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리놀렌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마-리놀렌산(γ-리놀렌산)은 메틸 말단에서부터 6번째 탄소에 이중 결합을 가진 오메가-6 지방산의 일종이다. 달맞이꽃 종자유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블랙커런트 오일, 보리지 오일, 삼씨기름 등에서도 얻을 수 있다. 인체는 리놀레산으로부터 γ-리놀렌산을 생성하며, γ-리놀렌산은 디호모-γ-리놀렌산을 거쳐 아라키돈산으로 대사되어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 등 에이코사노이드의 원료가 된다. γ-리놀렌산은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α-환원 효소 억제제 - 올레산
올레산은 동물성 및 식물성 기름에 널리 분포하는 오메가-9 지방산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LDL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 5α-환원 효소 억제제 - 리놀레산
리놀레산은 18개의 탄소 사슬과 두 개의 시스 이중 결합을 가진 필수 불포화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생합성에 사용되며 식물성 기름 등에 풍부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에 기여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주의해야 한다. - 알켄산 - 올레산
올레산은 동물성 및 식물성 기름에 널리 분포하는 오메가-9 지방산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LDL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 알켄산 - 리놀레산
리놀레산은 18개의 탄소 사슬과 두 개의 시스 이중 결합을 가진 필수 불포화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생합성에 사용되며 식물성 기름 등에 풍부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에 기여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주의해야 한다. - 지방산 - 발레르산
발레르산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카복실산으로 불쾌한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이며, 휘발성 에스터 제조에 사용되어 향수, 화장품, 식품 등에 활용되고 발레리안 뿌리 등에서 발견된다. - 지방산 - 아라키드산
아라키드산은 탄소 20개로 이루어진 포화 지방산으로, 땅콩 기름과 같은 식물성 기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 내에서 세포막 구성, 신호 전달 물질의 전구체,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에 관여하고, 제약 산업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체로 사용되는 경제적 가치가 높은 물질이다.
감마-리놀렌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IUPAC 이름 | all-cis-6,9,12-옥타데카트리에노산 |
다른 이름 | 감마-리놀렌산 가모렌산 |
약어 | 18:3 (n−6) GLA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506-26-3 |
KEGG | C06426 |
ChemSpider ID | 4444436 |
UNII | 78YC2MAX4O |
ChEMBL | 464982 |
PubChem | 5280933 |
속성 | |
분자식 | C18H30O2 |
분자량 | 278.436 |
겉모습 | 무색 오일 |
약리학 | |
ATC 코드 | D11AX02 |
화학 구조 | |
![]() | |
![]() | |
![]() |
2. 화학
γ-리놀렌산은 메틸 말단에서부터 6번째 탄소에 첫 번째 이중 결합이 존재하는 ''n''−6 (ω−6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이다. 생리학 문헌에서 γ-리놀렌산은 18:3 ''n''−6으로 지칭된다. γ-리놀렌산은 18개의 탄소로 구성된 사슬 및 3개의 시스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카복실산이다. 다불포화 오메가-3 지방산인 α-리놀렌산의 이성질체이기도 하다. γ-리놀렌산은 카놀라유, 콩, 호두, 아마인유, 들깨, 치아 및 대마 씨앗에서 발견된다.
달맞이꽃의 종자유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달맞이꽃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몸의 붓기를 치료하기 위해 재배하였다. 달맞이꽃 종자유는 17세기에 유럽에 소개되었고, 인기 있는 민간 요법이 되어 왕의 만병통치약(king's cure-all)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1919년에 헤이더슈카(Heiduschka)와 루프트(Lüft)는 달맞이꽃 종자에서 기름을 추출하고, 발견한 특이한 리놀렌산을 γ-리놀렌산이라고 명명했다. γ-리놀렌산의 정확한 화학 구조는 나중에 라일리(Riley)에 의해 밝혀졌다.[3]
인체는 리놀레산을 원료로 하여 Δ6-불포화 지방산 효소에 의한 탈수소화 반응을 통해 감마-리놀렌산을 생산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음식물을 통해 섭취한다. 감마-리놀렌산은 체내에서 2개의 탄소가 증가되어 디호모-γ-리놀렌산을 거쳐 아라키돈산이 되며, 아라키돈산 연쇄 반응에 의해 생리 활성 작용이 강한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 등 각종 에이코사노이드의 원료가 된다.[1]
γ-리놀렌산은 항염증성 유도체의 원료가 되는 디호모-γ-리놀렌산으로 변환될 수 있다. 신체는 γ-리놀렌산으로부터 다이호모-γ-리놀렌산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이호모-γ-리놀렌산은 프로스타글란딘인 PGH1의 전구체이며, PGH1은 차례로 PGE1 및 트롬복산인 TXA1을 형성한다.[10] PGE1과 TXA1은 모두 항염증제이다. 트롬복산 TXA1은 혈관 확장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혈소판을 억제하며,[10] TXA1은 트롬복산인 TXA2의 전염증 특성을 조절(감소)시킨다. PGE1은 면역계 기능 조절에 역할을 하며, 의약품인 알프로스타딜로 사용된다.
γ-리놀렌산은 데이비드 호로빈에 의해 가슴 통증 및 습진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의약품으로 홍보되었다. 호로빈의 달맞이꽃 종자유 마케팅은 영국 의학 저널에 의해 윤리적으로 의심스러운 것으로 기술되었다.[12] 2002년에 영국 의약품 및 건강관리 제품 규제청은 습진 치료제로 달맞이꽃 종자유에 대한 마케팅 허가를 철회했다.[13]
3. 역사
4. 식이 공급원
γ-리놀렌산은 달맞이꽃 종자유, 블랙커런트 오일, 보리지 오일, 삼씨기름과 같은 식물성 기름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또한 식용 삼씨, 귀리, 보리[5] 및 스피룰리나에서도 다양한 양으로 발견된다. 일반적인 잇꽃기름에는 γ-리놀렌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2011년 이후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유전자 변형 잇꽃기름에는 40%의 γ-리놀렌산이 포함되어 있다.[6] 보리지 오일은 20%의 γ-리놀렌산, 달맞이꽃 종자유는 8~10%의 γ-리놀렌산, 블랙커런트 오일은 15~20%의 γ-리놀렌산을 함유하고 있다.[7] γ-리놀렌산은 두리안의 일종인 두리오 그라베올렌스(''Durio graveolens'')의 열매에 함유된 지방의 12.23%를 차지한다.[8]
5. 대사 경로
γ-리놀렌산은 아라키돈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함께 에이코사노이드의 세 가지 공급원 중 하나이다. 다이호모-γ-리놀렌산은 프로스타글란딘인 PGH1의 전구체이며, PGH1은 차례로 PGE1 및 트롬복산인 TXA1을 형성한다. PGE1과 TXA1은 모두 항염증제이다. 트롬복산 TXA1은 혈관 확장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혈소판을 억제하며,[10] TXA1은 트롬복산인 TXA2의 전염증 특성을 조절(감소)시킨다. PGE1은 면역계 기능 조절에 역할을 하며, 의약품인 알프로스타딜로 사용된다.
아라키돈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과 달리 다이호모-γ-리놀렌산은 류코트라이엔을 생성할 수 없다. 그러나 다이호모-γ-리놀렌산은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전염증성 류코트라이엔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11]
6. 효과
아라키돈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과 달리 다이호모-γ-리놀렌산은 류코트라이엔을 생성할 수 없다. 그러나 다이호모-γ-리놀렌산은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전염증성 류코트라이엔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11]
γ-리놀렌산은 일반적으로 전염증성 산인 오메가-6 지방산이지만, 항염증성을 가지고 있다. 디호모-γ-리놀렌산은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1(PGE1)의 전구체이다.
7. 건강과 의약
감마-리놀렌산은 항염증성 유도체의 원료가 되는 디호모-γ-리놀렌산으로 변환되는 반면, 디호모-γ-리놀렌산은 염증성 유도체의 원료가 되는 아라키돈산으로 변환된다. ω-6 지방산의 섭취가 과도하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에서 얻는 달맞이꽃 종자유는 감마-리놀렌산이 풍부하여 식물성 기름 및 건강 보조 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7. 1. 아토피 피부염
최근에 보리지 오일(γ-리놀렌산의 농도가 높은 기름)의 국소 적용이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임상시험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참조
[1]
논문
Importance of dietary gamma-linolenic acid in human health and nutrition
[2]
간행물
8章危険なサプリ
http://www.kinjo-u.a[...]
金城学院大学/日本脂質栄養学会
[3]
서적
Gamma-Linolenic Acid: Recent Advances in Biotechn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AOCS Press
2007-12-07
[4]
서적
Vegetable Fats and Oils (volume 123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monograph series)
Reinhold
[5]
저널
Determination of the structure of cholesterol inhibitor II isolated from high-protein barley flour (HPBF)
[6]
저널
High level accumulation of gamma linolenic acid in transgenic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seeds
2011-08-19
[7]
저널
GLA: Uses and New Sources
http://www.adoniskis[...]
2005-05
[8]
저널
Komposisi Proksimat dan Komponen Asid Lemak Durian Kuning (Durio graveolens) Sabah
http://www.ukm.my/js[...]
2017-11-28
[9]
저널
Fatty acid metabolism in health and disease: the role of delta-6-desaturase
http://www.ajcn.org/[...]
[10]
웹인용
Introduction to the Eicosanoids
http://themedicalbio[...]
1996–2013 themedicalbiochemistrypage.org, LLC
2013-07-23
[11]
저널
Evening primrose oil and borage oil in rheumatologic conditions
http://www.ajcn.org/[...]
2007-12-07
[12]
저널
David Horrobin
[13]
저널
Evening primrose oil for atopic dermatitis: Time To Say Goodnight
[14]
저널
Clinical effects of undershirts coated with borage oil o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https://www.ncbi.nl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