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감시 (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시(의학)은 환자의 생체 정보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 발전으로 소형화, 휴대화된 장비가 개발되어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해졌으며, 스마트 의료, 예방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감시의 종류는 심장, 혈역학, 호흡, 신경학적 감시 등으로 나뉘며, 다인용, 1인용, 유무선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의료 모니터는 센서, 변환 구성 요소,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며,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을 통해 여러 생체 신호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 임상적 활용은 환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데 있으며, 개발 동향은 스마트 의료, 나노 기술 등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의료로의 발전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시 (의학) - 역학조사
    역학조사는 특정 시점이나 기간 동안 특정 지역 인구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유병률, 발병률, 관련 위험 요인을 파악하는 조사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감시 방법이 활용된다.
  • 감시 (의학) - 중심정맥압
    중심정맥압은 상대정맥이나 하대정맥에서 측정되는 혈압으로 우심방의 충만 정도를 반영하며 순환 혈액량, 심장 기능, 혈관 긴장도에 영향을 받아 심부전, 과혈량증, 저혈량증 진단 및 중환자실 환자 모니터링에 활용되는 지표이다.
  • 의학 기기 - 혈압계
    혈압계는 혈관 내 혈액 압력인 혈압을 측정하는 장치로, 수동식은 청진기로 코로트코프 음을 듣고 혈압을 측정하며 자동식은 진동측정법으로 자동 측정하고, 기술 발전으로 자동 혈압계가 널리 사용된다.
  • 의학 기기 - 공기 이온화 장치
    공기 이온화 장치는 공기 중 미립자 제거 및 정전기 중화에 사용되는 장치로, 공기청정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오존 발생 가능성 및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캘리포니아 대기자원위원회(CARB)의 규제를 받는다.
감시 (의학)
감시 (의학)
환자 감시
환자 감시
개요
분야의학
목적환자의 임상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하여, 변화를 감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함
방법활력 징후 감시 (혈압, 심박수, 산소 포화도, 체온, 호흡수)
심전도 감시 (ECG)
뇌파 감시 (EEG)
호흡 가스 감시 (EtCO2)
혈액 가스 분석
침습적 혈압 감시
중심 정맥압 감시
폐동맥압 감시
뇌압 감시
근전도 감시 (EMG)
산소포화도 감시 (SpO2)
혈당 감시
소변량 감시
체액량 감시
사용 분야
주요 사용 분야중환자실 (ICU)
수술실
응급실
병동
재택 간호
원격 의료
기타 사용 분야스포츠 의학 (운동 선수 감시)
항공 의학 (조종사 감시)
우주 의학 (우주 비행사 감시)
장비
주요 장비환자 감시장치
심전도 모니터
뇌파 모니터
혈압계
맥박 산소 계측기
체온계
호흡기
인공호흡기
제세동기
수액 펌프
주사기 펌프
혈액 가스 분석기
관련 용어
관련 용어생체 신호
원격 측정
텔레메트리
의료 기기
의료 정보학
추가 정보
고려 사항감시의 목적과 필요성
감시 방법의 선택
감시 장비의 정확성과 신뢰성
감시 결과의 해석 및 활용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
의료진의 숙련도

2. 역사

1964년 일본광전공업(日本光電工業)의 쿠보타 히로나미(久保田博南) 등이 세계 최초로 환자 감시 장치를 상품화했다.[21] 당시 사용된 '베드사이드 모니터'[22]라는 명칭은 일본광전공업에서 제안한 일본식 영어 표현이다. 이전에는 '환자 감시 장치'라고도 불렸지만, 1967년 도호쿠 대학 병원(東北大学病院) ICU에 납품할 때 사용된 '중증 환자 감시 장치'에서 유래했다. 1999년 이후 '환자 감시 장치'라는 명칭은 사용이 중단되었고, 2000년대 이후에는 '생체 정보 모니터'로 대체되었다.

쿠보타 히로나미가 제안한 '생체 징후 모니터'라는 명칭도 사용되고 있다. 학계에서는 '임상 모니터'라고도 불리며,[23] 병원 내에서는 단순히 '모니터'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2. 1. 개발 초기

1964년 일본광전공업(日本光電工業)의 쿠보타 히로나미(久保田博南) 등이 세계 최초로 환자 감시 장치를 상용화했다.[21] 당시 '베드사이드 모니터'[22]라는 명칭은 일본광전공업에서 제안한 일본식 영어 표현이었다. 이전에는 '환자 감시 장치'라는 명칭도 사용되었으나, 이는 1967년 도호쿠 대학 병원(東北大学病院) ICU에 납품했을 때 사용된 '중증 환자 감시 장치'에서 유래한다. 이 명칭은 1999년 이후 사용이 중단되었고, 2000년대 이후에는 '생체 정보 모니터'로 대체되었다.

2. 2. 현대의 발전

최근에는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진행되어 휴대용 및 웨어러블 형태로도 개발되고 있다.[20]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해져, 병원 밖에서도 환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운 감시 기술 개발은 스마트 의료, 생명 의학 지원 통합 의학, 개인 맞춤형 예방 의학 등의 분야에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첨단 스마트, 최소 침습 생명 공학 장치, 바이오센서, 랩온어칩 (미래에는 나노의학[6][7] 장치, 예를 들어 나노로봇) 및 첨단 인공 지능 의료 진단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감시 장치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3. 종류

감시(모니터)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심전도, 심박수, 혈압, 혈중 산소 포화도, 호흡수, 체온 등의 활력 징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는 것이 포함되며,[18][19] 환자의 상태에 이상이 생기면 알람 등으로 알린다.

일반 병동의 3점 유도식 모니터


과거에는 주로 의료기관에서 사용되었으나, 최근 장비가 작고 가벼워지면서 웨어러블 컴퓨터와 결합하여 외출 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등 다양한 활용이 개발되고 있다.[20]

; 역사와 다양한 호칭

1964년 일본광전공업의 쿠보타 히로나미 등이 세계 최초로 환자 감시 장치를 상품화했다.[21] '베드사이드 모니터'라는 명칭은 일본광전공업에서 제안된 일본식 영어 표현이다.[22] 1967년 도호쿠 대학 병원 ICU에 납품되면서 '중증 환자 감시 장치'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2000년대 이후 '생체 정보 모니터'로 바뀌었다.

쿠보타 히로나미가 제안한 '바이털 사인 모니터'라는 명칭도 사용되며, 학계에서는 '임상 모니터'라고도 한다.[23] 병원에서는 '모니터'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3. 1. 기능별 분류


  • '''심장 감시''': 환자의 심장 리듬과 관련된 상태를 평가하는 지속적인 심전도를 의미한다. 홀터 모니터는 외래 환자가 착용하는 소형 심장 감시 장비이다. 심장 감시는 침습적인 스완-간스 카테터를 통한 심박출량 감시를 포함할 수 있다.[1]
  • '''혈역학 감시''': 순환계 내의 혈압 및 혈류를 감시한다. 혈압은 삽입된 혈압 변환기를 통해 침습적으로 측정하거나, 공기 주입식 혈압 커프를 사용하여 비침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1]
  • '''호흡 감시''':
  • 맥박 산소 측정법은 혈액산소의 포화 비율을 측정하며(SpO2), 적외선 손가락 커프로 측정한다.[1]
  • 이산화탄소분압 측정법은 CO2 측정을 포함하며(EtCO2), 최종 호기 이산화탄소 농도로 언급된다. 호흡수는 AWRR(기도 호흡수)라고 한다.[1]
  • 흉부 변환기 벨트, ECG 채널 또는 이산화탄소분압 측정을 통한 호흡수 감시[1]
  • '''신경학적 감시''': 두개내압 등이 있다. 뇌파도(EEG), 가스 마취 농도, 양분광 지수(BIS) 등을 감시하는 특수 환자 모니터는 마취기에 통합된다.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뇌 EEG 모니터는 더 큰 다중 채널 기능을 가지며 다른 생리적 사건도 감시할 수 있다.[1]
  • '''혈당 감시'''[1]
  • '''출산 감시'''[1]
  • '''체온 감시''': 열전 변환기가 포함된 접착 패드를 통해 이루어진다.[1]
  • '''기타 감시''': 순환 종양 세포를 통한 암 치료 감시[1]

3. 2. 대상 환자 수

대상 환자 수에 따라 다인용 생체 정보 모니터 시스템과 1인용 단독 기기로 나눌 수 있다. 다인용은 환자 병상 옆에 두는 베드사이드 모니터와 간호사 스테이션 등에 두는 중앙 모니터로 구성된다. 또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여러 개 모니터링하는 다채널 모니터와 하나만 대상으로 하는 1채널 모니터로 나눌 수도 있다. 1채널 모니터의 대표적인 예가 심전도 모니터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맥박 산소 측정기가 생체 정보 모니터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더 나아가 환자의 생체 정보를 직접 생체 정보 모니터 본체에 전달하는 방식(유선 방식이라고도 한다)과 전파 등을 이용하여 무선 전송하는 방식(무선 원격 측정 방식이라고도 한다)으로 크게 나뉜다.[21][22]

3. 3. 채널 수

환자는 여러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다채널 모니터와 하나의 생체 정보만을 대상으로 하는 1채널 모니터로 나눌 수 있다. 1채널 모니터의 대표적인 예로는 심전도 모니터가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맥박 산소 측정기가 생체 정보 모니터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3. 4. 데이터 전송 방식

환자의 생체 정보를 직접 생체 정보 모니터 본체에 전달하는 유선 방식과 전파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원격 측정 방식이 있다.[23]

4. 구성 요소

의료 모니터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센서: 환자의 몸에서 나오는 생체 신호를 감지한다. 바이오센서와 기계식 센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맥박 산소 측정법에는 광다이오드가, 비침습 혈압 측정에는 압력 센서가 쓰인다.[18]
  • 변환 구성 요소: 센서가 보낸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거나 외부 장치로 보낼 수 있는 형태로 바꾼다.[18]
  • 디스플레이 장치: CRT, LED, LCD 화면 등을 통해 생리 데이터를 시간 순서대로 보여준다. 최대, 최소, 평균값, 맥박 및 호흡 빈도 등 계산된 수치도 함께 표시된다.[18]
  • 통신 링크 (선택 사항):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통해 측정 결과를 외부 장치로 보내 표시하거나 기록할 수 있게 한다.[18]
  • 경보 장치 (선택 사항): 특정 기준을 넘거나 부족할 때 소리 등으로 알려주는 기능이다.[18]


최근의 의료 모니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DSP) 기술을 사용하여 작고 가벼우며, 여러 생체 신호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연동되어 환자 데이터를 자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18]

5. 작동 원리 및 기술

심전도, 혈압, 맥박, 호흡 등은 중요한 측정 항목이지만, 그중에서도 심전도가 생체 정보 모니터링의 핵심이다. "심전도 모니터" 또는 "하트 모니터"라고도 불린다. 심전도 모니터는 환자의 심전도를 장시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브라운관, 액정 화면 등 표시 장치에 심전도와 심박수를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경보를 울리는 기능을 갖춘 기본적인 생체 정보 모니터이다. 최근 심전도 모니터는 의료공학(ME) 기술의 발달로 기능, 성능, 안전성, 신뢰성이 향상되고 소형화, 경량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일반 병동, ICU, CCU, 수술실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심전도 모니터링 시 전극 부착 이상은 흔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이다. 모니터는 전극 간 임피던스(저항)와 전극의 분극 전압을 통해 전극 부착 상태를 감시하므로, 이러한 요소에 영향을 주는 상황이 발생하면 전극 부착 이상을 알린다. 따라서 부착 이상 경보가 계속 울릴 경우, 장비 고장 외 다른 원인도 함께 검토해야 한다. 정확한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알코올로 닦는 등 피부 전처리를 철저히 하고, 지정된 유도 부위에 전극을 정확히 부착해야 한다. 유도 방식은 유도 전환이 가능한 방식과 하나의 고정된 유도로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심전도가 올바르게 측정되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환자가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

# 피부 전처리가 미흡한 경우

# 일회용 전극이 건조한 경우

# 서로 다른 종류의 전극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 유도 코드(리드선)가 끊어진 경우

# 접속 커넥터 접촉이 불량한 경우

5. 1. 기본 원리

환자에게 부착된 센서를 통해 심전도, 혈압, 호흡, 체온 등의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1] 측정된 신호는 증폭, 필터링 등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1] 디지털 신호는 CRT, LED 또는 LCD 화면에 표시되며,[1] 필요에 따라 기록, 저장, 분석된다.[1]

5. 2. 주요 기술

최신 의료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지털 신호 처리(DSP)를 사용하여 소형화, 휴대성을 높이고 여러 생체 신호를 한 번에 추적하는 다중 매개변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1]

다중 매개변수 모니터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출력을 중앙 집중식 중환자실(ICU) 모니터링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외래 원격 측정은 환자가 휴대하고 무선 데이터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용 배터리 작동 모델로 구현할 수 있다.[1]

디지털 모니터링은 전자의무기록 및 디지털 차트 시스템에 환자 모니터링 네트워크의 생리적 데이터를 통합하고, IEEE 및 HL7과 같은 기관에서 개발한 의료 표준을 사용한다.[1]

장거리 연결은 원거리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의료에 활용될 수 있다.[1]

모바일 휴대용 모니터, 피하 이식형 모니터는 체내 통신망(BAN)에서 수집된 정보를 스마트폰과 구현된 자율 에이전트 등에 전달한다.[1]

심전도 모니터는 유선식과 무선식이 있으며, 기본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1]

구성 요소설명
전극부심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전극은 장시간 환자에게 부착되므로 부담이 적고, 취급이 간편하며,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모니터용 전극이 사용된다. 전극 부착 이상을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표시하는 기능도 있다.


6. 임상적 활용

생체 징후 모니터는 심전도, 심박수, 혈압, 혈중 산소 포화도, 호흡수, 체온 등 생체 징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하여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는 장치이다.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알람 소리 등으로 알려준다. 주로 병원수술실[18], 중환자실[19], 병실 등에서 사용된다.

1964년 일본광전공업(日本光電工業)의 쿠보타 히로나미(久保田博南) 등이 세계 최초로 상품화했으며[21], 당시에는 '베드사이드 모니터'로 불렸다[22]. '환자 감시장치'라는 명칭도 사용되었으나, 1999년 이후 제지되었다. 현재는 '바이털 사인 모니터', '임상 모니터'[23] 등으로도 불리며, 병원 내에서는 '모니터'라고 줄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

6. 1. 모니터링 목적

임상 지표 감시는 주로 개인의 임상 상태 변화(또는 변화 없음)를 조기에 감지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산소 포화도 지표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호흡 능력이 변화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감시한다.[2]

임상 지표를 모니터링할 때, 검사 결과의 차이(또는 일정 시간 간격 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는 매개변수의 값)는 상태의 실제 변화 또는 검사 방법의 검사-재검사 변동성을 반영할 수 있다.[2]

실제로, 차이가 검사-재검사 변동성 때문일 가능성은 차이가 미리 정의된 "임계 차이"보다 클 경우 거의 확실히 배제할 수 있다. 이 "임계 차이"(C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2]

: CD = K \times \sqrt{CV_a^2 + CV_i^2}

여기서:[2]

  • ''K''는 선호하는 확률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인자이다. 일반적으로 2.77로 설정되며, 이는 95% 예측 구간을 나타내며, 이 경우 다른 요인이 없을 때 검사 결과가 검사-재검사 변동성에 의해 임계 차이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질 확률이 5% 미만이다.
  • ''CVa''는 분석 변동성이다.
  • ''CVi''는 개체 내 변동성이다.


예를 들어, 환자의 헤모글로빈 수치가 100 g/L이고, 분석 변동성(''CVa'')이 1.8%이며 개체 내 변동성 ''CVi''가 2.2%인 경우, 임계 차이는 8.1 g/L이다. 따라서 이전 검사 이후 8 g/L 미만의 변화에 대해서는, 질병이나 치료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 외에도 변화가 완전히 검사-재검사 변동성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수 있다.[2]

일부 혈액 검사의 임계 차이[2]
검사 항목임계 차이
나트륨3%
칼륨14%
염화물4%
요소30%
크레아티닌14%
칼슘5%
알부민8%
공복 혈당15%
아밀라아제30%
암 배아 항원69%
C-반응 단백질43%[3]
당화 혈색소21%
헤모글로빈8%
적혈구10%
백혈구32%
혈소판25%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임계 값에 대한 참고 자료는 Fraser 1989이다[2]



다른 검사의 임계 차이에는 아침 첫 소변 알부민 농도가 있으며, 임계 차이는 40%이다.[2]

이 외에도 질병의 진행 상황 및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예후 예측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해서도 활용된다.

6. 2. 주요 활용 분야

감시(의학)는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며,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활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수술실: 마취 중 환자의 활력 징후를 감시하여 안전한 수술 진행을 돕는다.[18] 심전도, 심박수, 혈압, 체온 등의 활력 징후와 펄스 옥시미터를 통해 환자 상태를 감시한다.
  • 중환자실 (ICU, CCU): 중증 환자의 집중 치료 및 관리를 위해 활력 징후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19] 다중 모드 모니터를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 병실: 일반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고 응급 상황에 대비한다.
  • 응급실: 응급 환자의 초기 평가 및 안정화를 위해 활력 징후를 감시한다.
  • 외래/재택 환자: 만성 질환 관리, 원격 모니터링 등에 활용된다. 웨어러블 컴퓨터와 조합하여 외출 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기도 한다.[20]


여러 활력 징후, 혈압심박수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시스템이 있는 마취기


6. 3. 최소 감시 기준 (전신 마취 시)

임상 관찰(일대일), 맥박 산소 측정법, 비침습적 혈압 측정, 심전도, 중심 체온, 호기말 이산화탄소(기관 내 튜브 또는 상기도 장치가 삽입된 경우)가 최소 감시 기준에 포함된다.[17]

7. 개발 동향 및 미래 전망

감시(의학) 기술은 소형화, 경량화, 무선화, 다기능화, 지능화, 개인 맞춤형 등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웨어러블 컴퓨터와 결합하거나, 인공 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이러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스마트 의료, 생명 의학 지원 통합 의학, 대체의학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첨단 바이오센서, 랩온어칩, 나노의학 장치 (예: 나노로봇)[6][7], 인공 지능을 활용한 의료 진단 및 조기 경고 도구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모바일 휴대용 모니터, 피하 이식형 모니터의 등장은 체내 통신망(BAN)에서 수집된 정보를 스마트폰 등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영역을 열었다.[6][7]

생명 의학 연구, 나노기술, 영양유전체학의 발전과 함께 인체의 자연 치유 능력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화학적 약물만을 사용하는 의료 개입의 한계를 극복하고, 건강 상태에 대한 임상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모니터링 의학은 진단 오류를 방지하고, 환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 의료 연구를 지원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7. 1. 개발 동향

최근 감시(의학) 기술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소형화, 경량화, 무선화''': 웨어러블 컴퓨터와 결합하여 외출 시에도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웨어러블 및 휴대용 장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20] 모바일 휴대용 모니터, 피하 이식형 모니터의 등장으로 체내 통신망(BAN)에서 수집된 정보를 스마트폰 등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영역이 열리고 있다.
  • '''다기능화''': 심전도, 심박수, 혈압, 체온, 혈중 산소 포화도, 호흡수 등 다양한 생체 정보를 동시에 측정하고 분석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 '''지능화''': 인공 지능,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상태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고 예측하는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 '''개인 맞춤형''': 맞춤 의학의 발전에 따라 개인의 건강 상태 및 생활 습관에 맞춘 맞춤형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스마트 의료, 생명 의학 지원 통합 의학, 대체의학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첨단 바이오센서, 랩온어칩, 나노의학 장치 (예: 나노로봇)[6][7], 인공 지능을 활용한 의료 진단 및 조기 경고 도구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7. 2. 미래 전망

모바일 휴대용 모니터, 심지어 피하 이식형 모니터까지 등장하면서 완전히 새로운 영역이 열리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모니터는 체내 통신망(BAN)에서 수집된 정보를 스마트폰과 구현된 자율 에이전트 등에 전달한다.[6][7]

새로운 감시 기술 개발은 스마트 의료, 생명 의학 지원 통합 의학, 대체의학, 개인 맞춤형 예방 의학 및 예측 의학 분야에서 발전하고 있다. 첨단 스마트, 최소 침습 생명 공학 장치, 바이오센서, 랩온어칩 (미래에는 나노의학 장치, 예를 들어 나노로봇) 및 첨단 인공 지능 의료 진단 및 단기 임상 면담, 약물 처방을 통한 조기 경고 도구를 사용하여 환자, 위험에 처한 사람 및 건강한 사람의 포괄적인 의료 데이터를 감시하는 것을 강조한다.

생명 의학 연구, 나노기술 및 영양유전체학이 발전하고, 인체의 자연 치유 능력을 실현하며, 구식 의료 치료의 화학적 약물만을 사용하는 의료 개입의 한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약물이 초래할 수 있는 막대한 피해를 보여주는 새로운 연구[8][9]를 통해 연구자들은 포괄적인 추가 연구 및 개인의 지속적인 건강 상태에 대한 임상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기존의 의료 개입은 최후의 수단으로 유지하고 있다.

많은 의료 문제에서 약물은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하지만, 우리 생물학적 시스템 전체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 없이는 의료 문제의 근본 원인을 알 수 없다.[10] 우리 몸은 균형을 유지하고 자가 치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충분한 데이터 없이 개입하면 이러한 치유 하위 시스템이 손상될 수 있다.[10] 모니터링 의학은 진단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격차를 메우고, 많은 환자의 모든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의 의료 연구를 지원할 수 있다.

8. 주요 제조사

주요 제조사
필립스
GE 헬스케어
일본 광전 공업
후쿠다전자
오므론 헬스케어
후쿠다 코린


참조

[1] 논문 Assessing the efficacy of targeted therapy using circulating epithelial tumor cells (CETC): the example of SERM therapy monitoring as a unique tool to individualize therapy 2010-08-08
[2] 논문 Interpreting laboratory results
[3] 간행물 C‐reactive protein (serum, plasma) http://www.acb.org.u[...] The Association for Clinical Biochemistry and Laboratory Medicine
[4] 논문 New decision criteria for selecting delta check methods based on the ratio of the delta difference to the width of the reference range can be generally applicable for each clinical chemistry test item.
[5] 웹사이트 Delta Checks Checkup: Optimizing cutoffs with lab-specific inputs https://www.aacc.org[...] 2017-08-01
[6] 웹사이트 Healthcare 2030: disease-free life with home monitoring nanomedince http://positivefutur[...] Positivefuturist.com
[7] 웹사이트 Nanosensors for Medical Monitoring. http://www.technolog[...] Technologyreview.com 2011-08-22
[8] 웹사이트 Brain Damage Caused by Neuroleptic Psychiatric Drugs http://www.mindfreed[...] Mindfreedom.org 2007-09-15
[9] 웹사이트 Medications That Can Cause Nerve Damage http://www.livestron[...] Livestrong.com
[10] 서적 The UltraMind Solution: Fix Your Broken Brain by Healing Your Body First https://archive.org/[...] Scribner 2008-12
[11] 논문 Blood glucose testing and primary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type 2 - evaluation of the effect of evidence based patient information.
[12] 논문 "Stress monitoring using a distributed wireless intelligent sensor system". http://pdfs.semantic[...] IEEE
[13] 논문 AI-enabled remote and objective quantification of stress at scale 2020-05
[14] 논문 Using Biosensors to Detect the Release of Serotonin from Taste Buds During Taste Stimulation
[15] 논문 Evaluating the use of prolonged video-EEG monitoring to assess future seizure risk and fitness to drive. 2010-12
[16] 서적 Smart Biosensor Technology CRC
[17] 서적 Smith and Aitkenhead's textbook of anaesthesia https://www.worldcat[...] Elsevier 2019
[18] Youtube オペ看護師の一日に密着 https://www.youtube.[...]
[19] Youtube ICU 集中治療室のご案内 https://www.youtube.[...]
[20] 웹사이트 Heart Rate Monitor AD8232 Interface Arduino http://www.theorycir[...] 2023-05-22
[21] 웹사이트 世界初、唯一現存するモニタ 「ベッドサイドモニタMBM-40」麻酔博物館所蔵、展示について https://www.wbn-org.[...] 2015-04-20
[22] Youtube ベッドサイドモニター BSM-2301 https://www.youtube.[...]
[23] 웹사이트 TOP http://plaza.umin.ac[...] 日本臨床モニター学会 2023-06-04
[24] 사전 monitoring https://www.kmle.co.[...]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