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바빌로니아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1895년부터 기원전 1595년까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아무르인의 도시 바빌론을 중심으로 성장했다. 함무라비 왕 시기에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장악했으며, 법전 편찬, 관료 제도, 조세 제도 등을 통해 통치 체제를 강화했다. 함무라비 법전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가장 큰 업적으로 꼽힌다. 샴수일루나 이후 쇠퇴하여 히타이트의 공격으로 멸망하고 카시트 시대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 - 아바스 칼리파국
    아바스 칼리파국은 750년 우마이야 칼리파국을 멸망시키고 건국된 이슬람 제국으로, 메소포타미아를 중심으로 이슬람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1258년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카이로에서 명맥을 유지하다 1517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종식되었다.
  • 이라크 -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는 현재 이라크 지역의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위치한 고대 문명으로,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공존하며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등의 강력한 군주 아래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당하며 쇠퇴한 문명이다.
  • 바빌로니아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바빌로니아 - 칼데아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서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이주해와 아카드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천문학과 점성술을 발전시킨 바빌로니아의 지배 계급이자 지식 계층이었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토번
    토번은 7세기 초에 건국되어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한 티베트의 고대 왕국으로, 당나라와 빈번한 외교 및 전쟁을 벌였으며, 8세기 후반에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종교적 갈등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멸망했다.
고바빌로니아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함무라비]]의 통치 시작과 끝 시점의 옛 바빌로니아 제국의 영토 확장
함무라비의 통치 시작과 끝 시점의 옛 바빌로니아 제국의 영토 확장, 기원전 1792년 – 기원전 1750년
기본 정보
정식 명칭옛 바빌로니아 제국
일반 명칭옛 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청동기 시대
정치 체제군주제
존속 기간기원전 1894년 ~ 기원전 1595년
생존 기간기원전 1894년 ~ 기원전 1595년
수도바빌론
공용어아카드어 (공식)
수메르어 (문학)
아모리어
종교바빌로니아 종교
현재 국가이라크
시리아
관련 민족해당 사항 없음
면적해당 사항 없음
면적 순위해당 사항 없음
GDP (PPP)해당 사항 없음
GDP (PPP) 연도해당 사항 없음
HDI해당 사항 없음
HDI 연도해당 사항 없음
정치
국왕수무아붐 (최초)
삼수-디타나 (마지막)
국왕 통치 기간수무아붐: 기원전 1894년 ~ 기원전 1881년
삼수-디타나: 기원전 1626년 ~ 기원전 1595년
주요 사건바빌론 약탈 (기원전 1595년경)
역사
이전이신-라르사 시대
이후카시트 왕조
제1 해안 왕조

2. 역사

기원전 20세기, 우르 제3 왕조의 수메르 부흥기 이후, 유프라테스강 서쪽 지역에서 온 셈어족 계열의 아모리인이 메소포타미아로 이주했다. 이후 약 100년간 메소포타미아는 여러 도시 국가로 분열되었으며, 이신이 한때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으나, 점차 아모리인이 세운 도시 바빌론이 주변 지역을 통합하며 성장했다. 기원전 1895년경부터 기원전 1595년까지 약 300년간 지속된 바빌론 제1왕조 시대를 '''고대 바빌로니아'''라고 부른다. 이 시기 바빌로니아는 시리아, 가나안 등 서부 도시들과 활발히 교역했다.

바빌론은 제6대 왕인 함무라비 때 전성기를 맞이하여 메소포타미아 전역의 패권을 장악했다. 함무라비는 유능한 통치자로서, 유명한 함무라비 법전을 편찬하여 제국을 안정적으로 다스렸으며, 군사적 확장을 통해 이신, 엘람, 우루크, 마리 왕국 등을 정복하고 영토를 지중해 연안까지 넓혔다. 바빌로니아인들은 왕을 신 마르둑의 대리자로 여겼고, 바빌론을 신성한 도시로 간주했다. 왕권 강화를 위해 관료제와 세금 제도, 중앙 정부 체제가 정비되었다. 함무라비 법전의 사본은 1901년 수사에서 발견되어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함무라비 사후 제국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기원전 1595년경 아나톨리아에서 온 히타이트의 침공으로 바빌론이 함락되면서 제1왕조는 멸망했다. 이후 카시트인들이 카시트 왕조를 세워 바빌로니아 지역을 통치하게 된다.

2. 1. 초기 역사 (기원전 1895년 ~ 기원전 1792년)

기원전 20세기, 우르 제3 왕조의 수메르 부흥기 이후, 유프라테스강 서쪽 지역에서 온 셈어족 계열의 아모리인이 메소포타미아로 이주했다. 이후 약 100년간 메소포타미아는 여러 도시 국가로 분열되었으며, 이신이 한때 가장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다. 그러나 점차 아모리인이 세운 도시 바빌론이 주변 지역을 통합하며 성장하기 시작했다. 바빌론 제1왕조가 시작된 기원전 1895년경부터 기원전 1595년까지 약 300년간을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로 구분한다. 이 시기 바빌로니아인들은 시리아가나안 등 서부 도시들과 정기적인 무역을 했으며, 바빌론 내에도 무역을 위한 아모리인 거주지가 형성되었다.

𒄩𒄠𒈬𒊏𒁉


바빌론 제1왕조의 초기 역사는 바빌론 도시 유적의 높은 지하수위로 인해 온전한 고고학적 자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아 자세히 파악하기 어렵다.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는 주로 왕실 및 봉헌 비문, 문학 텍스트, 연대기 목록과 같은 기록물에 의존한다. 경제 및 법률 문서가 부족하여 당시 사회 경제사를 상세히 알기는 어렵지만, 문학 작품에 묘사된 사건과 연대기 목록을 통해 역사의 큰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3]

초대 왕으로 알려진 수무아붐부터 5대 왕 신무발리트까지 초기 왕들은 아카드인이 아닌 아모리인이었다는 사실 외에는 알려진 바가 적다. 이 시기 바빌론은 영토를 크게 확장하지 못했으며, 이신라르사 등 여러 강국 사이에서 경쟁하는 여러 도시 중 하나에 불과했다.

수무아붐은 딜바트와 키시를 정복하며 바빌론의 영토 확장을 시도했다.[7] 그의 뒤를 이은 수무알라일룸은 수무아붐이 시작한 바빌론 성벽 건설을 마무리했으며, 키시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고 카잘루를 파괴했다. 또한 잠시나마 니푸르를 점령하기도 했으나 오래 유지하지는 못했다.[8]

사비움, 아필신, 신무발리트의 통치 기간에 대해서는 기존 영토를 다스리고 성벽을 강화하며 운하를 건설했다는 사실 외에는 알려진 정보가 적다. 다만 신무발리트는 남쪽의 강국 라르사의 왕 림신 1세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내 바빌론을 지켜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9] 신무발리트는 이후 아들인 함무라비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으며, 함무라비 대에 이르러 바빌론은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장악하게 된다. 초기 바빌로니아인들은 왕을 신 마르둑의 대행자로 여겼고, 바빌론을 "신성한 도시"로 간주하여 모든 왕은 그곳에서 왕권을 인정받아야 한다고 믿었다. 왕권 강화를 위해 관료 제도, 세금 제도, 중앙 정부 체제가 점차 갖추어졌다.

2. 2. 함무라비 왕과 전성기 (기원전 1792년 ~ 기원전 1750년)

도시 바빌론은 여섯 번째 통치자였던 함무라비 왕(기원전 1792년 ~ 기원전 1750년 통치) 때에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였다. 그는 유능한 지도자로서, 법전을 편찬하여 지역을 안정적으로 통치하였다. 함무라비는 고대 텍스트에서 "함무라피"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당시 아모리인 이름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11]

함무라비가 처음 권력을 잡았을 때 제국은 바빌론 인근의 몇몇 도시들, 즉 딜바트, 시파르, 키시, 보르시파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바빌로니아는 메소포타미아 전역으로 확장되었다. 기원전 1762년, 함무라비는 에슈눈나를 정복하여 그들의 무역로와 경제력을 확보했다. 이후 아시리아와 자그로스 산맥 일부 지역을 점령했다. 기원전 1761년에는 강력한 마리 왕국을 장악하여, 우르 제3왕조 시대의 메소포타미아 영토 거의 전부를 차지하게 되었다.[14] 함무라비 재위 30년째 되던 해에는 림신 1세로부터 라르사를 정복하여 니푸르, 우르, 우루크, 이신과 같은 주요 도시들을 확보했다.[15] 바빌로니아의 잘 훈련된 군대는 이러한 정복 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함무라비의 통치 아래 바빌론의 지배력은 지중해까지 미쳤다.

함무라비 시대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법전의 편찬이다. 엘람인을 추방하고 왕국이 안정된 후 함무라비의 지시로 만들어진 이 법전은 함무라비 법전(Code of Hammurabi)으로 불린다. 함무라비 법전은 역사상 가장 오래된 성문법 중 하나이자 근동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텍스트 중 하나이다. 높이 2.25m의 섬록암 비석에 쐐기 문자로 새겨져 있으며, 1901년 수사에서 발견되어 현재는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비석 상단에는 함무라비 왕이 태양신 샤마쉬로부터 왕권을 받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법률 조항들이 기록되어 있다. 법전 서문에서 함무라비는 자신이 신 마르둑의 명령에 따라 백성들에게 정의를 세우고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법을 만들었음을 밝히고 있다.[12][13] 법전은 범죄에 대한 처벌 규정과 백성들이 지켜야 할 규칙들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왕을 신 마르둑의 대행자로 여겼고, 바빌론을 "신성한 도시"로 생각하여 모든 왕은 그곳에서 왕권을 인정받아야 한다고 믿었다. 함무라비는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관료 제도, 세금 제도, 중앙 정부 체제를 정비했다.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태양신 샤마쉬는 정의와 점술의 신으로서 왕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함무라비 법전에도 "하늘과 땅의 위대한 재판관이며, 모든 살아있는 존재에게 정당한 길을 제공하는 신 샤마시"가 언급된다.[22] 이는 샤마쉬가 함무라비에게 영향을 미치며, 함무라비가 지상에서 샤마쉬처럼 정의로운 법을 집행한다는 사상을 보여준다.[23]

원통형 인장, 기원전 18~17세기경. 바빌로니아


함무라비 시대의 외교 관계는 마리 왕국의 왕 짐리림이 남긴 기록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마리의 궁전에서 발견된 점토판 문서들은 함무라비와 짐리림 간의 동맹, 당시 시리아-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정세 등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담고 있다. 함무라비가 마리 궁전을 불태웠을 때, 이 문서들이 불길 속에서 구워져 오히려 보존될 수 있었다.[17] 이 문서들은 당시 왕들 사이의 서신, 분쟁, 조약 등 군사 및 외교 관련 내용을 주로 포함하고 있다.[18] 바빌론 지역의 함무라비 관련 기록은 유적이 지하수면 아래에 있어 대부분 소실되었기 때문에 마리의 기록은 더욱 중요하다.[16]

2. 3. 쇠퇴와 멸망 (기원전 1750년 ~ 기원전 1595년)

함무라비 사후, 그의 아들 샴수일루나가 왕위를 계승했으나, 제국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샴수일루나 이후의 왕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샴수일루나부터 마지막 왕 샴수디타나까지의 왕들은 재위 기간 동안 일어난 일에 대한 기록이 매우 부족하다.[19]

샴수일루나는 남부의 림-신 2세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성공했지만, 이 과정과 이후의 혼란 속에서 함무라비 시대에 확보했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잃었다. 제국의 통치력은 바빌론 주변의 핵심 지역에만 실질적으로 미치게 되었다. 샴수일루나의 뒤를 이은 왕들 역시 비슷한 혼란과 영토 상실 문제에 직면했다.[19]

결국 제1 바빌론 왕조는 지속적인 영토 상실과 재정 악화로 인해 쇠퇴의 길을 걸었다. 이러한 약화는 외부 세력의 침입을 불렀고, 아나톨리아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히타이트메소포타미아로 진격하여 기원전 1595년경 바빌론을 함락시키고 파괴했다. 이 사건으로 제1 바빌론 왕조는 막을 내렸다.[20]

바빌론이 멸망한 후, 카시트인들이 새로운 지배 세력으로 등장하여 카시트 왕조 시대를 열었다. 카시트인들은 이미 바빌론 멸망 1세기 반 전부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거주하며 때로는 바빌론과 협력하고 때로는 대립하는 등, 지역 정세의 주요 행위자 중 하나였다.[21] 카시트 왕조는 기원전 1570년부터 기원전 1154년까지 바빌로니아를 통치하게 된다.[20]

3. 역대 군주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가 적어, 수무아붐부터 신무발리트까지 초기 왕들의 통치에 대해서는 그들이 아카드인이 아닌 아모리인이라는 사실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러나 기록에 따르면 그들은 영토를 크게 확장하지는 못했다.

고대 바빌로니아 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알려진 수무아붐은 딜바트와 키시를 정복하여 바빌론 영토를 확장하려 노력했다.[7] 그의 후계자인 수무라엘(수무알라일룸)은 수무아붐이 건설을 시작했던 바빌론 성벽을 완성했다. 수무라엘은 또한 키시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고 카잘루를 파괴했으며, 니푸르를 잠시 통치하기도 했다(오래 지속되지는 못했지만).[8]

사비움, 아필신, 신무발리트의 통치에 대해서는 정복한 영토를 계속 통치하고 성벽을 강화했으며 운하를 건설하기 시작했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 그러나 신무발리트는 라르사의 왕 림신 1세를 성공적으로 격파하여 바빌론을 추가 침략으로부터 보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신무발리트는 이후 왕위를 아들인 함무라비에게 넘겨주었다.

함무라비는 고대 문헌에서 "함무라피"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바빌론의 여러 서신에서도 확인된다. 이는 당시 아모리인 이름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동시대의 다른 아모리인 "디필리라비"는 "디필리라피"로도 알려져 있다).[11]

함무라비는 기원전 1792년부터 기원전 1750년까지 바빌론을 통치했다. 그가 처음 권력을 잡았을 때 제국은 바빌론 인근의 몇몇 도시, 즉 딜바트, 시파르, 키시, 보르시파만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함무라비의 군사적 성공은 제국에 더 많은 영토를 가져다주었다. 기원전 1762년까지 함무라비는 강력한 에슈눈나를 성공적으로 장악하여 그들의 잘 구축된 무역로와 경제적 안정을 확보했다. 이후 함무라비의 군대는 아시리아와 자그로스 산맥 일부 지역을 점령했다. 기원전 1761년에는 마리를 장악하여, 우르 제3왕조 시대의 메소포타미아 영토 거의 전부를 차지하게 되었다.[14]

함무라비 재위 30년째 되던 해에는 림신 1세로부터 라르사를 정복하여 니푸르, 우르, 우루크, 이신과 같은 중요한 도시 중심지를 장악했다. 함무라비는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성공적으로 통일하고 바빌론을 제국의 중심지로 확립하여, 이후 천 년 이상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바빌론의 영향력을 유지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로 인해 그는 바빌론 제1왕조의 가장 주목할 만한 왕으로 평가받는다.[15]

함무라비의 통치 기간 동안 마리 왕국의 왕이었던 짐리림은 현대 역사가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가 남긴 방대한 기록은 바빌론 제1왕조의 역사와 외교 관계를 보여준다. 바빌론 지역의 함무라비 기록 보관소는 지하수면 아래에 위치하여 유물이 진흙으로 변해 복원할 수 없었다.[16] 그러나 마리의 짐리림 궁전에서는 함무라비와의 동맹, 그리고 시리아-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다른 지도자들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서신과 문서들이 발견되었다. 이 문서들은 함무라비가 마리 궁전을 불태웠을 때 오히려 묻혀서 보존될 수 있었다.[17] 당시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 왕국들 사이에서는 전쟁이 빈번했기 때문에, 발견된 문서의 대부분은 군사 문제에 관한 것이었다. 여기에는 왕의 사자들이 주고받은 서신, 분쟁 기록, 신성한 맹세, 합의 및 강대국 간의 조약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18]

함무라비 법전은 역사상 가장 오래된 성문법 중 하나이자 근동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기록물 중 하나이며, 고대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유물 중 하나이다. 이 법전은 높이 2.25m의 섬록암 비석에 쐐기 문자로 새겨져 있다. 비석 상단에는 함무라비 왕이 태양신 샤마쉬로부터 왕권을 받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고, 하단에는 법 조항들이 기록되어 있다. 법전 서문에는 함무라비가 어떻게 권력을 잡았고, 신성한 역할로서 영토 전역에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법률을 만들었는지가 설명되어 있다.[12] 함무라비는 법률을 제시하기 전에 "신 마르두크가 백성들에게 올바른 길을 제시하고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명령했을 때, 나는 진리와 정의를 이 땅의 선언으로 세웠고, 백성의 복지를 증진시켰다"고 선언했다. 이후 법전은 범죄에 대한 처벌과 백성들이 준수해야 할 규칙들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13]

삼수일루나의 인장


삼수일루나 이후의 왕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삼수일루나부터 삼수디타나까지의 왕들의 재위 기간 동안 일어난 사건에 대한 기록은 매우 부족하다. 그러나 삼수일루나가 림-신 2세를 물리치는 데 성공했지만, 바빌론이 함무라비 시대에 정복했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잃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그는 함무라비가 남긴 바빌론 영토의 핵심 지역에만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삼수일루나의 뒤를 이은 왕들도 비슷한 혼란에 직면했다.[19]

제1 바빌론 왕조는 결국 영토와 재정을 잃고 쇠퇴하면서 종말을 맞이했다. 아나톨리아 외부로 영토를 확장하려 했던 히타이트의 공격은 결국 바빌론의 파괴로 이어졌다. 이후 제1 바빌론 왕조의 뒤를 이어 카시트 왕조가 기원전 1570년부터 1154년까지 통치했다.[20] 바빌론이 멸망할 무렵 카시트족은 이미 1세기 반 동안 이 지역의 일부였으며, 때로는 바빌론의 이익을 위해, 때로는 바빌론에 대항하여 활동했다.[21]

#표상이름계승칭호재위 기간 (대략)비고
1
수무아붐
Šumu-abum
불분명바빌론의 왕c. 기원전 1894년 ~ c. 기원전 1881년
(중기 연대기)
2
수무라엘
Šumu-la-El
불분명바빌론의 왕c. 기원전 1881년 ~ c. 기원전 1845년
(중기 연대기)
3
사비움
Sabūm
수무라엘의 아들바빌론의 왕c. 기원전 1845년 ~ c. 기원전 1831년
(중기 연대기)
4
아필-신
Apil-Sîn
사비움의 아들바빌론의 왕c. 기원전 1831년 ~ c. 기원전 1813년
(중기 연대기)
5
신-무발리트
Sîn-Muballit
아필-신의 아들바빌론의 왕c. 기원전 1813년 ~ c. 기원전 1792년
(중기 연대기)
6함무라비

Ḫammu-rāpi
신-무발리트의 아들바빌론의 왕
사방의 왕
수메르와 아카드 왕
c. 기원전 1792년 ~ c. 기원전 1750년
(중기 연대기)
c. 기원전 1728년 ~ c. 기원전 1686년
(단기 연대기)
(43년)
7삼수일루나

Šamšu-iluna
함무라비의 아들바빌론의 왕
라르사의 왕
c. 기원전 1750년 ~ c. 기원전 1712년
(중기 연대기)
c. 기원전 1686년 ~ c. 기원전 1648년
(단기 연대기)
(38년)
8
아비에슈
Abī-Ešuḫ
삼수일루나의 아들바빌론의 왕c. 기원전 1712년 ~ c. 기원전 1684년
(중기 연대기)
9
아미디타나
Ammi-ditāna
아비에슈의 아들바빌론의 왕c. 기원전 1684년 ~ c. 기원전 1647년
(중기 연대기)
10
아미사두카
Ammi-Saduqa
아미디타나의 아들바빌론의 왕c. 기원전 1647년 ~ c. 기원전 1626년
(중기 연대기)
11
삼수디타나
Šamšu-ditāna
아미사두카의 아들바빌론의 왕c. 기원전 1626년 ~ c. 기원전 1595년
(중기 연대기)


참조

[1] 문서 BM 33332
[2] 문서 BM 38122
[3] 서적 Local Power of Old Babylonian Mesopotamia 2012
[4] 서적 Cuneiform Tablets in the British Museum http://www.etana.org[...] British Museum 2020-03-04
[5] 서적 A guide to the Babylonian and Assyrian antiquities https://archive.org/[...] London : Printed by the order of the Trustees 1908
[6]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2020-03-04
[7] 서적 A History of Babylon 1969
[8] 서적 A History of Babylon 1969
[9] 서적 A History of Babylon 1969
[10] 간행물 Ancient Iraq Penguin Books 1992-08-27
[11] 서적 The Name Hammurabi 1984
[12]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Brotherhood of Kings 2010
[15] 서적 Brotherhood of Kings 2010
[16] 서적 Babylon
[17] 서적 Brotherhood of Kings 2010
[18] 서적 Brotherhood of Kings 2010
[19] 서적 Ancient Near Eastern Cylinder Seals 1978
[20]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21] 논문 "The Old to Middle Babylonian Transition: History and Chronology of the Mesopotamian Dark Age." Ägypten Und Levante / Egypt and the Levant, vol. 20, 2010, pp. 453–63
[22] 서적 The Code of Hammurapi
[23] 학술지 "I am the Sun of Babylon"; Solar Aspects of Royal Power in Old Babylonian Mesopotamia
[24] 학술지 Astronomical dating of Babylon I and Ur III
[25] 서적 Babylonian Planetary Omens The Venus, the Tablet of Ammisaduqa
[26] 서적 Babylonian Planetary Omens The Venus, the Tablet of Ammisaduqa
[27] 서적 Exploring Ancient Skies: An Encyclopedic Survey of Archaeoastronomy Springer
[28]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Ancient Orien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6
[29]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30]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31]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32]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33]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34] 문서 Per [[Sumerian King List]]
[35]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