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곡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우는 24절기 중 하나로, 양력 4월 20일경에 해당하며,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시기는 농사철의 시작을 알리며, 논밭을 준비하고 씨앗을 뿌리는 등 본격적인 농사 준비가 이루어진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절기로 여겨지며, 각 지역별로 곡우를 세분하여 자연 현상을 나타내는 명칭을 사용한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북위 약 11.7°에 위치할 때 곡우에 해당하며, 한국에서는 낮의 길이 비율이 약 55%일 때 곡우로 여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월의 세시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4월의 세시 - 삼짇날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에 다양한 이름과 유래를 가진 전통 명절로,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여러 풍습이 이어져 왔으며, 봄맞이 놀이, 음식, 농경 의례 등의 풍속과 함께 한국과 중국에서 기념되고, 최근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 절기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절기 - 춘분
    춘분은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며 농사의 시작과 봄을 알리는 절기이고, 일본에서는 공휴일로 지정하며, 이란에서는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하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 음력 3월 - 삼짇날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에 다양한 이름과 유래를 가진 전통 명절로,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여러 풍습이 이어져 왔으며, 봄맞이 놀이, 음식, 농경 의례 등의 풍속과 함께 한국과 중국에서 기념되고, 최근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 음력 3월 - 음력 3월 4일
    음력 3월 4일은 음력 3월의 네 번째 날로, 과거 당항포 해전과 같은 역사적 사건이 있었고 대한민국에서는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으며, 라디오 프로그램 볼륨을 높여요가 첫 방송을 시작한 날이다.
곡우
개요
설명24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이다.
시기양력 4월 20일 ~ 21일 (황도 상 태양 위치: 30도)
음력3월
명칭
한국어곡우 (穀雨)
로마자 표기Gogu
영어Grain Rain
중국어 간체谷雨
중국어 정체穀雨
병음gǔ yǔ
일본어穀雨 (こくう, Kokuu)
베트남어Cốc vũ
특징
의미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의미이다.
풍습농사 준비
볍씨 담그기
나물 캐기
관련 속담곡우에 모든 씨앗이 싹이 튼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나 마른다.
기타곡우 무렵에는 못자리를 준비한다.
볍씨를 담가 싹이 트기를 기다린다.
본격적인 농사철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다.

2. 시기 및 의미

곡우는 논밭 준비가 끝나고, 그에 맞춰 봄비가 내리는 시기이다.

곡우는 곡물의 성장을 돕는 비를 뜻한다. 역변람에는 "봄비가 내려 백곡을 생화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곡우의 끝 무렵(입하 직전)에 팔십팔야(입춘 87일 후)가 있다.

곡우는 양력 4월 20일경으로, 음력으로는 3월 중순경에 해당한다. 1983년까지는 4월 20일, 4월 21일 중 하루(드물게 4월 19일)이었다. 1984년부터 얼마 동안은 4월 20일이 계속되었고, 2020년부터는 4월 19일, 4월 20일 중 하루(드물게 4월 21일)가 된다.

곡우 날짜 (UT 기준)
연도날짜
19664월 20일
19674월 20일
19684월 20일
19694월 20일
19704월 20일
19714월 20일
19724월 19일
19734월 20일
19744월 20일
19754월 20일
19764월 19일
19774월 20일
19784월 20일
19794월 20일
19804월 19일
19814월 20일
19824월 20일
19834월 20일
19844월 19일
19854월 20일
19864월 20일
19874월 20일
19884월 19일
19894월 20일
19904월 20일
19914월 20일
19924월 19일
19934월 20일
19944월 20일
19954월 20일
19964월 19일
19974월 20일
19984월 20일
19994월 20일
20004월 19일
20014월 20일
20024월 20일
20034월 20일
20044월 19일
20054월 19일
20064월 20일
20074월 20일
20084월 19일
20094월 19일
20104월 20일
20114월 20일
20124월 19일
20134월 19일
20144월 20일
20154월 20일
20164월 19일
20174월 19일
20184월 20일
20194월 20일
20204월 19일
20214월 19일
20224월 20일
20234월 20일
20244월 19일
20254월 19일
20264월 20일
20274월 20일
20284월 19일
20294월 19일
20304월 20일
20314월 20일
20324월 19일
20334월 19일
20344월 20일
20354월 20일
20364월 19일
20374월 19일
20384월 19일
20394월 20일
20404월 19일
20414월 19일
20424월 19일
20434월 20일
20444월 19일
20454월 19일
20464월 19일
20474월 20일
20484월 19일
20494월 19일
20504월 19일
20514월 20일
20524월 19일
20534월 19일
20544월 19일
20554월 20일
20564월 19일
20574월 19일
20584월 19일
20594월 20일
20604월 19일


3. 한국의 농경 문화와 풍속

곡우는 곡물의 성장을 돕는 비를 뜻하며, 역변람에는 "봄비가 내려 백곡을 생화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과거 한국 농경 사회에서는 곡우 무렵에 못자리를 마련하고 볍씨를 담그는 등 본격적인 농사 준비를 시작했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나 마른다"는 속담처럼, 곡우에 비가 오지 않으면 그해 농사를 망친다고 여겨 비를 중요하게 생각했다.[1]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서 불을 피워 잡귀를 쫓는 풍속이 있었는데,[1] 이는 농사의 시작을 앞두고 액운을 막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논밭 준비가 끝나고, 그에 맞춰 봄비가 내리는 시기이다.

곡우의 끝 무렵(입하 직전)에 팔십팔야(입춘 87일 후)가 있다.[1]

4. 동아시아의 전통적 구분

곡우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중요한 절기로 인식되었다. 각 절기는 다시 5일씩 3후(候)로 세분되었으며, 각 후에는 해당 시기의 자연 현상을 나타내는 명칭이 붙었다.

구분중국일본
초후(初候)부평초가 싹이 트기 시작함[2]갈대가 싹을 틔우기 시작함[3]
차후(次候)울새가 날갯짓을 함[1]서리가 멎고 모가 자람[1]
말후(末候)오색조가 뽕나무에 깃듦[1]모란 꽃이 핌[1]


5. 천문학적 관점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만 큰 의미가 있을 뿐, 나머지 20개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가 없다.[4]

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의 궤적은 북회귀선남회귀선 사이를 왕복한다. 태양이 춘분점이나 추분점에 있을 때 적도(0°)에 있으며, 하지점에 있을 때 북회귀선(북위 23.5°)에 도달하며, 동지점에 있을 때 남회귀선(남위 23.5°)에 도달한다. 태양이 북위 '''약 11.7°''', 즉 적도북회귀선의 '''가운데'''에 있을 때는 입하, 입추가 아니라, 곡우, 처서이다.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10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 참고)[5]

이는 낮의 길이 비율과도 같다.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9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일출일몰시각계산]을 통해, 낮의 길이, 즉 하루 24시간(1,440분) 중 낮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면, 대한민국 서울(북위 37.5°)을 기준으로, 춘분은 약 50% 이고, 하지는 약 60%, 추분은 약 50%, 동지는 약 40%이다.[6] 그리고 이들의 '''중간'''인 '''약 55%''' 일 때는 입하, 입추가 아니라, 곡우, 처서이다. 입하, 입추는 약 57%이다.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 우수, 곡우, 처서, 상강보다 ±2%p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인데, 이는 결국 ±28.8분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이다.) (24절기, 적위 참고)

6. 기타

곡우 무렵에는 부평초가 나기 시작한다. 곡우의 끝 무렵(입하 직전)에는 입춘 후 87일째 되는 날인 팔십팔야(八十八夜)가 있다.

곡우 기간의 칠십이후는 다음과 같다.

구분일본중국
초후갈대 싹이 트기 시작함
( 갈대가 싹을 틔우기 시작한다)
부평초가 싹이 트기 시작함
( 부평이 싹을 틔우기 시작한다)
차후서리가 멎고 모가 나옴
( 서리가 멎고 모가 자란다)
울새가 날갯짓을 함
( 울새가 날갯짓을 한다)
말후모란이 핌
( 모란 꽃이 핀다)
오색조가 뽕나무에 깃듦
( 오색조가 뽕나무에 깃들어 누에를 낳는다)


참조

[1] 학술지 The Twenty-four Solar Terms of the Chinese Calendar and the Calculation for Them https://en.cnki.com.[...] 1994
[2] 서적 新加纂録類 (Shinka Sanrokurui) 近藤活版所 (Kondō Kappansho)
[3] 서적 年中行事編 (Nenjū Gyōjihen) Akane Shobō
[4] 웹사이트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https://terms.naver.[...]
[5] 웹사이트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 https://astro.kasi.r[...]
[6] 문서 전세계적으로 보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