  • 클리프행어 디멘션[163][32] (제37회 - 제39회) → 클리프 디멘션 (제40회 - ): 3cm 돌기[164]에 손가락을 걸고 이동한다. 뒤쪽 돌기로 2번 뛰어넘는다. 1번째는 상하로 90cm[165], 2번째는 앞뒤로 90cm 움직이는 돌기이다.
  • 버티컬 리미트.BURST《버스트》 (제41회 - ): 사상 최강 구역. 4개의 원기둥에 부착된 판 하부의 깊이 1cm 돌기를 잡고 이동한다. 제1·2, 제5·6 노란 돌기는 회전하며, 60도 회전에 의한 중력에 견뎌야 한다.[167]
  • 파이프 슬라이더 (제2 - 17회, 제28회 - [170]): 2개의 레일[171] 위의 파이프에 매달려 체중 이동으로 나아간다. 종점에 도달하면 몸을 흔들어 골로 뛰어넘는다.


총 4,000명의 참가자 중 제2 스테이지 통과자 522명 중 250명이 제3 스테이지에 도전했다. 지금까지 단 28명만이 이 스테이지를 통과했으며, 오모리 아키라, 야마모토 신고, 나가노 마코토, 우루시하라 유우지, 마타치 료, 모리모토 유스케, 타다 타츠야 등 7명만이 2번 이상 통과했다. 한 대회에서 제3 스테이지를 가장 많이 통과한 기록은 3회[7]와 24회[8] 대회에서 달성된 5회이다.

4. 1. 4. FINAL STAGE

(ver1)제18회-21회쇠사다리 (13m)G 로프 (10m)45초23m제3 형태
(ver2)제22회-제24회헤븐리 래더 (13m)제4 형태제25회-제27회얼티밋 로프 클라임 (20m)40초20m제4.5 형태제28회밧줄 오르기 (23m)35초23m제5 형태제29회-제31회스파이더 클라임 (12m)밧줄 오르기 (12m)30초24m제6 형태제33회-제38회스파이더 클라임 (8m)서먼 래더 15단 (7m)밧줄 오르기 (10m)45초25m제7 형태제39회-스피드 클라이밍 (8.5m)25.5mW컵 2024없음[244]

4. 2. 주요 장애물 (최신 버전, 2024년 기준)

대회는 1년에 두 번, 3월과 9월에 개최된다. 각 스테이지는 거의 모든 신체 기능을 필요로 한다. 다음은 2024년 기준 최신 버전의 주요 장애물 정보이다.

; 1. 쿼드 스텝스(Quad Steps, 제32회~)

: 미국판 SASUKE "American Ninja Warrior"에서 사용되는 구역을 역수입했다. 4개의 비스듬히 세워진 발판을 뛰어넘어가며 나아간다.[113] 오단 뛰기와 유사하지만, 발판의 폭이 90cm로 넓고 재질이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과거 오단 뛰기 계열 구역에 존재했던 "발판을 손으로 잡으면 실격"이라는 규칙은 폐지되었지만, "숏컷을 하면 안전상의 이유로 실격"이라는 규칙은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존재한다.[114] 다음 구역으로는 4번째 발판에서 직접 이동한다. 처음 등장한 제32회에는 지금에 비해 발판이 흔들리지 않았다. 제38회부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방지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해 발판에 검은 천이 덮였다.[115]

; 2. 롤링 힐(Rolling Hill, 제31회~)

: 과거 1st 구역이었던 폭포 오르기(통나무 오르기)와 폭포 내려오기(통나무 내려오기)의 리메이크 버전이다. 경사면에 배치된 회전하는 5개의 롤러[116]에 뛰어 붙어 올라간 후, 마찬가지로 회전하는 롤러 5개가 설치된 경사를 내려와 반대편에 착지한다. 제32회부터 오르는 롤러 아래에 깔린 검은 매트를 밟으면 실격되지만,[117] 매트를 차는 등 닿는 것은 문제없다. 제34회 이후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정상에서 도약하여 공략하는 것은 금지되었다.[118] 또한, 오르는 부분에서는 롤러 옆에 설치된 판에 손을 대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며,[119] 제40회 대회에서 마타치 료가 이 구역으로 이동할 때 롤러 옆 판에 손을 대어 실격되었다.[120][121]

; 3. 스크류 드라이버(Screw Driver, 제42회~)

: 제42회 대회에 등장한 새로운 구역이다. 구역 입구의 버튼을 누르면 가로 T자형 막대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안쪽으로 가기 전에 경사 30°의 발판을 달리고, 직경 50cm, 가로 길이 1.6m인 회전하는 막대에 뛰어 붙는다. 이는 샷건 터치와 마찬가지로 스피드, 높이뛰기 도약력, 그리고 충격과 반동을 받아내는 파워가 요구된다. 하프 파이프 어택이나 버터플라이 월(후술), 과거 KUNOICHI에 있던 비상주가 복합된 것 같은 구역이다. 회전하는 막대의 움직임은 공식 X(트위터)의 선수 소개 영상에서 공개되고 있다.[122] 막대의 회전은 한 바퀴뿐이며, 놓치면 사실상 리타이어가 된다.[123] 여성의 경우에는 남성보다 막대의 회전이 느려진다.[124] KUNOICHI에서도 2025년 1월 방송될 제12회 대회에서 도입이 발표되었지만, 발판은 평지이며 버튼을 눌러 똑바로 달려 잡도록 되어 있다.

; 4. 피쉬 본(Fish Bone, 제33회~)

: 『KUNOICHI2017』에서 역수입된 구역이지만, 발판의 높이가 다르다. 징검다리 모양으로 설치된 직경 30cm의 원주형 발판 4개를, 선수 시점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전동 회전하는 빨간 폴을 피하면서 건넌다. 발판에 손을 대고 넘거나,[125] 발판을 하나라도 건너뛰면 실격[126]되지만, 폴이나 구역을 구축하는 철골을 만지는 것은 실격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폴을 잡고 회전을 멈추면 실격된다.[127] 제33회에서는 4번째 발판만 길고 불안정했다. 제34회에서는 폴이 20개,[128] 제35회 이후에는 22개로 늘었다.[129] 제37회 이후에는 역회전하는 노란색 폴 9개와 발판 2개가 늘어나 발판의 단차는 조금 완만해졌다. SASUKE 월드컵 2024에서는 폴이 2개 더 늘어났고,[130] 총 37개가 된 제42회 대회에서는 4・5번째 사이에 4개가 추가되어 역회전 타이밍을 재거나 작은 휴식을 취할 수 없도록 난이도가 높아졌다.[131][132]

; 5. 트윈 다이아몬드(Twin Diamond, 제41회~)

: Amazon Prime Video에서 배포되는 『풍운! 타케시성』에 등장하는 어트랙션 "블록 블록"의 어레인지 버전이다. 자동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마름모꼴 발판 2개를 건넌다. 측면에는 보석을 본뜬 무늬가 있으며, 미끄럼 방지 천은 하나만 붙어 있다. 첫 등장 시 약 20명이 리타이어했다.

; 6. 드래곤 글라이더(Dragon Glider, 제35회~)

: "American Ninja Warrior"에서 사용되는 구역 "Double Dipper"에 트램펄린 도약을 합친 구역이다. 트램펄린으로 도약하여 레일에 올라탄 금속 바에 매달려 레일을 미끄러져 반대편에 착지한다. 레일은 중간에 끊어져 있으며, 첫 번째 레일을 활강한 후 기세를 죽이지 않고 두 번째 레일에 설치된 바에 뛰어넘어야 한다. 더블 펜듈럼과는 달리, 일단 바를 놓치면 기세가 꺾여 다음 바로 옮겨갈 수 없게 된다. 탈선 방지 스토퍼는 붙어 있지만, 체중을 잘못 실으면 바가 레일에서 벗어날 수 있다. 도중에 바가 탈선해도 반대편에 착지할 수 있다면 클리어로 인정된다. 제40회에 바가 레일에서 탈선하는 선수가 속출했기 때문에, 제41회 이후에는 레일에 체인을 연결하여 대책을 마련했다. 여성은 트램펄린 위치가 앞으로 밀려나 바와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 이 구역의 공략법으로 첫 번째 바를 순수와 역수로 잡고, 두 번째 바를 순수와 순수로 잡는 방법이 있다.[133] 순수와 역수로 잡으면 바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공중 자세가 안정된다.[134] 이 방법은 야마다 가츠미가 파이프 슬라이더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일부 유력 선수도 사용했지만, 드래곤 글라이더를 처음 클리어한 히오키 마사시가 사용하면서 "순역(준사카)"이라는 이름으로 팬과 선수들 사이에서 빠르게 퍼져, 현재는 해외 선수들에게도 "준사카"로 알려져 있다.

: 『KUNOICHI』 제11회(2018년 7월 방송) RED 스테이지에도 이 구역이 등장했지만, 레일이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탈선도 발생하지 않는다.

; 7. 태클(Tackle, 제31회~)

: 제5회 2nd STAGE에 설치되었던 태클 머신의 진화 버전이다. 레일 2개 위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240kg・300kg・320kg, 총 860kg의 벽 3개를 태클로 밀어내 벽을 연결하면서 12m 나아간다. 벽 무게는 첫 등장한 제31회에만 140kg・160kg・180kg, 총 480kg이었다. 여성은 보통 절반 무게[135]를 밀도록 되어 있다. 밀어낸 후에는 태클하는 부분을 올라 다음 구역으로 이동한다. 레일 종반에는 경고색 라인이 있으며, 거기에 벽 3개가 모두 넘어가면 종점까지 밀어내지 않아도 된다. 이 구역에서는 착수하는 일이 없지만, 다리 힘이 소모되기 때문에 직후의 솟아오르는 벽의 난이도를 급격하게 올리는 구조이다. 또한, 직전의 드래곤 글라이더 통과에 시간이 걸리면 이 구역에서 타임 오버될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 1명이 이 구역에서 리타이어했다.[136]

; 8. 솟아오르는 벽 (4.5m판, 제31회~)

: 굽어진 벽을 달려 올라가 정상에 손을 걸고 기어 올라간다.[137] 높이는 여러 번 변경되었으며, 2023년 현재는 4.5m[138]이다. 여성, 중학생 이하, 50세 이상 남성은 정상이 낮아진다.[139] 과거에는 코스 아웃해도 실격되지 않았다.[140] 다시 하거나 실패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불가능한 SASUKE 구역 중에서 실패해도 다시 할 수 있는 드문 구역이다.[141] 특성상 더 이상 나아갈 수 없게 되면 필연적으로 다시 해야 하므로, 시간 초과로 탈락하는 도전자가 매우 많아, 등장한 모든 회에서 반드시 1명 이상은 여기서 리타이어했다.[142] 아키야마 카즈히코, 야마다 카츠미가 여기서 5번 리타이어했고, 완전 제패자도 모두 여러 번 리타이어한 경험이 있다. 오랫동안 사용되면서 스테이지 리뉴얼 등으로 색이나 디자인도 여러 번 변경되었다. 제39회에는 비 때문에 미끄러워져 리타이어가 속출했기 때문에, 제40회부터 비 대책[143]이 실시되었다. 월드컵 2024에서는 특별 규칙으로 최대 3회까지 도전할 수 있도록 제한되었다.

: 『KUNOICHI』 제9회(2017년 7월 방송) RED 스테이지에도 이 구역이 등장하며, 높이는 4.2m이다.

; 1. 로링 로그(Rolling Log, 제38회~)

: 과거 "로링 통나무"라는 명칭으로 1st에 등장했던 구역을 마이너 체인지한 버전이다. 레일에 놓인 통나무에 매달려 회전하면서 레일을 내려가 반대편에 도달한다. 반대편까지는 대략 6회전[144]한다. 통나무와 같은 모습은 아니며, 미끄러지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 제1 구역에 놓여 있어 제2 구역 이후를 어지러운 상태로 공략해야 한다.

: 제37회에는 2nd 제1 구역으로 등장했지만, 비 때문에 "경기에 안전성과 공정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판단으로 사용이 보류되었고, 제2 구역인 서먼 래더부터 시작했다. 제42회에도 비가 왔지만, 경기 진행 중 내리기 시작했기 때문에 사용되었다.[145]

: 제39회부터 이동 거리가 조금 짧아졌고, 회전수도 7회로 줄었다. 하지만 제41회에는 통나무 회전 속도가 빨라졌다.

: 『KUNOICHI』 제12회 대회에도 도입되었다.

; 2. 서먼 래더 오르기・3. 서먼 래더 내려가기(Salmon Ladder, 제31회~)

: 서먼 래더 제4 형태이다. 바에 매달린 상태에서 바를 상단 돌기에 밀어 올려 올라가는 "서먼 래더 오르기"를 4번 하고, 다 올린 후 뒤에 있는 다른 바에 이동하여 최상단 돌기에서 최하단 돌기로 내려가는 "서먼 래더 내려가기"를 3번 한다. 바를 잡으면 부유물이 없어진다. 돌기 간격은 제33회까지 40cm,[146] 제34회에는 38cm였다. 이전 형태인 스왑 서먼 래더에 존재했던 "한쪽이 기울어진 시점에서 실격"이라는 규칙은 폐지되었다. 최하단에서 한쪽이 기울어져도 와이어로 매달려 있어 떨어지지 않고 실격되지 않는다.[147] 초기 서먼 래더와 달리 상부 고정만 되어 있어 흔들리기 쉽다.

; 4. 스파이더 워크[148][31](Spider Walk, 제28회~)・5. 스파이더 드롭(Spider Drop, 제30회~)

: 스파이더 워크 통산 제4 형태이다. 과거 1st 구역에 있었던 점핑 스파이더 벽과 마찬가지로, 벽 4개 사이를 수평→수직→수평으로 이동하고, 그대로 5번째 벽으로 이동한다. 제30회부터 5번째 1.8m 아래에 있는 6번째 벽으로 이동하는 "스파이더 드롭"이 추가되었다.[149] 제40회에는 구역명이 "스파이더 런"으로 변경되었다. 과거에는 규칙 위반이었지만, 제41회에는 양손으로 몸을 지지하여 스파이더 런 종착점에 있는 검은색 그물을 회피하여 날아가는 것으로 스파이더 드롭을 거치지 않고 클리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150][151] 미끄럼 방지 스프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 6. 백 스트림(Back Stream, 제28회~)

: SASUKE 사상 최초로 착수가 인정된 구역이다. 전장 9m,[152] 깊이 1.5m[153]의 풀을, 수중에 설치된 머신에서 발생하는 역류에 거슬러 헤엄쳐 출구까지 나아간다. 헤엄치는 방법은 자유이며, 고글 착용이 허용된다. 제29회에는 역류 파워가 두 배로 증가하여 난이도가 상승했고,[154] 17명 중 11명이 리타이어했다. 제31회까지는 풀 오른쪽을 헤엄쳐 역류 영향을 회피하는 선수가 많았기 때문에, 제32회 이후에는 수류 머신이 2대가 되었다. 출구에서 탈출하여 다음 리버스 컨베이어로 이동할 때 미끄럼틀에서 오버런하여 노란색 매트에서 벗어나면 코스 아웃으로 실격된다.[155] 참고로 선수가 익사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라이프 세이버가 대기하고 있다.

; 7. 리버스 컨베이어(Reverse Conveyor, 제32회~)

: 터널 안을 움직이는 길이 8m의 벨트 컨베이어를 시속 20km의 흐름에 거슬러 엎드려 나아간다. 제13회까지의 구역명은 "역주 컨베이어"였다. 제7회에 터널 구조가 약간 변경되어 컨베이어 마지막 부분까지 터널이 이어져 있었다. 제8회에는 폭우로 인한 감전 방지를 위해 전원이 차단되었다. 제32회에 "리버스 컨베이어"라는 명칭으로 부활했다. 백 스트림에 대항하여 "육지의 역류"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백 스트림에서 젖은 몸 때문에 미끄러지기 쉬워져 난이도가 증가했다. 제32회에는 컨베이어 사양 때문에 선수가 타면 컨베이어가 멈추기 쉬웠지만, 제33회에는 컨베이어가 바뀌어 선수가 타도 멈추지 않게 되었다. 터널 마지막 부분에서 떨어지면 착수[156]하여 실격된다.[157] 컨베이어 가동 부분 이외를 이용하여 나아가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으며, 제36회 모리 와타루, 제42회 이모토 쿄진이 가동 부분 이외에서 체중을 지탱하여 심의 끝에 실격되었다. 『KUNOICHI』 제9회(2017년 2월 방송) BLUE 스테이지에도 이 구역이 등장한다.

; 8. 월 리프팅(Wall Lifting, 제30회~)

: 1번째 벽 30kg, 2번째 벽 40kg, 3번째 벽 50kg을 들어 올려 통과한다. '''구역 개요는 변함없이 가장 많은 회차에 등장한 구역'''이며, 42회 중 39회 사용되었다. 제1회 표기는 "WALL LIFTING", 제2・3회는 "WALL LIFTING RUN"이었다. 디자인은 몇 번 변경되었는데, 제12회까지는 노란색과 검은색 줄무늬에 "1・2・3", 제13-17회는 은색과 검은색에 로마 숫자 "I・II・III", 제19-27회는 나무로 되어 있고 숫자가 없었다. 제30-34회까지는 패싱 월(후술)과 마찬가지로 회색 베이스에 "壱・弐・参"이었다. 제35회부터는 은색 베이스에 오른쪽 아래에 아라비아 숫자 "1・2・3"이 되었다. 몸을 끼울 위험 때문에 제21회에 벽과 바닥 틈새가 제20회 이전보다 커졌다. 제28・29회 패싱 월에서는 벽을 들어 올리지 않아도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틈새가 있었지만, 제30회에 약간 개선되었다. 제32회 이후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제어 장치와 벽 최상부가 와이어로 연결되어 들어 올린 후 아래까지 일시적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어 통과가 용이해져 난이도가 낮아졌다. 한편, 벽 아래 틈새가 완전히 메워져 거의 올리지 않고 통과하는 수법은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제21회부터 3번째 벽 뒤에서 골까지 거리가 제20회 이전보다 길어졌다. 『KUNOICHI』 제9회(2017년 2월 방송) BLUE 스테이지에도 이 구역이 등장한다.

; 1. 플라잉 바(Flying Bar, 제32회~)

: 바에 매달려 기세를 붙여 바째로 점프하여 1.5m 전방 좌우 접시에 바를 걸어 나아간다. 착지 지점이 어긋나면 바와 함께 낙하하지만, 제33회부터는 바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끝까지 나아가면 몸을 흔들어 골 지점에 착지하거나 다음 구역으로 직접 뛰어든다. 첫 번째 접시에서 단번에 세 번째 접시까지 뛰어넘어도 문제없다.[159] 제26회까지는 제7구역(3rd 최종 구역)이었지만, 도달한 사람은 없었다. 제27회에 제2구역으로 이동하여 뛰어넘는 횟수가 착지를 제외하고 4회에서 2회로 줄었다. 같은 대회에서 철거되었다가 제32회에 부활했다. 제33회 이후에는 끝까지 뛰어넘은 후 휴식 없이 사이드 와인더로 직접 이동한다. 제34회부터 접시 폭이 넓어져 난이도가 약간 낮아졌다. 제35회 대회 이후 3rd 스타트 구역이 되었다.

; 2. 사이드 와인더(Side Winder, 제39회~)

: 사이드 와인더 통산 제4 형태이다. 홈이 있는 폴[160]에 매달려 1.8m 떨어진 다른 폴로 뛰어넘는다. 폴은 4개이며, 2번째 폴은 매달리면 60cm 떨어진다. 1・3번째 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 때문에 뛰어넘는 타이밍을 놓치면 한 바퀴 돌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손가락을 더 소모하게 된다. 제40회 이사 가즈노리는 4번째에 잡히지 못하고 던져졌지만 발판에 착지하여 세이프가 되었다. 제41회에는 바로 다음 휴게 지점 발판 중앙 부분이 철거되어 4번째에 확실히 매달릴 필요성이 높아졌다.

; 3. 스윙 에지(Swinging Edge, 제39회~)

: "American Ninja Warrior"의 구역 "Falling Shelves"를 어레인지한 것이다. 앞뒤로 흔들리는 X자 모양 판 좌우에 있는 돌기를 양손으로 각각 잡고, 반동을 주어 전방에 있는 다음 판 돌기로 뛰어넘는다. 판은 총 3장 있으며, 1번째 판 돌기는 앞에 있어 선수 쪽으로 보이지만, 2번째와 3번째는 돌기가 뒤쪽에 있어 보이지 않는 돌기를 껴안듯이 잡아야 한다. 뛰어넘을 때 돌기가 아닌 틀 부분을 잡으면 룰 위반으로 실격된다.[161] 돌기를 옆에서 잡거나 틀에 잠깐 닿는 정도는 괜찮다.[162] 제39회 또치 료가 휴게 지점에 발이 닿아 균형을 잃고 낙하했기 때문에, 제41회부터 발판 중앙 부분이 철거되었다. 하지만 앞 구역인 사이드 와인더에 발이 닿을 가능성은 있다. 제42회에는 2번째가 돌기 2개인 X형에서 돌기 1개인 Y형으로 마이너 리뉴얼되어 난이도가 증가했고, 신 버전 첫 회에서 15명 중 6명이 탈락했다.

; 4. 클리프 디멘션(Cliff Dimension, 제40회~)

: 클리프행어 통산 제8 형태이다. 3cm 돌기[164]에 손가락을 걸고 옆으로 이동하여 건너간다. 단차는 없지만, 뒤쪽 돌기로 뛰어넘는 것이 2번 있다. 1번째는 1.8m 뒤쪽의 전동으로 상하 90cm[165] 움직이는 돌기로, 2번째는 180cm~270cm 간격으로 앞뒤 90cm 움직이는 돌기로 각각 뛰어넘는다. 제38회에는 제2돌기와 제3돌기 움직이는 속도가 각각 달랐기 때문에, 스타트 타이밍을 잘못하면 돌기가 가까워질 때까지 매달려 있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제40회 이후는 최상부에 도달하면 간격이 180cm, 최하부에 도달하면 간격이 270cm가 된다.

: 처음 등장한 제37회에는 비 때문에 전동 모터에 불량이 발생하여 움직이는 기능이 정지된 상태로 사용되었다. 그래서 처음 가동된 상태로 사용된 제38회에서도 신 구역 취급을 받았다.

: 해외 선수 클리어는 SASUKE2024 시점에서 당시 첫 도전인 일리안 셰리프(제42회)뿐이다.[166]

; 5. 버티컬 리미트.BURST《버스트》(Vertical Limit Burst, 제41회~)

: 버티컬 리미트 최신 버전이자, 이누이 마사토 왈 이전 형태에서 2% 제한을 해제한 상태이다.

: 위에서 튀어나온 원기둥 4개에 부착된 판 하부에 있는 깊이 1cm 돌기에 역수로 잡고 옆으로 이동하는 '''SASUKE 사상 최강 구역'''이다. 주변에도 1cm 돌기가 몇 개 있지만 잡을 수 없다. 제3・제4 빨간 돌기는 고정되어 있지만, 제1・제2, 제5・제6 노란 돌기는 자중에 의해 회전한다. 제1, 제2 돌기와 제5, 제6 돌기는 각각 공통된 회전 축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제5→제2・제6 돌기로 이행할 때는 60도 회전에 의한 중력에 견뎌 잡아야 한다. 회전 기구에는 특수 기믹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누이 마사토는 "그냥 만드는 것만으로는 같은 것이 완성되지 않는다"고 말했다.[167] 제3돌기와 제4돌기 사이에는 38cm, 제4돌기와 제5돌기 사이에는 60cm 공백이 있다. 여기를 클리어한 후에는 브레이크 존의 녹색 파이프로 옮겨 휴식을 취할 수 있다.[169] 제42회 시점에서 이 버전 성공자는 미야오카 료스케뿐이다.

; 6. 파이프 슬라이더(Pipe Slider, 제28회~)

: 처음 등장은 제2회였다. 제17회를 마지막으로 오랫동안 철거되었지만, 제28회에 부활했다. 레일 2개[171] 위에 있는 파이프에 매달려 체중 이동으로 나아간다. 종점에 도달하면 몸을 흔들어 골로 뛰어넘어 착지한다. 제28회부터는 착지 발판이 도전자의 무릎 아래 정도 높이가 되었다. 도달자는 없었지만, 제28회에는 착지 지점 거리가 매우 멀었다. 제29회에는 타임이 있었기 때문에 골 지점에 버튼이 있었지만, 클리어한 사람이 없어 눌러지지 않았다. 제2 - 13회에는 레일이 전반과 후반으로 나뉘어, 전반이 끝나면 브레이크 존의 녹색 파이프[172]에 걸터앉아 쉴 수 있었다. 제4회부터는 착지 지점이 멀어져 몸을 흔들어 뛰어넘어야 클리어할 수 있게 되었다.[173] 제14회에 전반 부분이 철거되고 점핑 바, 클라이밍 바가 신설되었다. 휴게 지점과 후반 파이프 슬라이더 사이에 데빌 브랑코가 추가되었다. 제33・34회에는 버티컬 리미트 개량에서 직접 이동하여 도전하는 구역이었다. 제4회까지는 파이프 양쪽이 와이어로 지지되어 탈선해도 선수가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그 후에는 와이어가 한쪽만 되어 탈선하면 파이프가 세로로 늘어져 선수가 그대로 낙하하게 되었다. 완전 제패자와 SASUKE 올스타즈는 모두 여기서 최소한 1번은 리타이어를 경험했다.

: 『KUNOICHI』 제10회(2017년 7월 방송) BLACK 스테이지에도 이 구역이 등장한다.

지상 25.5m. 제한 시간 45초. 월드컵 2024는 카운트 업 방식으로 시간 제한 없음.

; 1. 스피드 클라이밍 8.5m

: 나라사키 토모아・노구치 아키요 감수. 스포츠 클라이밍 스피드 종목을 의식한 벽을 오른다. 『KUNOICHI 2009 가을』의 클라임 보드와 비슷한 구역이다. 다 오르면 상단이 발판이 되어 거기서 서먼 래더로 이동한다. 돌출부 배치는 본래 스피드 클라이밍 배치와 다르다. 제한 시간은 나라사키가 실제로 도전하여 클리어하는 데 걸린 시간이라고 한다.

: 제39회에는 FINAL 진출자가 없어 이 구역이 검은 천으로 가려진 채 전모가 밝혀지지 않았고, 나라사키・노구치가 감수했다는 사실만 공표되었다.

; 2. 서먼 래더 15단 7m

: 2nd "서먼 래더 오르기"와 요령은 같지만, 단수가 15단으로 대폭 증가했고, 각 단 간격이 38cm에서 45cm로 넓어졌다. 2nd 서먼 래더 돌출부가 나무인 것에 비해 이쪽은 금속이어서 상승 시 충격이 커 상당한 부담이 가해지므로 난이도는 2nd 서먼 래더와 비교하여 매우 높다. 15단을 다 오르면 바가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로 바가 고정된다. 제32회 첫 도입 당시에는 단수가 20단인 대신 돌출부 간격이 좁았지만, 현 사양으로 변경된 후 진출자가 나타났기 때문에 20단 버전은 본 대회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바가 양쪽 돌출부에서 이탈하면 실격된다.[174] 최상단에 도달한 후 바는 밧줄 오르기 발판으로 사용해도 된다.

; 3. 밧줄 오르기 10m

: 매번 열리는 FINAL STAGE의 최종 구역이다. 단순하지만 앞서 언급한 구역들을 통과한 후 체력이 상당히 소모된 상태에서 도전해야 하며,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완주해야 하므로 체력과 시간 모두 촉박한 상황에서 상당히 빠른 속도로 올라야 한다.

제2회 대회부터 제34회 대회까지[176]는 과거 별명인 "SASUKE의 숲"을 이미지한 정글과 같은 스테이지 디자인으로, 벽에 덩굴 식물이 붙어 있었지만, 제35회 대회 이후에는 덩굴과 나무가 완전히 철거되었다. 제2회-제12회, 제25회는 녹색, 제13회-제17회, 제28회는 검은색, 제18회-제24회, 제26회-제27회, 제29회부터는 빨간색을 강조한 코스가 되었다.

5. 예선

SASUKE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오디션이나 예선회를 통과해야 한다. 출전자는 다양한 직종에서 선발되며, 한 직종 당 한 명을 기준으로 100명이 선발된다.[26] 하지만 일반 응모를 통해 출전할 수 있는 인원은 5000명 중 20명 정도로 매우 적다.[27][28]

선발 기준은 신체 능력뿐만 아니라 '멋짐'이라는 요소도 중요하게 고려된다. 이는 SASUKE가 단순한 스포츠 선수권 대회가 아니라, 여러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시청자들이 응원하고 싶어지는 인간적인 면모를 중시하기 때문이다.[26]

과거에는 올림픽 메달리스트도 출전했지만, 좋은 성적을 낸 선수들은 대부분 SASUKE에 모든 것을 쏟아부은 일반인이었다. 이는 SASUKE가 올림픽 메달리스트나 최고 수준의 운동선수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이 빛날 수 있는 기회의 장이라는 것을 보여준다.[23]

5. 1. 최근 종목 (제42회 "SASUKE 2024" 버전)

SASUKE 2024영어 버전. 괄호 안은 사용된 회차를 나타낸다.

; 1. 쿼드 스텝스(제32회 - )

: 미국판 SASUKE "American Ninja Warrior영어"에서 사용되는 구역을 역수입했다. 4개의 비스듬히 세워진 발판을 뛰어 넘어가며 나아간다[113]。오단 뛰기와 유사하지만, 발판의 폭이 90cm로 넓고 재질이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과거 오단 뛰기 계열 구역에 존재했던 "발판을 손으로 잡으면 실격"이라는 규칙은 폐지되었지만, "숏컷을 하면 안전상의 이유로 실격"이라는 규칙은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존재한다[114]。다음 구역으로는 4번째 발판에서 직접 이동한다. 처음 등장한 제32회에는 지금에 비해 발판이 흔들리지 않았다. 제38회부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방지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해 발판에 검은 천이 덮였다[115]

; 2. 롤링 힐(제31회 - )

: 과거 1st 구역, 폭포 오르기(통나무 오르기)・폭포 내려오기(통나무 내려오기)를 리메이크했다. 경사면에 배치된 회전하는 5개의 롤러[116]에 뛰어 붙어 올라간 후, 마찬가지로 회전하는 롤러 5개가 설치된 경사를 내려와 반대편에 착지한다. 제32회부터 오르는 롤러 아래에 깔린 검은 매트를 밟으면 실격되지만[117], 매트를 차는 등 닿는 것은 문제없다. 제34회 이후, 내려올 때는 안전상의 이유로 정상에서 도약하여 공략하는 것은 금지되었다[118]。오르는 부분에서 롤러 옆에 설치된 판에 손을 대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며[119], 제40회 대회에서 마타치 료가 이 구역으로 이동할 때 롤러 옆 판에 손을 대어 실격되었다[120][121]

; 3. 스크류 드라이버(제42회 - )

: 제42회 대회에 등장한 새로운 구역. 구역 입구의 버튼을 누르면 가로 T자형 막대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안쪽으로 가기 전, 경사 30°의 발판을 달리고, 직경 50cm, 가로 길이 1.6m의 회전하는 막대에 뛰어 붙는다. 샷건 터치와 마찬가지로 스피드, 높이뛰기 도약력, 그리고 충격과 반동을 받아내는 힘이 요구된다. 하프 파이프 어택, 버터플라이 월(후술), 과거 KUNOICHI에 있던 비상주가 복합된 것 같은 구역이다. 회전하는 막대의 움직임은 공식 X(이전 트위터)의 선수 소개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122]。막대 회전은 한 바퀴뿐이므로, 놓치면 사실상 리타이어다[123]。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막대 회전이 느리다[124]。KUNOICHI 제12회 대회(2025년 1월 방송 예정)에도 도입될 예정이지만, 발판은 평지이며 버튼을 눌러 달려가 잡도록 되어 있다.

; 4. 피쉬 본(제1형태…제33회, 제2형태…제34회, 제3형태…제35회・제36회, 제4형태…제37회 - 제41회, 제6형태…제42회 - )

: 『KUNOICHI2017』에서 역수입된 구역이지만, 발판 높이가 다르다. 징검다리 모양으로 설치된 직경 30cm의 원주형 발판 4개를, 선수 시점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전동 회전하는 빨간 폴을 피하면서 건넌다. 발판에 손을 대고 넘어가거나[125], 발판을 하나라도 건너뛰면 실격[126]이지만, 폴이나 구역을 구성하는 철골을 만지는 것은 괜찮다. 단, 폴을 잡고 회전을 멈추면 실격이다[127]。제33회에는 4번째 발판만 길고 불안정했다. 제34회에는 폴이 20개[128], 제35회 이후에는 22개로 늘었다[129]。제37회 이후에는 역회전하는 노란색 폴 9개와 발판 2개가 늘어나, 발판 단차는 조금 완만해졌다. 제42회 대회에서는 폴이 총 37개로 늘어나고, 4・5번째 발판 사이에 폴 4개가 추가되어 역회전 타이밍을 재거나 휴식하기 어려워졌다[131][132]

; 5. 트윈 다이아몬드(제41회 - )

: Amazon Prime Video에서 배포되는 『풍운! 타케시성』의 "블록 블록"을 변형한 구역. 자동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마름모꼴 발판 2개를 건넌다. 측면에는 보석 모양 무늬가 있으며, 미끄럼 방지 천은 하나만 붙어 있다. 첫 등장 시 약 20명이 리타이어했다.

; 6. 드래곤 글라이더(제35회 - )

: "American Ninja Warrior영어"의 "Double Dipper영어"에 트램펄린 도약을 합친 구역이다. 트램펄린으로 도약하여 레일에 올라탄 금속 바에 매달려 레일을 미끄러져 반대편에 착지한다. 레일은 중간에 끊어져 있으며, 첫 번째 레일을 활강한 후 기세를 유지하며 두 번째 레일의 바에 뛰어넘어야 한다. 더블 펜듈럼과 달리, 바를 놓치면 기세가 꺾여 다음 바로 옮겨갈 수 없다. 탈선 방지 스토퍼는 있지만, 체중을 잘못 실으면 바가 레일에서 벗어난다. 도중에 바가 탈선해도 반대편에 착지하면 클리어로 인정된다. 제40회에는 바가 레일에서 탈선하는 선수가 많아, 제41회 이후에는 레일에 체인이 연결되도록 조치했다. 여성은 트램펄린 위치가 앞으로 당겨져 바와의 거리가 가깝다.

: 이 구역의 공략법으로, 첫 번째 바를 순수와 역수로 잡고, 두 번째 바를 순수와 순수로 잡는 방법이 있다[133]。순수와 역수로 잡으면 바의 회전을 억제하고 공중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134]。이 방법은 야마다 가츠미가 파이프 슬라이더에서 처음 사용했고, 일부 선수도 사용했지만, 드래곤 글라이더를 처음 클리어한 히오키 마사시가 사용하면서 "순역(준사카)"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다.

: 『KUNOICHI』 제11회(2018년 7월 방송) RED 스테이지에도 등장했지만, 레일이 끊어지지 않아 탈선하지 않는다.

; 7. 태클(제2형태…제32회 - )

: 제5회 2nd STAGE의 태클 머신을 발전시킨 구역이다. 레일 2개 위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240kg, 300kg, 320kg(총 860kg)의 벽 3개를 태클로 밀어 연결하며 12m 나아간다. 여성은 절반 무게[135]를 민다. 밀어낸 후에는 태클하는 부분을 올라 다음 구역으로 이동한다. 레일 종반의 경고색 라인을 벽 3개가 모두 넘으면 종점까지 밀지 않아도 된다. 이 구역에서 다리 힘이 소모되기 때문에 직후 솟아오르는 벽의 난도가 높아진다. 드래곤 글라이더 통과에 시간이 걸리면 이 구역에서 타임 오버될 수 있으며, 실제로 1명이 리타이어했다[136]

; 8. 솟아오르는 벽(4.5m판…제31 - 38회・제41회 - )

: 굽은 벽을 달려 올라가 정상에 손을 걸고 기어 올라간다[137]。높이는 여러 번 변경되었으며, 2023년 현재 4.5m이다[138]。여성, 중학생 이하, 50세 이상 남성은 정상이 낮아진다[139]。과거에는 코스 아웃해도 실격되지 않았다[140]。실패해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드문 구역이다[141]。더 이상 나아갈 수 없으면 다시 도전해야 하므로, 시간 초과로 탈락하는 선수가 많아, 모든 회차에서 반드시 1명 이상 리타이어했다[142]。아키야마 카즈히코, 야마다 카츠미가 5번 리타이어했고, 완전 제패자들도 여러 번 리타이어했다. 색과 디자인도 여러 번 변경되었다. 제39회에는 비 때문에 미끄러워 리타이어가 속출하여, 제40회부터 비 대책이 실시되었다[143]

: 『KUNOICHI』 제9회(2017년 7월 방송) RED 스테이지에도 등장하며, 높이는 4.2m이다.

6. SASUKE 고시엔

2023년부터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SASUKE 고시엔이 개최되었다. 오디션에 합격한 8개 학교가 토너먼트 형식으로 대결하며, 우승 학교 대표 3명은 본선 출전권을 얻는다.[60]

6. 1. 종목

트윈 다이아몬드하나째→두번째나가오 카이2번피쉬본351st
롤링 힐오르기아오야기 타쿠미오타 고교(군마)5번롤링 힐오르기히루마 간요아오야마가쿠인 고등부(도쿄)4번341st
롤링 힐오르기이시즈카 유신오타 고교(군마)3번아베 라이도1번



'''2024년 (제42회 대회)'''

선수SASUKE 고시엔 (결승)본선
고교출전 순서결과비고제 킷켄결과비고
스즈키 코세이나토리 고교(미야기)1번클리어38.09초361st
솟아오르는 벽
시간 초과
오츠보 유텐세이사 고교(가나가와)4번49.66초
소노야마 마키야6번피쉬본중반
하야시 카나준2번초반
타카하시 세나토리 고교(미야기)5번롤링 힐오르기371st
드래곤 글라이더
1번째 종료
오바 리오3번381st
피쉬본
종반


7. 주요 출전 선수

SASUKE는 1997년부터 TBS에서 방영되는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직업과 배경을 가진 선수들이 참가하여 어려운 장애물 코스를 완주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음은 SASUKE에 참가했던 주요 선수들에 대한 간략한 정보이다.


선수 이름출전 횟수직업비고
오모리 아키라→몽키키12회탤런트, 구 오사루 (애니멀 계단)제1회~제3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연예계의 미스터 SASUKE"
케인 코스기7회 + 월드컵 2024액션 배우제8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제40회 대회에서 21년 만에 출전, 48세 최고령 클리어
셰인 코스기7회액션 배우
이케야 나오키22회몬스터 박스(높이뛰기) 세계 기록 보유자, 탤런트"역삼각형의 에일리언", "인간 날다람쥐"
카지와라 하야테5회요시모토자카46→근육 배우[62]제41회 대회 1st 스테이지 역대 최고 속도 45.39초
요르단 요브체프7회아테네 올림픽 평행봉 은메달, 마루 동메달리스트제8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외국인 최초 파이널리스트
리 엔치12회프로 록 클라이머 → 스포츠 트레이너제24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대만의 영웅"
드루 드레셸8회짐 트레이너, ASEAN OPEN CUP 2014 단체·개인 금메달리스트"''미국판 SASUKE American Ninja Warrior영웅"
Jessie Graff영어3회 + 월드컵 2024스턴트우먼
René Casselly영어2회 + 월드컵 2024코끼리 조련사제37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선수 이름출전 횟수주요 경력 및 기타 사항
오모리 아키라(몽키키)12회탤런트, 애니멀 계단 멤버, 연예계의 미스터 SASUKE 별명[55], 제1~3회 대회 파이널리스트, SASUKE 올스타즈 선구자
케인 코스기7회 + 월드컵 2024액션 배우, 제8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제40회 대회 48세 최고령 클리어
셰인 코스기7회액션 배우
이케야 나오키22회몬스터 박스(높이뛰기) 세계 기록 보유자, 역삼각형의 에일리언, 인간 날다람쥐 별명
카지와라 하야테5회요시모토자카46 출신 근육 배우[62], 제41회 대회 1st 스테이지 역대 최고 속도(45.39초)
오오시마 아야노8회 + 월드컵 2024신용금고 직원→키즈 퍼스널 트레이너, 제40회 대회 일본인 여성 23년 만에 1st 스테이지 클리어
키시모토 마야8회종이 제조 업→상사 "고도 상사" 영업 사원, 프라이팬, 중국식 냄비 구부리기 퍼포먼스, 제30회 3rd 스테이지 크레이지 클리프 행어 사상 3번째 돌파
폴 앤서니 테렉4회아테네 올림픽 10종 경기 선수

7. 1. 완전 제패자

7. 2. SASUKE 올스타즈

SASUKE의 유명 참가자들은 다음과 같다.

선수 이름출전 횟수직업비고
오모리 아키라→몽키키12회탤런트, 구 오사루 (애니멀 계단)제1회~제3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제7회까지 개근. "연예계의 미스터 SASUKE"라는 별명.
케인 코스기7회 + 월드컵 2024액션 배우제8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제40회 대회에서 21년 만에 출전, 48세 최고령 클리어 기록.
셰인 코스기7회액션 배우
이케야 나오키22회몬스터 박스(높이뛰기) 세계 기록 보유자, 탤런트"역삼각형의 에일리언", "인간 날다람쥐"라는 별명.
카지와라 하야테5회요시모토자카46→근육 배우[62]제41회 대회 1st 스테이지 역대 최고 속도 45.39초 기록.
요르단 요브체프7회아테네 올림픽 평행봉 은메달, 마루 동메달리스트제8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외국인 최초 파이널리스트.
리 엔치12회프로 록 클라이머 → 스포츠 트레이너제24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대만의 영웅"이라는 별명.
브라이언 오로스코5회프로 프리러닝 선수
레비 뮈엔버그5회프로 프리러닝 선수
데이비드 캠벨3회뮤지션
폴 카제미어2회소프트웨어 엔지니어
Brent Steffensen영어3회스턴트맨
Drew Drechsel영어8회짐 트레이너, ASEAN OPEN CUP 2014 단체·개인 금메달리스트"''미국판 SASUKE American Ninja Warrior영웅(또는 슈퍼스타)"이라는 별명.
Rene Casselly영어4회타히티안 댄스 강사
Jessie Graff영어3회 + 월드컵 2024스턴트우먼
René Casselly영어2회 + 월드컵 2024코끼리 조련사제37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다니엘 길2회 + 월드컵 2024아메리카 NINJA WARRIOR 완전 제패자·닌자 짐 코치·작가



자세한 내용은 SASUKE 올스타즈를 참조.

7. 3. SASUKE 신세대

7. 4. 모리모토 세대

모리모토 유스케를 중심으로, 다다 타츠야(야마가타 현청의 별, 야마가타 현청 직원), 사토 아츠시(파쿠르 전도사, 파쿠르 지도원, 파쿠르 협회 회장), 야마모토 케이타로(에이코 세미나 강사), 아라키 나오유키(카 디자이너) 등이 활약하는 세대를 가리킨다.

7. 5. 연예인 유력 선수

7. 6. 기타 국내 유력 선수

선수 이름출전 횟수주요 경력 및 기타 사항
오모리 아키라(몽키키)12회탤런트, 애니멀 계단 멤버, 연예계의 미스터 SASUKE 별명[55], 제1~3회 대회 파이널리스트, SASUKE 올스타즈 선구자
케인 코스기7회 + 월드컵 2024액션 배우, 제8회 대회 파이널리스트[55], 제40회 대회 48세 최고령 클리어
셰인 코스기7회액션 배우
이케야 나오키22회몬스터 박스(높이뛰기) 세계 기록 보유자, 역삼각형의 에일리언, 인간 날다람쥐 별명
카지와라 하야테5회요시모토자카46 출신 근육 배우[62], 제41회 대회 1st 스테이지 역대 최고 속도(45.39초)
야마모토 요시토3회트럭 운전사, 제1회 2nd 스테이지 최속 클리어, 3rd 스테이지 폴 브리지 리타이어, 제2회 1st 스테이지 최속 클리어[87], 2nd 스테이지 5연 해머 리타이어
타나베 토모에2회스턴트 우먼, 제2회 대회 SASUKE 사상 최초 여성 1st 스테이지 클리어, 2nd 스테이지 스파이더 워크 리타이어
하타케다 요시아키1회바르셀로나 올림픽 체조 동메달리스트, 제6회 대회 1st, 2nd 스테이지 최속 클리어, 3rd 스테이지 클리프 행어 리타이어
미야자키 다이스케4회핸드볼 일본 대표 에이스
오오시마 아야노8회 + 월드컵 2024신용금고 직원→키즈 퍼스널 트레이너, 제40회 대회 일본인 여성 23년 만에 1st 스테이지 클리어
키시모토 마야8회종이 제조 업→상사 "고도 상사" 영업 사원, 프라이팬, 중국식 냄비 구부리기 퍼포먼스, 제30회 3rd 스테이지 크레이지 클리프 행어 사상 3번째 돌파, 버티컬 리미트 중반 리타이어
나가노 카이오3회나가노 마코토 아들, 제41회 사상 최연소(14세) 1st 스테이지 클리어
폴 앤서니 테렉4회아테네 올림픽 10종 경기 선수


7. 7. 해외 유력 선수

SASUKE영어에는 여러 국가 출신의 실력 있는 선수들이 참가하여 경쟁을 펼친다. 다음은 그 중 주목할 만한 해외 선수들이다.

7. 8. 그 외 유명 선수

8. 용어 해설

9. 관련 프로그램 및 미디어

SASUKE일본어의 자매 프로그램으로 여성판 SASUKE일본어인 '''KUNOICHI'''(쿠노이치), 어린이판 "SASUKE JUNIOR", 노년층 대상 "SASUKE 시니어"가 개최되었다.

2014년 4월 23일에 시작한 프로그램 수요일의 다운타운에서는 종종 SASUKE일본어 관련 기획이 발표되었으며, SASUKE일본어의 단골 출연자인 야마다 카츠미가 출연했다.[268] 야마다는 SASUKE일본어 관련 기획 외에도 출연하는 경우가 있다.

; "홈센터 × SASUKE"(프레젠테이션: 쇼지 토모하루)



이름구역비고
레이저 라몬 HG더블 펜듈럼샌드백으로의 이행 실패
족대를 착용하고 시작, 타이 파이터에서 고무 장갑과 바큠 그립을 사용
야마다 카츠미타이 파이터시작 직후
사용 굿즈는 없음[269]
아카츠쿼드 스텝스2→3단째
족대를 착용하고 시작



; SASUKE일본어의 연못 물 전부 빼기(프레젠테이션: 하카타 다이키치)[270]



; 애연가, 흡연소까지의 길이 아무리 험난해도 향한다 설(프레젠테이션: 치도리 )[271]

10. 이벤트


:: 마루노우치 구내 광장에, 소리타츠 벽과 클리프 디멘션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이벤트에서는 단골 선수들의 토크쇼와 악력 측정 또한 개최되었다.
:: 오키나와에서 본선 단골 선수를 초청하여 개최된 이벤트. 비치 플래그와 공 넣기 등의 운동회를 시작으로, 연회와 굿즈 추첨회, 이른 아침 조깅 등이 진행되었다. 2024년에도 개최되었다.
:: 2023년 7월 29일 ~ 8월 20일에 기간 한정으로 개최된 SASUKE와 세계 육상, 아시아 대회의 트리플 콜라보레이션 이벤트. 아카사카 사카스의 광장에 특설된 본가와 무게가 다른 월 리프팅(2장), 허들 통과, 본가보다 낮은 사양의 소리타츠 벽 등 총 3종목을 클리어한 시간으로 경쟁한다. 2인 1조로 레이스를 펼치고, 승자에게는 세계 육상과 콜라보한 티슈 박스가 증정된다. 또한, 남녀별로 그날의 클리어 타임이 전체 상위 5위 안에 랭크된 참가자는, 프로그램 공식 X에서 이름(애칭도 가능)과 시간이 게재된다. 전체 최고 속도는 카지와라 하야테의 11.57s
:: 2024년 3월 23일, 시마네현마쓰에시에서 개최되었고, 장내에서 소리타츠 벽과 클리프 디멘션을 체험할 수 있는 이벤트에, 야마다 가쓰미, 나가노 마코토, 모리모토 유스케가 참가. 체험자 전원에게 잇폰만족 바를 증정[275]

참조

[1] 웹사이트 Sasuke 2005 http://www.tbs.co.jp[...] Tbs.co.jp 2011-10-12
[2] 간행물 The Great American Obstacle Course http://www.newyorker[...] 2016-07-08
[3] 뉴스 Average Joes become champions on 'Sasuke' http://search.japant[...] Japan Times 2011-09-30
[4] Youtube "[Historic Tournament 4/39] Kazuhiko Akiyama, 26, is a man who gave up on his dream of participating in the Olympics and his job as a hair crab fisherman due to congenital amblyopia. SASUKE's first complete victory achieved!! ︎" https://www.youtube.[...] 2023-01-28
[5] Youtube '[Historic Tournament 19/39] The only one in SASUKE history!! ︎An unprecedented tragedy and total annihilation at the 2nd stage... [SASUKE 40th Tournament Commemorative Playback]' https://www.youtube.[...] 2023-01-28
[6] Youtube https://www.youtube.[...] 2023-01-28
[7] Youtube https://www.youtube.[...] 2023-01-28
[8] Youtube https://www.youtube.[...] 2023-01-28
[9] Youtube 【歴代大会28/39】SASUKEオールスターズ最後の戦い!新世代へ引き継ぐ熱い魂 https://www.youtube.[...] 2023-01-28
[10] Youtube https://www.youtube.[...] 2023-01-28
[11] Youtube https://www.youtube.[...] 2023-01-28
[12] Youtube 新世代のリーダーへ】史上初2回目の完全制覇 達成【漆原裕治】 https://www.youtube.[...] 2023-01-28
[13] Youtube https://www.youtube.[...] 2023-01-28
[14] Youtube https://www.youtube.[...] 2023-01-28
[15] 웹사이트 Snow Man's Hikaru Iwamoto to representing Japan in First-Ever "SASUKE" World Championship https://www.tokyohiv[...]
[16] 서적 SASUKE公式BOOK 2023-12-14
[17] 웹사이트 『SASUKE』マンガ版、企画始動──! https://mangabox.ink[...] 2023-12-26
[18] 웹사이트 Yomigaeri no Sasuke https://anilist.co/m[...]
[19] 웹사이트 Ninja Warrior: Skred fra interview med Christiane http://ekstrabladet.[...] 2015-09-06
[20] 웹사이트 Кастинг в новый спортивный проект https://run.ctc.ru/ 2021-08-08
[21] 문서
[22] 문서
[23] 웹사이트 海外でも爆発人気、「SASUKE」の魅力 https://toyokeizai.n[...]
[24] 문서
[25] 문서
[26] 웹사이트 「SASUKEが生んだモンスターはふたりだけ。山田勝己と…」ーー総合演出が語った番組誕生&制作秘話 https://wpb.shueisha[...]
[27] 웹사이트 SASUKEに人生を捧げる男!自宅にセット建て13年トレーニングも…出場回数は0回 https://post.tv-asah[...]
[28] 문서
[29] 문서
[30] 웹사이트 知ってた? テレビ番組『SASUKE』は「ラピュタ」を模して作られていた https://www.e-aidem.[...]
[31] 웹사이트 商願2022-026888 https://www.j-platpa[...] 2022-12-30
[32] 웹사이트 登録6631411 https://www.j-platpa[...] 2022-12-30
[33] 문서
[34] 웹사이트 「SASUKE」が五輪種目に急浮上…日本のバラエティ番組のコンテンツ力を過小評価してはいけない 「選手に親近感を抱かせる」という発想は欧米にはなかった https://president.jp[...] 2022-08-17
[35] 뉴스 『SASUKE』マレーシア版、国家支援プロジェクトで始動!! https://www.tbs.co.j[...] TBS 2011-05-31
[36] 웹사이트 https://tbscontents.[...]
[37] 뉴스 サウジ王子来日、『SASUKE』アラビア語圏版制作でTBSと契約 https://www.afpbb.co[...] AFP 2015-05-22
[38] 웹사이트 SASUKE五輪競技化浮上にTBS安住紳一郎アナ「驚きましたね」実況の杉山アナ「感慨深い」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06-28
[39] 간행물 週刊プレイボーイNo.14 2018
[40] 뉴스 Obstacle racing to be tested as equestrian replacement in modern pentathlon https://www.reuters.[...] Reuters 2022-05-05
[41] 웹사이트 近代五種 馬術に代わる新競技にSASUKE浮上!?忍者競争候補 視聴者10億人、若者人気で白羽 https://www.daily.co[...] 2022-05-03
[42] 웹사이트 世界でバズる日本発のスポーツ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SASUKE』~カンヌ現地インタビュー前編 https://www.screens-[...] 2017-11-27
[43] 뉴스 『SASUKE』日本実写番組初の米地上波進出!日本の番組では初、日米放送局共同震災復興支援も! https://www.tbs.co.j[...] TBS 2011-05-31
[44] 웹사이트 アメリカ版「SASUKE」快進撃が止まらない! 番組初となる女性の制覇者誕生も話題に https://eiga.com/new[...] 2014-07-27
[45] 문서
[46] 웹사이트 近代五種、障害物テスト SASUKEセットも https://nordot.app/9[...] 2022-06-29
[47] 웹사이트 TBS人気番組「SASUKE」が五輪種目候補に 近代五種テスト大会で番組セットの使用決定 https://www.sponichi[...] 2022-06-27
[48] 웹사이트 「近代五種」 馬術を除外し障害物レース採用 IOCに変更提案へ https://web.archive.[...] 2022-11-13
[49] 웹사이트 近代五種の馬術、28年ロス五輪から「障害物レース」へ変更 https://www.yomiuri.[...] 2022-11-14
[50] 웹사이트 2028年ロサンゼルスオリンピックに野球・ソフトボールなど5競技追加 https://www.nikkei.c[...] 2023-10-25
[51] 웹사이트 ロサンゼルス・オリンピックでTBS系『SASUKE』をもとにした障害物レースが採用 https://www.chunichi[...] 2023-10-25
[52] 웹사이트 史上初『SASUKE』世界大会を日本で開催!世界から完全制覇者たちが集結!『SASUKEワールドカップ2024』|TBSテレビ https://topics.tbs.c[...] 2024-07-10
[53] 문서
[54] 문서
[55] 웹사이트 https://www.tbs.co.j[...]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63] Youtube 【歴代大会2/39】聖地緑山にSASUKEが初登場!山田が!毛ガニが!山本が!魔物が棲む杜に100人の魂が木霊する!【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64] Youtube 【歴代大会1/39】ケインコスギとあの芸能人が大活躍!君はSASUKE第1回を知っているか?山田勝己 山本進悟も登場の25年前の激闘【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65] Youtube 【歴代大会3/39】悲願の完全制覇へ13kgの減量を敢行した山田勝己栄光のゴールまで あと30cmと迫ったが…!?ここにミスターSASUKEの伝説が始まった!【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66] 서적 筋肉番付公式データブック完全版 音羽出版
[67] 문서
[68] Youtube 【歴代大会4/39】先天性の弱視でオリンピック出場の夢も毛ガニ漁師としての仕事も諦めた男 秋山和彦26歳。SASUKE史上初の完全制覇達成‼︎【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7
[69] Youtube 【歴代大会10/39】第10回記念大会!栄光のゼッケン1000番はこの男しかいない!人は運命に生まれ、宿命に生き、使命に燃ゆ山田勝己36歳!【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7
[70] Youtube 【歴代大会11/39】何なんだ!?この男は!!最強の漁師が見せる異次元の肉体ポテンシャル!鋼鉄の魔城ついに陥落か!?【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1-30
[71] Youtube 【歴代大会16/39】悪夢の連鎖‼️完全制覇に最も近い男・長野誠が鬼門のエリア攻略なるか⁉️【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72] Youtube 【10年ぶりSASUKE復活】史上初の完全制覇者秋山和彦に密着! https://www.youtube.[...] 2022-11-30
[73] Youtube 【歴代大会12/39】山田の無念!オールスターズの無念を背に魔城に挑む長野誠。あの時、天空の頂で何が起きたのか!?【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74] Youtube 【歴代大会13/39】3大会連続FINAL挑戦!鋼鉄の魔城VS無双中の長野誠!!全ての答えを求めいざ天空の頂へ!【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75] Youtube 【歴代大会18/39】完全制覇から5か月!フルモデルチェンジした新SASUKEに100人が挑む!さらに長野誠に起こったアクシデントとは!?【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76] Youtube 【歴代大会19/39】SASUKE史上唯一‼︎2ndステージでかつてない惨劇まさかの全滅…【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1-30
[77] Youtube 【歴代大会14/39】長野誠を超えた⁉️ “日々の仕事がトレーニング” 産業廃棄物運搬業・小林信治が腕力地獄の3rdステージで魅せた‼️【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1-30
[78] Youtube 【歴代大会15/39】不死鳥の如く蘇った男・白鳥文平!史上初の真夏開催で地獄と化した灼熱の緑山に立ち向かう‼️【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79] Youtube 【歴代大会17/39】7年ぶり史上2人目の完全制覇達成!!あの頂の上には、いったい何が!?栄光のゴールで最強の漁師・長野誠がその答えを教えてくれた!【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80] Youtube 【歴代大会21/39】神の領域‼︎最強の要塞 新クリフハンガー史上最強の2人 竹田敏浩と長野誠が初クリア【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81] Youtube 【歴代大会26/39】リタイア続出‼️魔の新エリアにオールスターズも撃沈‼️SASUKEアメリカ予選突破者も参戦‼️【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82] Youtube 【歴代大会27/39】史上初の偉業‼️新世代のリーダー・漆原裕治が2度目の完全制覇達成【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6
[83] 웹사이트 Iron Sports | Ninja training by Sam Sann https://ironsportsfi[...]
[84] 웹사이트 Teen alleges: Drew Drechsel had sex with me behind warped wall https://www.mercuryn[...]
[85] Youtube 【3年ぶり復活】女性唯一の3rdステージ進出者 ジェシー・グラフの壮絶舞台裏 https://www.youtube.[...] 2022-12-07
[86] 문서 외국인의 FINAL진출은 제24회의 리・엔치이래.
[87] 문서 1st는 전 컷트였지만, 2nd의 실황으로 판명.
[88] Youtube 【歴代大会7/39】新ファイナルステージにガソリンスタンド所長 山本進悟が挑む!衝撃の結末に静まりかえる緑山鋼鉄の魔城の前に人類は成す術がないのか!?【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7
[89] 문서 中学校→[[山口市立阿知須小学校]]→[[下関市]]立[[勝山中学校]]→下関市立清末小学校6年1組担任
[90] Youtube 【歴代大会7/39】新ファイナルステージにガソリンスタンド所長 山本進悟が挑む!衝撃の結末に静まりかえる緑山鋼鉄の魔城の前に人類は成す術がないのか!?【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7
[91] 문서 출장한 것은 요시나가 쪽이 먼저이지만, 교원이 된 것은 아사오카 쪽이 먼저이기 때문에.
[92] 문서 100m/28s의 스피드로 충분, 최하부에서 1.96m의 높이로 도약.
[93] Youtube 【歴代大会10/39】第10回記念大会!栄光のゼッケン1000番はこの男しかいない!人は運命に生まれ、宿命に生き、使命に燃ゆ山田勝己36歳!【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7
[94] 웹사이트 岸本真弥のTwitterより https://twitter.com/[...]
[95] Youtube 【歴代大会28/39】SASUKEオールスターズ最後の戦い!新世代へ引き継ぐ熱い魂【SASUKE 40回大会 記念プレイバック】 https://www.youtube.[...] 2022-12-07
[96] 웹사이트 染谷幸喜のTwitterより https://twitter.com/[...]
[97] Youtube 【SASUKE2014 1st STAGE】松原慎治・渡辺陽介・葉隠長門 https://www.youtube.[...]
[98] 문서 2nd 스테이지는 3명의 타임이 불명확하기 때문에, 방송상의 최고 속도 타임.
[99] 문서 단지 종착점까지 도달해 착지에 성공하고 있었다.
[100] 웹사이트 profile.ameba.jp https://profile.ameb[...]
[101] 웹사이트 夢が実現!撃鉄・天野ジョージがTBS「SASUKE」本戦へ https://natalie.mu/m[...]
[102] 문서 당시는 스튜디오 파트 사회도 겸무.
[103] 문서 かつて、第20・22・24回に選手として出場していた(第22回は1stロッググリップ、第20・24回は1stジャンピングスパイダーでリタイア)。また姉妹番組KUNOICHIではメイン実況の経験がある。
[104] 문서 방송 사회도 겸무.
[105] 문서 第40回以降の予選会の実況ナレーションも担当。同期の高柳が出場した第41回大会には、現地に応援に駆けつけていた。
[106] 문서 3rdの中盤から。
[107] 문서 1stのみ。第35回と第37回のみ、一部3rdの競技のナレーションを担当。
[108] 뉴스 SASUKE2016」ステージの360度動画が公開 “ミスターSASUKE”山田勝己が撮影しながら攻略法を解説 - ねとらぼ https://nlab.itmedia[...] ねとらぼ 2016-06-21
[109] 문서 翌34回大会にツッコミの石田たくみが出場。
[110] 문서 松木以外、TBSアナウンサー。
[111] 뉴스 『SASUKE2018』総合MCは安住アナと江藤アナ! https://www.tbs.co.j[...] TBS 2018-12-21
[112] 문서 第41回最終予選会と第1回SASUKE甲子園も担当。
[113] 문서 第32回は赤、第33回は黒、第34回以降は水色の足場。
[114] 문서 実際に失格者も出ている。
[115] 문서 布は板の端にはないが4枚目のみ右端まである。
[116] 문서 1本あたりの直径は50cm。
[117] 문서 WORLD CUP 2024のみ黒いマットが撤去されている。
[118] 문서 例外として、頂上からの跳躍が禁止される前の第31回のラギヴァル・アナスターズのみ頂上からの跳躍に成功している。また、第34回から下りローラーの最上段には黄色い線が入っている。
[119] 문서 下りの部分では板に触れても良いようである。
[120] 문서 結果的にはクワッドステップスの4枚目の板に戻ろうとして落水。
[121] Youtube 第40回SASUKE反省会【山本良幸】LIVE編 https://www.youtube.[...] 2023-01-01
[122] 웹사이트 SASUKE公式X 選手紹介動画 ゼッケン2番 https://x.com/sasuke[...] 2024-11-20
[123] 문서 棒がつかめなかった場合でも落水するまでは競技は続行される。
[124] 문서 このエリアの最初の挑戦者が女性だったため、番組内では「男性は女性と比べて回転スピードが速く設定されている」という説明になっていた。
[125] 문서 第34回時点ではこの行為は失格ではない模様であり、佐藤惇が手を使って足場を超えたが失格にはなっていない。
[126] 문서 第38回で[[竹田敏浩]]が6つ目の足場を踏まなかったため失格となった。また同じく第38回で、山本章博(ゼッケン33)と[[高野海琉]](ゼッケン56)もフィッシュボーンで6つ目の足場を踏まずに突破し、両者共に直後のドラゴングライダーで落水したが、最終結果はフィッシュボーンで失格の扱いとなった。
[127] 문서 ポールを掴んでいなかったら沼に落ちていたと判断されるためであり、該当者はワールドカップ2024のフィリップのみ。ただし、以前にも同様の事例は発生している。
[128] 문서 1歩目、1歩目と2歩目の間にポールが追加。
[129] 문서 1歩目と2歩目の間、3歩目と4歩目の間にポールが追加。
[130] 문서 3歩目と4歩目の間と6歩目にポールが追加。
[131] 웹사이트 SASUKE公式X 選手紹介動画 ゼッケン11番 https://x.com/sasuke[...] 2024-11-23
[132] 문서 赤いポールの一番右のポールに隣接する形で追加。
[133] 문서 2本目も順手逆手で攻略する方法もある。
[134] 문서 一方で、逆手側がバーを掴み損ねる可能性が高くなる。
[135] 문서 前者は430kg・後者は240kg。
[136] 문서 第42回の大槻拓也([[BUDDiiS]])が該当。
[137] 문서 このエリアは、[[東京大学]]理工学部出身のADがラフスケッチにそり立つ壁の原案を描き、高さや深さを計算して導き出して作られたもので、完成後に日体大のシミュレーターが挑戦して誰もクリア出来ない中、原案を描いたADがクリアしたことで理論上可能であることが分かり、採用に至った。
[138] 문서 実際は地面から約1m分底上げされている。イベント会場に設置されるようなそり立つ壁は底上げされていない。
[139] 문서 なお、5-17・22-27回verも底上げされているので、選手からの高さは4m。19-21回verは4.2m。31-38・41回verは4.15m。ただ、3期と4期はあまりその辺りが詳しく言われておらず、実況でしか情報が得られないため、信憑性に欠ける。
[140] 문서 第7回の[[竹田敏浩]]参照。しかし、SASUKEワールドカップ2024ではダニエル・ギルがコースアウトでリタイアした。
[141] 문서 ワールドカップ2024では3回までの回数制限があった。
[142] 서적 SASUKE公式BOOK 太田出版 2023-12-14
[143] 문서 そり立つ壁の周りに鉄骨がセットされており雨が降ってもシーツを覆うことが出来るように対策が施されている
[144] 문서 第38回は約10回転。
[145] 문서 競技中は、スタート地点からスパイダーラン入口までの通路にタオルを敷いて対応していた。
[146] 문서 実況では38cm。
[147] 문서 第41回の日置将士はサーモンラダー下りでこのようなことが起きたが、失格にはならなかった。
[148] 문서 名称変更の背景には、元SASUKEの総合プロデューサーだったが現在は既に製作を離れている[[樋口潮]]が立ち上げた株式会社ゴールドエッグスが、TBSに無断でそれらのエリアを商標登録したことに起因しているが、2022年11月8日に拒絶された。公式動画ではスパイダーウォークというエリア名で戻している。
[149] 문서 初登場した第30回では、エリア数に数えられていなかったためか、第30回では、スパイダードロップ部分は黒いマットだったが、エリア扱いになった第31回以降では完全な空白になっている。
[150] 문서 第41回大会で佐藤惇とレネ・キャスリーが初めてこの手法でクリアし、第42回大会では複数の選手がこの手法でクリアしている。
[151] 웹사이트 【新攻略】魅せるSASUKE体現者 佐藤惇スパイダードロップ挑戦の全記録 【第41回大会2ndステージ完全版】 https://www.youtube.[...] 2024-01-15
[152] 문서 第28-30・32回では10m。
[153] 문서 第36回の実況で判明。
[154] 문서 第33回もパワーが増していた。
[155] 문서 該当者は第36回のドリューのみ。
[156] 문서 第32 - 34回まではマットが敷かれていた。
[157] 문서 該当者は第34回の[[高橋賢次|髙橋賢次]]と第40回の才川コージのみ。
[158] 문서 ただし、休憩地点における休憩時間には制限あり。
[159] 문서 SASUKEワールドカップ2024にてアシュリン・ハーバートがこの手法でクリアした。
[160] 문서 ただし、ポールに黒いゴムがはめられており、ゴムより上を掴んではいけない。
[161] 문서 該当者は第39回の伊佐嘉矩のみ。
[162] 문서 該当者は42回大会の多田竜也。サイド持ちは他多数。
[163] 문서 名称変更の背景には、元SASUKEの総合プロデューサーだったが現在は既に製作を離れている[[樋口潮]]が立ち上げた株式会社ゴールドエッグスが、TBSに無断でそれらのエリアを商標登録したことに起因している。
[164] 문서 実際には角が削られているので約2.5cm。
[165] 문서 第38回は1m。
[166] 문서 「クリフハンガーディメンション」という名前のエリアとしては第37回でレネ・キャスリーがクリアしたが、その際は雨の影響で可動していない状態だった。
[167] 웹사이트 【LIVE】SASUKE第41回大会放送直後ぶっちゃけトークSP【SASUKEレジェンド】 https://www.youtube.[...] 2024-10-05
[168] 웹사이트 【最狂エリア】ぶっ通しバーティカルリミット完全版② 進化し続ける突起1cm #sasuke2024 https://www.youtube.[...] 2024-09-10
[169] 문서 第29回はグリーンバーを足を上げずに移ることが出来るが、第30回以降はバーティカルリミットのセットの位置が下がったため、選手は懸垂逆上がりの要領で乗り移るか、手を使って乗り移る必要がある。
[170] 문서 第14回以降は後半のみ
[171] 문서 長さ5.3m
[172] 문서 第2回のみ黒色。
[173] 문서 第6回、第9回、第14回では更に延長。大会ごとに距離と足場の高さとパイプのすべりやすさが違うため、大会ごとに難易度が違う。
[174] 문서 該当者は第37回のレネ・キャスリー。
[175] 문서 各回の分母を100人とした場合。実際には100名以上の挑戦者がいた回や欠番があった回があったため、厳密にはこの確率ではない。
[176] 정보 여성・50세 이상・중학생의 경우 105초
[177] 정보 여성의 경우 125초
[178] 정보 여성의 경우 133초
[180] 웹사이트 https://www.paravi.j[...]
[181] 웹사이트 https://www.paravi.j[...]
[182] 정보 여성의 경우 120초
[183] 웹사이트 https://www.paravi.j[...]
[184] 정보 여성의 경우 135초
[185] 정보 영화『99.9-형사전문변호사-THE MOVIE』의 공개에 맞춘 초수
[186] 정보 도전 횟수가 3회까지 제한되어 있다.
[187] 정보 제1회만 드럼통.
[188] 정보 제5회의 야마다 가쓰미 참조.
[189] 정보 엄밀히는 2개를 양손으로 잡는다.
[190] 정보 제41회 대회의 이요다 하루키가 해당. 제18회 - 제24회의 2nd 제1 에리어 「다운힐 점프」도 마찬가지였다.
[191] 정보 제41회 대회의 스게타 린네가 해당.
[192] 정보 제41회 대회의 마부치 히로무 등.
[193] 정보 도전자가 자세를 갖추면 센서가 반응하여 나아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194] 트위터 프로그램 공식 트위터 https://twitter.com/[...]
[195] 정보 직경 90cm
[196] 정보 대안의 높이가 높아져, 강제로 돌파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었다. 또, 앞 에리어의 롤링 에스카르고로 평형감각이 없어지기 때문에.
[197] 정보 단, 한 손만.
[198] 정보 야마모토는 착수에 의한 실패. 시라토리는 점프 행 개에서는 리타이어 경험 있음.
[199] 정보 모두 벽의 가장 낮은 부분에서의 높이.
[200] 정보 32회에서는 돌기의 수가 12개 줄어들어 있다.
[201] 정보 타잔 점프가 등장하지 않는 제10-12회에서는 로프가 위에서 드리워져 있다.
[202] 정보 제32-34회의 에리어 설명 텔롭에서는 6m였지만, 실황에서는 5.4m라고 말했기 때문에, 후자의 설정을 기재한다.
[203] 정보 제7회부터 파랑을 강조한 스테이지가 되었지만, 제11회는 빨강, 제16회는 보라색, 제25회는 오렌지, 제27회는 흰색이 강조되어 있다.
[204] 정보 여성은 110초
[205] 정보 여성은 115초
[206] 정보 계 100kg
[207] 정보 벽은 제24회까지 등장했었다.
[208] 정보 오피셜 사이트에서는 에리어 취급.
[209] 정보 제18회는 스케이트보드.
[210] 정보 비스듬한 부분의 어디에서부터인지는, 프로그램 내에서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불명.
[211] 문서 3枚目、上下に動く。第4回以降はエリア扱いされなくなる。
[212] 문서 6枚目
[213] 문서 2枚目、4枚目
[214] 문서 第17回までの形。
[215] 문서 結果は2つ先のメタルスピンで落下によるリタイアとなった。
[216] 웹사이트 総合演出・乾雅人のTwitterより https://twitter.com/[...] 2021-07-11
[217] 문서 重さ10キロ
[218] URL https://twitter.com/[...]
[219] 문서 第28回以降は前半のみ
[220] 문서 第23回の実況で判明。
[221] 문서 重さの紹介は第29回の菅野仁志の実況より。
[222] 문서 但し、番組演出上公表はされないが、エリア間の休憩時間が20〜40秒程度と定められている(第29回大会のみこのルールは撤廃されており、その代わり3rd全体の経過時間が計測される)
[223] 문서 第27回は6m。
[224] 문서 第30回では4.3m。
[225] 문서 第19回では3rd進出がいなかったため、第20回で初登場となった。
[226] 문서 第14回以降は3つに増えた。
[227] 문서 ナレーションでは7本と紹介されていた。
[228] 문서 縦180cm、横90cm
[229] 문서 第35回では140cm~160cm。
[230] 문서 その後の大会では、支柱を掴むことができないように設計し直されている。
[231] 문서 いずれの設定も実況より。
[232] URL https://x.com/inuima[...]
[233] 문서 かつてドリューがAmerican Ninja Warriorで反転せずに攻略しているVTRが流れたことがあるが、日本のSASUKEではそのルールは禁止である。
[234] 문서 第16回で長野誠も同じ手法で挑むも休憩地点のバーにチェーンが引っ掛かり反動の勢いを消してしまうトラブルが起きたことにより、次の第17回では休憩地点のバーが長くなるように変更された。
[235] 문서 ハートブレイカーは2.2m離れている。
[236] 문서 第12回の[[長野誠]]のように、ゴール地点付近まで到達していた場合には、タイムアップでもゴール地点へ引き上げることもある。
[237] 문서 第1回のみボタンがなかったため、ゴール地点に足を付けるとクリアという仕組みだった
[238] 문서 第22回までは45秒。
[239] 문서 21回の映像等で18~21回が鉄梯子だった事が発覚したが、エリア名は不明。
[240] 문서 挑戦者は地上3mのところからスタートする。
[241] URL 総合演出・乾雅人のTwitterより https://archive.fo/u[...]
[242] 문서 第32回大会のみ、間隔が狭い代わりに段数が20段あったが、挑戦者がいないままマイナーチェンジされることになった。
[243] 문서 どちらも45秒以内にクリアできていないため、本戦の場合は完全制覇ではない。
[244] 문서 W杯2024のみ制限時間なし(カウントアップ方式が適用)。
[245] URL 人間解析ドキュメント「zone」第173回 「〜運命〜 山田勝己を襲った悲劇の真実」 https://web.archive.[...]
[246] 웹사이트 https://plaza.rakute[...]
[247] 웹사이트 http://okadatamigoro[...]
[248] 웹사이트 https://blog.goo.ne.[...]
[249] 웹사이트 https://filablog.see[...]
[250] 뉴스 JNNニュース
[251] 뉴스 JNNフラッシュニュース
[252] 뉴스 放送開始20年の「SASUKE」視聴率は9・5% https://www.hochi.co[...] スポーツ報知 2017-03-27
[253] 웹사이트 週間高世帯視聴率番組10 VOL41. 2017年10月2日(月)~10月8日(日) https://www.videor.c[...] 비데오리サーチ 2018-11-27
[254] 웹사이트 週間高世帯視聴率番組10 VOL13. 2018年3月26日(月)~4月1日(日) https://www.videor.c[...] 비데오리サーチ 2018-11-27
[255] 뉴스 『ガキ使』9年連続紅白裏トップも前年比減 各局大みそか特番視聴率 https://news.mynavi.[...] 마이 나비 뉴스 2019-01-08
[256] 웹사이트 12月31日(月)よる6時放送『平成最後の大晦日スペシャル!SASUKE2018&ボクシング井岡一翔世界タイトルマッチ』 TBS2018年の大晦日はSASUKE&井岡一翔4階級目の世界戦! https://www.tbs.co.j[...]
[257] 문서
[258] 뉴스 山田勝己&長野誠『SASUKE』電撃復帰 塚田僚一、岩本照、樽美酒研二らも参戦 https://www.oricon.c[...] 니프티뉴스 2019-11-21
[259] 웹사이트 週間高世帯視聴率番組 https://www.videor.c[...] 2024-10-03
[260] 뉴스 『格付けチェック』世帯20.1% 『99.9』13.9% 年末年始主な特番視聴率 https://news.mynavi.[...] 마이 나비 뉴스 2022-01-02
[261] Youtube https://www.youtube.[...]
[262] 뉴스 昨年末のTBS系「日本レコード大賞」は3496・4万人、「SASUKE」は3176・4万人が視聴 https://www.sanspo.c[...] 산케이스포츠 2023-01-02
[263] 웹사이트 週間高世帯視聴率番組 https://www.videor.c[...] 2024-05-25
[264] 웹사이트 《観覧募集》 『SASUKE関連特別番組』|TBSテレビ https://www.tbs.co.j[...] 2024-07-10
[265] 트윗 2024年7月10日 午前9:50のツイート 2024-07-10
[266] 웹사이트 週間高世帯視聴率番組 https://www.videor.c[...] 2024-10-03
[267] 문서
[268] 웹사이트 https://www.paravi.j[...]
[269] 문서
[270] 웹사이트 https://natalie.mu/o[...]
[271] 웹사이트 https://www.paravi.j[...]
[272] 문서
[273] 문서
[274] 문서
[275] 문서
[276] 웹사이트 '『SASUKE』30回記念DVD ~SASUKEヒストリー&2014スペシャルエディション~|TCエンタテインメント株式会社' https://www.tc-ent.c[...]
[277] 웹사이트 名もなきアスリートたちの祭典『SASUKE』初の公式BOOKが今冬発売! - TBS Topics https://topics.tbs.c[...]
[278] 웹사이트 「SASUKE」がモチーフのマンガ開幕!生死さまよう学生たちのサバイバルサスペンス https://natalie.mu/c[...] 2024-09-09
[279] 웹사이트 『ヨミガエリのサスケ』8月17日(土)連載開始! https://mangabox.ink[...] 2024-09-09
[280] 웹사이트 筋肉番付 〜マッスルウォーズ21〜 https://www.jp.plays[...] 2023-01-04
[281] 기타 第30回では22時から高川が裏番組の[[日経スペシャル カンブリア宮殿|カンブリア宮殿]]のナレーションを担当していたことから、21時59分頃まで担当。3rd後半部分(22時以降)は[[小原雅人]]が担当。
[282] 기타 第28回はCAM
[283] 기타 第41回はPM
[284] 기타 第41回はチーフカメラ
[285] 기타 第27回ではMIX、以前はAUD
[286] 기타 第38,42回、第41回はLD
[287] 기타 旧社名は[[東通]]、[[エヌ・エス・ティー]]、[[タムコ|TAMCO]]、[[TBSテックス]]、[[ティ・エル・シー]]
[288] 기타 第29回では美術プロデューサー
[289] 기타 第35回では装置
[290] 기타 第35回では幕装飾
[291] 기타 第41回はグローバルビジネス部
[292] 기타 以前はプロデューサー
[293] 기타 以前は宣伝
[294] 기타 第41回は吉永名義
[295] 기타 第34回はAD
[296] 기타 第41回は優里奈名義
[297] 기타 花田・三橋→共に第39回ではデジタルコンテンツ
[298] 기타 第29回では制作補、第28・35回からAP
[299] 기타 第39,42回、第41回はAP
[300] 기타 以前はAD
[301] 기타 以前はディレクター
[302] 기타 以前は井上名義
[303] 기타 以前はSNSディレクター
[304] 기타 以前はAD
[305] 기타 第34,42回
[306] 기타 第35,42回、第41回では中継ディレクター
[307] 기타 第41回では中継ディレクター
[308] 기타 第37・41回、以前はFD
[309] 기타 以前はAD
[310] 기타 第27回はFD、唐沢名義
[311] 기타 第28・29回ではFD
[312] 기타 第37回では編成→一時離脱
[313] 기타 第37回ではディレクター、第38回ではSNSディレクター
[314] 기타 、第41回では編成
[315] 인터뷰 大人気番組『SASUKE』の演出家が明かす“知られざるウラ側”と名物エリア誕生秘話「クリフハンガーは山田勝己さんの懸垂を見て…」 https://number.bunsh[...] 2021-12-28
[316] 인터뷰 なぜ『SASUKE』で“一般人”は輝くのか? 総合演出家・乾雅人が語る『SASUKE』だけの魅力「山田さんと秋山さんが気づかせてくれた」 https://number.bunsh[...] 2021-12-28
[317] 문서 第1回 - 第13回まで演出を担当していた。
[318] 문서 第27・28・30・35回はTD、第29回はカメラ
[319] 문서 第37回はカメラ
[320] 문서 第28回では美術プロデューサー
[321] 문서 第35回ではデザイン
[322] 문서 第35回では施設
[323] 문서 第35回では特殊装置
[324] 문서 第27回は選曲
[325] 문서 第35回ではCGオペレーター
[326] 문서 第27回では協力
[327] 문서 杉山・山本→コンテンツ事業部は第29回
[328] 문서 以前は海外事業部→一時離脱
[329] 문서 第37回ではAD、第38回では制作進行
[330] 문서 第37回ではFD、第38回ではディレクター
[331] 문서 以前はTBSテレビ|TBSスポーツからドリマックス・テレビジョン|ドリマックスとして制作名義だった.
[332] 뉴스 『SASUKE』の“現地制作”、ロシア版で世界20か国に https://www.tbsconte[...] TBS 2017-12-25
[333] 문서 太字はメイン実況経験者。
[33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20-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