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루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루구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텔루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주로 인도 남부의 안드라프라데시주와 텔랑가나주에 거주한다. 텔루구어는 드라비다어족에서 유래되었으며, 4개의 주요 방언(서부, 남부, 중부, 북부)으로 나뉜다. 텔루구어는 텔루구 문자를 사용하며,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의 특징을 보인다.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이며, 명사에는 격 변화가 존재한다. 텔루구어 어휘는 원드라비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산스크리트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영어 등의 영향을 받았다. 텔루구 문학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영화 산업도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텔랑가나주 - 하이데라바드주
하이데라바드 주는 1948년 인도에 합병된 후 민간 정부가 수립되었고, 1956년 주 재편성을 통해 텔루구어 사용 지역은 안드라 주에, 마라티어 사용 지역은 봄베이 주에, 칸나다어 사용 지역은 마이소르 주에 병합되었다. - 텔랑가나주 - 톨리우드
톨리우드는 1931년 시작된 텔루구어 영화 산업으로, 황금기를 거쳐 《바후발리》 시리즈 성공과 범인도 영화 마케팅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라모지 필름 시티라는 세계 최대 영화 스튜디오 단지를 보유하고 전 세계 배급 및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안드라프라데시주 - 벵기
벵기는 전 프로게이머이자 코치 및 감독으로, SK텔레콤 T1에서 정글러로 활동하며 LoL 월드 챔피언십에서 3회 우승했으며, 현재는 Dplus KIA의 감독으로 활동한다. - 안드라프라데시주 - 카다파
카다파는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라야라시마 지역의 도시로, 과거 티루말라 벤카테스와라 사원으로 향하는 길목이었으며, 농업, 광업이 주요 경제 기반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공존하며 주요 도시와 연결되는 교통 요충지이다. - 드라비다어족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드라비다어족 - 브라후이어
브라후이어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에서 사용되는 드라비다어족 언어로, 기원전 3천년 또는 기원후 1000년 이후 유입설이 있으며, 주변 이란어군의 영향을 받아 아랍 문자와 로마자로 표기하고, 소멸 위기 언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텔루구어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언어 이름 | 텔루구어 |
| 사용 국가 | 인도 |
| 사용 지역 | 안드라프라데시 주 텔랑가나 주 야남 지구 |
| 사용자 | 텔루구인 |
| 모어 화자 | 8296만 6790명 (2011년 인구 조사) |
| 제2 언어 화자 | 1301만 5000명 (2011년 인구 조사) |
![]() | |
| 언어 분류 | |
| 어족 | 드라비다어족 |
| 어파 | 남부 드라비다어파 |
| 하위 어파 | 남부 드라비다어파 II |
| 조상 언어 | 고대 텔루구어 |
| 문자 체계 | |
| 문자 | 텔루구 문자 텔루구 점자 |
| 공용어/공식어 지정 | |
| 국가 | 인도 |
| 지역 | 안드라프라데시 주 텔랑가나 주 야남 지구, 푸두체리 연방 직할지 서벵골 주 (추가) |
| 소수 언어 보호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언어 코드 | |
| ISO 639-1 | te |
| ISO 639-2 | tel |
| ISO 639-3 | tel |
| Glottolog | telu1262 (텔루구어), oldt1249 (고대 텔루구어) |
| 수화 | |
| 수화 | 텔루구 수화 |
| 역사 | |
| 기원 | 기원전 4세기경 |
| 방언 | |
| 방언 | 텔루구어 방언 참고 |
| 분포 | |
![]() 옅은 파란색 - 텔루구어가 상당한 소수 언어. | |
2. 명칭
텔루구어 사용자는 텔루구어를 단순히 ''텔루구'' 또는 ''텔루구어''라고 부른다. 이 이름의 이전 형태로는 ''텔룽구''와 ''테눙구''가 있다.[42] ''테누구''는 "남쪽"을 의미하는 원드라비다어 단어 ''*ten''에서 파생되어 (산스크리트어 및 프라크리트어 사용자들을 기준으로) "남쪽/남쪽 방향에 살았던 사람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텔루구''라는 이름은 텔루구어에서 "n"이 "l"로 변한 결과이다.[44]
일반적인 믿음은 텔루구어가 텔루구어의 고향인 세 개의 링가로 경계가 정해진 땅인 트릴링가 크셰트라의 트릴링가에서 파생되었다는 것이다. P. 첸치아와 부장가 라오(Bhujanga Rao)는 13세기에 아타르바나 아차리아가 텔루구어 문법을 써서 이를 ''트릴링가 샤브다누사사나''(Trilinga Śabdānuśāsana, 트릴링가 문법)라고 불렀다고 언급한다.[45]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아타르바나의 문법 제목이 ''아타르바나 카리카발리''(Atharvana Karikavali)였다고 지적한다.[46][47][48][49] 아파 카비는 17세기에 ''텔루구''가 ''트릴링가''에서 파생되었다고 명시적으로 썼다. 학자 C. P. 브라운은 아파 카비의 전임자들이 그러한 파생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기 때문에 이것이 "이상한 생각"이라고 논평했다.[50]
조지 에이브러햄 그리슨과 다른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파생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오히려 ''텔루구''가 더 오래된 용어였고 ''트릴링가''는 그 이후의 산스크리트화였음에 틀림없다고 주장한다.[51][52] 만약 그렇다면, ''트리글리품''(Triglyphum), ''트릴링검''(Trilingum) 및 ''모도갈링검''(Modogalingam)이 고대 그리스 자료에 언급되어 있으므로 이 파생 자체는 매우 오래되었음에 틀림없다. 이 중 마지막 것은 "''트릴링가''"의 텔루구어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53]
3. 역사


텔루구어 사용자는 이 언어를 ''텔루구''라고 부른다. 과거에는 ''텔룽구''나 ''테눙구''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42] ''테눙구''는 원드라비다어에서 "남쪽"을 의미하는 단어 ''*ten''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산스크리트어 및 프라크리트어 사용자의 관점에서) "남쪽 방향에 사는 사람들"을 의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텔루구''라는 이름은 텔루구어 내에서 'n'이 'l'로 변화한 결과로 여겨진다.[44]
널리 알려진 설에 따르면, 텔루구어는 세 개의 링가로 경계가 정해진 땅인 트릴링가 크셰트라의 '트릴링가'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P. 첸치아와 부장가 라오(Bhujanga Rao)는 13세기에 아타르바나 아차리아가 텔루구어 문법서인 ''트릴링가 샤브다누사사나''(트릴링가 문법)를 저술했다고 언급했다.[45]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아타르바나의 문법서 제목이 ''아타르바나 카리카발리''였다고 본다.[46][47][48][49] 17세기의 시인 아파 카비는 ''텔루구''가 ''트릴링가''에서 파생되었다고 명확히 기록했다. 학자 C. P. 브라운은 아파 카비 이전의 학자들이 이러한 어원설을 알지 못했다는 점을 들어 이를 "이상한 생각"이라고 평가했다.[50]
조지 에이브러햄 그리슨을 비롯한 언어학자들은 이 어원설에 의문을 제기하며, 오히려 ''텔루구''가 더 오래된 용어이고 ''트릴링가''는 나중에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이름일 것이라고 주장한다.[51][52] 만약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고대 그리스 자료에 ''트리글리품'', ''트릴링검'', ''모도갈링검''과 같은 지명이 언급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러한 파생 과정 자체는 매우 오래전에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모도갈링검'은 '트릴링가'의 텔루구어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53]
텔루구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며, 원시 드라비다어라는 조어에서 갈라져 나왔다. 언어 재구 연구에 따르면 원시 드라비다어는 기원전 4천년경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4][55] 비교 언어학 연구 결과, 텔루구어는 남부 드라비다어-II(남중부 드라비다어) 하위 그룹에 속한다. 이 그룹에는 곤디어, 쿠비어, 코야어, 펜고어, 콘다어, 만다어 등 문자로 기록되지 않은 언어들도 포함된다.[56]
원시 텔루구어는 현재 사용되는 모든 텔루구어 방언과 어형의 조상 언어로 재구된다.[57] 러시아 언어학자 미하일 S. 안드로노프는 텔루구어가 다른 드라비다어에서 분화된 시기를 기원전 1000년경으로 추정했다.[17][18][55]
텔루구어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시대별로 나눌 수 있다:[17][58]
=== 선사 텔루구어 (기원전 600년–기원전 200년) ===
선사 텔루구어는 기원전 600년 이전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59][60] 언어학적 특징으로 볼 때, 드라비다어족 내에서 가장 보수적인 언어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61][62]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고대 텔루구어 (기원전 200년–서기 1000년) ===
알려진 가장 오래된 텔루구어 단어 중 하나인 ''nágabu''는 아마라바티 불탑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2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73] 이 단어는 이라바탐 마하데반의 인더스 문자 해독 연구에서도 분석되었다.[74] 기원전 200년부터 서기 500년 사이, 아마라바티, 나가르주나콘다, 크리슈나 강 유역, 발라리, 엘루루, 옹골, 넬로르 등지에서 발견된 비문들에서 개인 이름과 지명을 중심으로 여러 텔루구어 단어가 확인되었다.[75]
간타살라의 브라흐미 비문[76]과 비자야푸리, 나가르주나콘다의 비자야 사타카르니 기둥 비문 등은 서기 1세기의 것이다.[77][78] 비슈누쿤디나 왕조의 툼말라구뎀 비문은 서기 5세기의 것이다.[79][21] 프라크리트어 비문에 나타나는 텔루구 지명은 서기 2세기부터 확인된다.[80][81]
사타바하나 왕조, 비슈누쿤디나 왕조, 안드라 익슈바쿠 왕조 시대의 산스크리트어 및 프라크리트어 비문에서도 많은 텔루구어 단어가 발견된다.[21] 사타바하나 왕조의 동전 명문은 모든 지역과 시대에 걸쳐 예외 없이 프라크리트어 방언을 사용했지만, 일부 동전 뒷면에는 텔루구어[82]나 타밀어 명문이 새겨진 경우도 있다.[83]
서기 4세기부터 1022년까지는 안드라 익슈바쿠 시대 이후 텔루구 역사의 두 번째 단계에 해당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완전한 텔루구어 장문 비문은 575년에 작성된 레나티 초다 왕조 단룬자야 왕의 것으로, 카다파 구의 칼라마라 마을에서 발견되었다.[80][84][85]
텔랑가나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짧은 텔루구어 비문은 "tolacuwānḍru"(తొలచువాండ్రు; 암석 조각가 또는 채석공)라는 라벨 비문이다. 이 비문은 키사라구타 사원에서 약 35km 떨어진 바위 동굴에서 발견되었으며,[86][87] 400년경 비슈누쿤디나 왕조 시대로 추정된다.[88][89]
서기 600년경으로 추정되는 마헨드라바르만 1세의 텔루구어 칭호가 타밀나두의 동굴 비문에 새겨져 있다.[90] 6세기부터 카다파 인근의 프라카삼 및 팔나두 구 등지에서 완전한 텔루구어 비문이 나타나기 시작했다.[125] 시적 운율을 갖춘 텔루구어 비문이나 장식적이고 문학적인 산문 비문은 630년부터 등장한다.[91][92] 9세기 중반에 제작된 발리야-초다의 마드라스 박물관 동판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텔루구어 동판 기증 문서이다.[93]
6세기 또는 그 이전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산스크리트어 문헌 ''자나슈라야-찬도비치티''는 텔루구어 시에 사용되는 운율을 다루고 있으며, 산스크리트 운율에는 없는 운율도 포함하고 있다. 이는 텔루구어 시문학이 6세기 또는 그 이전에 이미 존재했음을 시사한다.[169]
7세기의 동찰루키아 왕조 비문으로는 자야심하 1세의 비파르라 비문과 망기 유바라자의 락슈미푸람 비문이 가장 오래된 텔루구어 비문으로 알려져 있다.
848년에 작성된 아단키(Addanki) 비문(판다랑가 비문)은[170] 아단키의 천 개의 기둥 사원 근처에서 발굴되었다. 이 비문은 현존하는 문학 작품보다 훨씬 이전에 텔루구 문학이 발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이 비문은 텔루구어로 쓰인 최초의 시(taruvoja 형식, dvipada, yati, prasa 포함)이자 최초의 시 형식 비문(Padya Sasanam)으로 여겨진다. 비문 내용은 보야(Boya) 정벌에 참여한 장군 판다랑가가 군주 구나가 비자야디티야 3세의 군사 작전에서 승리한 공로로 왕에게 토지를 하사받았다는 이야기이다.
이 시기 텔루구어는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이는 텔루구 문학의 시작과 맥을 같이 한다. 초기 텔루구 문학은 통치자들의 궁정에서 비문이나 시 형태로 나타났고, 이후 난나야의 ''안드라 마하바라탐''(1022년)과 같은 본격적인 문학 작품으로 이어졌다.[94]
말리야 레차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텔루구 운율서인 카비자나스라얌(Kavijanasrayam)을 저술했다. 이 책은 후대 시인들에게 널리 참고되었다. 레차나의 스승인 바딘드라 추다마니가 더 이른 시기에 운율서를 저술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171][172][173] 1900년대 베투리 프라바카라 사스트리는 라자 라자 나렌드라 왕의 즉위 기념 문집에서 '난나야 이전의 찬다스(운율)'가 존재했음을 언급했다.[173] 이 문헌의 정확한 연대는 1980년대 카림나가르에서 관련 자료가 발견되면서 밝혀졌다.[174][148][175] 레차나의 활동 시기는 940년부터 12~13세기까지 다양하게 추정된다.
아디카비 팜파는 941년에 자이나교 서사시인 진엔드라 푸라남(Jinendra Puranam)을 텔루구어로 저술했다고 전해진다.
가장 초기의 텔루구 문학은 서기 575년부터 비문 형태로 존재했다. 운율을 갖춘 텔루구 비문과 문학적 산문은 630년부터 나타난다.[91][92] 대부분의 학자들은 최초의 주요 텔루구 시인으로 알려진 난나야(11세기) 이전에도 텔루구 문학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25] 그러나 T. 비자이 쿠마르는 "1020년 이전에 제작된 텔루구 문학 텍스트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난나야 이전 문학의 존재 여부는 추측과 논쟁의 대상"이라고 지적했다.[92]
=== 중세 텔루구어 (1000년–1600년) ===
이 시기는 '카비트라얌'(Kavitrayam), 즉 '시인 삼위일체'의 시대로 불린다. 난나야, 티카나, 예라프라가다(에라나)가 그들이다.
11세기 초 난나야(Nannaya, 텔루구어: నన్నయ)가 쓴 ''안드라 마하바라탐''은 일반적으로 최초의 중요한 텔루구 문학 작품(아디 카비암, Adi Kavyam)으로 간주된다.[92] 난나야 이전에도 텔루구 문학의 증거는 있지만, 그는 '아디 카비'(최초의 시인)라는 칭호를 얻었다. 난나야는 텔루구 문어의 문법 체계를 처음으로 확립했다. 그의 문법은 기존 산스크리트 문법서인 Aṣṭādhyāyī나 Vālmīkivyākaranam의 체계를 따랐지만, 내용을 삼냐(samjnā), 산디(sandhi), 아잔타(ajanta), 할란타(halanta), 크리야(kriya)의 5장으로 나누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난나야는 마하바라타 서사시의 처음 두 장과 세 번째 장의 일부를 챔푸(Champu, 시와 산문 혼합) 스타일로 번역했다.
티카나 소마야지(Tikkana Somayaji, 1205–1288 CE, 텔루구어: తిక్కన సోమయాజి)는 난나야가 시작한 ''안드라 마하바라탐''의 4장부터 18장까지를 집필하여 작품을 거의 완성했다. 티카나는 텔루구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많은 비평가들로부터 높이 평가받는다.
14세기의 예라프라가다(Yerrapragada, 텔루구어: ఎర్రాప్రగడ)는 난나야가 미처 끝내지 못한 세 번째 장을 완성하여 서사시 전체를 마무리했다. 그는 처음에는 난나야의 문체를 따르다가 점차 티카나의 문체로 바꾸어 집필을 마쳤다. 이 세 시인 난나야, 티카나, 예라프라가다는 텔루구어의 '카비트라얌'(세 명의 위대한 시인)으로 불린다. 이후 마라나의 마르칸데야 푸라남, 케타나의 ''다사쿠마라 차리타'', 예라프라가다의 하리밤삼 등 다른 번역 작품들이 나왔다. 12세기에는 파울루리 말라나의 가니타사라상그라함무(수학 개요서), 엘루간티 페드다나의 프라키르나가니타무(잡다한 수학)와 같은 과학 서적들도 저술되었다.
수마티 사타캄(Sumati Satakam)은 '네티'(도덕)를 주제로 한 100편 이상의 시 모음집으로, 가장 유명한 텔루구 사타캄 중 하나이다. 많은 문학 평론가들은 이 작품을 바데나 부팔루두(Baddena Bhupaludu, 텔루구어: బద్దెన భూపాల, 1220–1280 CE)가 쓴 것으로 본다. 그는 촐라 왕자이자 카카티야 왕조의 루드라마 데비 여왕의 봉신이었으며 티카나의 제자였다고 전해진다. 만약 바데나가 이 작품을 썼다면, 이는 팔쿠리키 소마나타의 브루샤디파 사타캄, 야타바쿠라 안나마야의 사르베스와라 사타캄과 더불어 텔루구어 초기 사타캄 중 하나가 된다. 수마티 사타캄은 C. P. 브라운이 1840년대에 영어로 번역하여 유럽 언어로 소개된 최초의 텔루구어 작품 중 하나이기도 하다.
팔쿠리키 소마나타(Palkuriki Somanatha): 그의 중요한 텔루구어 작품으로는 드위파다(dwipada, 2행 연구) 운율로 쓰인 바사바 푸라나(Basava Purana), 판디타라디야 차리트라(Panditaradhya Charitra), 말라마데비푸라나무(Mallamma Devi Puranamu), 소마나타 스타바(Somanatha Stava) 등이 있다. 운문 작품으로는 아누바바사라(Anubhavasara), 체남말루 시사말루(Chennamallu Sisamalu), 브루샤디파 사타카(Vrushadhipa Sataka), 체투르베다사라(Chaturvedasara) 등이 있으며, 바사보다하르나(Basavodharana)는 운문과 라갈레(ragale, 무운율 2행 연구) 운율로, 바사바라가다(Basavaragada)는 라갈레 운율로 쓰였다.
고나 부다 레디(Gona Budda Reddy): 그의 ''란가나타 라마야남''(Ranganatha Ramayanam)은 라마야나 서사시를 텔루구어로 옮긴 선구적인 작품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가 1300년에서 1310년 사이에 가족의 도움을 받아 이 작품을 썼다고 본다. 이 작품은 안드라프라데시의 문화 생활에 깊이 뿌리내려 인형극 공연에도 사용된다.
=== 근현대 텔루구어 (1600년–현재) ===
오늘날 하이데라바드 지역에서는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영향으로 독특한 방언이 발달했다. 이러한 영향은 14세기 북부 데칸 고원에 투글라크 왕조가 델리 술탄국의 통치를 확립하면서 시작되었다. 17세기 후반 무굴 제국이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1724년 하이데라바드 니잠 왕조가 하이데라바드 주를 세우면서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은 더욱 커졌다. 이는 특히 하이데라바드 주의 텔루구어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쳤으며, 19세기 초의 산문 기록인 ''카이피야트''(Kaifiyat)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94]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는 영국령 인도 제국의 통치 하에 현대적인 통신 및 인쇄 기술이 도입되면서 영어의 영향력이 커졌다. 특히 마드라스 관구에 속했던 지역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 시기의 문학은 고전적 전통과 현대적 흐름이 혼합된 양상을 보였으며, 기두구 벤카타 라마무르티, 칸두쿠리 비레살링감, 구라자다 아파라오, 기두구 시타파티, 파누간티 락슈미나라심하 라오 등이 대표적인 작가이다.[94]
파라바스투 친나야 수리(Paravastu Chinnayasuri, 1807–1861)는 텔루구어와 문학 발전에 헌신한 작가이다. 그는 텔루구 문법을 깊이 연구하여 새로운 체계의 문법서 ''바라 비야카라남''(Bala Vyakaranam)을 저술했다. 그의 다른 주요 저작으로는 ''니티찬드리카''(Nitichandrika), ''수탄드라 비야카라나무''(Sutandhra Vyakaranamu), ''안드라 다투물라''(Andhra Dhatumula), ''니티 상그라함무''(Neeti Sangrahamu) 등이 있다.
칸두쿠리 비레살린감(Kandukuri Veeresalingam, 1848–1919)은 일반적으로 현대 텔루구 문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176] 그의 소설 ''라자세카라 차리타무''(Rajasekhara Charitamu)는 올리버 골드스미스의 웨이크필드 목사에서 영향을 받았다. 그의 작품은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텔루구 문학을 현대적으로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당시 인도 전역에서 일어난 문예 부흥 운동의 일부였다. 이 시대의 다른 중요한 작가로는 구라자다 아파 라오, 비스와나타 사티야나라야나, 구람 자슈바,
4. 문자
텔루구어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발전된 텔루구 문자를 사용한다. 텔루구 문자는 60개의 기호로 구성된 아부기다이며, 16개의 모음, 3개의 모음 변형 기호, 41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텔루구어는 소리를 표현하는 체계를 따르는 완전한 글자 집합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많은 인도 언어처럼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었다.[165][166]
텔루구 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며, 단순 문자와 복잡 문자의 연속으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음절 문자로, 쓰기의 기본 단위는 음절이다. 가능한 음절 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음절은 모음('acchu' 또는 'swaram')과 자음('hallu' 또는 'vyanjanam')이라는 더 기본적인 단위로 구성된다. 자음군 내의 자음은 다른 곳에서 사용되는 모양과 상당히 다른 형태를 띤다. 자음은 순수한 자음, 즉 모음 소리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일반적으로 암묵적인 'a' 모음 소리와 함께 쓰고 읽는다. 자음이 다른 모음 기호와 결합할 때는 모음 부분을 'mātras'라는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이 'mātras'의 모양 역시 해당 모음의 원래 모양과는 매우 다르다.
역사적으로 문장은 하나의 막대। ('pūrna virāmam') 또는 이중 막대॥ ('dīrgha virāmam')로 끝났으며, 필기 시 텔루구 단어 사이에 공백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에는 쉼표, 세미콜론 등 영어식 구두점이 사실상 기존의 구두점 방식을 대체했다.[167]
텔루구어에는 다양한 비음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완전 영('anusvāra' 또는 'sunna') ( ం ), 반 영('arthanusvāra' 또는 'candrabindu' 또는 'ara-sunna') ( ఁ ), 그리고 'visarga' ( ః )가 사용된다. 또한 [la]와 [La], [ra]와 [Ra] 소리는 구별된다.[167]
텔루구어에는 산스크리트어에는 없는 'ĉ' [t͡s]와 'ĵ' [d͡z] 소리가 존재한다.
| క ka /ka/ | ఖ kha /kʰa/ | గ ga /ɡa/ | ఘ gha /ɡʱa/ | ఙ ṅa /ŋa/ |
| చ ca /t͡ʃa/ | ఛ cha /t͡ʃʰa/ | జ ja /d͡ʒa/ | ఝ jha /d͡ʒʱa/ | ఞ ña /ɲa/ |
| ట ṭa /ʈa/ | ఠ ṭha /ʈʰa/ | డ ḍa /ɖa/ | ఢ ḍha /ɖʱa/ | ణ ṇa /ɳa/ |
| త ta /ta/ | థ tha /tʰa/ | ద da /da/ | ధ dha /dʱa/ | న na /na/ |
| ప pa /pa/ | ఫ pha /pʰa/ | బ ba /ba/ | భ bha /bʱa/ | మ ma /ma/ |
| య ya /ja/ | ర ra /ɾa/ | ల la /la/ | వ va /ʋa/ | ళ ḷa /ɭa/ |
| శ śa /ʃa~sa/ | ష ṣa /ʂa/ | స sa /sa/ | హ ha /ha/ |

다음은 자음과 다양한 모음을 결합한 몇 가지 예시이다.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కః
ఖ ఖా ఖి ఖీ ఖు ఖూ ఖృ ఖౄ ఖె ఖే ఖై ఖొ ఖో ఖౌ ఖ్ ఖం ఖః
브라흐미 문자는 본래 프라크리트어 표기를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한 텔루구 문자로 텔루구어를 표기할 때 발음상의 혼란이 생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음성적으로는 같은 소리라도 표기하는 문자가 다를 경우, 읽는 사람에 따라 발음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텔루구 문자에는 독자적인 숫자 표기도 있다.
5. 음운
텔루구어 단어는 전통적으로 모음으로 끝나는 특징이 있다. 이는 15세기 베네치아 탐험가 니콜로 데 콘티가 텔루구어를 "동양의 이탈리아어"라고 칭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96][97] 그러나 현대 텔루구어에서는 'm', 'n', 'y', 'w'와 같은 일부 자음으로 단어가 끝나기도 한다. 산스크리트어 등 다른 언어로부터 차용어를 받아들이면서 유기음이나 특정 마찰음 등이 음운 체계에 포함되었다.[148]
텔루구어는 대조 강세가 뚜렷하지 않으며, 화자에 따라 강세를 다르게 인식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단어와 모음 길이에 따라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이나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온다.
텔루구 문자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 콜카타 국립 도서관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한다.
텔루구어는 다양한 모음과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모음과 자음 모두 소리의 길이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예: 겹자음).[148] 또한, 프랑스어의 리에종과 유사한 연음 현상이 나타나 발음 시 개별 단어의 경계가 불분명하게 들릴 수 있다.
텔루구어의 구체적인 모음과 자음 체계, 그리고 각 음소의 특징에 대해서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5. 1. 모음
텔루구어의 모음은 길이에 따라 대조된다. 모든 모음에는 단모음과 장모음이 있으며, /æ/는 장모음으로만 나타난다. 장모음은 단어 내 모든 위치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고유 텔루구어 단어는 장모음으로 끝나지 않는다. 단모음은 단어의 모든 위치에서 나타나며, /o/는 단어의 끝에 나타나지 않는다.[148] 텔루구어의 모음은 텔루구 문자 및 로마자 표기와 함께 아래 표에 나타나 있다.|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 폐쇄 모음 | /i/ ఇ|이tel i | /iː/ ఈ|이-tel ī | colspan="2" rowspan="2" | | /u/ ఉ|우tel u | /uː/ ఊ|우-tel ū | |
| 중설 모음 | /e/ ఎ|에tel e | /eː/ ఏ|에-tel ē | /o/ ఒ|오tel o | /oː/ ఓ|오-tel ō | ||
| 개모음 | colspan="2" | | /a/ ~ /ɐ/ అ|아tel a | /aː/ ~ /ɐː/ ఆ|아-tel ā | colspan="2" | | ||
대부분의 방언에서, 모음 /æː/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군투르 방언에서는, [æː]가 과거 시제의 특정 동사에서 /aː/의 빈번한 이음이 되기도 한다.
텔루구어에는 두 개의 이중 모음이 있다: /ai/ (ఐ|아이tel)와 /au/ (ఔ|아우tel).
어근은 첫 번째 모음이 긴장 모음인지 이완 모음인지에 따라 변경된다.[150] 또한, 두 번째 모음이 개방 모음(즉, /aː/ 또는 /a/)이면 첫 번째 모음은 더 개방적이고 중심화된다(예: [mɛːka] '염소' 대 [meːku] '못'). 텔루구어 단어는 또한 앞 음절의 모음과 조화되는 굴절 접미사에도 모음을 가지고 있다.[151]
프랑스어의 리에종과 유사하게, 발음 시 개별 단어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연음 현상이 나타난다.
19세기의 영국인이 텔루구어를 동양의 이탈리아어라고 부른 것처럼 모음이 풍부하며, 실용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단모음은 4종류로 비교적 발음하기 쉬운 언어로 평가받기도 한다.[180]
5. 2. 자음
텔루구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모음으로 끝나지만, 현대어에서는 'm', 'n', 'y', 'w'로 끝나는 단어도 있다.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의 영향으로 유기음과 비음 자음이 도입되었다.다음 표는 텔루구어의 자음 음소를 보여준다. 표기된 기호는 해당 음소의 국제 음성 기호(IPA)이며, 텔루구 문자 표기에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법(콜카타 국립 도서관 로마자 표기법)과 다를 수 있다.[147][148]
| colspan="2" rowspan="2" | | 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 평음 | 파찰음 | |||||||
| 비음 | /m/ m | /n/ n | /ɳ/ ṇ | |||||
| 파열음/ | 무기음 | /p/ p | /t/ t | /t͡s/ ts | /ʈ/ ṭ | /t͡ʃ/ c | /k/ k | |
| 유성음 | /b/ b | /d/ d | /d͡z/ dz | /ɖ/ ḍ | /d͡ʒ/ j | /ɡ/ g | ||
| 유기음* | /pʰ/ ph | /tʰ/ th | /ʈʰ/ ṭh | /t͡ʃʰ/ ch | /kʰ/ kh | |||
| 유성 유기음* | /bʱ/ bh | /dʱ/ dh | /ɖʱ/ ḍh | /d͡ʒʱ/ jh | /ɡʱ/ gh | |||
| 마찰음* | /f/ f | /s/ s | /ʂ/ ṣ | /ʃ/ ś | /h/ h | |||
| 접근음 | /ʋ/ v | /l/ l | /ɭ/ ḷ | /j/ y | ||||
| 탄음 | /ɾ/ r | |||||||
- 유기음과 유성 유기음(*표시)은 주로 산스크리트어 및 프라크리트어 차용어에서 나타난다. 또한 /tʰ/는 영어 차용어에서 /θ/를 대체하는 데 사용된다. 고유어에 드물게 나타나는 유기음은 /dʱ/인데, 이는 "18"(/pɐddʱenimidi/)과 같은 일부 복합 숫자에서만 발견되며, 이는 프로토 드라비다어의 후두음 */H/[149]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ɐddenimidi/ 형태도 있다. 고유어의 /s/를 제외한 모든 마찰음(*표시) 역시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148]
- 페르시아어-아랍어 계열 차용어의 음소 /q, x, ɣ, z/ 등은 힌디어와 유사하게 각각 /k, kʰ, ɡ, d͡ʒ/로 대체된다.[148]
- 치경 파찰음 /t͡s, d͡z/는 고유어에서만 나타나며, 유기음이나 유성 유기음 형태는 없다. 원래 /t͡ʃ, d͡ʒ/였던 고유어 단어들이 비전설 모음 앞에서 /t͡s, d͡z/로 변했으며, 이후 다른 언어에서 /t͡ʃ, d͡ʒ/를 가진 단어를 차용하면서 이 구분이 음소적으로 확립되었다. 모음 사이에서 /d͡z/는 [z]로 발음될 수 있다(예: [rɐːzu] '왕', [d͡zoːli] '가방', [ɡudd͡zu] '펄프').[148]
- 접근음 /ʋ/는 원순 모음 주변에서 [β̞ʷ]로 원순화될 수 있다.[148]
- 일반적인 프로토 드라비다어의 접근음 */ɻ/는 텔루구어에서 /ɖ/로 합류했지만, 다른 남부 드라비다어파 언어에서는 /ɽ/로 유지되었다.[149]
- 오래된 /ɳ/과 /ɭ/ 중 많은 수가 현대 텔루구어에서는 /n/과 /l/로 합류되었다.[149] 텔랑가나 방언에서는 /ɳ/과 /ɭ/이 /n/과 /l/로 완전히 합류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자음은 단어 중간 위치에서 길이 대조를 보인다. 즉, 동일한 자음이 짧게 발음될 때와 길게(겹자음) 발음될 때 의미가 달라진다. 다음은 자음 길이에 따라 의미가 구별되는 단어의 예시이다.[148]
- /ɡɐ'''d'''i/ ''gadi'' (방) – /ɡɐ'''dː'''i/ ''gaddi'' (풀)
- /ɐ'''ʈ'''u/ ''aṭu'' (저쪽) – /ɐ'''ʈː'''u/ ''aṭṭu'' (팬케이크의 일종)
- /mo'''ɡ'''ɐ/ ''moga'' (남성) – /moɡːɐ/ ''mogga'' (싹)
- /nɐ'''m'''ɐkɐmu/ ''namakamu'' (베다 찬가) – /nɐ'''mː'''ɐkɐmu/ ''nammakamu'' (믿음)
- /kɐ'''n'''u/ ''kanu'' (출산하다) – /kɐ'''nː'''u/ ''kannu'' (눈)
- /kɐ'''l'''ɐ/ ''kala'' (꿈) – /kɐ'''lː'''ɐ/ ''kalla'' (거짓)
- /mɐɾi/ ''ma'''r'''i'' (다시) – /mɐ'''ɾː'''i/ ''marri'' (반얀 나무)
모든 권설음(ṭ, ṭh, ḍ, ḍh, ṣ, ṇ, ḷ)은 모음 사이나 다른 권설음 옆에서 나타날 수 있다(예: /ʋɐː'''ɳ'''iː/ ''vāṇī'' '팁', /kɐ'''ʈɳ'''ɐm/ ''kaṭṇam'' '지참금', /pɐ'''ɳɖ'''u/ ''paṇḍu'' '과일', /kɐ'''ɭ'''ɐ/ ''kaḷa'' '예술'). /ɳ/과 /ɭ/을 제외한 나머지 권설음들은 단어 첫머리에도 나타날 수 있다(예: /'''ʈ'''ɐkːu/ ''ṭakku'' '가식', /'''ʈh'''iːʋi/ ''ṭhīvi'' '웅장함', /'''ɖ'''ipːɐ/ ''ḍippā'' '구형 물체의 절반', /'''ʂ'''oːku/ ''ṣōku'' '세련된 외모').[148]
접근음 /j/는 단어 첫머리에서는 주로 차용어에서 나타난다(예: 영어 'young'에서 온 /'''j'''ɐnɡu/ ''yangu'', 산스크리트어 ''yaśas''(/jɐʃɐs/, '명성')에서 온 /'''j'''ɐʃɐsːu/ ''yaśassu'').
텔루구어는 연음(리에종) 현상이 두드러져서, 발음을 들을 때 단어 간의 경계가 불분명하게 느껴질 수 있다.
6. 문법
텔루구어 문법에 대한 전통적인 연구는 ''vyākaraṇam'' (వ్యాకరణం)으로 알려져 있다. 텔루구어 문법에 관한 최초의 논문은 12세기 CE에 텔루구어의 첫 시인이자 번역가로 여겨지는 난나야가 산스크리트어로 쓴 ''Āndhra Śabda Cinṭāmaṇi''였다. 이 문법은 ''Aṣṭādhyāyī'' 및 ''Vālmīkivyākaranam''과 같은 문법 논문의 패턴을 따랐지만, 파니니와 달리 난나야는 자신의 작품을 ''samjnā'', ''산디'', ''ajanta'', ''할란타'' 및 ''크리야''를 다루는 5개의 장으로 나누었다. 19세기에 친나야 수리는 난나야의 문법에서 개념과 아이디어를 차용하여 ''Bāla Vyākaraṇam''이라는 텔루구어 문법에 대한 간결한 작품을 썼다.
텔루구어 단어는 접사를 통해 사건 참여자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텔루구어에는 접두사나 접중사는 없다.[147] 텔루구어에는 명사(고유 명사, 대명사), 동사(행동 또는 사건), 수식어(형용사, 수량사, 숫자), 부사(행동 또는 사건이 전개되는 방식을 수식), 부착어의 6가지 품사가 있다.
텔루구어 명사는 형태소에 따라 문법적 수 (단수, 복수), 명사 등급 (전통적으로 '남성', '여성', '중성'으로 구분되는 세 가지 등급), 문법적 격 (주격, 대격, 소유격, 여격, 호격, 도구격, 처격)으로 굴절된다.[152]
다른 드라비다어와 마찬가지로 텔루구어의 성(gender)은 의미 체계를 따른다.[154] 이는 명사가 속한 명사류를 정의하는 것이 주로 단어의 의미라는 뜻이다. 남성(남성 인간, '그' 성), 여성(여성 인간, '그녀' 성), 중성(모든 비인간, '그것' 성)의 세 가지 명사류가 있다. 대부분 명사의 성은 명사 자체보다는 대명사 접미사에서의 일치/지표화를 통해 표현된다.[147]
- anna waccā'''ḍu''' (형이 왔다 - '''남성''')
- amma wacc-in'''di''' (어머니가 왔다 - '''여성''')
동사 일치 시스템 측면에서 텔루구어 동사의 성 표시는 3인칭에서만 나타난다.[147]
| 3인칭 | 단수 | 복수 |
|---|---|---|
| 남성 | tericā-ḍu (그가 열었다) | tericā-ru (그들이 열었다) |
| 여성 | tericin-di (그녀가 열었다) | tericā-ru (그들이 열었다) |
| 중성 | tericin-di (그것이 열었다) | tericā-yi/tericina-wi (그것들 (비인간)이 열었다) |
텔루구어 성 시스템은 텔루구어 여성형이 남성 복수(''-ru'')와 중성 단수(''-di'')와 지표화 형태소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타밀어와 같은 다른 드라비다어와 다르다. 세 개의 성 체계를 특징짓는 것은 단수-복수 접미사의 개별적인 행동이다.[154]
| 성 | 동사 접미사 (단수 : 복수) |
|---|---|
| 남성 | -ḍu : -ru |
| 여성 | -di : -ru |
| 중성 | -di : -yi/-wi |
텔루구어 대명사에는 인칭 대명사(말하는 사람, 듣는 사람, 또는 말해지는 사람이나 사물), 부정 대명사, 관계 대명사(문장의 일부를 연결), 상호 대명사 또는 재귀 대명사(동사의 대상이 동사의 주어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가 포함된다.
| 나 | నేను (nēnu) |
|---|---|
| 우리 | మనం (manaṃ), మనము (manamu) |
| 우리 (너를 제외한) | మేము (mēmu) |
| 너 (단수) | నీవు (nīvu), నువ్వు (nuvvu) |
| 너희들 (복수) | మీరు (mīru) |
| 그녀 | ఆమె (aame) |
| 그 | అతను (atanu) |
| 그들 (사람) | వాళ్ళు (vāḷḷu) |
| 그것 | అది (adi) |
| 그것들 (사람이 아닌 것들) | అవి (avi) |
일상적인 텔루구어에서는 인칭 대명사가 남성과 비남성을 구분한다.[155][156]
텔루구어에는 지시 대명사가 매우 다양하며, 형태는 화자와의 거리 및 격식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격식 있는 지시 대명사는 격식 있는 인칭 대명사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이 여자' 또는 '이 남자'와 '저 여자' 또는 '저 남자'의 정중한 형태는 더 격식 있는 맥락에서 단순히 '그녀'와 '그'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단수형에서는 남성과 여성을 지칭할 때 네 가지 격식 수준이 있는데, 가장 격식 있는/정중한 형태는 두 성별 모두 동일하다. 단수형과 복수형 모두 텔루구어는 (영어처럼) 화자로부터의 두 가지 거리 수준, 기본적으로 '이것과 저것', '이것들과 저것들'을 구분한다.
| rowspan="2" | | 단수 | |||||
|---|---|---|---|---|---|---|
| 근접 (화자에게 가까움, "이") | 원격 (화자로부터 멀리 떨어짐, "저") | |||||
| 성별/격식 | '여성' | '남성' | '중성' | '여성' | '남성' | '중성' |
| '매우 비격식' | idi | vīḍu | idi | adi | vāḍu | adi |
| '비격식' | īme | itanu | āme | atanu | ||
| '격식' | īviḍa | īyana | āviḍa | āyana | ||
| '매우 격식' | vīru | vāru | ||||
복수형에서는 격식 수준 간의 구분이 없지만, 다시 한번 남성형과 여성형은 동일하며, 중성 지시 대명사는 다르다.
| 복수 | |||||
|---|---|---|---|---|---|
| 근접 (화자에게 가까움, "이것들") | 원격 (화자로부터 멀리 떨어짐, "저것들") | ||||
| '여성' | '남성' | '중성' | '여성' | '남성' | '중성' |
| vīỊỊu/vīru | ivi | vāỊỊu/vāru | avi | ||
텔루구어는 드라비다어에 속하지만, 서기 1세기경 남인도에 세력을 확립한 아리아인 계통의 안드라 왕조(사타바하나 왕조)의 문화적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 문자와 함께 산스크리트어로부터의 어휘 차용과 조어가 매우 많다. 또한 힌두스탄어(힌디어, 우르두어) 및 페르시아어, 아랍어로부터 유입된 단어들도 있다.
북인도에 이슬람 제국이 세워지자, 남부에서는 힌두 문화의 정통성을 유지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카스트 제도를 중시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이로 인해 텔루구어의 고전 시인들이 많았고, 산스크리트어로도 작품을 만들었기 때문에, 텔루구어에는 더 많은 산스크리트 계열의 어휘가 유입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텔루구어 화자들은 텔루구어 전통에 대한 구심력이 약해 다수의 방언으로 분화되었고, 20세기까지 공통어를 만들려는 시도나 자연적인 수렴도 없었다. 20세기에 이르러 비로소 공통어화가 진행되었지만, 여전히 방언 분화가 존재하며, 영어 및 인접 드라비다어를 화자들이 병용하는 상황으로 인해 일부에서는 소멸 가능성을 지적하기도 한다.[180]
6. 1. 어순
텔루구어의 기본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 순서이다.[153] 이는 한국어와 같은 어순이다.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 단어의 순서를 보면, 행위 주체('''주격''') - 행위 대상('''대격''') - 행위·서술어 순서로 나타난다.예를 들어 "라마는 공을 친다"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Ramu'''du''' banti'''ni''' kottadu
:라마'''는''' 공'''을''' 친다
6. 2. 명사의 격 변화
텔루구어는 명사의 격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모든 명사의 단수 및 복수 형태에 정해진 접미 음절을 붙인다.[152] 이 방식은 인도유럽어족과 같은 굴절어의 격 변화 방식과는 다르다.이 접미 음절은 일본어의 격조사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 때문에 텔루구어는 굴절어보다는 일본어나 알타이어족 언어들처럼 교착어에 가까운 특징을 보인다. 복수형을 엄격하게 구분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일본어 화자에게는 비교적 이해하고 배우기 쉬운 문법 구조로 여겨지기도 한다.
텔루구어 문장에서 주격(karta), 동사의 목적어(karma), 그리고 동사는 어느 정도 정해진 순서로 나타난다. "Vibhakti"(명사의 격)와 "pratyāyamulu"(파생어와 굴절어를 형성하는 어근과 단어에 붙는 접사)는 텔루구어의 고대적 성격과 발전을 보여준다. 텔루구어의 "Vibhaktis"인 "డు [ɖu], ము [mu], వు [vu], లు [lu]" 등은 산스크리트어의 격과 다르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라무두'(Ramudu, 남성 명사, 단수 주격)의 격 변화는 다음과 같다. 표에서 제시된 "접미 음절"은 명사 어간에 붙어 격을 나타낸다.
| 격 | 라무두 (Ramudu)의 변화형 | 접미 음절 |
|---|---|---|
| 주격 (-은/는) | Ramudu | (-du) |
| 대격 (-을/를) | Ramuni | (-ni) |
| 조격 (-으로/로) | Ramuniki | (-ki) |
| 여격 (-에게/에) | Ramuniki | (-ki) |
| 탈격 (-에서/로부터) | Ramudininchi | (-ninchi) |
| 속격 (-의) | Ramunidi | (-di) |
7. 방언
텔루구어에는 네 가지 주요 지역 방언이 있다.[142]
- 서부: 텔랑가나 지역 방언 (텔랑가나 방언)
- 남부: 라야라시마 지역 방언
- 중부: 코스탈 안드라 지역 방언
- 북부: 노스 안드라 지역 방언
구어체를 기준으로 할 때는 텔랑가나, 라야라시마, 코스탈 안드라 방언을 텔루구어의 세 가지 주요 방언 및 지역으로 간주하기도 한다.[143]
와다르어, 첸추어, 만나-도라어는 모두 텔루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언어들이다.[144] 이 외에도 베라드, 다사리, 돔마라, 골라리, 카마티, 콤타오, 콘다-레디, 살레와리, 바다가, 스리까꿀라, 비사카파트남, 이스트 고다바리, 라야라시마, 넬로르, 군투르, 바다리, 방갈로르, 야나디 등 다양한 텔루구어 방언이 존재한다.[145]
역사적으로 북인도에 이슬람 제국이 세워진 후 남부에서는 힌두 문화의 정통성을 지키려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카스트 제도를 중시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텔루구어 고전 시인들이 산스크리트어로도 작품 활동을 하면서 텔루구어에 산스크리트 계열 어휘가 많이 유입되었다. 이러한 힌두 문화 중심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텔루구어 사용자들은 언어적 통일성에 대한 구심력이 상대적으로 약했고, 이는 다수의 방언으로 분화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20세기까지 공통어를 만들려는 뚜렷한 움직임이나 자연스러운 언어 통합 과정이 부족했다.[180]
20세기에 들어서 공통어 형성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지만, 여전히 방언 간의 차이가 존재하며 일부에서는 오히려 방언 분화가 심화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180]
8. 어휘
텔루구어 어휘의 상당 부분은 기원전 3천년기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설적인 조어인 원드라비다어에서 유래했다.[157][158] 텔루구어는 드라비다어 기원의 가장 오래된 단어, 표지, 형태소 일부를 보존하고 있다.[159][160] 또한 곤디어, 쿠위어와 같은 가장 가까운 남부 드라비다어-II 언어 그룹 및 타밀어, 칸나다어와 같은 다른 드라비다어족 언어들과 동족어를 공유한다.
고전 텔루구어 작품의 어휘는 산스크리트어의 광범위한 영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영향은 난나야 이전 시기에도 존재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161] 서기 1000년에서 1100년 사이에 난나야가 텔루구어로 《마하바라타》(మహాభారతము)를 번역하면서 산스크리트어 단어의 자유로운 차용이 확립되었다.[162] 텔루구어는 많은 탓사마(Tatsama) 단어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 원형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는 단어로 '프라크리티'(Prakruti)라고 불린다. 이에 대응하는 구어체 또는 타드바바(Tadbhava) 단어는 '비크리티'(Vikruti)라고 하며, 이는 '변형된'이라는 의미이다. 프라크리티는 주로 교육 기관이나 공식적인 문서 등에서 사용된다.
| 프라크리티(Prakruti) (산스크리트어 차용어) | 비크리티(Vikruti) (변형된 형태) |
|---|---|
| అగ్ని Agni (불) | అగ్గి Aggi |
| భోజనం Bhojanam (음식) | బోనం Bonam |
| విద్య Vidya (교육) | విద్దె Vidhe, విద్దియ Vidhiya |
| రాక్షసి Raakshasi (악마) | రక్కసి Rakkasi |
| శూన్య Soonya (영) | సున్న Sunna |
| దృష్టి Drushti (시력) | దిష్టి Dishti |
| కనిష్టం Kanishtam (최소) | కనీసం Kaneesam |
| అగరవర్తి Agaravarti (향) | అగరవత్తి Agaravatti |
| విభూతి Vibhoothi (신성한 재) | విభూధి Vibhudhi |
| చనక Chanaka (병아리콩) | శనగ śanaga |
| కవచ Kavacha (갑옷, 보호막) | గవచ Gavacha, గవ్వ Gavva |
| భిక్షం Bhiksham (구걸) | బిచ్చం Bicham |
| ద్వితీయ Dvitiya (두 번째) | విదియ Vidiya |
| తృతీయ Trutiya (세 번째) | తదియ Thadhiya |
| జాగ్రత Jaagrata (경계) | జాగ్రత్త Jaagratta |
| వామతి Vamati (구토) | వాంతి Vanthi |
| స్వంత Swantha (자신의) | సొంత Sonta |
| అటవి Atavi (숲) | అడవి Adavi |
| త్వర Twara (빠른) | తొరగా Toraga |
| రక్తము Rakthamu (피) | రగతము Ragathamu |
아디바틀라 나라야나 다수와 폰네간티 텔라간나와 같은 시인들은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로부터의 광범위한 차용에 맞서, 드라비다어 기원의 고유 어휘를 강조하는 '아차 텔루구'(acca telugu) 또는 '자누 텔루구'(jānu telugu) 문학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163][59] 구어 텔루구어는 다양한 방언에서 드라비다어 어휘의 상당 부분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텔루구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지만, 서기 1세기경 남인도에 세력을 확립한 아리아인 계통의 안드라 왕조(사타바하나 왕조)의 문화적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로 인해 문자 체계와 함께 산스크리트어로부터 많은 어휘를 차용하고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냈다.
북인도에 이슬람 제국이 세워진 후, 남부에서는 힌두 문화의 정통성을 지키려는 움직임이 강해지면서 카스트 제도가 중시되었다. 이 시기 텔루구 고전 시인들은 산스크리트어로도 작품 활동을 했기 때문에, 텔루구어에는 산스크리트 계열 어휘가 더욱 많이 유입되었다.
힌두스탄어(힌디어, 우르두어) 및 페르시아어, 아랍어로부터 유입된 단어들도 존재한다. 특히 하이데라바드 지역의 텔루구어 어휘는 데칸 술탄국, 무굴 제국, 하이데라바드 니잠 왕조와 같은 튀르크계 지배의 영향으로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에서 (우르두어를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차용한 단어들이 많다. 이러한 단어들은 텔루구어 음운 체계에 맞게 변형되었다. (예: కబురు /kaburu/ ← 우르두어 خبر /xabar/; జవాబు /dʒavaːbu/ ← 우르두어 جواب /dʒawɑːb/).[94]
현대에는 영어에서 많은 단어가 차용되었으며, 식민지 시대에는 포르투갈어에서도 일부 단어가 유입되었다. 현대 텔루구어 어휘는 일종의 이중 언어 현상을 보이는데, 학교 교육이나 정부, 힌두교 종교 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공식적이고 표준화된 언어는 어휘적으로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반면, 일상적인 구어 텔루구어는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이 덜하고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힌두 문화 중시 경향은 역설적으로 텔루구어 자체의 전통에 대한 구심력을 약화시켜 다수의 방언으로 분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20세기까지 공통어를 만들려는 노력이나 자연스러운 통합 과정이 미미했다. 20세기에 들어 공통어 형성이 진행되었지만, 여전히 방언 분화는 뚜렷하며 일부에서는 오히려 방언의 차이가 더 커지는 경향도 보인다. 또한 영어 및 인접 드라비다어족 언어와의 병용 현상으로 인해, 많은 사용 인구에도 불구하고 언어의 활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180]
9. 문화
하이데라바드 지역에서는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영향으로 독특한 방언이 발달했다. 이러한 영향은 14세기 북부 데칸 고원에 투글라크 왕조가 세운 델리 술탄국의 통치로부터 시작되었다.[94] 17세기 후반 무굴 제국의 남부 확장과 1724년 하이데라바드 니잠 왕조에 의한 하이데라바드 주 설립은 텔루구어에 대한 페르시아 문학의 영향을 더욱 강화시켰으며, 이는 19세기 초 산문에서도 확인된다.[94]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는 영국령 인도 제국의 통치 하에 영어의 영향력이 커졌고, 특히 마드라스 관구 지역을 중심으로 현대적인 통신 및 인쇄술이 도입되었다. 이 시기 문학은 고전적 전통과 현대적 전통이 혼합되는 양상을 보였다.[94]
1921년 하이데라바드 토후국에서는 텔루구어, 문학, 서적, 역사 연구 증진을 목표로 안드라 마하사바가 창설되었다. 마다파티 하누만타 라오, 코마라주 벤카타 락슈마나 라오, 수라바람 프라타파 레디 등이 이 운동을 이끌었다.[98]
텔루구어는 인도 공용어 22개 중 하나이며,[100] 1966년 안드라프라데시 공식 언어 법에 따라 현재의 안드라프라데시 주와 텔랑가나 주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101][102] 또한 푸두체리 연합 구역의 야남 구에서도 공식 언어 지위를 갖는다. 텔루구어는 힌디어, 벵골어, 마라티어 다음으로 인도에서 네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103] 인도 고전어 6개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104][105]
매년 8월 29일은 텔루구 시인 기두구 벤카타 라마무르티의 생일을 기념하는 텔루구어의 날이다.[106][107] 2012년 12월에는 제4회 세계 텔루구어 학술대회가 티루파티에서 개최되어 텔루구어 정책 관련 문제가 논의되었다.[108][109] 미국에서는 2016년 인구 조사 데이터 기준으로 텔루구어가 세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인도 언어로 나타났다.[110][111]
인도 아대륙의 문화 속에서 산스크리트어, 타밀어, 메이테이어, 오디아어, 페르시아어, 아랍어와 더불어 텔루구어에 대한 지식은 인도 고전 무용을 배우는 데 중요한 요소로 여겨졌다. 무용가들은 이러한 언어 능력을 통해 주요 문헌 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었다.[112]
텔루구어 사용 지역은 남인도의 주요 곡창 지대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문화적 특징을 공유한다. 이는 일본 문화와 유사한 면이 있는데, 일본어처럼 텔루구어에도 "벼", "쌀", "밥"을 구별하는 독립된 단어가 존재한다. 또한 쌀 한 톨 한 톨에 여신이 깃들어 있다고 믿어 소중히 다루며, 쌀은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져 항상 복수 형태로 표현된다.[180]
9. 1. 인명
텔루구어의 인명은 다른 남아시아 지역과 달리 동아시아나 헝가리처럼 성이 이름 앞에 오는 특징을 가진다.[181]9. 2. 영화
1930년대부터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과 같은 대중 매체가 도입되면서, 이전까지 일부 엘리트 계층의 문학 형식으로 여겨지던 텔루구어가 일반 대중에게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러한 대중 매체를 통해 사용되는 현대적인 형태의 텔루구어는 학교와 대학에서도 표준으로 가르치고 있다.[99]텔루구어로 제작되는 영화의 수는 매우 많으며, 인도 내에서도 텔루구 영화는 가장 많은 편수를 기록하고 있다.
참조
[1]
e26
tel
[2]
웹사이트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8-07-07
[3]
웹사이트
West Bengal shows 'Mamata' to Telugus
https://www.thehansi[...]
2020-12-31
[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 Chapter 1: Founding Provisions
http://www.gov.za/do[...]
2014-12-06
[5]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6]
간행물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2023
[7]
encyclopedia
Dravid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8-09-03
[8]
웹사이트
Making Telugu compulsory: Mother tongues, the last stronghold against Hindi imposition
https://www.thenewsm[...]
2022-05-13
[9]
e26
Statistics
https://www.ethnolog[...]
[10]
book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5-10-28
[11]
book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istics: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3-05
[12]
book
Facts about the World's Languages: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Major Languages,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H.W. Wilson
2001
[13]
book
Global Indian Diasporas: Exploring Trajectories of Migration and Theory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2-08-14
[14]
book
India's Low-Skilled Migration to the Middle East: Policies, Politic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2-08-14
[15]
뉴스
Do you speak Telugu? Welcome to America
https://www.bbc.com/[...]
2022-08-12
[16]
웹사이트
Telugu to be an official subject in South African schools
https://www.thehansi[...]
2022-08-12
[17]
book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Verlag
[18]
문서
Indian Encyclopaedia – Volume 1
Genesis Publishing Pvt Ltd
2002
[19]
citation
Essays in Indian protohistory
https://books.google[...]
The Indian Society for Prehistoric and Quaternary Studies/B.R. Pub. Corp.
2015-11-15
[20]
뉴스
The Hindu News: Telugu is 2,400 years old, says ASI
http://www.thehindu.[...]
[21]
뉴스
How Telugu won legal battle for 'classical' tag
https://timesofindia[...]
2019-07-15
[22]
book
India's Cultural Relations with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Sharada Publishing House
1996
[23]
book
Literary Cultures in History: Reconstructions from South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05-19
[24]
book
Nityasumangali: Devadasi Tradition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1987
[25]
book
A Social History of the Deccan, 1300-1761: Eight Indian Liv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11-17
[26]
book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Vol. 4 Part 1
http://archive.org/d[...]
1957
[27]
웹사이트
The Dance Traditions of Thanjavur
https://www.oberlinl[...]
2023-03-16
[28]
book
The Princeton Handbook of World Poetri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11-22
[29]
book
Literature and Nationalist Ideology: Writing Histories of Modern Ind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8-03
[30]
book
The Economic Conditions of Mediaeval Āndhradēsa: A.D. 1000-A.D. 1500
https://books.google[...]
Sri Venkateswara Publications
1987
[31]
book
Ancient Indian Leaps into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1-01-20
[32]
book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87
[33]
book
A Dictionary of Ind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1998
[34]
journal
Inscriptions as Artifacts: Precolonial South India and the Analysis of Texts
https://instructure-[...]
Springer
[35]
book
Hybrid Knowledge in the Early East India Company World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4-29
[36]
서적
The Powers of Art: Patronage in Indian Cul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3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Tamil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08-25
[38]
서적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Fourth Edi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11-28
[39]
서적
Spring, Heat, Rains: A South Indian Dia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08-01
[40]
서적
The Music of Hindostan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914
[41]
서적
The Geography of India: Sacred and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0-04-01
[42]
간행물
The Roots of Hinduism: The Early Aryans and the Indus Civ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Telugu Basha Charitra
Osmania University
[44]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 Bhadriraju Krishnamurti
[45]
서적
A History of Telug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17-01-26
[46]
서적
Sri Venkateswara University Oriental Journal
https://books.google[...]
Oriental Research Institute, Sri Venkateswara University
1974
[47]
서적
The Theories of Telugu Grammar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School of Dravidian Linguistics
1996
[48]
서적
Some Mile-stones in Telug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Read & Company
1915
[49]
서적
History of Medieval Deccan, 1295-1724: Mainly cultural aspects
https://books.google[...]
Government of Andhra Pradesh
1974
[50]
간행물
Madras Journal of Literature and Science
Vepery mission Press.
2017-01-26
[51]
간행물
Linguistic Survey of India
Motilal Banarsidass
2014-06-12
[52]
간행물
The Andhras through the ages
https://books.google[...]
Sri Saraswati Book Depot
2017-01-25
[53]
간행물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Dravidian or South-Indian Family of Languages
http://gretil.sub.un[...]
Harrison
[54]
논문
A Bayesian phylogenetic study of the Dravidian language family
2018-03-21
[55]
웹사이트
Proto-Dravidian
https://lists.hcs.ha[...]
2014-03-25
[56]
웹사이트
Dravidian languages by Bhadriraju Krishnamurti
https://edisciplinas[...]
[57]
웹사이트
Dravidian etymology: Query result
https://starlingdb.o[...]
2024-08-07
[58]
웹사이트
Historical Grammar of Telugu
https://archive.org/[...]
1969-01-18
[59]
논문
Editor & Publisher, 1901–2015, Internet Archive
2021-07-03
[60]
서적
Historical Grammar of Telugu
https://archive.org/[...]
1969
[61]
논문
Telugu Verbal Bases: A Comparative and Descriptive Study
1966-12
[62]
서적
Linguistic Survey of India (1906)
https://archive.org/[...]
1906
[63]
서적
Compartive Grammar of Dravidian Languages by Mikhail Andronov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24-01-18
[64]
웹사이트
Nominative suffixes in Old Telugu, Iravatham Mahadevan
https://www.harappa.[...]
[65]
웹사이트
Krishnamurti: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edisciplinas[...]
2023-12-30
[66]
웹사이트
ప్రాచీనాంధ్రశాసనాలు (క్రీ.శ. 1100వరకు) (పాఠ, పదకోశ, సంగ్రహభాషా చరిత్రలతో): బూదరాజు రాధాకృష్
https://archive.org/[...]
2023-12-30
[67]
웹사이트
Proposal to encode 0C5A TELUGU LETTER RRRA
https://unicode.org/[...]
unicode.org
2024-04-06
[68]
웹사이트
Dravidian Languages, Krishnamurti
https://www.cambridg[...]
[69]
웹사이트
The Dravidian Languages by Bhadriraju Krishnamurthi
https://edisciplinas[...]
[70]
서적
Comparitive Grammar of Dravidian Languages, Mikhail Andronov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24-01-18
[71]
웹사이트
Areal and Lexical Diffusion of Sound Change: Evidence from Dravidian
https://academic.oup[...]
[72]
웹사이트
Early Telugu Inscriptions (Up to 1100 AD), Dr. Budaraju Radha Krishna.
https://archive.org/[...]
1971-01-18
[73]
서적
ప్రాచీనాంధ్ర శాసనాలు, వేటూరి ప్రభాకర శాస్త్రి
https://archive.org/[...]
1928-06-01
[74]
웹사이트
Harappan Heritage of Andhra
https://rmrl.in/wp-c[...]
[75]
서적
Telugu words in Prakrit and Sanskrit inscriptions
1969
[76]
웹사이트
Epigraphia Indica Vol. XXVII 1947- 48
http://indianculture[...]
2023-04-05
[77]
뉴스
How Telugu won legal battle for 'classical' tag
https://timesofindia[...]
2019-07-15
[78]
웹사이트
R.Gandhi vs The Secretary to the Government
https://indiankanoon[...]
2018-05-09
[79]
서적
Epigraphia Andhrica
https://books.google[...]
Government of Andhra Pradesh
1969
[80]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1-16
[81]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South Asia: A Comprehensive Guid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6-05-24
[82]
서적
The Language of the Gods in the World of Men: Sanskrit, Culture, and Power in Premodern Ind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3]
서적
Religion and Public Culture: Encounters and Identities in Moder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8-03-03
[84]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05-01
[85]
뉴스
కడప జిల్లాలోని కలమల్ల శాసనమే తొలి తెలుగు శాసనమా?
https://www.bbc.com/[...]
2023-04-05
[86]
서적
Itihas
https://books.google[...]
Director of State Archives, Government of Andhra Pradesh.
1989
[87]
서적
Evolution of Building Technology: Early and Madieval [i.e. Medieval] in Andhradeśa
https://books.google[...]
Bharatiya Kala Prakashan
1998
[88]
웹사이트
Ancient Temples of Telangana
http://anyflip.com/v[...]
Government of Telangana
2017-07-28
[89]
웹사이트
విష్ణుకుండి రాజధాని కీసర
https://www.ntnews.c[...]
2023-04-06
[90]
웹사이트
Mahendravarman I
https://archive.org/[...]
1960
[91]
서적
Occasional Papers in Language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Prachee Publications
1998
[92]
웹사이트
Translation as Negotiation: The Making of Telugu Language and Literature
https://ntm.org.in/d[...]
[93]
서적
Indian Epigraphy
Motilal Banarsidass Publ.
[94]
웹사이트
Languages
http://www.aponline.[...]
[95]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6]
뉴스
When foreigners fell in love with Telugu language
https://www.thehindu[...]
2019-07-15
[97]
서적
A Descriptive and Historical Account of the Godavery District in the Presidency of Madra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17-01-29
[98]
서적
Telangana People's Struggle and Its Lessons
https://books.google[...]
Foundation Books
1972
[99]
서적
A Grammar of Modern Telugu
Oxford University Press
[100]
웹사이트
PART A Languages specified in the Eighth Schedule (Scheduled Languages)
http://censusindia.g[...]
[101]
뉴스
Telugu declared official language
http://www.hindu.com[...]
2007-07-16
[102]
웹사이트
AP Fact File: Post-Independence Era
http://www.aponline.[...]
[103]
뉴스
Hindi mother tongue of 44% in India, Bangla second most-spoken
https://economictime[...]
2018-06-27
[104]
웹사이트
Declaration of Telugu and Kannada as classical languages
http://pib.nic.in/re[...]
Ministry of Tourism and Culture, Government of India
2008-10-31
[105]
뉴스
Telugu gets classical status
http://timesofindia.[...]
2008-11-01
[106]
뉴스
Telugu Language Day on August 29
https://www.thehindu[...]
2020-12-04
[107]
뉴스
Telugu Language Day 2020: 6 Tollywood songs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elugu language
https://timesofindia[...]
2020-12-04
[108]
웹사이트
World Telugu Conference: Then and now
http://www.thehindu.[...]
2013-02-03
[109]
웹사이트
Tirupathi to host World Telugu Conference
http://www.thehindub[...]
2013-02-03
[110]
웹사이트
Language spoken at home by ability to speak english for the population 5 years and over
https://www.census.g[...]
2017-12-02
[111]
웹사이트
America's fastest growing foreign language is from south India
https://qz.com/india[...]
2022-08-12
[112]
서적
Traversing Tradition: Celebrating Dance in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Taylor & Francis
2012
[113]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Website: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https://censusindia.[...]
Censusindia.gov.in
2022-03-22
[114]
뉴스
Telugu population figure worldwide
https://www.ethnolog[...]
2023-03
[115]
웹사이트
Almost Half Speak a Foreign Language in America's Largest Cities
https://cis.org/Repo[...]
2018-09-19
[116]
뉴스
Do you speak Telugu? Welcome to America
https://www.bbc.com/[...]
BBC News
2019-12-24
[117]
웹사이트
ACS B16001
https://data.census.[...]
U.S. Census Bureau
2022-12-26
[118]
서적
Global Indian Diasporas: Exploring Trajectories of Migration and Theory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2-08-14
[119]
서적
India's Low-Skilled Migration to the Middle East: Policies, Politic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2-08-14
[12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 Chapter 1: Founding Provisions {{!}} South African Government'
https://www.gov.za/d[...]
2021-01-06
[121]
웹사이트
Telugu to be an official subject in South African schools
https://www.thehansi[...]
2022-08-12
[122]
웹사이트
Vice President stresses the need to preserve and promote classical languages
http://pib.gov.in/Pr[...]
2021-01-06
[123]
웹사이트
Explained: How is a language declared 'classical' in India, what benefits it enjoys
https://indianexpres[...]
2021-01-06
[124]
논문
Inscriptions as Artifacts: Precolonial South India and the Analysis of Texts
https://instructure-[...]
Springer
[125]
논문
Emergence of Regional Identity and Beginning of Vernacular Literature: A Case Study of Telugu
https://dsal.uchicag[...]
2021-02-20
[126]
서적
The Language of the Gods in the World of M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7-12-03
[127]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8-16
[128]
서적
Language, Emotion, and Politics in South India: The Making of a Mother Tongu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9-08-16
[129]
서적
Dimensions of Human Cultures in Central India: Professor S.K. Tiwari Felication Volume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2017-12-02
[130]
서적
Indian Epigraphy: A Guide to the Study of Inscriptions in Sanskrit, Prakrit, and Other Indo-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8-16
[131]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03
[132]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03
[133]
웹사이트
Gifts to Gods and Brahmins: A Study of Religious Endowments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20-10-03
[134]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09-20
[135]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5-17
[136]
서적
Classical Telugu Poetry: An Anthology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7-05-17
[137]
서적
International Journal of Dravidian Linguistics: IJDL.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Kerala.
2017-05-17
[138]
서적
Re-figuring the Ramayana as Theology: A History of Reception in Pre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5-17
[139]
서적
Evolution of Hindu Administrative Institutions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17-05-17
[140]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5-17
[141]
서적
Dalit Politics in Contemporary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0-14
[142]
서적
A Grammar of Modern Telugu
Oxford University Press
[143]
서적
Language Typology: A Function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4
[144]
기타
[145]
웹사이트
Telugu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16-03-30
[146]
논문
[147]
논문
[148]
간행물
Illustrations of the IPA – Telugu
2017
[149]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2-08
[150]
기타
[151]
웹사이트
A Grammar of the Telugu Language
https://books.google[...]
2022-10-13
[152]
서적
A grammar of the Telugu language
Christian Knowledge Society's Press
[153]
서적
Smart Computing Paradigms: New Progresses and Challenges: Proceedings of ICACNI 2018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19-11-30
[154]
서적
Gen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55]
서적
A progressive grammar of the Telugu language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2014-08-03
[156]
서적
A grammar of the Telugu language
https://books.google[...]
Christian Knowledge Society's Press
2014-08-03
[157]
간행물
Telugu Verbal Bases: A Comparative and Descriptive Study
1966-12
[158]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1-16
[159]
서적
A Brawn'sdictionary English And Telugu ( 1853)
http://archive.org/d[...]
[160]
간행물
Review of Telugu Verbal Bases: A Comparative and Descriptive Study
1966
[161]
서적
Classical Telugu Poetry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0-05-12
[162]
뉴스
Telugu bhasha charitra
Telugu academy
[163]
서적
యయాతి చరిత్ర సుగమ వ్యాఖ్య
http://archive.org/d[...]
[164]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2015-10-06
[165]
기타
[166]
서적
One Thousand Languages: Living, Endangered, and Lo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167]
서적
A Grammar of the Telugu Language
https://archive.org/[...]
W. H. Allen & Co.
[168]
서적
Technical Reference Manual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United Nations Publications
[169]
서적
An Encyclopaedia of South Indian Culture
https://books.google[...]
K.P. Bagchi
[170]
웹사이트
First anniversary of Bapatla district on April 4
https://www.deccanch[...]
2024-06-30
[171]
서적
Telugu Marugulu
https://archive.org/[...]
Telugu Gosti
[172]
서적
Nidadavolu Venkata Rao Gari Rachanalu Parisheelana
https://archive.org/[...]
[173]
서적
Andhra Kavi Tarangani
https://archive.org/[...]
Hindu dharma sastra granthalayam
[174]
서적
Prabandha Ratnavali
http://ebooks.tiruma[...]
Tirumala Tirupati Devasthanam
[175]
서적
Rethinking Hindu Ident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6]
서적
Landmarks in Telug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Lakshminarayana Granthamala
2015-03-01
[177]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Sahitya Akademi
[178]
서적
Modern Indian Literature, an Anthology
Sahitya Akademi
[179]
웹사이트
Samsung phones to support 9 Indian languages
http://www.thehindub[...]
2013-12-13
[180]
문서
世界のことば小辞典
[181]
서적
Telugu Personal Names
https://books.googl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64
[182]
웹인용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00
http://censusindia.g[...]
[183]
웹인용
Infographic: A World of Languages
http://www.visualcap[...]
2018-06-02
[184]
웹인용
Summary by language size
https://www.ethnolog[...]
[185]
웹인용
PART A Languages specified in the Eighth Schedule (Scheduled Languages)
http://censusindia.g[...]
[186]
웹인용
How to Become an English to Telugu translator?
https://uberant.com/[...]
[187]
저널
Inscriptions as Artifacts: Precolonial South India and the Analysis of Texts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