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십이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십이후는 24절기를 5일 간격으로 세분화한 것으로, 각 절기마다 세 가지의 현상 변화를 나타낸다. 한국에서는 칠십이후에 대한 독자적인 기록이나 관습은 없지만, 24절기를 통해 계절의 변화를 인식하고 농경 생활에 활용해왔다. 칠십이후는 주로 일본의 약본력과 중국의 선명력에서 사용되었으며, 각 절기의 세부적인 변화를 동식물의 생태 변화와 연관 지어 묘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수 24 - 절기
절기는 태양 황경을 기준으로 1년을 24등분한 것으로, 고대 중국에서 기원하여 계절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었으며, 한국 농업 사회에서 농사 시기 결정에 중요한 기준이었으나, 기후변화로 절기와 실제 날씨 차이가 커져 현대적 재해석이 요구된다. - 명수 24 - 이십사사
이십사사는 사마천의 《사기》부터 청나라의 《명사》까지 약 2천 년에 걸친 중국 역사를 담은 24개의 정사를 통칭하며, 다양한 편찬 방식으로 구성되어 중화서국에서 출판되고 현대 중국어로 번역되기도 한다. - 절기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절기 - 춘분
춘분은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며 농사의 시작과 봄을 알리는 절기이고, 일본에서는 공휴일로 지정하며, 이란에서는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하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 중국의 문화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중국의 문화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칠십이후 | |
---|---|
雉入大水爲蜃 | |
시기 | 대한민국 |
절기 | 입추 (立秋) |
양력 날짜 | 8월 22일 ~ 8월 26일 |
설명 | 꿩이 큰 물에 들어가 신으로 변한다고 한다. |
2. 칠십이후 일람
칠십이후는 24절기를 각각 3후(候)로 나누어, 각 시기의 기상 변화나 동식물의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사용되었으며, 각 나라의 기후와 풍토에 따라 조금씩 다른 특징을 보인다.
24절기 | 절기 | 약본력 (일본) | 선명력 (중국) | ||
---|---|---|---|---|---|
명칭 | 의미 | 명칭 | 의미 | ||
입춘 | 초후 | 동풍해동 (동풍이 얼음을 녹이다) | 동풍이 두꺼운 얼음을 녹이기 시작하다 | 동풍해동 | 동풍이 두꺼운 얼음을 녹이기 시작하다 |
차후 | 황앵현睆 (꾀꼬리가 울다) | 꾀꼬리가 산촌에서 울기 시작하다 | 첩충시진 | 겨울잠 자던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다 | |
말후 | 어상빙 (물고기가 얼음을 깨고 나오다) | 깨진 얼음 사이로 물고기가 튀어 나오다 | 어척부빙 (물고기가 얼음을 지고 나아가다) | 깨진 얼음 사이로 물고기가 튀어 나오다 | |
우수 | 초후 | 토맥윤기 (흙의 기운이 윤택해지다) | 비가 내려 흙이 습기를 머금다 | 달제어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 제사 지내다) | 수달이 잡은 물고기를 늘어놓고 먹다 |
차후 | 하시대 (안개가 끼기 시작하다) | 안개가 걷히기 시작하다 | 홍안래 | 기러기가 날아오기 시작하다 | |
말후 | 초목맹동 (초목이 싹을 틔우다) | 초목이 싹을 틔우기 시작하다 | 초목맹동 | 초목이 싹을 틔우기 시작하다 | |
경칩 | 초후 | 첩충계호 (겨울잠 자던 벌레가 문을 열다) | 겨울잠 자던 벌레가 밖으로 나오다 | 도시화 | 복숭아 꽃이 피기 시작하다 |
차후 | 도시소 (복숭아 꽃이 웃다) | 복숭아 꽃이 피기 시작하다 | 창경명 | 꾀꼬리가 울기 시작하다 | |
말후 | 채충화접 (푸른 벌레가 나비가 되다) | 청벌레가 우화하여 배추흰나비가 되다 | 응화위구 | 매가 비둘기로 변하다 | |
춘분 | 초후 | 작시소 (참새가 둥지를 짓다) | 참새가 둥지를 짓기 시작하다 | 현조지 | 제비가 남쪽에서 날아오다 |
차후 | 사도시개 (벚꽃이 피기 시작하다) | 벚꽃이 피기 시작하다 | 뢰내발성 | 멀리서 천둥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다 | |
말후 | 뇌내발성 (천둥이 소리를 내다) | 멀리서 천둥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다 | 시뢰 | 번개가 처음으로 번쩍이다 | |
청명 | 초후 | 현조지 (제비가 오다) | 제비가 남쪽에서 날아오다 | 동시화 | 오동나무 꽃이 피기 시작하다 |
차후 | 홍안북 (기러기가 북쪽으로 돌아가다) | 기러기가 북쪽으로 건너가다 | 전서화위여 (밭쥐가 메추라기가 되다) | 두더지가 메추라기가 되다 | |
말후 | 홍시견 (무지개가 나타나기 시작하다) | 비가 온 뒤에 무지개가 나타나기 시작하다 | 홍시견 | 비가 온 뒤에 무지개가 나타나기 시작하다 | |
곡우 | 초후 | 갈시생 (갈대가 싹이 트다) | 갈대가 싹을 틔우기 시작하다 | 평시생 | 물풀이 싹을 틔우기 시작하다 |
차후 | 상지출묘 (서리가 멈추고 모가 나오다) | 서리가 멈추고 벼 묘가 자라다 | 명구불기우 | 꿩이 날갯짓을 하다 | |
말후 | 모단화 (모란이 피다) | 모란 꽃이 피다 | 대승강우상 | 오색 방울새가 뽕나무에 앉아 누에를 낳다 | |
입하 | 초후 | 와시명 (개구리가 울기 시작하다) | 개구리가 울기 시작하다 | 루국명 | 땅강아지가 울기 시작하다 |
차후 | 구인출 (지렁이가 나오다) | 지렁이가 지상으로 나오다 | 구인출 | 지렁이가 지상으로 나오다 | |
말후 | 죽순생 (죽순이 나오다) | 죽순이 나오다 | 왕과생 | 하늘타리 열매가 열리기 시작하다 | |
소만 | 초후 | 잠기식상 (누에가 뽕잎을 먹다) | 누에가 뽕을 열심히 먹기 시작하다 | 고채수 | 쓴나물이 잘 무성하다 |
차후 | 홍화영 (잇꽃이 피다) | 잇꽃이 활짝 피다 | 미초사 | 냉이 등 밭에 나는 풀이 말라 죽다 | |
말후 | 맥추지 (보리의 계절이 오다) | 보리가 익어 맥추가 되다 | 소서지 | 점차 더위가 더해지기 시작하다 | |
망종 | 초후 | 당랑생 (사마귀가 생기다) | 사마귀가 태어나다 | 당랑생 | 사마귀가 태어나다 |
차후 | 부초위형 (썩은 풀이 반딧불이가 되다) | 썩은 풀이 썩어 반딧불이가 되다 | 鵙始鳴 (때까치가 울기 시작하다) | 때까치가 울기 시작하다 | |
말후 | 매자황 (매실이 노랗게 익다) | 매실 열매가 노랗게 익다 | 반설무성 (검은새가 울지 않다) | 검은새가 울지 않다 | |
하지 | 초후 | 내동고 (여름 풀이 시들다) | 꿀풀이 시들다 | 록각해 | 사슴이 뿔을 떨구다 |
차후 | 창포화 (창포가 피다) | 창포 꽃이 피다 | 선시명 | 매미가 울기 시작하다 | |
말후 | 반하생 (반하가 나오다) | 까치수영이 나오다 | 반하생 | 까치수영이 나오다 | |
소서 | 초후 | 온풍지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다) |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다 | 온풍지 |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다 |
차후 | 련시개 (연꽃이 피기 시작하다) | 연꽃이 피기 시작하다 | 실솔거벽 | 귀뚜라미가 벽에서 울다 | |
말후 | 응내학습 (매가 날갯짓을 익히다) | 매의 어린 새가 나는 것을 익히다 | 응내학습 | 매의 어린 새가 나는 것을 익히다 | |
대서 | 초후 | 동시결화 (오동나무 꽃이 열매를 맺다) | 오동나무 꽃이 (내년의) 봉오리를 맺다 | 부초위형 | 썩은 풀이 썩어 반딧불이가 되다 |
차후 | 토윤욕서 (땅이 젖고 무덥다) | 땅이 젖고 무더워지다 | 토윤욕서 | 땅이 젖고 무더워지다 | |
말후 | 대우시행 (때때로 큰 비가 오다) | 때때로 큰 비가 오다 | 대우시행 | 때때로 큰 비가 오다 | |
입추 | 초후 | 량풍지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다) | 시원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다 | 량풍지 | 시원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다 |
차후 | 한선명 (쓰르라미가 울다) | 쓰르라미가 울기 시작하다 | 백로강 | 아침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다 | |
말후 | 몽무승강 (짙은 안개가 낀다) | 짙은 안개가 걷히다 | 한선명 | 쓰르라미가 울기 시작하다 | |
처서 | 초후 | 면부개 (목화가 피다) | 목화를 감싸는 꽃받침이 열리다 | 응내제조 | 매가 잡은 새를 늘어놓고 먹다 |
차후 | 천지시숙 (천지가 처음으로 고요해지다) | 점차 더위가 가라앉다 | 천지시숙 | 점차 더위가 가라앉다 | |
말후 | 화내등 (벼가 익다) | 벼가 익다 | 화내등 | 벼가 익다 | |
백로 | 초후 | 초로백 (풀잎에 이슬이 하얗게 맺히다) | 풀에 내린 이슬이 하얗게 빛나다 | 홍안래 | 기러기가 날아오기 시작하다 |
차후 | 척령명 (할미새가 울다) | 할미새가 울기 시작하다 | 현조귀 | 제비가 남쪽으로 돌아가다 | |
말후 | 현조거 (제비가 가다) | 제비가 남쪽으로 돌아가다 | 군조양수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하다) | 많은 새가 먹이를 저장하다 | |
추분 | 초후 | 뇌내수성 (천둥이 소리를 거두다) | 천둥이 울리지 않게 되다 | 뇌내수성 | 천둥이 울리지 않게 되다 |
차후 | 첩충괴호 (벌레가 숨어 문을 닫다) | 벌레가 땅 속에 판 구멍을 막다 | 첩충괴호 | 벌레가 땅 속에 판 구멍을 막다 | |
말후 | 수시갈 (물이 마르기 시작하다) | 논밭의 물을 마르기 시작하다 | 수시갈 | 논밭의 물을 마르기 시작하다 | |
한로 | 초후 | 홍안래 (기러기가 오다) | 기러기가 날아오기 시작하다 | 홍안래빈 | 기러기가 다수 날아와 손님이 되다 |
차후 | 국화개 (국화가 피다) | 국화 꽃이 피다 | 작입대수위합 | 참새가 바다에 들어가 대합이 되다 | |
말후 | 실솔재호 (귀뚜라미가 문가에 있다) | 귀뚜라미가 문가에서 울다 | 국유황화 | 국화 꽃이 피기 시작하다 | |
상강 | 초후 | 상시강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다) |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다 | 시내제수 (승냥이가 제사 지내다) | 승냥이가 잡은 짐승을 늘어놓고 먹다 |
차후 | 삽시시 (가랑비가 오다) | 가랑비가 오다 | 초목황락 | 초목의 잎이 누렇게 져서 떨어지기 시작하다 | |
말후 | 풍도황 (단풍나무와 덩굴이 노랗게 되다) | 단풍나무와 담쟁이덩굴이 단풍이 들다 | 첩충함부 (벌레가 모두 굴에 들어가 엎드리다) | 벌레가 모두 구멍 속에 숨어 움직이지 않다 | |
입동 | 초후 | 산다시개 (동백이 피기 시작하다) | 동백이 피기 시작하다 | 수시빙 | 물이 얼기 시작하다 |
차후 | 지시동 (땅이 얼기 시작하다) | 대지가 얼기 시작하다 | 지시동 | 대지가 얼기 시작하다 | |
말후 | 금잔향 (수선화가 피다) | 수선화 꽃이 피다 | 치입대수위신 (꿩이 바다에 들어가 조개가 되다) | 꿩이 바다에 들어가 큰 조개가 되다 | |
소설 | 초후 | 홍장불견 (무지개가 보이지 않다) | 무지개를 볼 수 없게 되다 | 홍장불견 | 무지개를 볼 수 없게 되다 |
차후 | 삭풍불엽 (북풍이 잎을 날리다) | 북풍이 나뭇잎을 날려 없애다 | 천기상등지기하강 (천기가 오르고 지기가 내리다) | 천지의 한열이 반대가 되다 | |
말후 | 귤시황 (귤이 누렇게 되다) | 귤 열매가 노랗게 되기 시작하다 | 폐색이성동 (폐색되어 겨울이 되다) | 천지의 기운이 막혀 겨울이 되다 | |
대설 | 초후 | 폐색성동 (하늘의 기운이 막혀 겨울이 되다) | 천지의 기운이 막혀 겨울이 되다 | 갈단불명 (할단새가 울지 않다) | 개개비가 울지 않다 |
차후 | 웅첩혈 (곰이 굴에서 겨울잠을 자다) | 곰이 동면을 위해 굴에 숨다 | 호시교 | 호랑이가 교미를 시작하다 | |
말후 | 궐어군 (연어가 떼를 지어 다니다) | 연어가 떼를 지어 강을 거슬러 올라가다 | 려정출 (여정이 싹트다) | 네기아야메가 싹을 틔우기 시작하다 | |
동지 | 초후 | 내동생 (겨울 풀이 나다) | 겨울 풀이 싹을 내다 | 구인결 (지렁이가 뭉치다) | 지렁이가 땅 속에서 덩어리가 되다 |
차후 | 미각해 (사슴 뿔이 떨어진다) | 사슴이 뿔을 떨구다 | 미각해 | 사슴이 뿔을 떨구다 | |
말후 | 설하출맥 (눈 아래에서 보리가 나오다) | 눈 아래에서 보리가 싹을 틔우다 | 수천동 | 땅 속에서 얼었던 샘이 움직이기 시작하다 | |
소한 | 초후 | 근내영 (냉이가 번성하다) | 냉이가 잘 자라다 | 안북향 (기러기가 북쪽을 향하다) |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기 시작하다 |
차후 | 수천동 (샘물이 움직이다) | 땅 속에서 얼었던 샘이 움직이기 시작하다 | 작시소 | 까치가 둥지를 만들기 시작하다 | |
말후 | 치시구 (수꿩이 울다) | 수꿩이 울기 시작하다 | 치시구 | 수꿩이 울기 시작하다 | |
대한 | 초후 | 관동화 (복수초가 피다) | 복수초가 꽃망울을 터뜨리다 | 계시유 (닭이 알을 품다) | 닭이 알을 낳기 시작하다 |
차후 | 수택복견 (연못에 얼음이 두껍게 언다) | 연못에 얼음이 두껍게 얼어붙다 | 지조려질 (매가 사냥하다) | 수리・매 등이 하늘 높이 빠르게 날기 시작하다 | |
말후 | 계시유 (닭이 알을 낳다) | 닭이 알을 낳기 시작하다 | 수택복견 | 연못에 얼음이 두껍게 얼어붙다 |
2. 1. 입춘 (立春)
입춘(立春)은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다.절기 | 명칭 | 의미 | |
---|---|---|---|
입춘 | 초후 | 동풍해동(東風解凍) | 동풍이 두꺼운 얼음을 녹이기 시작하다 |
차후 | 황앵현睆(黃鶯睍睆) | 꾀꼬리가 산촌에서 울기 시작하다 | |
말후 | 어상빙(魚上氷) | 깨진 얼음 사이로 물고기가 튀어 나오다 |
2. 2. 우수 (雨水)
우수는 24절기 중 하나로,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는 절기이다. 우수 즈음에는 비가 내리고 싹이 트기 시작한다.절기 | 명칭 | 의미 |
---|---|---|
우수 | 토맥윤기 | 비가 내려 흙이 습기를 머금다 |
하시 | 안개가 걷히기 시작하다 | |
초목맹동 | 초목이 싹을 틔우기 시작하다 |
2. 3. 경칩 (驚蟄)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이다.[1]
2. 4. 춘분 (春分)
참새가 둥지를 짓기 시작하고, 벚꽃이 피기 시작하며, 멀리서 천둥 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1]2. 5. 청명 (清明)
하늘이 맑아지는 시기이다.일본 약본력에서는 제비가 남쪽에서 날아오고, 기러기가 북쪽으로 돌아가며, 비가 온 뒤에 무지개가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중국 선명력에서는 오동나무 꽃이 피기 시작하고, 두더지가 메추라기가 되며, 비가 온 뒤에 무지개가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2. 6. 곡우 (穀雨)
곡우는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로, 봄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선명력에서는 곡우의 초후를 "물풀이 싹을 틔우기 시작하다"라고 하였다. 차후에는 "서리가 멈추고 벼 묘가 자란다"라고 표현했고, 말후에는 "오색방울새가 뽕나무에 앉아 누에를 낳다"라고 하여 누에치기를 시작하는 시기임을 나타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