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룽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룽나무(Prunus padus)는 모로코에서 일본에 이르는 온대 유라시아가 원산지인 나무이다. 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두 가지 변종이 있다. 수렴성을 띠는 열매를 맺고, 목재는 가구재나 조각재로, 조경수로도 사용되며, 열매, 가지, 잎은 약재로 쓰인다. 핀란드와 스웨덴에서는 귀룽나무 개화가 여름의 시작을 알리며, 일부 지역에서는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알래스카에서는 침입종으로 간주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의 나무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 불가리아의 나무 - 자엽꽃자두
자엽꽃자두는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낙엽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이른 봄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식용 가능한 핵과를 맺으며, 정원 및 조경용 관상수로 널리 재배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도 활용된다. - 알바니아의 나무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 알바니아의 나무 - 알레포소나무
알레포소나무는 지중해 연안에 자생하며 붉은 나무껍질과 얇은 잎을 가진 6~25m 크기의 침엽수로, 방풍림 조성이나 레치나 와인 향료로 쓰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 크로아티아의 나무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 크로아티아의 나무 - 알레포소나무
알레포소나무는 지중해 연안에 자생하며 붉은 나무껍질과 얇은 잎을 가진 6~25m 크기의 침엽수로, 방풍림 조성이나 레치나 와인 향료로 쓰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귀룽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분류 | |
학명 | Prunus padus L. |
이명 | Cerasus padus (L.) Delarbre Cerasus racemosa Gray Druparia padus (L.) Clairv. Padus avium Mill. Padus racemosa C.K.Schneid. Prunus padus var. genuina Asch & Graebn. Prunus padus ssp. racemosa Domin Prunus racemosa Lam. |
일반 정보 | |
높이 | 16m |
분포 | |
분포 지역 | 유럽, 아시아 |
한국어 이름 | |
한국어 이름 | 귀룽나무 |
일본어 이름 | 에조노우와미즈자쿠라 (エゾノウワミズザクラ) |
2. 분포
귀룽나무는 모로코와 영국 제도에서 일본에 이르는 온대 유라시아가 원산지이다.[3] 피레네 산맥과 알프스 산맥 북쪽, 수목 한계선 남쪽의 서유럽과 중부 유럽 전체에 분포하며, 이베리아 반도, 북부 이탈리아, 심지어 북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도 소규모로 발견된다. 또한 발칸 산맥과 대초원 북쪽의 동유럽, 코카서스 산맥 전체에도 서식한다. 아시아에서는 시베리아, 몽골, 러시아 극동, 한국, 홋카이도, 중국 일부 지역의 숲 전체에서 발견되며, 히말라야 산맥에도 소규모로 분포한다. 알래스카에서는 침입종으로 발견되어 박멸 노력이 진행 중이다.[4][5]
귀룽나무는 탄닌 성분 때문에 수렴성을 띠는 열매를 가지고 있다.[6]
3. 특징
두 가지 변종은 다음과 같다.
thumb
꽃은 자웅동주이며, 벌과 파리에 의해 수분된다. 조류는 떫은 맛을 느끼지 못하고 열매를 먹는다. 유라시아에서는 귀룽나무애벌레나방(''Yponomeuta evonymella'')이 귀룽나무를 먹이로 삼으며, 유충은 나무 한 그루의 잎을 모두 먹어 치울 수 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검은 혹병 곰팡이의 공격을 받는 경우가 있다. 잎, 줄기, 열매 등에는 일부 포유류에게 유독할 수 있는 배당체 프루라우라신과 아미그달린이 존재한다.[7] 수고는 15m이며,[16] 암수한그루이다.[16]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러시아 등의 북극권에서도 자란다. 벚나무아속의 기준종이며, 총상꽃차례는 양성화로, 벌이나 파리에 의해 수분된다.
4. 종류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변종이 있다.
- '''유럽 귀룽나무''' ''Prunus padus'' var. ''padus''. 유럽 및 서아시아
- '''아시아 귀룽나무''' ''Prunus padus'' var. ''commutata''. 동아시아
5. 용도
목재는 가구재와 조각재로 쓰이고, 조경수로도 좋다. 열매와 일년생 가지, 잎은 약으로 쓴다.[16]
러시아에서는 귀룽나무 열매를 요리에 사용한다. 말린 열매는 굵기가 다양한 밀가루로 제분되어 귀룽나무 케이크의 주요 재료가 된다. 밀가루와 케이크는 갈색을 띠는데, 초콜릿이 들어 있지 않음에도 그렇다. 밀가루와 케이크는 모두 현지 상점과 빵집에서 판매된다. 신선한 귀룽나무를 다져 잼을 만들기도 한다.
북미에서는 귀룽나무 변종인 *commutata*를 "Mayday"라는 이름으로 판매한다. 이 나무는 내한성이 강하고 봄철에 피는 향기로운 흰색 꽃으로 인해 관상수로 높이 평가받는다.[8] "Mayday"라는 이름은 메이데이 축제를 가리키며, 구조 신호 메이데이와는 관련이 없다. 이 나무의 이름은 국제적인 구조 신호 "메이데이"(프랑스어 ''m'aider'' - ''venez m'aider'', "와서 도와주세요"의 음성적 등가물)가 채택되기 전에 사용되었다.[9]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우랄 산맥 산기슭으로 추정되는 지역에 살았던, 태어날 때부터 머리가 벗겨진 아르기파이라는 기이한 종족이 "폰틱"이라는 나무에서 콩 크기의 열매를 따서 즙을 짜내 검은 액체를 만들고, 즙을 짜낸 찌꺼기로 일종의 케이크를 만들었다. 이 즙과 "케이크"가 "머리 벗겨진 사람들"의 주요 식량이었다. A. D. 고들리에 따르면, 코사크족은 ''Prunus padus''(귀룽나무)로 유사한 즙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아르기파이족이 부르는 이름과 유사한 ''aschu''라는 이름으로 불렀다고 한다.[10] 아르기파이족은 정의롭고 친절한 사람들이었고, 그들의 나무를 잘 돌보며, 유르트와 같은 펠트 천막에 나무를 포함시켜 혹독한 고향의 겨울로부터 보호했다.
귀룽나무는 공원수 등으로 사용되며, 꽃은 강한 향기를 낸다.[16] 나무 껍질(수피)은 염료로 사용되는 외에 진해 효과를 가진 프로틴을 포함한다.[16] 열매는 떫은맛이 있어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16] 강한 향기가 병마를 물리친다고 여겨져[17], 나무 껍질을 달여 약용으로 사용하거나, 가지를 죽에 넣어 끓여 치료식으로 사용하거나[16], 역병 유행 시에 가지를 문에 걸어두는 등 사용했다.[16]
아이누어 명칭 키킨에서 유래한 지명도 각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쓰벳정 혼키 등).
6. 문화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우랄 산맥 기슭으로 추정되는 지역에 살았던 아르기파이족은 "폰틱"이라는 나무에서 콩 크기의 열매를 따서 즙을 짜내 검은 액체를 만들고, 찌꺼기로 케이크를 만들어 주식으로 삼았다.[10] 코사크족은 귀룽나무(''Prunus padus'')로 유사한 즙을 만들고 ''aschu''라고 불렀는데, 이는 아르기파이족이 부르던 이름과 유사하다.[10] 아르기파이족은 정의롭고 친절한 사람들이었고, 나무를 잘 돌보며 유르트와 같은 펠트 천막에 나무를 포함시켜 겨울로부터 보호했다.[10]
핀란드와 스웨덴에서는 귀룽나무(핀란드어: tuomifi, 스웨덴어: häggsv)의 개화가 여름의 시작을 알린다. 핀란드 남부에서는 보통 5월 마지막 2주 또는 6월 초에 개화한다.
스코틀랜드 북동부 애드비 원주민들은 귀룽나무를 "마녀의 나무"로 여겨 사용을 금기시했다.[11] 중세 시대에는 약용으로 사용되었으며, 나무 껍질을 문에 놓으면 페스트를 막을 수 있다고 믿었다.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는 귀룽나무가 도입종으로 풍부하게 심어져 토종 나무를 대체하고 무스와 어린 연어에게 해를 끼치고 있다.[12]
귀룽나무의 일본 이름은 홋카이도(에조)의 으름을 의미하며, 사슴 뼈를 태워 생긴 갈라진 틈을 이용한 점괘에서 유래되었다.[16]
영어 이름은 열매의 쓴맛 때문에 새의 먹이가 된다는 데서 유래한다.
아이누어로는 열매를 "키킨(kikin)", 나무를 "키킨니(kikinni)"라고 부른다.[17] 이는 "kiki(대신 나가 위험을 물리치는 것) ne(가 되다)"라는 뜻에서 유래된 말로, 강한 향이 병마를 물리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16][17][18] 아이누족은 나무 껍질을 달여 약용으로 사용하거나, 가지를 죽에 넣어 끓여 치료식으로 사용하고, 역병 유행 시에는 가지를 문에 걸어두는 등 강한 향기를 이용해 병마를 물리치고자 했다.[16][17] 아이누어 명칭 키킨에서 유래한 지명도 각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Prunus padus
2016
[2]
웹사이트
Prunus padus – Plant Finder
http://www.missourib[...]
[3]
웹사이트
Prunus padus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4-03-17
[4]
뉴스
The Status of Prunus padus L. (Bird Cherry) in Forest Communities throughout Europe and Asia
https://www.mdpi.com[...]
Forests
2020-04-29
[5]
뉴스
Invasive Plant Issues: Control of Invasive Chokecherry Trees (Prunus padus and virginiana)
https://www.uaf.edu/[...]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University of Alaska at Fairbanks
2020-11
[6]
웹사이트
Bird cherry (Prunus padus)
http://www-saps.plan[...]
Science & Plants for Schools (U.K.)
[7]
논문
Prunus Padus (bird cherry) poisoning in cattle
http://veterinaryrec[...]
[8]
웹사이트
Agriculture and Forestry
http://www1.agric.go[...]
[9]
서적
The London Journal: and Weekly Record of Literature, Science, and Art, Volume 32
[10]
웹사이트
Herodotus, IV.23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at LacusCurtius
[11]
간행물
Some Folklore of Trees, Animals, and River-fishing from the N.E. of Scotland
The Folk-Lore Journal
1889
[12]
뉴스
Chokecherry: Alaska's Pretty Problem Plant
https://kenaiinvasiv[...]
Kenai Peninsula Cooperative Invasive Species Management
2022-07-11
[13]
웹사이트
2024-02-27
[14]
웹사이트
2024-02-27
[15]
웹사이트
2024-02-27
[16]
웹사이트
エゾノウワミズザクラ
https://www.hkd.mlit[...]
国土交通省北海道開発局
2020-08-11
[17]
웹사이트
日本語名:エゾノウワミズザクラ アイヌ語名:キキンニ
https://ainugo.nam.g[...]
アイヌ民族文化財団
2022-02-13
[18]
서적
日本の樹木
中央公論社
1995-04-25
[19]
웹인용
Amelanchier asiatica (Siebold & Zucc.) Endl.
http://www.ars-grin.[...]
USDA, ARS, National Genetic Resources Program
2014-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