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토트카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토트카차는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인물로, 비마와 히딤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그는 강력한 능력을 지닌 라크샤사로 묘사되며,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판다바 편에 서서 카르나와 싸우다 바사비 샤크티에 의해 사망한다. 가토트카차는 인도네시아의 와양 쿨릿(그림자 인형극)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등장하며, 다양한 사원과 대중문화 작품에서 그의 이야기가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크샤사 - 라바나
라바나는 힌두교 신화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열 개의 머리를 가진 라크샤사 악마 왕으로, 랑카를 다스렸으며 강력한 힘과 지략을 가졌으나 라마에게 패배하고 시바신의 숭배자이자 일부 지역에서 신으로 숭배받는다. - 라크샤사 - 칼리 (악마)
칼리는 힌두교 문헌에서 불운, 불화, 전쟁 등을 상징하는 존재로, 주사위 게임의 불리한 눈에서 유래하여 악으로 인격화되었고, 마하바라타와 나라 왕 이야기 등에서 악역으로 등장하며 칼리 유가의 타락을 주도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 쿠루크셰트라 전쟁 관련자 - 카르나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중요 인물로, 태양신의 아들이자 뛰어난 전사였으나 미혼모의 아들로 버려져 마부에게 길러졌고, 아르주나의 숙명적인 라이벌이자 두리요다나의 충실한 동맹으로서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활약하며 그의 삶과 죽음은 다르마에 대한 윤리적 질문을 제기하고 다양한 인도 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쿠루크셰트라 전쟁 관련자 - 비카르나
비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카우라바 백형제 중 한 명으로,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지혜와 정의로운 면모를 지녔으나, 친구 두료다나를 지지하여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비마에게 죽임을 당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다. - 아수라 - 브리트라
브리트라는 베다 신화에 등장하는 물을 가두는 뱀족 존재로, 인드라에게 살해되어 물을 해방시키는 역할을 하며, 뇌우와 한발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아수라 - 수라파드마
수라파드마는 힌두 신화에 등장하는 아수라로, 시바에게 받은 은총으로 강력해져 세상을 정복하려 했지만 무루간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공작으로 변하며, 그의 죽음은 수라삼하람으로 기념된다.
가토트카차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발드 팟 (Bald Pot) |
문화권 | 힌두교 |
인물 정보 | |
소속 | 하프 라크샤사 |
거주지 | 카미야카 숲 |
출생지 | 카미야카 숲 |
배우자 | 아힐라와티 |
자녀 | 안자나파르바 메가바르나 바르바리카 |
아버지 | 비마 |
어머니 | 히딤비 |
무기 | |
주무기 | 가다 |
죽음 | |
사망 장소 | 쿠루크셰트라 |
전투 | |
주요 전투 | 쿠루크셰트라 전쟁 |
2. 전설
가토트카차는 판다바 형제 중 비마와 악마 여성 히딤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가토트카차가 태어났을 때, 인드라 신은 그가 장차 카르나와 맞설 수 있도록 강력한 힘과 능력을 부여했다.[3]
가토트카차는 어머니 히딤비의 보살핌 아래 성장했으며,[4] 아버지 비마처럼 가다를 주 무기로 사용했다.
민간 설화에 따르면, 가토트카차는 아힐라바티와 결혼하여 바르바리카, 안자나파르바,[5] 그리고 메가바르나라는 세 아들을 두었다고 전해진다.
2. 1. 출생
락샤그리하 화재 사건 이후, 판다바 형제들은 터널을 통해 탈출하여 숲으로 피신했다. 그들이 숲에서 잠든 사이, 숲의 악마 두목인 히딤바가 나무 위에서 판다바들을 발견하고, 그의 여동생 히딤비에게 그들을 자신의 먹이로 잡아오라고 명령했다.히딤비는 아름다운 여인으로 변신하여 판다바들에게 접근했다. 그러나 그녀는 비마를 보고 첫눈에 반해 그를 사랑하게 되었다. 히딤비는 오빠의 의도를 판다바들에게 알리며 숲을 떠나라고 간청했지만, 비마는 이를 거절했다. 기다리다 지친 히딤바가 직접 판다바들을 공격하려 했으나, 비마와의 싸움에서 죽임을 당했다.
이후 히딤비는 쿤티에게 다가가 비마와 결혼하고 싶다고 청혼했다. 판다바 형제들은 히딤비가 아이를 낳으면, 그들의 방랑을 계속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결혼을 승낙했다. 이윽고 히딤비와 비마 사이에서 아들 가토트카차가 태어났다. 인드라 신은 갓 태어난 가토트카차에게 카르나와 맞설 수 있을 만한 강력한 힘과 능력을 부여했다.[19][3]
2. 2. 히딤비의 희생 요청
일부 비주류 전승에 따르면, 몇 년 후 어느 날 히딤비는 아들 가토트카차에게 칼리 여신에게 바칠 인간 제물을 구해오라고 요청했다. 가토트카차는 길을 가던 중 세 아이와 함께 여행하는 브라만 부부를 만났다. 그는 부부에게 다가가 가족 중 한 명을 어머니의 제물로 바쳐 달라고 요구했다.브라만은 자신이 가겠다고 나섰지만, 그의 아내가 대신 가겠다고 주장했다. 결국 그들의 둘째 아들이 가토트카차를 따라가기로 동의했으나, 먼저 갠지스 강에서 목욕하기를 원했다. 마침 근처 숲에서 형제들과 함께 유배 생활을 하던 비마가 이 광경을 목격했다. 비마는 아이 대신 자신이 제물이 되겠다고 자청했다.
가토트카차는 비마를 데리고 어머니 히딤비에게 돌아갔다. 그러나 히딤비가 비마를 보고 자신의 남편이자 가토트카차의 아버지라고 밝히자 가토트카차는 큰 충격을 받았다. 비마는 아내와 아들에게 인신 공양의 잘못을 꾸짖었고, 이에 가토트카차와 히딤비는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관습을 그만두기로 약속했다.
2. 3. 비마와의 상호작용
판다바 형제들이 숲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중 너무 지쳐 더 이상 걸을 수 없게 되었을 때, 비마는 자신의 아들인 가토트카차를 떠올렸다.[6] 가토트카차는 아버지의 부름에 즉시 판다바들 앞에 나타났으며, 비마의 명령에 따라 많은 악마들을 데리고 왔다. 가토트카차는 판찰리 (드라우파디)를 자신의 어깨에 메고, 다른 악마들은 판다바 형제들을 각자의 어깨에 메었다. 그들은 함께 하늘을 날아 나라나라야나가 명상하고 있던 바드리카슈라마로 이동하여 판다바 일행을 그곳에 내려주었다. 임무를 완수한 가토트카차와 그의 일행은 판다바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떠났다.[6]2. 4. 쿠루크셰트라 전쟁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가토트카차는 아버지 비마의 부름을 받아 판다바 편에 서서 싸웠다. 전쟁 첫날, 그는 알람부샤, 두료다나, 바가다타 등과 맞서 싸웠다. 전투가 너무나 참혹해지자 카우라바군은 그날의 전투를 의도적으로 중단하기도 했다. 전쟁 8일째 되는 날에는 다시 알람부샤와 오랫동안 격렬하게 싸워 그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혔으나, 알람부샤는 결국 후퇴했다.전쟁 14일째 되는 날, 가토트카차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아침 전투에서 아들 안잔파르바가 아슈와타마에게 죽임을 당하자, 그는 크게 분노하여 자신의 강력한 마법 능력을 발휘했다. 환영의 힘을 사용하여 카우라바 군대에 엄청난 혼란을 일으켰고, 드로나, 두료다나, 카르나, 두샤사나와 같은 위대한 전사들조차 공포에 떨게 만들었다. 아슈와타마는 흩어지는 병사들을 수습하고 가토트카차의 환영을 깨뜨린 뒤 그를 잠시 기절시키는 데 성공했다. 정신을 차린 가토트카차는 아슈와타마와 다시 긴 결투를 벌였다. 두 전사는 각자의 마법 능력과 천상의 무기를 사용하며 격돌했지만, 결국 아슈와타마가 가토트카차를 물리쳐 후퇴시켰다.

14일째 되는 날 자야드라타가 죽은 후, 해가 졌음에도 전투는 계속되었다. 밤이 되자 라크샤사(악마)인 가토트카차의 힘은 최고조에 달했다. 그는 자신의 부하들과 함께 알라유다와 알람부샤를 찾아내 죽였고, 특히 알람부샤는 철퇴로 머리를 부수어 버렸다. 가토트카차가 맹렬히 공격하자 아슈와타마와 다시 한번 싸움이 벌어졌지만, 가토트카차는 여러 번 패배했음에도 환영 마법을 이용해 교묘히 빠져나갔다. 한편, 카르나 역시 치열한 전투 끝에 가토트카차를 두 번이나 물리쳤지만, 그가 카우라바 군대에 혼란을 일으키는 것을 완전히 막지는 못했다. 가토트카차의 맹공에 카우라바 군대가 무너지고 두료다나마저 깃발이 찢어진 채 도망치게 되자, 카르나는 최후의 수단으로 바사비 샤크티라는 강력한 무기를 사용했다. 이 무기는 신들의 왕 인드라가 카르나에게 단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사한 것으로, 카르나는 본래 아르주나를 상대하기 위해 아껴두고 있었다.[23]
바사비 샤크티에 치명상을 입은 가토트카차는 죽기 직전 하늘로 날아올라 자신의 몸을 거대하게 만들어 떨어지면서 카우라바 군대의 한 악샤우히니를 짓밟아 버렸다.[24] 그의 죽음에 판다바 형제들은 깊은 슬픔에 잠겼다. 그러나 크리슈나는 가토트카차가 카르나로 하여금 바사비 샤크티를 사용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아르주나의 목숨을 구했음을 알고 남몰래 미소를 지었다.
3. 인도네시아 판본
자와와 발리의 와양 쿨릿(그림자 인형극)에서는 쿠룩셰트라 전쟁을 보통 '바라타유다'라고 부른다. 이 이야기는 1157년 케디리 왕국(현재 인도네시아 동자와) 시대에 쓰여진 ''카카윈 바라타유다''라는 서사시를 각색하여 발전시킨 것이다.
와양 인형극 판본에서 가토트카차(현지 표기 'Gatotkaca')는 아르주나의 아들인 사촌 아비마뉴와 매우 가까운 사이로 묘사된다. 아비마뉴는 비라타 왕국의 공주 우타라와 결혼하면서 자신이 미혼이라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이미 크리슈나의 딸 시티순다리와 결혼한 상태였다. 남편이 재혼했다는 소식을 들은 시티순다리는 가토트카차의 궁전에 머물고 있었다. 이때 가토트카차의 삼촌이자 히딤비의 막내 동생인 칼라벤다나가 아비만유를 데리러 찾아왔다. 칼라벤다나는 난쟁이 거인이었지만 마음이 순박하고 고결했다. 칼라벤다나의 등장에 우타라는 질투심을 느꼈고, 아비만유는 우타라 외에 다른 아내가 있다면 적에게 패배하여 죽게 될 것이라고 맹세해야만 했다. 칼라벤다나는 가토트카차에게 돌아가 아비만유의 태도를 보고했지만, 가토트카차는 오히려 칼라벤다나가 사촌의 집안일에 간섭한다며 꾸짖었다. 격분한 가토트카차는 순간적으로 칼라벤다나의 머리를 때렸고, 이로 인해 칼라벤다나는 의도치 않게 죽고 말았다.
바라타유다 전쟁이 발발하자, 아비마뉴는 전쟁 13일째에 카우라바 군대에게 살해당했다. 아르주나는 다음 날 자야드라타를 죽여 아들의 복수를 했다. 자신의 매형인 자야드라타의 죽음에 크게 슬퍼한 두료다나는 카르나에게 그날 밤 판다바 진영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카르나는 이것이 전쟁 규칙에 어긋나는 것임을 알면서도 명령에 따랐다. 카우라바 군대의 야간 공격 소식을 들은 판다바 측은 가토트카차를 보내 맞서게 했다. 가토트카차가 선택된 이유는 그가 입은 '코탕 안트라쿠수마' 갑옷이 밝은 빛을 내뿜어 어둠 속에서 카우라바 군대를 비출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가토트카차는 카우라바의 동맹인 렘부사를 죽이는 데 성공했지만, 그의 두 삼촌 브라잘라마단과 브라자위칼파는 각각 렘부수라와 렘부사나라는 적에게 목숨을 잃었다.
가토트카차는 '콘타위자야'라는 무기를 든 카르나와 맞섰다. 그는 카르나를 혼란시키기 위해 천 명의 분신을 만들었지만, 카르나는 아버지 수리야의 도움으로 가토트카차의 본체를 찾아냈다. 카르나가 콘타위자야를 발사하자 가토트카차는 최대한 높이 날아 피하려 했다. 그러나 그때 죽은 칼라벤다나의 영혼이 나타나 날아오는 콘타위자야를 붙잡고, 가토트카차의 죽음이 그날 밤으로 정해졌다는 하늘의 뜻을 전했다. 가토트카차는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시신이 카우라바 군대를 무찌르는 데 쓰이기를 요청했다. 칼라벤다나는 이에 동의하며 콘타위자야로 가토트카차의 배꼽을 찔렀다. 무기는 가토트카차의 몸 안에 있던 마스타바 나무와 다시 합쳐졌다. 가토트카차가 죽자, 칼라벤다나의 영혼은 그의 시신을 카르나를 향해 던졌다. 카르나는 뛰어내려 피했지만, 가토트카차의 육중한 몸에 깔린 전차는 산산조각 났고, 그 파편이 사방으로 흩어져 주변의 수많은 카우라바 병사들을 죽였다.
4. 후손
가토트카차에게는 바르바리카, 안잔파르바, 메가바르나 세 아들이 있었다. 이 중 바르바리카의 존재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그의 이야기는 마하바라타의 공식 판본에는 등장하지 않고 후대에 추가된 스칸다 푸라나에서 언급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토트카차의 혈통은 더 오래 이어진 것으로 여겨지며, 디마사 왕국의 왕실은 자신들이 가토트카차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
5. 사원
6. 대중문화
인도에서는 마하바라타 원전에는 없지만 민담으로 전해지는 '사시레카 파리나얌' 이야기가 여러 차례 영화로 만들어졌다. 이 이야기는 아르주나의 아들 아비만유가 발라라마의 딸 사시레카(바찰라)와 사랑에 빠지지만, 발라라마는 딸을 두료다나의 아들 락슈마나 쿠마르와 결혼시키려 한다. 이때 가토트카차가 아비만유를 도와 약혼을 깨고 둘을 맺어주는 내용이다. 이 이야기를 다룬 영화는 다음과 같다.[9]
연도 | 제목 | 언어 | 감독/주연 | 비고 |
---|---|---|---|---|
1921 | 수레카 하란 | 무성 영화 | 바부라오 페인터 | |
1923 | 바찰라하란 | 무성 영화 | 바부라오 페인터 | |
1925 | 마야 바자르 | 무성 영화 | 바부라오 페인터 | |
1932 | 마야 바자르 | 힌두어 | 바부라오 펜드하르카르 주연 | |
1935 | 마야 바자르 | 타밀어 | R. 파드마나반 감독 | |
1936 | 마야바자르 (사시레카 파리나얌) | 텔루구어 | P. V. 다스 감독 | 판타지 영화 |
1939 | 마야 바자르 | G. P. 파와르 감독 | ||
1949 | 마야 바자르 | 힌두어 | 다타 다르마다리카리 감독 | 판타지 영화 |
1957 | 마야바자르 | 텔루구어/타밀어 | K. V. 레디 감독 | 서사 판타지 영화 |
1958 | 마야 바자르 | 힌두어 | 바부바이 미스트리 감독 | 모험 판타지 영화 |
1984 | 마야 바자르 | 힌두어/구자라트어 | 바부바이 미스트리 감독 | 판타지 영화 |
1984 | 마야 바자르 | 텔루구어 | 다사리 나라야나 라오 감독 | 로맨스 드라마 영화 |
가토트카차를 직접적으로 다룬 다른 인도 영화들은 아래와 같다.
연도 | 제목 | 언어 | 감독/주연 | 비고 |
---|---|---|---|---|
1949 | 비르 가토트카 | 힌두어/마라티어 | 신화 영화 | |
1959 | 비르 가토트카잔 | 타밀어 | 바부바이 미스트리 감독 | 신화 영화 |
1970 | 비르 가토트카 | 힌두어 | 샨틸랄 소니 감독 | 신화 모험 영화 |
1995 | 가토트카추두 | 텔루구어 | S. V. 크리슈나 레디 감독 | 코미디 영화 |
2008년에는 가토트카차의 삶을 다룬 두 편의 인도 애니메이션 영화가 개봉했다. 하나는 싱게탐 스리니바사 라오 감독의 ''가토트카''[10]이고, 다른 하나는 라케시 프라사드 감독의 ''가토트카차''이다.[11]
인도의 유명 만화 시리즈인 아마르 치트라 카타에서도 가토트카차에 관한 에피소드를 출판했으며, 이는 2010년 만화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한 편으로 각색되기도 했다.[12]
TV 드라마에서도 가토트카차가 등장했다. 라자크 칸은 1988년 방영된 TV 시리즈 ''마하바라트''에서, 케탄 카란데는 2013년 방영된 TV 시리즈 ''마하바라트''에서 각각 가토트카차 역할을 맡았다.
한편, 인도네시아에서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토트카차가 매우 인기 있는 대중문화 아이콘이자 ''와양''(전통 인형극)의 주요 캐릭터로 자리 잡았다. 특히 자바와 발리 버전의 마하바라타 이야기에서는 가토트카차만의 독자적인 서사가 존재한다.
- 자바 와양에서 가토트카차는 Gatotkocojv로 알려져 있으며, "Satria Otot Kawat Balung Wesijv"("철근 근육과 강철 뼈의 전사")라는 별명을 가진 슈퍼히어로와 같은 위상을 지닌다.
- 자바와 발리 사람들에게 가토트카차는 신처럼 존경받으며, 예술 작품과 조각상으로 널리 표현된다. 대표적인 예로 발리 쿠타의 주요 도로 교차로에 세워진 사트리아 가토트카차 공원 동상이 있다.
- 가토트카차는 음악, 만화, 영화 등 인도네시아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자주 등장한다. 2021년에는 그를 주인공으로 한 슈퍼히어로 액션 영화 ''사트리아 데와: 가토트카차''(Satria Dewa: Gatotkacaid)가 개봉하기도 했다.[13][14][15]
- 인도네시아 만화 시리즈 ''Garudayanaid''에 등장하는 자바 버전의 가토트카차(가토토코)는 유명 모바일 게임 ''모바일 레전드: 뱅 뱅''에 플레이 가능한 영웅 캐릭터로 추가되기도 했다.[16]
참조
[1]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Volume Two) (Devraj to Jyoti)
https://books.google[...]
2006-01-01
[2]
웹사이트
Ghatotkacha - Rakshasa Son of Bheema - Indian Mythology
http://members.cox.n[...]
2006-12-03
[3]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Hidimva-vadha Parva: Section CLVII
https://www.sacred-t[...]
[4]
웹사이트
Story of Ghaṭotkaca
https://www.wisdomli[...]
2019-01-28
[5]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Ghatotkacha-badha Parva: Section CLV
https://www.sacred-t[...]
[6]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Tirtha-yatra Parva: Section CXLIV
https://www.sacred-t[...]
[7]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Ghatotkacha-badha Parva: Section CLXXIX
https://www.sacred-t[...]
[8]
간행물
Amar Chitra Katha #592
[9]
서적
Encyclopedia of Indian Cinem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0]
웹사이트
Ghatothkach, Cannes-bound!
https://www.rediff.c[...]
2019-06-05
[11]
웹사이트
Ghatotkacha
https://www.amazon.i[...]
2011-07-14
[12]
웹사이트
The Amar Chitra Katha Animated Series - Season 1
https://www.primevid[...]
[13]
웹사이트
Film Satria Dewa GatotKaca: Sinopsis dan Jadwal Tayang Terbaru
https://tirto.id/fil[...]
2022-05-22
[14]
웹사이트
Satria Dewa: Gatotkaca
https://www.imdb.com[...]
IMDB
2022-06-09
[15]
웹사이트
SATRIA DEWA: GATOTKACA: Teasers, Proofs of Concept & More For Indonesian Heroic Martial Arts Movie
https://screenanarch[...]
'2021'
2021-02-16
[16]
웹사이트
Mobile Legends Gatotkaca Guide: Best Build, Emblem and Gameplay Tips
https://gamingonphon[...]
2021-02-21
[17]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Volume Two) (Devraj to Jyoti)
https://books.google[...]
2006-01-01
[18]
웹인용
Ghatotkacha - Rakshasa Son of Bheema - Indian Mythology
http://members.cox.n[...]
2006-12-03
[19]
웹인용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Hidimva-vadha Parva: Section CLVII
https://www.sacred-t[...]
[20]
웹인용
Story of Ghaṭotkaca
https://www.wisdomli[...]
2019-01-28
[21]
웹인용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Ghatotkacha-badha Parva: Section CLV
https://www.sacred-t[...]
[22]
웹인용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Tirtha-yatra Parva: Section CXLIV
https://www.sacred-t[...]
[23]
웹인용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Ghatotkacha-badha Parva: Section CLXXIX
https://www.sacred-t[...]
[24]
간행물
Amar Chitra Katha #5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