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와 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화와 칼》은 루스 베네딕트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정부의 의뢰로 일본 문화를 연구하여 1946년에 출간한 문화 인류학 서적이다. 이 책은 일본 문화의 복잡성을 '국화'와 '칼'이라는 상징을 통해 분석하며, 일본 사회의 계층 질서, '온'과 '기무'의 관계, '수치' 문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다룬다. 전시 상황에서의 연구, 서구 중심적 시각, 일본 문화의 단순화 등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일본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 문화'와 '죄의식 문화' 논쟁을 확산시키는 등 현대에도 논의되는 주제를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책 - 죽음의 수용소에서
죽음의 수용소에서는 빅터 프랑클이 나치 강제 수용소 경험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를 찾는 인간의 의지를 다루고 로고테라피 핵심 개념을 소개하는 책으로, 홀로코스트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 1946년 책 -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장폴 사르트르의 강연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는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는 명제를 중심으로 인간의 자유, 책임, 불안, 절망, 포기 등을 다루며 개인의 선택과 행동이 인류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는 실존주의 철학을 담고 있다. - 인류학 - 성인식
성인식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리는 의례로, 역사적으로 교육의 시작을 알리고 고대 사회에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며 다양한 문화권과 종교적 의례로 나타난다. - 인류학 - 민족지
민족지는 특정 문화, 사회, 집단에 대한 연구 방법이자 결과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어 사람들의 사회적 의미와 일상 활동을 포착하고 문화의 보편성과 변이를 연구, 해석하는 학문이다. - 미국의 책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1768년 에든버러에서 초판 발행 후 15개의 판본을 거치며 발전해 온 세계적인 백과사전으로, 현재는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권위 있는 지식 정보의 원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주제 범위의 편향성과 정보 정확성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미국의 책 - 정의론
정의론은 존 롤스가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이라는 개념을 통해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한 정의의 원칙을 제시하며, 최대 자유 평등 원칙, 차등 원칙 및 기회균등 원칙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이론으로,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이념의 핵심으로 평가되어 사회 개혁 논의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
국화와 칼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원제 |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Patterns of Japanese Culture |
저자 | 루스 베네딕트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장르 | 역사/인류학 |
출판사 | 호턴 미플린 |
출판일 | 1946년 |
주제 | |
주제 | 국민성, 일본 |
2. 저술 배경
태평양 전쟁이 한창이던 1944년 6월, 미국은 일본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전황은 미국에 유리했지만, 일본은 미국이 이전에 상대했던 어떤 나라보다도 낯설고, 전쟁 중 일본군의 행동은 예측하기 어려웠다.[24] 이에 미국 정부는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에게 일본과 일본 문화 연구를 의뢰했다.[25]
베네딕트는 국화와 칼이라는 상징을 통해 일본 문화를 분석했다. 국화는 일본인의 예술성, 예의, 충, 효 등 아름다움을, 칼은 무(武)를 숭상하고 전쟁과 폭력을 중시하는 일본인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 책은 베네딕트가 미국 전쟁 정보국의 의뢰로 진행한 전시 연구 결과물이며,[6] "원격 문화 연구"의 사례이다. 베네딕트는 프란츠 보아스에게 배운 문화 상대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은혜, 의리 등 일본 문화 고유의 규범을 분석했다. 이 책은 베네딕트가 정리한 5장짜리 보고서 "Japanese Behavior Patterns (일본인의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14] 1946년에 출판되었다. 일본에서는 1948년 하세가와 마츠지 번역으로 사회사상연구회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15]
쿠라치 츠네오는 『국화와 칼』의 인식 패턴이 프랑스의 루이 카자미안[16]의 영국론 『영국 정신 - 그 역사적 풍모』(1927년, 번역서는 현대 교양 문고)와 공통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베네딕트는 일본을 방문한 적은 없었지만, 일본 관련 문헌 연구와 일본계이민과의 교류를 통해 일본 문화 해명을 시도했다. 『국화와 칼』은 미국 문화 인류학사상 최초의 일본 문화론으로 평가받는다.
2. 1. 연구의 어려움
태평양 전쟁이 한창이던 1944년, 베네딕트는 전시 상황으로 인해 일본에 직접 갈 수 없었다.[26] 따라서 미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이민자와의 인터뷰, 미국 내 일본학 연구자들과의 협조, 영화, 도서 등을 통해 일본과 일본인에 대해 연구해야 했다. 이러한 연구 방식은 '원격 문화 연구'라고 불렸는데, 문학, 신문 스크랩, 영화, 녹음물, 그리고 일본계 미국인과의 인터뷰를 통해 문화를 연구하는 것이었다.[7]이는 인류학자들이 나치 독일이나 전시 일본을 방문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그러나 한 후기 민족지학자는 "원격 문화 연구"가 "훌륭한 학문적 유행의 정교한 아우라"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 방법은 어떤 훌륭한 역사가가 하는 것과 그리 다르지 않다. 즉, 기록된 문서를 가능한 가장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7]
2. 2. 연구 목적
태평양 전쟁이 한창이던 1944년 6월, 전세는 미국에게 유리하게 기울었으나 미국 정부는 일본인과 일본 문화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다. 일본은 미국이 과거에 싸웠던 나라들 가운데 가장 낯선 적으로, 전쟁 중 일본인들의 행동 양식은 매우 이질적이었기에 미국을 상당히 당황스럽게 만들었다.[24] 이에 미국 국무부는 일본이 항복 후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를 예측하기 위해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에게 일본인과 일본 문화에 대한 연구를 위촉했다.[25]전쟁 중이었기에 베네딕트는 일본에 직접 갈 수 없었다.[26] 그래서 미국에 거주 중이던 일본인 이민자와의 인터뷰, 미국 내 일본학 연구자들과의 협조, 영화, 도서 등을 통해 일본과 일본인에 대해 연구했다. 베네딕트는 일본인의 예술성, 예의, 충, 효 등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국화와 무(武)에 대한 숭상, 전쟁, 폭력을 나타내는 칼이라는 대조적인 이미지를 통해 일본 문화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 책은 베네딕트가 미국 전쟁 정보국의 의뢰를 받아 진행한 전시 연구의 결과물이다.[6] 베네딕트는 문학, 신문 스크랩, 영화, 녹음물, 그리고 일본계 미국인과의 인터뷰를 통해 일본 문화를 연구했다. 인류학자들은 한때 우호적이었던 국가들의 공격성을 유발할 수 있는 문화적 패턴을 이해하고, 간과되었을 수 있는 약점이나 설득 수단을 찾고자 했다.
미국인들은 일본 문화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예를 들어, 미국인 전쟁 포로들은 가족에게 자신의 생존 사실을 알리고 싶어하고, 병력 이동 등에 대한 정보를 요구받을 때 침묵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겼다. 그러나 일본인 전쟁 포로들은 정보를 자유롭게 제공했고 가족과 연락하려 하지 않았다. 베네딕트는 프란츠 보아스에게서 배운 문화 상대주의 개념을 일본 문화에 적용하고자 은혜나 의리 등 일본 문화의 '고유한' 규범을 분석했다.
3. 책의 구성 및 주요 내용
『국화와 칼』은 루스 베네딕트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1946년에 출판한 책이다. 베네딕트는 프란츠 보아스에게서 배운 문화 상대주의 개념을 일본 문화에 적용하고자 했다. 이 책은 미국 전쟁 정보국의 일본반 치프였던 베네딕트가 정리한 5장으로 구성된 보고서 "Japanese Behavior Patterns (일본인의 행동 패턴)"을 바탕으로 집필되었다[14]。 일본 국내에서는 1948년 12월 28일, 하세가와 마츠지 번역[15]이 사회사상연구회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
쿠라치 츠네오에 따르면, 『국화와 칼』의 인식 패턴은 프랑스의 루이 카자미안[16]의 영국론 『영국 정신 - 그 역사적 풍모』(1927년, 번역서는 현대 교양 문고)와 공통점이 있다고 한다. 베네딕트는 일본을 방문한 적은 없었지만, 일본에 관한 문헌을 섭렵하고 일본계 이민과의 교류를 통해 일본 문화를 분석했다. 『국화와 칼』은 미국 문화 인류학사상 최초의 일본 문화론이다.
『국화와 칼』은 일본 문화의 행동 규범의 독자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서양 문명과는 정반대의 위치에 놓여 있다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3. 1. 계층 질서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영어에서 언급된 일본 사회는 엄격한 위계질서를 기반으로 한다. 각 개인은 이러한 질서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그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3. 2. '온'과 '기무'
루스 베네딕트는 일본 문화에 적용하고자 은혜(恩)나 의리 등 일본 문화의 '고유한' 규범을 분석했다.[14] 1946년에 출판된 『국화와 칼』은 전쟁 정보국의 일본반 치프였던 베네딕트가 정리한 5장으로 구성된 보고서 "Japanese Behavior Patterns (일본인의 행동 패턴)"을 바탕으로 집필되었다.[14] 일본 국내에서는 1948년 12월 28일, 하세가와 마츠지 번역[15]이 사회사상연구회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3. 3. '수치'의 문화
베네딕트는 일본 문화를 타인과의 상대적인 분위기를 의식하는 "수치심의 문화"로 지적하고, 구미 문화를 자율적인 양심을 의식하는 "죄의 문화"로 정의하였다.[14]4. 책에 대한 평가 및 비판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국화와 칼영어은 출간 이후 미국과 일본 양국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특히 일본에서는 일본 문화론의 효시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논의를 촉발했다.
이 책은 일본에서 처음 번역 출판된 이후 23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4] 1999년 기준으로 미국에서는 350,000부가 판매되었다.[4] 일본 연구 학자인 존 W. 베넷과 나가이 미치오는 1953년에 번역된 이 책이 "일본 지식인과 작가들이 일본 역사와 성격의 근원과 의미를 연구하며 일본의 가장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결정하려는 끊임없는 시도 중 하나인 격렬한 국가적 자기 성찰의 시기에 일본에서 출판되었다"고 지적했다.[9]
일본 사회 평론가이자 철학자인 아오키 타모츠는 번역된 이 책이 "전후 일본을 위한 새로운 전통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헬렌 하드레이크는 베네딕트가 연구에서 일본의 역사적 발전을 구별하지 못한 점을 비판했지만, "일본 문화 평론가들은 특히 그녀가 일본 문화의 전체 구조('젠타이 코조')를 묘사하려는 시도에 관심을 가졌다"고 말했다.[9] C. 더글러스 루미스는 "일본인론" 장르 전체가 궁극적으로 베네딕트의 책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했다.[13]
이 책은 일본 학자들 사이에서 "수치심 문화" 대 "죄의식 문화"에 대한 논쟁을 시작했고, 이는 학계를 넘어 퍼져 두 용어는 일본에서 일반적인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13]
번역 출판 직후, 츠루미 카즈코, 와츠지 테츠로, 야나기타 구니오를 포함한 일본 학자들은 이 책이 부정확하고 방법론적 오류가 있다고 비판했다. 미국 학자 C. 더글러스 루미스는 베네딕트의 책에 대한 비판에는 전체 문화의 이데올로기를 특정 계급의 이데올로기로, "정상적인 상황에 대한 심각한 사회적 혼란 상태, 그리고 사회적 행동의 변함없는 규범으로서 국가 역사에서 특별한 순간"으로 나타냈다는 점이 포함된다고 썼다.[13]
마가렛 미드에 따르면, 이 책을 읽은 다른 일본인들은 전반적으로 정확하지만 다소 "도덕주의적"이라고 평가했다.[11]
4. 1. 긍정적 평가
이 책은 단순한 일본 견문기가 아닌, 문화 인류학적 방법론에 기반한 학문적 연구서이다. 루스 베네딕트는 일본인의 행동과 사고방식을 '국화'와 '칼'이라는 두 가지 상징을 통해 분석했다.[27] 일본을 방문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객관적인 연구를 통해 일본 문화를 분석하여 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29]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일본 천황의 통치를 허용하는 것이 항복 제안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권고하여, 일본 대중문화에서 일본 천황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구분 | 판매 부수 |
---|---|
1946년 ~ 1971년 (하드커버) | 28,000부[8] |
1967년 ~ (페이퍼백) | - |
1999년 기준 (미국) | 350,000부[4] |
번역 출판 이후 (일본) | 230만 부 이상[4] |
일본의 사회 평론가 아오키 타모츠는 이 책이 전후 일본을 위한 새로운 전통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이 책은 일본 학계에서 "수치심 문화" 대 "죄의식 문화" 논쟁을 촉발시키기도 했다.[13]
파키스탄 주재 일본 대사 누마타 사다아키는 이 책이 일본 연구를 하는 많은 학생들에게 필독서였다고 언급했다.[10] 마가렛 미드에 따르면, 이 책을 읽은 일본인들은 대체로 내용이 정확하지만 다소 "도덕주의적"이라고 평가했다.[11]
4. 2. 비판적 평가
이 책은 문화 인류학적 방법론을 통해 일본 문화를 분석하고 있지만,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츠루미 카즈코, 와츠지 테츠로, 야나기타 구니오를 포함한 일본 학자들은 이 책의 부정확성과 방법론적 오류를 지적했다.[13]주요 비판점:
- 전시 연구의 한계: 전시 상황에서 쓰여진 연구라는 점은 연구 결과에 편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미국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일본으로 이주하여 교육을 받고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기 전에 미국으로 돌아온 일본계 미국인 로버트 하시마와의 인터뷰에 크게 의존했다는 점은 베네딕트의 연구에 특정한 편견을 가져왔을 수 있다고 C. 더글러스 루미스는 지적한다.[13]
- 서구 중심적 시각: 일본 문화를 서양 문명과 정반대의 위치에 놓는 서구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다.
- 문화 단순화 및 이분법적 접근: 일본 문화를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수치'의 문화와 '죄'의 문화라는 이분법적 틀로 접근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13]
- '수치' 문화에 대한 부정적 묘사: 특히, '수치'의 문화를 '죄'의 문화보다 열등한 것으로 묘사한 부분은 비판의 대상이 된다.[18] 도이 타케오는 甘えの構造|아마에노코조|의존의 해부일본어에서 베네딕트의 분석에 대해 비판하며, 그녀가 가치 판단을 개입시켰다고 지적했다.[11]
- 일본인에 대한 부정적 인상: 일부 학자들은 이 책이 일본인에 대한 부정적 인상을 심어주었다고 주장한다.[19] 고노 요타로는 "일본인은 집단주의적이다"라는 잘못된 통설이 퍼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지적했다.[18]
마가렛 미드에 따르면, 이 책을 읽은 다른 일본인들은 전반적으로 정확하지만 다소 "도덕주의적"이라고 생각했다.[11] 2002년 미국 의회 도서관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도쿄 대학교 인류학과 야마시타 신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 너무 많은 변화가 있어서 베네딕트가 1946년에 묘사한 국가를 알아보지 못할 정도라고 덧붙였다.[12]
5.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
한국에서는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이 일본 문화와 일본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어 왔다. 이 책은 일본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과 일본 관계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불어민주당은 일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호 존중과 협력의 한일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5. 1. 긍정적 측면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은 일본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과 일본 관계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불어민주당은 일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호 존중과 협력의 한일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프란츠 보아스에게서 배운 문화 상대주의 개념을 일본 문화에 적용하여 은혜나 의리 등 일본 문화의 '고유한' 규범을 분석했다.[14]5. 2. 비판적 측면
루스 베네딕트는 일본을 방문한 적은 없었지만, 일본에 관한 문헌을 섭렵하고 일본계이민과의 교류를 통해 일본 문화를 해명하려 했다. 『국화와 칼』은 미국 문화 인류학사상 최초의 일본 문화론이다.[14]『국화와 칼』은 일본 문화의 행동 규범의 독자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일본 문화가 서양 문명과는 정반대의 위치에 놓여 있다는 것에 비판적인 시선도 있다. 또한, 일본 문화를 타인과의 상대적인 분위기를 의식하는 "수치심의 문화"로 지적하고, 구미 문화를 자율적인 양심을 의식하는 "죄의 문화"로 정의하며, 윤리적으로 후자가 우수하다는 주장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이 책은 일본의 군국주의와 침략 전쟁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며, 특히 일본의 '수치' 문화가 과거사에 대한 반성 부족으로 이어진다는 비판도 있다. 국민의힘은 이 책이 일본의 과거사 미화에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6. 현대적 의의
1946년 루스 베네딕트가 출판한 『국화와 칼』은 프란츠 보아스에게서 배운 문화 상대주의 개념을 일본 문화에 적용하여 은혜, 의리 등 일본 문화의 '고유한' 규범을 분석한 책이다.[14] 일본계이민과의 교류와 일본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쓰여졌으며, 미국 문화 인류학 사상 최초의 일본 문화론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일본 문화 행동 규범의 독자성을 강조하지만, 일본 문화가 서양 문명과는 정반대 위치에 놓여 있다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또한 일본 문화를 타인과의 상대적인 분위기를 의식하는 "수치심의 문화"로, 구미 문화를 자율적인 양심을 의식하는 "죄의 문화"로 정의하며, 윤리적으로 후자가 우수하다는 주장에 대한 비판도 있다.
참조
[1]
서적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Houghton Mifflin
1989
[2]
웹사이트
How 'American' Are Studies of Modern Japan Done in the United States
http://www.chineseup[...]
The German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2007-01-13
[3]
서적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1946
[4]
논문
Japanese Perceptions of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https://www.jstor.or[...]
2023-08-20
[5]
뉴스
Book on Japanese culture proves a bestseller in China
The Advocate
2006-01-08
[6]
서적
The German People: A Social Portrait to 1914 and The Japanese Nation: A Social Survey
Farrar & Rinehart
1945
[7]
서적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8]
논문
Letters: Unfair to Anthropologists
http://www.lrb.co.uk[...]
2014-04-06
[9]
웹사이트
The Postwar Development of Japanese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Brill
2007-01-13
[10]
웹사이트
Ambassador Numata's Speech at Flower Show 25 Nov 2000
http://www.pk.emb-ja[...]
2011-11-24
[11]
서적
The Anatomy of Dependence
Kodansha International
1973
[12]
간행물
Human Nature and the Power of Culture: Library Hosts Margaret Mead Symposium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Information Bulletin
2008-01-13
[13]
웹사이트
Ruth Benedict's Obituary for Japanese Culture
http://www.japanfocu[...]
2013-10-11
[14]
논문
ルース・ベネディクト、ジェフリー・ゴーラー、ヘレン・ミアーズの日本人論・日本文化論を総括する
https://www.kansai-u[...]
2012-10
[15]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16]
문서
島田謹二の研究大著、訳書に『大英国』『近代英国』
白水社、創文社
[17]
서적
フランス人 この奇妙な人たち
TBSブリタニカ
1998
[18]
웹사이트
『日本人は集団主義的』という通説は誤り
http://www.u-tokyo.a[...]
東京大学教員
2017-10-13
[19]
서적
言葉でたたかう技術
文藝春秋
2010
[20]
서적
국화와 칼
을유문화사
1991
[21]
논문
ルース・ベネディクト、ジェフリー・ゴーラー、ヘレン・ミアーズの日本人論・日本文化論を総括する
https://www.kansai-u[...]
2012-10
[22]
웹사이트
국화와 칼
https://terms.naver.[...]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23]
웹사이트
국화와 칼
https://terms.naver.[...]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24]
서적
국화와 칼
을유문화사
1991
[25]
서적
국화와 칼
을유문화사
1991
[26]
서적
국화와 칼
을유문화사
1991
[27]
서적
국화와 칼
을유문화사
1991
[28]
서적
국화와 칼
을유문화사
1991
[29]
웹사이트
국화와 칼
https://term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