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라는 독일 튀링겐주에 위치한 도시로, 엘스터 강 계곡에 자리 잡고 있다. 995년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1209년 라이스 가문이 통치권을 얻어 1918년까지 지배했다. 1237년 도시로 언급되었고, 18세기 섬유 산업의 발달로 전성기를 맞이했다. 나폴레옹은 1806년 게라에 황제 본부를 설치했고, 1848년부터 1918년까지 라이히스-게라 공국의 수도였다. 산업 혁명과 철도 연결을 통해 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 공동체가 파괴되고 도시가 파괴되었다. 동독 시기에는 게라 구의 수도였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현재는 다양한 박물관과 역사적인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변 도시와의 연결성 및 대중교통 시스템이 발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링겐주 - 에르푸르트
독일 투링겐주에 위치한 에르푸르트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다양한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국제 교류를 하는, 2019년 기준 약 21만 명의 인구를 가진 도시이다. - 튀링겐주 - 알텐부르크
알텐부르크는 튀링겐주에 있는 도시로, 중세 시대 작센-알텐부르크 공국의 수도였으며, 역사적 건축물과 스카트 발상지로 알려져 있고, 독일 통일 후 튀링겐주에 속해 다양한 산업과 서비스업이 발달했으나 인구 감소를 겪고 있다. - 독일의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게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도시 |
![]() | |
![]() | |
![]() | |
![]() | |
![]() | |
![]() | |
![]() | |
주 | 튀링겐주 |
행정 구역 | 독립시 |
고도 | 194 m |
면적 | 152.19 km² |
지역 코드 | 0365, 0336695 |
차량 번호판 코드 | G |
웹사이트 | www.gera.de |
첫 언급 년도 | 995년 |
정치 | |
시장 | 쿠르트 단넨베르크 |
시장 임기 | 2024–30 |
소속 정당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시장 직함 | 상급 시장 |
인구 | |
인구 밀도 | /152.19 round 0}}}}명/km² |
인구 (천명) | /10000 round 1}}}}천명 |
기타 | |
우편 번호 | 07545–07557 |
2. 역사
게라는 중세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995년 최초로 기록되었으며, 1237년 도시로 언급되었다. 작센 형제 전쟁으로 파괴되기도 했지만, 섬유 제조업으로 빠르게 회복했다. 종교 개혁 이후 스페인령 네덜란드 출신 직물 제조업자들이 이주해 오면서 섬유 산업이 발전했다. 18세기에는 섬유 산업이 전성기를 맞이했고, 라이스 가문은 제국 백작으로 승격되어 게라를 왕궁으로 삼았다. 1686년과 1780년 대화재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었지만, 후기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나폴레옹은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기간 동안 게라에 본부를 설치하기도 했다. 1848년부터 1918년까지 라이히스-게라 공국의 수도였으며, 산업혁명 시기 섬유 산업과 철도 연결로 급속히 성장했다. 1892년에는 독일에서 두 번째로 전기 트램이 설치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혁명으로 라이히스 공화국이 튀링겐 주에 합병되었고, 나치 시대에는 유대인 공동체가 파괴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으로 피해를 입었다.
전후 동독에 속해 1953년 동독 봉기의 격전지가 되기도 했으며, 1952년부터 게라 구역의 수도가 되었다. 동독 시대에 인구가 증가하고 대규모 플라텐바우식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다.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튀링겐 주의 일부가 되었으나, 행정 기능 상실과 공장 폐쇄로 경제 위기를 겪었다. 2007년에는 분데스가르텐쇼를 개최했다.
2. 1. 중세 시대
게라라는 지명은 원래 도시가 현재 위치한 엘스터 강 계곡 지역을 가리켰다. 그 이름은 유럽의 이동 시대 이전에 유래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8세기에 이 지역에 처음 정착한 사람들이 그 이름을 채택했다. 게라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995년이다.99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3세는 게라 "주"를 퀘들링부르크 수도원에 할당했다. 1209년 교회는 이 지역의 수호권을 바이다의 포크트(Vogt)들에게 넘겼는데, 이들은 이 지역의 관리자 역할을 했다. 바이다의 포크트들은 1918년까지 게라를 통치한 라이스 가문의 조상이 되었다. 게라는 1237년에 처음으로 도시로 언급되었지만, 게라가 시법을 언제 얻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 작은 도시는 13세기에 350m x 350m의 면적에 성벽으로 둘러싸였고, 포크트의 성은 오늘날 부르크슈트라세(Burgstraße)에 있는 남서쪽 구석에 세워졌다.
2. 2. 근세 초기
종교 개혁은 1533년 베틴 가문에 의해 게라에 도입되었으나, 포크트의 의지와는 상반되었다.[2] 16세기 동안 스페인령 네덜란드 출신의 일부 직물 제조업자들이 하인리히 2세 백작의 초청으로 종교 난민으로서 게라로 이주하여 게라의 섬유 산업을 발전시켰다. 18세기에는 이 산업이 최초의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오늘날 대형 대리점 건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1673년 라이스 가문은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완전한 주권을 부여받는 제국 백작으로 승격되었고, 게라는 그들의 왕궁이 되었다. 1686년과 1780년 대규모 도시 화재로 게라의 대부분 건물이 파괴되었다. 1780년대에 후기 바로크 양식으로 비교적 균일하게 도시가 재건되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내부 도시를 특징짓고 있다.
1806년 나폴레옹은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기간 동안 게라에 그의 황제 본부를 설치했다. 프랑스 황제는 1806년 10월 12일 이곳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국왕에게 의도적으로 거만하고 위협적인 편지를 보냈고, 이 편지는 프로이센을 전쟁으로 몰아넣어 며칠 후 예나 전투에서 압도적인 패배를 당하게 했다.[2]
2. 3. 1815년 이후
1848년부터 1918년까지 게라는 라이히스-게라 공국의 수도 역할을 했다. 19세기 중반 산업혁명으로 게라는 급속도로 성장했는데, 이는 주로 1836년 최초의 동력직기(Power loom)가 설치된 섬유 산업 덕분이었다.[2] 1859년 게라는 차이츠와 바이센펠스를 거쳐 할레(Halle (Saale))와 최초로 철도로 연결되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사방으로 철도 노선이 개설되면서 게라는 교통 중심지가 되었고 도시는 계속 성장했다. 독일에서 두 번째로 전기 트램이 1892년 게라에 설치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1919년 독일 혁명 기간 동안 라이히스 왕자는 퇴위했고, 그 결과 생긴 라이히스 공화국은 1920년 신생 튀링겐 주에 합병되었다. 1910년대와 1920년대에 일부 교외 지역이 합병되면서 게라는 약 8만 명의 주민을 거느린 튀링겐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지만, 보다 중심부에 위치한 바이마르가 수도가 되었다.
나치 시대에 게라의 유대인 공동체는 파괴되었고, 1938년 수정의 밤에 시나고그가 불타고 도시의 유대인들은 나치 강제수용소로 이주하거나 살해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기 한 달 전인 1945년 4월 6일 미국의 폭격으로 도시 일부가 파괴되고 주민 514명이 사망했다. 오스터슈타인 성과 시내의 여러 역사적 건물을 포함한 약 300개의 건물이 피해를 입었고, 그중 많은 건물이 전후 재건되지 않았다.[3] 미군은 1945년 4월 14일 게라를 점령했지만 1945년 7월 1일 소련군에 의해 교체되었다.[4]
게라는 1949년 동독의 일부가 되었고, 1953년 1953년 동독 봉기의 격전지가 되었는데, 수천 명의 노동자들이 임금 인상과 자유 선거를 요구했다. 시위는 장갑차 부대를 포함한 소련군에 의해 진압되었다.[5]
동독 정부 개편으로 이 도시는 1952년 새로 만들어진 게라 구역의 수도가 되었다. 동독 시대에 인구가 증가했고, 대규모 플라텐바우식 조립식 아파트 단지가 게라에 건설되었다.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게라는 복원된 튀링겐 주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게라는 재통일 후 대부분의 행정 기능을 상실했고, 도시의 거의 모든 공장이 문을 닫았다. 이로 인해 심각한 실업 문제와 함께 지속적인 경제 위기가 발생했고, 도시 인구는 1990년 13만 5천 명에서 10년 후 10만 명 미만으로 감소했다.
이 도시는 2007년 분데스가르텐쇼(연방 원예 박람회)를 개최했다.
3. 지리 및 인구 통계
게라는 에어푸르트에 이어 테ュー링겐주(튀링겐 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섬유, 금속 공업이 발달했다. 남동쪽으로 35km 지점에 츠비카우, 서쪽으로 35km 지점에 예나, 북동쪽으로 55km 지점에 라이프치히가 있다.
3. 1. 지형

게라는 동튀링겐의 완만한 구릉 지대에 위치하며, 흰 엘스터 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남서쪽의 튀링겐 고지로부터 약 50km, 남동쪽의 오레 산맥으로부터 약 50km, 북쪽의 라이프치히 만으로부터 약 50km 떨어져 있다. 시의 행정 구역은 남북 방향으로 흰 엘스터 강 계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계곡 서쪽은 구릉이 많고 숲이 우거져 있으며(게라 시립 숲 포함), 동쪽은 평평하고 농업에 이용된다. 해발 고도는 180m(흰 엘스터 강 수위)에서 최고 354m(게라-팔카의 남동쪽 끝 지점)까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시의 해발 고도는 시장 광장 기준 205m로 표기된다.
게라 시 경계 내에 있는 흰 엘스터 강의 작은 지류로는 서쪽의 에를바흐(Erlbach)와 동쪽의 빕젠바흐(Wipsenbach), 게센바흐(Gessenbach), 브라메(Brahme)가 있다.
3. 2. 기후
게라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대 습윤 기후(Dfb) 또는 해양성 기후(Cfb)에 속한다.[17][18] 여름은 따뜻하고 때때로 습하며, 겨울은 비교적 춥다. 분지 지형으로 인해 미기후가 형성되는데, 겨울에는 기온 역전 현상이 발생하여 매우 추운 밤(최저 -20°C)이 나타나기도 하고, 여름에는 더위와 공기 순환 부족이 나타나기도 한다. 연 강수량은 591mm로 일 년 내내 적당한 강우량을 보인다. 적설은 주로 12월부터 2월까지 발생하지만, 눈이 오래 쌓이지는 않는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2.8°C | 4.2°C | 8.4°C | 13.9°C | 18.3°C | 21.6°C | 24.2°C | 24°C | 19°C | 13.4°C | 7.4°C | 3.7°C | 13.4°C |
평균 최저 기온 (℃) | -2.4°C | -2.1°C | 0.5°C | 3.7°C | 7.5°C | 11°C | 13°C | 13°C | 9.4°C | 5.7°C | 1.8°C | -1.2°C | 5°C |
평균 강수량 (mm) | 32.5mm | 27.6mm | 38.6mm | 32.3mm | 56.8mm | 67.7mm | 80.5mm | 67.4mm | 60.1mm | 43.8mm | 45.7mm | 39.9mm | 592.8mm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5.5 | 13.9 | 16.0 | 11.7 | 14.0 | 13.9 | 14.7 | 13.6 | 12.2 | 14.0 | 15.1 | 15.7 | 170.3 |
평균 일조시간 | 64.4 | 81.9 | 125.2 | 182.0 | 213.1 | 212.7 | 222.9 | 212.6 | 158.6 | 116.1 | 65.7 | 56.0 | 1709.2 |
3. 3. 행정 구역
게라는 12개의 통계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번호 | 이름 |
---|---|
1 | 슈타트미테(Stadtmitte) |
2 | 데브슈비츠(Debschwitz) |
3 | 게라-오스트 |
4 | 게라-노르트/랑겐베르크(Langenberg) |
5 | 비에블라흐(Bieblach)-오스트 |
6 | 비에블라흐(Bieblach)/틴츠(Tinz) |
7 | 운터름하우스(Untermhaus) |
8 | 게라-베스트포어오르테 |
9 | 츠뵈첸(Zwötzen)/리프슈비츠 |
10 | 루잔(Lusan)-라우네 |
11 | 루잔(Lusan)-첸트룸 |
12 | 루잔(Lusan)-브뤼테 |
주요 도시 지역은 시 중심부, 서쪽의 운터름하우스(Untermhaus) (1919년 합병), 북쪽의 랑겐베르크(Langenberg) (1950년), 틴츠(Tinz) (1919년), 비에블라흐(Bieblach) (1905년), 동쪽의 뢰므니츠(Römnitz) (1919년), 남동쪽의 포르텐(Pforten) (1919년), 츠뵈첸(Zwötzen) (1919년), 남서쪽의 데브슈비츠(Debschwitz) (1912년)와 루잔(Lusan) (1919년)이다.
게라는 다음 자치구들과 인접해 있다.
- 북쪽: 작센-안할트 주의 부르겐란트크라이스(Burgenlandkreis) 구역의 베터추베(Wetterzeube), 구텐보른(Gutenborn)
- 동쪽: 그라이츠(Greiz) 구역의 폴치히(Pölzig), 히르슈펠트(Hirschfeld), 브라메나우(Brahmenau), 슈바라(Schwaara), 코르부센(Korbußen), 로네부르크(Ronneburg), 카우른(Kauern), 힐베어스도르프(Hilbersdorf), 린다 바이 바이다(Linda bei Weida)
- 남쪽: 그라이츠(Greiz) 구역의 엔드슈츠(Endschütz), 뷜슈엔도르프/엘스터(Wünschendorf/Elster), 체들리츠(Zedlitz), 훈트하우프텐(Hundhaupten)
- 서쪽: 그라이츠(Greiz) 구역의 자라(Saara), 크라프츠도르프(Kraftsdorf), 하르트만스도르프(Hartmannsdorf), 바트 쾨스트리츠(Bad Köstritz)
- 북서쪽: 자알레-홀츠란트-크라이스(Saale-Holzland-Kreis) 구역의 질비츠(Silbitz)
3. 4. 인구 통계
수 세기 동안 게라는 약 2,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작은 도시였다. 섬유 산업의 발전과 함께 1800년에 인구가 7,000명으로 증가했고, 1870년 초기 산업화 이후에는 17,000명으로 더 늘어났다. 1870년부터 1930년까지 게라는 급격한 인구 증가를 겪어 1930년에는 83,000명에 달했다. 1950년 게라의 인구는 98,000명이었고, 1988년에는 135,000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인구는 감소하여 2000년에는 113,000명, 2012년에는 95,000명으로 줄었다.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인구 감소율은 연평균 약 0.55%였다.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은 서독 및 다른 주요 동독 도시로의 이주, 출산율 감소, 고령화 등이다. 2012년 출산율 감소는 715명으로, 인구 1,000명당 -7.5명이었다(튀링겐 주 평균: -4.5명, 전국 평균: -2.4명).[10] 2012년 순이동률은 인구 1,000명당 +3.6명이었다(튀링겐 주 평균: -0.8명, 전국 평균: +4.6명).[10]
다른 동독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게라의 외국인 인구는 적은 편이다. 2011년 EU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시민권 기준 비독일인은 약 1.6%, 전체 이주민은 5.0%이다. 게라의 주요 이주민 집단은 러시아인, 베트남인, 우크라이나인이다.
과거 동독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인구는 비종교적이다. 2011년 기준으로 중부 독일 복음교회 회원은 9.8%, 가톨릭 신자는 2.6%였다.
4. 문화 및 관광 명소
게라에는 다양한 박물관과 건축물이 있다.
4. 1. 박물관
- 오랑주리는 오랑주리플라츠(Orangerieplatz)에 있으며, 중세부터 현대까지의 예술 작품을 전시한다.
- 오토 딕 하우스(Otto-Dix-Haus)는 모렌플라츠(Mohrenplatz) 4번지에 있으며, 오토 딕(Otto Dix)의 출생지이자 어린 시절의 집이다. 그의 그림, 판화, 회화 및 어린 시절 스케치북을 비롯하여 그의 삶에 대한 전시를 보여준다.
- 응용미술 박물관(Museum für Angewandte Kunst)은 그라이쩌슈트라세(Greizer Straße)의 "페르버 하우스(Ferber House)" 안에 있으며, 20세기 현대 미술을 전시한다. 바우하우스(Bauhaus)의 오토 린디히(Otto Lindig)와 테오도어 보글러(Theodor Bogler)의 도자기 작품, 틸로 쇼더(Thilo Schoder)의 건축 작품, 아네 비어만(Aenne Biermann)의 사진 등의 소장품을 전시하고 있다.[11]
- 자연사 박물관(Museum für Naturkunde)은 니콜라이베르크(Nicolaiberg)에 있으며,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슈라이버 하우스(Schreiber House)" 안에 자연사 전시를 하고 있다. 인접한 게라 식물원(Botanischer Garten Gera)이 있다.
- 시립 박물관(Stadtmuseum)은 무제움플라츠(Museumsplatz)에 있으며, 게라의 도시 역사를 전시한다.
- 하우스 슐렌부르크(Haus Schulenburg)는 프리덴슈트라세(Straße des Friedens)에 있으며, 헨리 반 더 벨데(Henry van de Velde)가 1913/14년에 건축한 공장주 저택이다. 당시의 가구와 장식을 전시하며 관람이 가능하다.
4. 2. 도시 경관
게라(Gera)는 서쪽 이웃 도시인 예나와 마찬가지로 남북 방향으로 넓은 계곡을 따라 길게 뻗어 있는 도시이다. 역사적인 시내 중심지는 상당히 작으며,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동독 정부가 현대식 콘크리트 건축물로 재건하기 위해 시내 지역의 넓은 부분을 철거하여, 특히 북서쪽 시내 중심부의 모습에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1870년부터 1930년까지 도시는 모든 방향으로 크게 확장되었다. 다른 독일 도시들과는 달리, 게라에는 노동자 주택가와 상류층 저택가 사이에 도시 전체적으로 공간적 분리가 없다. 대신 저택과 다세대 주택이 모든 지역에 흩어져 서로 가까이 위치해 있다. 언덕 지역과 강가, 공원 근처 지역은 상류층 지역이며, 철도와 공장 근처 지역은 노동자 계급 지역의 특징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라의 빌더자이트(Gründerzeit) 건축 양식은 매우 다양하고 흥미롭다. 특히 1900년대와 1910년대 게라의 저택 건축 양식은 독특하다. 1920년대에는 당시 부유했던 도시에 현대적인 스타일의 바우하우스(Bauhaus) 건물들이 들어섰다.

동독 시대에는 도시 외곽에 대규모 플라텐바우(Plattenbau) 주택 단지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도시 성장이 이루어졌는데, 남쪽의 루잔(Lusan) 지역과 북쪽의 비블라흐(Bieblach) 지역이 그 예이다. 전반적으로 게라 건물의 거의 절반이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지어졌다.[3]

4. 3. 주요 건축물
- 성 구세주 교회(St. Saviour's Church)는 게라의 복음주의 중앙 교회로, 1717년부터 1720년 사이에 다비트 샤츠에 의해 바로크 양식으로 건축되었다.[2]
- 삼위일체 교회(Trinity Church)는 1609년부터 1611년 사이에 묘지 교회로 건축된 복음주의 교구 교회이다(1886년부터).[2]
- 클라라 체트킨슈트라세에 있는 성 요한 교회(St. John's Church)는 1881년부터 1885년 사이에 신고딕 양식으로 건축된 복음주의 교구 교회이다.[2]
- 운터름하우스 지역에 있는 성 마리아 교회(St. Mary's Church)는 과거 운터름하우스 마을의 복음주의 교구 교회로, 1450년경에 건축되었다.[2]
- 클라이슈트라세에 있는 성 엘리자베트 교회(St. Elizabeth's Church)는 게라의 가톨릭 교구 교회로, 2000년에 현대식으로 건축되었으며 1990년 이후 튀링겐에서 새로 지어진 몇 안 되는 대형 교회 중 하나이다.[2]
- 츠베첸 지역에 있는 성 마르틴 교회(St. Martin's Church)는 1895년에 신고딕 양식으로 건축된 복음주의 교구 교회이다.[2]
- 랑겐베르크 지역에 있는 14성인 보조자 교회(Fourteen Holy Helpers Church)는 복음주의 교구 교회로, 1750년대에 재건축되었다.[2]
- 마르크트플라츠(시장 광장)에 있는 시청은 1573년에서 1576년 사이에 지어진 높이 약 60m의 탑을 가진 독일에서 가장 큰 르네상스 시청 중 하나이다. 마르크트플라츠 자체는 후기 바로크 양식의 18세기 귀족 저택들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건축물 군을 형성하고 있다.[2]
- 퀴헨가르텐알레에에 있는 슈타트테아터(시립극장)는 1902년 하인리히 젤링이 신바로크 양식으로 건설한 전 레우센 왕가의 극장이다.[2]
- 슈타트아포테케(시립약국)는 마르크트플라츠에 있는 아름다운 베이 창을 가진, 1592년에 설립된 르네상스 건물이다.[2]
- 퀴헨가르텐(말 그대로 “부엌 정원”)과 오랑주리는 시 중심부 서쪽에 있는 공원으로, 1732년 레우센 왕가에 의해 조성되었다.[2]
- 뢰러(Höhler)는 시 중심부 아래에 있는 길이 약 9km의 지하 저장 시스템으로, 17세기와 18세기에 맥주 저장을 위해 조성되었다. 니콜라이베르크 3번지 입구를 통해 일부를 방문할 수 있다.[2]
- 틴츠성(Schloss Tinz)은 1748년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진 레우센 왕가의 여름 별궁으로, 주변에는 공원이 있다.[2]
- 오스터슈타인성(Schloss Osterstein)은 16세기에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진 레우센 왕가의 주요 거주지였다. 1945년 폭격을 맞았고 1962년 일부가 철거되어 탑만 남았다.[2]
- 시벽(city wall)은 19세기에 철거되었으며, 슈타트그라벤(Stadtgraben)에 작은 부분만 남아 있다.[2]
5. 경제 및 인프라
게라의 경제는 산업 기계, 통신, 보안 자물쇠, 광학, 전기 장비, 마가린 제조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압축기, 정밀 공구, 건설, 전자상거래 서비스, IT 외함 제조업체 등이 있다.[13] 과거에는 공구 제작, 섬유 산업 등이 중요했지만 현재는 축소되었다.[13] VEB Carl Zeiss Jena와 양조장도 게라에 있었다. 과거 소련의 주요 우라늄 공급원이었던 인근 로네부르크의 우라늄 광산 채굴(비스무트)도 중요한 산업이었다.[13]
게라는 중심지 이론(Central Place Theory)에 따른 상위 중심지이며, "게라-아르카덴", "암토르-파사주", "엘스터-포럼"과 같은 쇼핑센터를 통해 소매업의 지역 중심지 역할을 한다. 튀링겐주에서 가장 큰 병원 중 하나인 SRH 발트클리니쿰이 있어 의료 서비스도 중요하다.[13]
게라의 경제는 인근 예나(Jena)나 츠비카우(Zwickau)에 비해 취약하다. 2012년 기준 게라의 정규직 일자리는 3만 5천 개였던 반면, 예나는 5만 1천 개, 츠비카우는 5만 개의 독일 사회보험 가입 대상 일자리를 보유했다. 통근 균형 또한 게라는 +2천 명으로, 예나(+1만 4천 명), 츠비카우(+1만 6천 명)에 비해 낮아 독일 상위 중심지 중 가장 낮은 비율 중 하나였다. 2013년 9월 실업률은 11.2%로 튀링겐주 모든 지역 중 가장 높았다.[13] 2022년 기준 게라에는 22,544명이 정규직으로 고용되었으며, 중간 소득은 2,595.34 유로였다. 게라의 중간 임금은 동독 지역에 비해 10% 낮다.[12]
게라 북부와 동부 지역에서는 농업이 어느 정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 전체 면적의 약 57%가 농업 용도로 사용되며, 옥수수, 유채 등 작물 재배와 소 사육이 이루어진다.
게라는 19세기 후반부터 철도망의 중심지였다. 1859년 차이츠를 경유하여 바이센펠스 (할레)까지 연결되는 튀링겐 철도(튀링겐주 철도)가 최초로 개통되었다. 이후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이 개통되었다.
- 1865년: 괴스니츠(Gößnitz)(
- 1871년: 잘펠트(Saalfeld) 연결
- 1873년: 차이츠 경유 라이프치히(Leipzig) 연결
- 1875년: 플라우엔(Plauen) 연결
- 1876년: 예나 경유 바이마르(Weimar)(
- 1883년: 호프) 연결
현재 게라에서는 다음과 같은 지역 열차가 운행된다.
- 예나와 에르푸르트를 경유하여 괴팅겐(Göttingen)행 지역 급행 열차
- 차이츠를 경유하여 라이프치히행 열차
- 괴스니츠 노선을 경유하여 알텐부르크(Altenburg), 글라우카우(Glauchau), 츠비카우(Zwickau)행 열차
- 그라이츠(Greiz)행 열차
- 호프와 잘펠트행 열차
대부분의 노선은 2시간 간격으로 운행되어, 대부분의 방향으로 매 시간마다 (급행열차와 지역열차가 번갈아) 운행된다.
게라에서 가장 중요한 역은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게라 중앙역과 바이마르행 열차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게라 남부역이다. 그 외에도 랑엔베르크, 츠베첸, 게라 동역, 리프슈비츠 역 등이 있다.
4호선(프랑크푸르트-드레스덴)과 9호선(베를린-뮌헨)이 헤르름스도르프 교차로 부근에서 교차한다. 또한 세 개의 분데스슈트라세(Bundesstraße)가 게라를 연결한다.
- 2호선: 북쪽의 차이츠와 남쪽의 호프 연결
- 7호선: 서쪽의 예나(아이젠베르크 경유)와 동쪽의 알텐부르크 연결
- 92호선: 남쪽의 플라우엔(그라이츠 경유) 연결
가장 가까운 지역 공항은 게라에서 북쪽으로 약 70km 떨어진 라이프치히/할레 공항과 서쪽으로 약 90km 떨어진 에르푸르트-바이마르 공항이다.
1990년대부터 자전거 도로 건설이 시작되어, "바이세 엘스터 자전거 도로"와 "튀링겐 도시 연결 자전거 도로 (Radweg Thüringer Städtekette)"가 조성되었다. 시내에는 주요 도로변에 자전거 전용 차선이 일부 설치되어 있다.

게라 트램 네트워크는 1892년에 개통되었으며, 현재 두 개의 장거리 노선(비블라흐-루산 간 3번 노선, 운터마우스-츠베첸 간 1번 노선)과 하나의 단거리 노선(루산-츠베첸 기차역 간 2번 노선)이 운영 중이다. 버스 네트워크는 트램이 없는 지역과 인접 지자체를 연결한다.
5. 1. 경제
게라의 경제는 산업 기계, 통신, 보안 자물쇠, 광학, 전기 장비, 마가린 제조 등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기 제조업체, 정밀 공구 제조업체, 건설 회사,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업체, 정보기술 외함 제조업체 등이 있다.[13] 과거에는 공구 제작, 섬유, 섬유 기계, 전자 장비 등의 분야가 중요했지만, 현재는 크게 축소되었다.[13] VEB Carl Zeiss Jena와 양조장도 게라에 있었다. 중요한 산업 분야 중 하나는 인근 로네부르크의 우라늄 광산 채굴(비스무트)이었으며, 이를 통해 이 지역은 소련의 주요 우라늄 공급원이었다.[13]게라는 독일 지역 계획의 중심지 이론(Central Place Theory)에 따른 상위 중심지이며, 소매업의 지역 중심지 역할을 한다. "게라-아르카덴", "암토르-파사주", "엘스터-포럼"과 같은 세 개의 주요 쇼핑센터가 있다. 의료 서비스도 중요하며, 튀링겐주에서 가장 큰 병원 중 하나인 SRH 발트클리니쿰이 있다.[13]
게라의 경제는 인근 도시인 예나(Jena)나 츠비카우(Zwickau)에 비해 취약하다. 2012년 기준 게라의 정규직 일자리는 3만 5천 개였던 반면, 예나는 5만 1천 개, 츠비카우는 5만 개의 독일 사회보험 가입 대상 일자리를 보유했다. 통근 균형 또한 게라는 +2천 명으로, 예나의 +1만 4천 명, 츠비카우의 +1만 6천 명에 비해 낮아 독일 상위 중심지 중 가장 낮은 비율 중 하나였다. 이는 게라가 지역에 일자리를 제공할 능력이 부족함을 보여준다. 2013년 9월 실업률은 11.2%로 튀링겐주 모든 지역 중 가장 높았다.[13] 2022년 기준 게라에는 22,544명이 정규직으로 고용되었으며, 중간 소득은 2595.34EUR였다. 게라의 중간 임금은 동독 지역에 비해 10% 낮다.[12]
게라의 농촌 지역, 특히 북부와 동부 지역에서는 농업이 어느 정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 전체 면적의 약 57%가 농업 용도로 사용되며, 옥수수, 유채, 기타 작물 재배와 소 사육이 이루어진다.
5. 2. 교통
게라는 19세기 후반부터 철도망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1859년 차이츠를 경유하여 바이센펠스 (할레)까지 연결되는 튀링겐 철도(튀링겐주 철도)가 최초로 개통되었다. 이후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이 개통되었다.- 1865년: 괴스니츠(Gößnitz)(
- 1871년: 잘펠트(Saalfeld) 연결
- 1873년: 차이츠 경유 라이프치히(Leipzig) 연결
- 1875년: 플라우엔(Plauen) 연결
- 1876년: 예나 경유 바이마르(Weimar)(
- 1883년: 호프) 연결
현재 게라에서는 다음과 같은 지역 열차가 운행된다.
- 예나와 에르푸르트를 경유하여 괴팅겐(Göttingen)행 지역 급행 열차
- 차이츠를 경유하여 라이프치히행 열차
- 괴스니츠 노선을 경유하여 알텐부르크(Altenburg), 글라우카우(Glauchau), 츠비카우(Zwickau)행 열차
- 그라이츠(Greiz)행 열차
- 호프와 잘펠트행 열차
대부분의 노선은 2시간 간격으로 운행되어, 대부분의 방향으로 매 시간마다 (급행열차와 지역열차가 번갈아) 운행된다.
게라에서 가장 중요한 역은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게라 중앙역과 바이마르행 열차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게라 남부역이다. 그 외에도 랑엔베르크, 츠베첸, 게라 동역, 리프슈비츠 역 등이 있다.
두 개의 독일 아우토반(Autobahn)이 헤르름스도르프 교차로 부근에서 교차하는데, 4호선(프랑크푸르트-드레스덴)과 9호선(베를린-뮌헨)이다. 또한 세 개의 분데스슈트라세(Bundesstraße)가 게라를 연결한다.
- 2호선: 북쪽의 차이츠와 남쪽의 호프 연결
- 7호선: 서쪽의 예나(아이젠베르크 경유)와 동쪽의 알텐부르크 연결
- 92호선: 남쪽의 플라우엔(그라이츠 경유) 연결
가장 가까운 지역 공항은 게라에서 북쪽으로 약 70km 떨어진 라이프치히/할레 공항과 서쪽으로 약 90km 떨어진 에르푸르트-바이마르 공항이다.
1990년대부터 자전거 도로 건설이 시작되어, 관광객을 위한 "바이세 엘스터 자전거 도로"와 "튀링겐 도시 연결 자전거 도로 (Radweg Thüringer Städtekette)"가 조성되었다. 시내에는 주요 도로변에 자전거 전용 차선이 일부 설치되어 있다.
게라 트램 네트워크는 1892년에 개통되었으며, 현재 두 개의 장거리 노선(비블라흐-루산 간 3번 노선, 운터마우스-츠베첸 간 1번 노선)과 하나의 단거리 노선(루산-츠베첸 기차역 간 2번 노선)이 운영 중이다. 버스 네트워크는 트램이 없는 지역과 인접 지자체를 연결한다.
5. 3. 교육
고등교육기관으로는 5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사립 SRH 게라 건강전문대학교(응용과학대학교)와 85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게라-아이제나흐 이중교육대학교(협동주립대학교) 게라 분교가 있다.[14]또한, 주립 김나지움(김나지움) 4곳이 있다.

6. 정치
2024년 5월 시장 선거에서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 소속 쿠르트 다넨베르크가 당선되었다. 그는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시장직을 수행했던 줄리안 폰아르브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2024년 5월 26일에 실시된 시의회 선거에서는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35.1%의 득표율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 | 의석 수 |
---|---|
독일을 위한 대안 (AfD) | 15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CDU) | 7 |
게라 연합 | 7 |
좌파당 (Die Linke) | 5 |
게라 시민 | 3 |
사회민주당 (SPD) | 2 |
녹색당 (Grüne) | 1 |
Die PARTEI (PARTEI) | 1 |
자유주의 연합 (LA) | 1 |
자유민주당 (FDP) | 0 |
7. 자매 도시
8. 저명한 출신 인물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슈미트 (1795-1866), 화가, 석판화가, 도자기 화가
- 하인리히 라인홀트 (1788–1825), 화가이자 판화가
- 오토 루머 (1860–1925), 물리학자
- 오토 딕스 (1891–1969), 화가이자 판화가
- 루돌프 파울 (1893–1978), 정치인, 튀링겐 주 총리 (1945–1947)
- 쿠르트 귄터 (1896–1947), 슈츠슈타펠(SA) 장군이자 나치당 정치인
- 샬로테 호만 (1900–1971), 잡지 ''디 프라우 폰 호이테''의 편집장
- 베르너트 베너 (1909–1995), 친위대(SS) 장교(하우프트슈투름퓌러), 형사 및 언론인
- 디트리히 펠츠 (1914–2001), 루프트바페 장군
- 게오르크 부슈너 (1925–2007), 축구 선수, 동독 국가대표 축구팀 감독
- 라이너 오를레브 (1944년생), 정치인 (자유민주당), 1990–1991년 특별사무 연방장관,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연방교육과학장관
1978년 마를리스 괴어 - 맥스 프랭켈 (1930년생), 뉴욕타임즈 편집국장 (1986–1994)
- 클라우스 크로프핑거 (1930–2016), 음악학자
- 헬무트 제멜만 (1934년생), 정치인 (사회민주당), 농부
- 헬가 쾨니히스도르프 (1938년생), 수학자이자 작가
- 틸로 사라진 (1945년생), 독일 정치인 (사회민주당), 작가
- 볼프강 티펜제 (1955년생), 정치인 (사회민주당)
- 마를리스 괴어 (1958년생), 육상 선수
- 올라프 루드비히 (1960년생), 사이클 선수
- 하이케 드렉슬러 (1964년생),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멀리뛰기)
- 옌스 헵너 (1964년생), 사이클 선수
- 존 데겐콜브 (1989년생), 사이클 선수
- 마르셀 에카르트 (1989년생), 스누커 심판
- 비안카 슈미트 (1990년생), 축구 선수
- 한카 퀴퍼나겔(Hanka Kupfernagel): 여자 사이클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Gewählte Bürgermeister - aktuelle Landesübersicht
https://wahlen.thuer[...]
Freistaat Thüringen
2024-06-25
[2]
서적
The Iron Kingdom
London
2006
[3]
웹사이트
https://zensus2011.d[...]
2024-08
[4]
서적
Ostthüringen im Bombenkrieg 1939–1945
Michael Imhof Verlag
2013
[5]
간행물
Der Schrei nach Freiheit. 17. Juni 1953 in Thüringen
Stiftung Ettersberg
2012-06
[6]
논문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www.schweizer[...]
2013-01-22
[7]
논문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hydrol-ea[...]
2007
[8]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12
[9]
웹사이트
Extremwertanalyse der DWD-Stationen, Tagesmaxima, Dekadenrekorde, usw.
https://www.wetterze[...]
DWD
2023-11-18
[10]
웹사이트
Thüringer Landesamt für Statistik
http://www.tls.thuer[...]
[11]
웹사이트
Museum for Applied Arts
http://www.gera.de/s[...]
Gera.de
2011-06-19
[12]
웹사이트
Der Medianlohn in Gera ist im Vergleich zu Ostdeutschland um 10% niedriger.
https://meinanzeiger[...]
2022-08-14
[13]
웹사이트
Thüringer Landesamt für Statistik
http://www.tls.thuer[...]
[14]
웹사이트
Dhge Verzeichnet Deutlichen Zuwachs an Studenten – Gera
http://www.studioger[...]
[15]
웹사이트
Partnerstädte
https://www.gera.de/[...]
Gera
2021-02-03
[16]
인구통계
[17]
웹인용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12
[18]
웹인용
Extremwertanalyse der DWD-Stationen, Tagesmaxima, Dekadenrekorde, usw.
https://www.wetterze[...]
DWD
202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