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형근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장교로 복무했으며, 한국 전쟁, 외교관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1920년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나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포병 대위로 복무했다. 해방 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대위로 임관, 군번 1번을 받았다. 한국 전쟁에서 육군 제1군단장, 휴전회담 대표 등을 지냈으며, 1954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초대 합동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이후 재향군인회 회장, 필리핀 및 영국 대사를 역임했으며, 2002년 사망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 채병덕과의 갈등, 권위적인 성격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장지량 (1924년)
장지량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공군참모총장, 외교관, 대한중석광업 사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7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을 지내다 2015년에 사망했다. - 필리핀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최중경
최중경은 행정고시 합격 후 재정경제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에서 주요 보직을 거쳐 장관까지 역임한 경제관료 출신으로, 공직 퇴임 후에는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기업 사외이사, 한미협회 회장 등으로 활동하는 기업인이자 대학교수이다. - 일본 제국의 군인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일본 제국의 군인 - 이희두
이희두는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일본 육군 소장으로 복무하며 일진회에 가담, 친일 행적을 보여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과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포함된 인물이다. - 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천영우
천영우는 외무고시를 통해 외교관으로 시작하여 외교통상부, 주유엔대표부, 주영국 대사 등을 역임하고,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본부장, 제2차관,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을 거쳐 현재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 등으로 활동한다. - 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김용우 (정치인)
김용우는 배재고등보통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서울특별시 후생국장, 국회의원, 국방부 차관 및 장관, 주영국 대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했으며, 동양방송 TV를 설립하고 국방부 장관 재직 시 안식교 신자 병사 배치를 지시했으며, 주영국 대사 재임 중 해임되었다.
이형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형근 |
한자 | 李亨根 |
로마자 표기 | Lee Hyung-geun |
출생일 | 1920년 12월 11일 |
출생지 | 공주, 충청남도, 대한제국 |
사망일 | 2002년 1월 13일 |
사망지 | 서울,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군 복무 | 1946-1959 |
최종 계급 | 대장 |
군번 | 10001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지휘 경력 | |
주요 지휘 | 대한민국 육군 제1군단 사령관 대한민국 육군 제3군단 사령관 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
참전 | |
주요 전투 | 한국 전쟁 |
가족 | |
배우자 | 이혜란 (1946-1950) 이귀란 (1952-1972) |
자녀 | 이훈 (아들, 1947년생) 이미경 (딸, 1949년생) 이혼 (아들, 1950년생) 이애경 (딸, 1953년생) 이은경 (딸, 1956년생) 이보경 (딸, 1957년생) |
기타 경력 | |
기타 활동 | 주필리핀 대사 (1961년) 주영국 대사 등 (1962-1967년) |
묘소 | |
묘소 위치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1묘역 11호 |
이미지 | |
![]() |
2. 생애
이형근은 1920년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나 1942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56기로 졸업하고 일본 육군야전포병학교를 졸업하였다. 태평양 전쟁 종전 당시 일본군 포병 대위였다.[28]
종전 후 1945년 12월 군사영어학교(현 육군사관학교) 1기생으로 입교 신청을 하였지만, 뛰어난 영어 능력으로 면제를 받고 1946년 1월 15일 대한민국 육군 최초로 대위(군번 1번)로 임관했다.[29] 군번 문제로 채병덕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30] 임관 후 남조선국방경비대 제2연대장,[31] 1946년 5월 1일 초대 조선경비사관학교 교장, 1946년 9월 28일부터 12월까지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관 대리를 역임했다. 1948년 6월 통위부 참모총장[32]을 거쳐, 1948년 8월 대한민국 국군 최초로 미국에 건너가 군사시설을 시찰했다.[33] 1949년 6월 20일 육군 제8사단장을 맡았다.
한국 전쟁 발발 직전인 1950년 6월 18일 육군 제2사단장에 임명되어 6월 20일 대전의 사단 본부에 부임하였다. 6월 25일 오전 8시, 부대 순시를 마치기도 전에 전쟁 발발 소식을 접하고, 김백일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으로부터 북한군의 남침 소식을 들었다.[34][35] 1950년 10월 육군 제3군단장, 1951년 8월 육군본부 교육총장, 1951년 9월 초대 휴전회담 대표를 역임했다. 1952년 1월 육군 제1군단장을 맡아 동부전선에 진출, 351고지 전투에서 많은 전공을 세웠다.[36] 1954년 2월 14일 정일권 장군과 함께 대장으로 진급, 초대 합동참모의장이 되었다.[37] 1956년 6월 제9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다 1958년 5월 자진 사퇴, 1959년 8월 6일 예편하였다. 1961년 6월 주필리핀 특명전권대사를 거쳐 주영(駐英)대사를 지냈다.[39]
미국 육군보병학교와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는 한국 전쟁 당시 10대 미스터리를 제기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2. 1. 초기 생애와 일본군 복무 (1920년 ~ 1945년)
이형근은 1920년 충청남도 공주에서 일제강점기 양반 가문 출신으로 태어났다.[27] 그는 국민을 괴롭히고 짓밟는 일본인들을 보고, 그들을 타도하려면 장교가 되어 나라를 강하게 하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여, 의학을 배우라는 아버지 몰래 일본으로 건너가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14] 1939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예과에 입학하여 1941년 3월에 졸업하고, 1942년에 본과를 졸업(56기)했다. 그 후 일본 육군야전포병학교를 졸업하였다.1942년 육군사관학교(56기)를 졸업하고, 관동군제3사단 야포연대 소속으로 상계작전에 참전하여, 쇼와 20년부터 야포병 제73연대 중대장을 역임했다.
일본군 포병 대위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중국과 베트남 전선에서 복무했다.[28] 도쿄에서 육군 대위로 종전을 맞이했다.
2. 2. 대한민국 국군 창설과 한국전쟁 (1945년 ~ 1953년)
이형근은 해방 후 귀국하여 대전중학교에서 영어 교사로 근무하다가 미군정의 통역관으로 발탁되었다.[29] 1945년 12월 군사영어학교(현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하여 1946년 1월 졸업과 함께 대한민국 육군 대위(군번 1번)로 임관했다.[29][30]남조선국방경비대 제2연대장,[31] 조선경비사관학교 교장,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관 대리, 통위부 참모총장[32]을 역임했다. 1948년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육군보병학교와 미국 육군참모대학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다.[33]
1949년 귀국하여 육군 제8사단장,[4] 1950년 육군 제2사단장을 역임했다.[34] 한국 전쟁 발발 직후 육군 제2사단장으로서 북한군의 남침에 대응하였으며,[34][35] 이후 육군 제3군단장, 육군본부 교육총장, 휴전회담 대표, 육군 제1군단장 등을 역임하며 주요 전투를 지휘했다.[36] 특히, 351고지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워 동부전선을 38선 이북으로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36]
2. 3. 한국전쟁 이후 (1953년 ~ 2002년)
이형근은 1954년 2월 14일 정일권 장군과 함께 대한민국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여, 초대 합동참모의장을 역임했다.[37] 1956년 6월에는 제9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다가 1958년 5월에 자진 사퇴했고,[38] 1959년 8월 6일에 대장으로 예편하였다.예편 후에는 재향군인회 회장을 역임하고,[39] 1961년 6월 주 필리핀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를 거쳐 1962년 8월부터 1967년 12월까지 주 영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11][12]를 지내는 등 외교 분야에서 활동했다. 주 영국 대사 재임 기간 동안 주 덴마크, 주 노르웨이, 주 스웨덴, 주 아이슬란드, 주 몰타, 주 시에라리온, 주 감비아, 주 말라위 대한민국 대사직을 겸임했다.
1980년에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16]
2002년 1월 13일 서울에서 사망하였고,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3]
3. 논란 및 비판
이형근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장교로 복무한 경력으로 친일 논란이 있으며, 채병덕과의 갈등, 권위적인 성격 및 리더십 문제와 같은 비판을 받고 있다.
3. 1. 친일 행적
이형근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장교로 복무한 경력 때문에 친일 논란이 있다. 1939년 12월, 18세의 이형근은 일본 육군사관학교 예과 56기 과정에 입학했다. 1941년 3월 예과를 졸업하고, 1942년 일본육군사관학교 본과를 졸업했다.이후 일본군 소위로 임관하여 일본 야전포병학교(JFAS)에 입학했고, 1943년 JFAS를 졸업한 후에는 대위로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중국과 베트남에서 일본군으로 복무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선정되었다.
3. 2. 채병덕과의 갈등
이형근은 군사영어학교 1기생으로 수석 졸업했다. 당시 군번은 이형근이 1번, 후에 제2대 대한민국 합참의장이 되는 채병덕이 2번이었다. 군번은 관례적으로 석차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었기에, 대다수는 채병덕이 1번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군사영어학교의 군번은 졸업 시기와 영어 능력 순위에 따라 정해졌고, 연하인 이형근이 수석이 된 것이다.[30] 이 일은 두 사람 사이에 불화를 야기했다. 두 사람은 원래 사이가 좋지 않았고, 일본 육군사관학교 시절부터 말도 섞지 않는 사이였다. 중국 대륙에서 실전 경험을 쌓은 이형근과 달리, 기술 분야 출신인 채병덕은 전장 경험이 없었다. 육사 49기 채병덕에게 7기 후배인 이형근은 소위 임관이 사실상 강등으로 여겨졌다.3. 3. 권위적인 성격과 리더십 문제
필립 해비브는 보고서에서 이형근을 야심차고 결단력 있으며 유능한 젊은 장교로 평가했다.[17] 그러나 이형근은 모든 선임 한국군 장교와 민간 지도급 인사들을 매우 싫어했고, 그들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했으며, 매우 거만하고 부하에게 과도한 요구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17] 이러한 성격은 다른 파벌과의 연합을 어렵게 만들었고, 오히려 함경도의 정일권, 평안도의 백선엽 파벌이 그에게 대항하여 결속하는 결과를 낳았다.[17] 이형근은 서투른 방법으로 정일권 파벌과 백선엽 파벌을 와해시키려 했고, 이는 그들의 원한을 샀다.[17]제2사단 전임 고문관 갤러거(James S. Gallagher) 중령은 이형근과의 관계가 매우 불편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제2사단장은 전술 장교가 아니어서 전술에 대해 거의 몰랐다. 그는 정치적으로 임명된 인물이었다”라고 혹평했다. 더 나아가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이형근의 행동에 대해 “최초의 경계 명령이 발효된 지 8시간이나 지난 오후 2시 30분에야 처음으로 열차를 출발시켰는데, 이것이 정말 잘했다고 말할 수 있는가?”라며 제2사단장으로서의 지휘에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했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장인 | 이응준 | 1891년 8월 12일 | 1985년 7월 8일 | 초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역임.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1955년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
처남 | 이창선 | 1921년 | 1996년 | 이응준의 아들. 일본 도쿄 출생.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2기 및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1955년 대한민국 육군 대령 예편. |
장녀 | 이미경 | 1940년 2월 23일 | 기혼 및 출가 | |
장남 | 이훈 | 1947년 7월 21일 | 기혼. 개신교 집사. | |
차녀 | 이애경 | 1953년 12월 7일 | 기혼 및 출가. 인테리어 사업. | |
외손녀 | 한지원 | 1981년 12월 15일 | 이애경의 딸. 미국 샌타 모니카 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2001년 미스코리아 한국일보 출신. | |
3녀 | 이은경 | 1956년 3월 23일 | 기혼 및 출가. | |
4녀 | 이보경 | 1957년 9월 10일 | 기혼 및 출가. |
이형근은 1946년 6월 16일에 이응준(전직 대한민국 정치인, 중장, 육군참모총장)의 딸인 이혜란(1927~1950)과 결혼했다.[1] 첫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이훈, 이미경, 이헌(가수, 기업인)을 낳았다. 1952년 6월 25일에는 이귀란(1933~1978)과 재혼했다.[2] 둘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이애경, 이은경, 이보경을 낳았다. 그의 후손으로는 손주 10명과 증손주 4명이 있다.[2]
5. 학력
6. 상훈
훈장 | 국가 | 날짜 | 비고 |
---|---|---|---|
태극무공훈장 | 대한민국 | 1959년 8월[23] | |
은성태극무공훈장 | 대한민국 | 1953년 5월 18일 | |
1급 무공훈장 | 대한민국 | 2회 | |
1급 외교관훈장 | 대한민국 | ||
대통령 표창 | 대한민국 | 4회 | |
은성훈장 | 미국 | 1953년 11월 3일[20]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미국 | 1951년 12월 14일[18]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미국 | 1953년 6월 9일[19]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미국 | 1955년 2월 8일[21]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미국 | 1961년 2월 11일[22] | |
레지옹 도뇌르 | 프랑스 | ||
원정군 훈장 | 그리스 | ||
교황 명예훈장 | 바티칸 |
참조
[1]
웹사이트
Lee Eung-jun
http://encykorea.aks[...]
[2]
기타
[3]
뉴스
Lee Hyung-geun, Former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Passed Away
https://www.donga.co[...]
2002-01-14
[4]
웹사이트
The Period of ROK National Armed Force Establishment
http://www.army.mil.[...]
[5]
웹사이트
Online Documents: Korean War
https://www.eisenhow[...]
[6]
서적
National Archives Records Relating to the Korean War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7]
뉴스
Armistice and Hill 351
https://www.koreatim[...]
2012-07-15
[8]
학술지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on the Korean Military
2001
[9]
웹사이트
ROK Joint Chiefs of Staff: The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Previous Chairmen
https://www.jcs.mil.[...]
2015
[10]
뉴스
Lee Hyeong-geun, Chief of Staff of the Army, Visits Taiwan
https://www.ehistory[...]
1957-02-04
[11]
기타
[12]
웹사이트
Past Ministers and Ambassadors to the UK
https://gbr.mofa.go.[...]
2008-12-30
[13]
기타
[14]
뉴스
"군에 대한 편견 바로 잡을 때" 이형근씨-전 육군참모총장
https://www.joongang[...]
1991-06-21
[15]
기타
[16]
뉴스
입법의원 81명 임명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0-10-28
[17]
뉴스
1962년 미 대사관 기밀문건 20/22
https://shindonga.do[...]
2010-03-03
[18]
웹사이트
Lee Hyung Koon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19]
웹사이트
Lee Heung Koon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
웹사이트
Heung Koon Lee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1]
웹사이트
Lee Heung Koon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2]
웹사이트
Gen. George H. Decker, Chief of Staff, US Army presentes the Legion of Merit, Degree of Commander to Gen. Lee Hengkun(Retired) in ceremony held at the Pentagon
http://archive.hist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23]
웹사이트
李亨根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4]
뉴스
이형근 전합참의장 별세
http://www.donga.com[...]
2002-01-14
[25]
웹인용
일제괴뢰 만주국서 끈끈한 '군맥' 다져 - 해방후 군부장악.. 5.16때 정치 전면에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6-08-06
[26]
웹인용
退役大將② 李亨根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31
[27]
웹인용
退役大將② 李亨根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31
[28]
웹인용
退役大將② 李亨根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31
[29]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
[30]
웹인용
退役大將② 李亨根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31
[31]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
[32]
웹인용
統衛部發表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8-06-19
[33]
웹인용
退役大將② 李亨根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31
[34]
간행물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http://www.imhc.mil.[...]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35]
웹인용
6ㆍ25를 회고한다-이형근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5-06-25
[36]
뉴스
退役大將② 李亨根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31
[37]
뉴스
退役大將② 李亨根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31
[38]
뉴스
退役大將② 李亨根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31
[39]
뉴스
退役大將② 李亨根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뉴렐릭 “한국 기업, 시스템 중단 손실액 연간 61억원 규모...옵저버빌리티가 도움” – 바이라인네트워크
뉴렐릭 보고서에 따르면 옵저버빌리티 도입이 늘면서 서비스 중단 감소와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 기업은 시스템 중단으로 연간 61억원의 손실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임라이트네트웍스코리아, 이형근 지사장 선임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