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방은 상나라와 주나라 시대에 중국 북부에 존재했던 민족으로, 현재의 산시성 동부, 산시성 북부, 내몽골 자치구 서부에 걸쳐 거주했다. 귀방은 유목과 수렵을 하며 살았으며, 상나라와 적대적인 관계를 맺어 잦은 전쟁을 벌였다. 주나라 강왕 시기에는 청동기 비문에 귀방과의 전쟁 기록이 남아 있으며,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흉노와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귀방 | |
---|---|
개요 | |
![]() | |
개요 | 귀방(鬼方) |
다른 이름 | 귀국(鬼國) 훈육(葷粥) 험윤(獫狁) 융적(戎狄) |
위치 | 상나라 북부 |
역사 | |
상나라 시기 | 상나라와 대립 |
주나라 시기 | 서주 무왕에 의해 정벌됨 |
이후 | 흉노, 갈족 등 북방 민족의 기원 중 하나로 추정 |
문화적 중요성 | |
관련 유물 | 령대현 백초파에서 출토된 인두형 동제 찌는 귀방 또는 험윤의 묘사로 추정됨. |
역사적 기록 | 상서, 죽서기년 등에 기록됨. |
기타 | |
참고 문헌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케임브리지 중국사 |
2. 역사
귀방은 상나라 시대부터 주나라 초기까지 활동했던 북방 민족이다. 이들은 황제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나라와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대립하는 관계를 맺었다.
주나라 청동기 명문 중 주나라 강왕 25년(기원전 976년)에 주조된 '소우정'(小盂鼎)에는 초기 주나라 영토 북동쪽에 있던 것으로 보이는 '귀방'이 언급되어 있다. 주나라는 귀방과의 두 번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포로 13,000여 명과 족장 4명을 처형하고 많은 전리품을 획득했다.[27]
기원전 650년 이후 귀방 관련 사건은 보고되지 않으며, 이는 북융(北戎)에 대한 마지막 언급이기도 하다. 이후 그들은 새로운 북방 외국인 집단인 적(狄)으로 대체되었다.[27] 귀방은 중국 통치에 심각한 도전을 하거나 침략하지 않았고, 오히려 중국 원정의 피해자였으며, 서주에 의해 정복되어 역사에서 사라진 초기 민족이었을 수도 있다.[28]
현대에 와서 왕궈웨이는 귀방을 흉노의 전신으로 보았지만,[60] 린윈(林沄)은 형질인류학과 자연환경 관점에서 선진 시대 귀방 등 융적(戎狄)과 후세 흉노 등 유목민족은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다.[61] 고고학자들은 산베이(陝北) 지역 리자야(李家崖) 문화를 귀방과 비교하는데,[62] 이 문화의 선주민들은 산지 농업 경제를 주로 하고 소량의 목축 활동을 했다고 한다.[63]
2. 1. 상나라 시기
상나라 때 현재의 섬서성 동부, 산서성 북부, 내몽골 자치구 서부에 존재했으며, 황제와 인척 관계를 맺은 씨족인 대외씨(大隗氏)가 기원이라고 한다.[53] 유목과 수렵을 하며 살아갔고, 그 수령은 귀후(鬼侯), 귀공(鬼公) 등으로 불렸다. 상나라의 외부 위협이 된 민족으로, 《주역·기제(旣濟)》에는 "고종(高宗)이 귀방을 정벌하여 3년이 지나 크게 이겼다"라고 적고 있다. 그러나 귀방과 당시 화하족은 또한 인척 관계가 있었다.[54] 상나라의 제신은 귀방과 인척 관계가 있었고, 귀후(鬼侯)가 삼공(三公)의 반열에 있기도 했다.[55] 비록 적지 않은 문헌에 고종이 귀방을 정벌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갑골문의 복사(卜辭) 중엔 귀방에 대해 정벌을 나갔다는 내용을 명확히 담은 문구는 없다.[56] 또한 귀방이 바이칼호에서 와서 몽골고원에서 주로 활동하였고, 허타오 지역으로 남하해 황하를 돌아 섬서, 산서 지역으로 들어 왔고 적적(赤狄)으로도 지칭되었으며, 정령, 위구르 및 현재의 위구족, 위구르족의 조상이 되었다는 견해도 있다.[57]귀방은 보통 곤융(昆戎), 낙천(洛泉), 곤이(昆夷), 곤이(緄夷), 관이(串夷) 등의 명칭과 혼용되기도 하였다. 청나라의 방준익(方濬益)은 "귀방은 서방 여러 융(戎)의 통칭이다."라고 하였다.[58] 상나라 때에는 여러 소국들이 모두 방(方)으로 지칭되었는데, 이는 방(邦)의 의미에 해당하며 상나라에 복속되지 않은 세력에게 붙여지는 명칭으로 여겨진다.[59] 예를 들면 귀방 외에 토방(土方), 설방(𢀛方), 고방(苦方), 용방(龍方), 마방(馬方), 촉방(蜀方), 우방(盂方), 강방(羌方), 사방(𠭯方), 비방(轡方), 이방방(二邦方) 등이 있다.
죽서기년은 위 양왕(기원전 296년 사망)과 함께 매장되었고, 6세기 가까이 지난 서기 281년(서진 시대) 기중 발견에서 재발견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상나라 왕 무정(기원전 1200년대) 32년에 그는 귀방을 공격하여 형(荊)에 주둔했다. 34년에는 3년간의 원정 후 왕의 군대가 귀방을 제압했고, 적과 강이 손님으로 왔다.[12] 무정의 귀방 정복은 역경 "주역"에도 언급되어 있다.[13][14][15]
- 갑골문은 무정의 정복 이후 귀방이 상나라의 신하가 되었고, 강에 대항하여 상나라를 돕기까지 했음을 나타낸다. 귀 관료는 심지어 상나라 조정에서 높은 지위를 얻기도 했다. 예를 들어, 귀 관료 갱은 亯 제사 사당에서 ''gang'' 剛 제사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
- 상나라 왕 무을 (기원전 1119년) 35년에 주 지도자 길리왕이 서락(西落)에서 귀융(鬼戎)을 공격하여 20명의 적(狄) 왕을 사로잡았다.[16] 역사가들은 ''귀융''이 귀방과 동일하다고 믿는다.[17]


상나라 왕 제신 시대까지 귀족은 오랫동안 상나라의 봉신이었고 심지어 상나라 왕실 정부에 참여했다.[1] 전국책에서 노중련은 귀후(鬼侯)가 제신의 삼공 (악후, 서백창)에 속하며, 그의 사랑하는 딸을 제신에게 시집보냈다. 그러나 제신은 그녀가 혐오스러울 정도로 추하다고 여겨 그녀를 죽이고 귀후를 산 채로 삶아 죽였다. 악후는 제신을 날카롭게 비판했고 도살당했다.[22] ''사기''의 유사한 기록에는 구후(九侯), 그의 딸 (九侯女), 악후(鄂侯)가 등장하며, 구후는 귀후와 동일시되었다.[1] 태평어람의 또 다른 유사한 기록에는 귀후의 딸이 제신의 방탕을 반대하여 제신이 그녀와 그녀의 아버지를 죽였고, 제신은 악후 대신 형후를 도살했다는 내용이 있다.[25]
3. 명칭 및 기원
상나라 때 귀방은 현재의 섬서성 동부, 산서성 북부, 내몽골 자치구 서부에 존재했으며, 황제와 인척 관계를 맺은 씨족인 대외씨(大隗氏)가 기원이라고 한다.[53] 유목과 수렵으로 생계를 유지했고, 그 수령은 귀후(鬼侯), 귀공(鬼公) 등으로 불렸다. 상나라의 외부 위협 세력이었으며, 《주역·기제(旣濟)》에는 "고종(高宗)이 귀방을 정벌하여 3년이 지나 크게 이겼다"라는 기록이 있다.[54] 그러나 귀방은 당시 화하족과 인척 관계이기도 했다.[54] 제신은 귀방과 인척 관계였고, 귀후(鬼侯)는 삼공(三公)의 반열에 있기도 했다.[55] 문헌에는 고종의 귀방 정벌 내용이 많지만, 갑골문 복사(卜辭)에는 명확한 정벌 기록이 없다.[56] 귀방이 바이칼호에서 와서 몽골고원에서 활동했고, 허타오 지역으로 남하해 황하를 돌아 섬서, 산서 지역으로 들어왔으며 적적(赤狄)으로도 불렸고, 정령, 위구르 및 현재의 위구족, 위구르족의 조상이 되었다는 견해도 있다.[57]
귀방은 곤융(昆戎), 낙천(洛泉), 곤이(昆夷), 곤이(緄夷), 관이(串夷) 등과 혼용되기도 했다. 청나라 방준익(方濬益)은 "귀방은 서방 여러 융(戎)의 통칭이다"라고 했다.[58] 상나라 때 여러 소국들은 모두 방(方)으로 지칭되었는데, 이는 방(邦)의 의미로 상나라에 복속되지 않은 세력에게 붙여진 명칭으로 여겨진다.[59] 귀방 외에도 토방(土方), 설방(𢀛方), 고방(苦方), 용방(龍方), 마방(馬方), 촉방(蜀方), 우방(盂方), 강방(羌方), 사방(𠭯方), 비방(轡方), 이방방(二邦方) 등이 있었다.
귀방의 발전과 관련해 학계에서는 다양한 설명이 있지만, 정론은 없다. 왕궈웨이는 귀방이 흉노의 전신이라고 보았으나,[60] 린윈(林沄)은 형질인류학, 자연환경 등의 관점에서 선진 시대 귀방 등 융적(戎狄)과 후세 흉노 등 유목민족은 관계가 없다고 했다.[61]
왕국유는 음운 연구와 청동기 비문, 글자 구조 비교를 통해 사서 기록 속 부족 이름인 ''귀방'', 훈육, 선유, 선운, 융, 적, ''호''가 동일 민족을 지칭하며, 후에 '흉노'로 등장했다고 결론지었다.[31][32][33]
브세볼로드 타스킨은 사마천의 사기 등을 이용하여 초기 선사 시대(전설적 황제 시대)에 흉노는 ''혼유'', 후기 선사 시대(요임금과 순임금 시대)에는 ''융'', 상나라(기원전 1600–1046년)부터는 ''귀방'', 주나라 시대(기원전 1045–256년)에는 ''선운'', 진나라 시대(기원전 221–206년)부터는 ''흉노''로 불렸다고 주장한다.[34][35][36]
폴 R. 골딘(2011)은 葷粥 ~ 獯鬻 ~ 獯鬻 ~ 薰育를 *''xur-luk'', 獫狁을 ''hram′-lun′'', 匈奴를 *''xoŋ-NA''로 상고 중국어 발음을 재구성하고, 이 세 이름이 "명백히 관련이 없다"고 언급한다. 그는 음운 변화로 인해 이름들이 실제보다 더 표면적으로 유사해졌고, 후대 논평가들이 전국 시대 사람들은 오해하지 않았을 이름들을 다른 시대에 한 민족을 지칭했을 것이라고 결론짓게 만들었다고 진술한다.[37]
3. 1. 리자야 문화
상나라 때 현재의 섬서성 동부, 산서성 북부, 내몽골 자치구 서부에 존재했으며, 황제와 인척 관계를 맺은 씨족인 대외씨(大隗氏)가 기원이라고 한다.[53] 유목과 수렵을 하며 살아갔고, 그 수령은 귀후(鬼侯), 귀공(鬼公) 등으로 불렸다. 상나라의 외부 위협이 된 민족으로, 《주역·기제(旣濟)》에는 "고종(高宗)이 귀방을 정벌하여 3년이 지나 크게 이겼다.[高宗伐鬼方,三年克之。]"라고 적고 있다.[54]고고학자들은 현재의 산베이(陝北) 지역의 리자야(李家崖) 문화를 귀방과 견주어 비교하고 있는데,[62] 리자야 문화의 선주민들은 산지의 농업경제를 주로 하였고, 소량의 목축활동을 생업 형태로 경영하였다고 한다.[63]
4. 상나라와의 관계
상나라 때 귀방은 현재의 섬서성 동부, 산서성 북부, 내몽골 자치구 서부에 존재했으며, 황제와 인척 관계를 맺은 씨족인 대외씨(大隗氏)가 기원이라고 한다.[53] 이들은 유목과 수렵을 하며 살아갔고, 그 수령은 귀후(鬼侯), 귀공(鬼公) 등으로 불렸다. 귀방은 상나라의 외부 위협이었으며, 《주역·기제(旣濟)》에는 "고종(高宗)이 귀방을 정벌하여 3년이 지나 크게 이겼다.[高宗伐鬼方,三年克之。]"라는 기록이 있다.[54] 그러나 귀방과 당시 화하족은 인척 관계이기도 했다.[54] 상나라의 제신은 귀방과 인척 관계였고, 귀후(鬼侯)는 삼공(三公)의 반열에 오르기도 했다.[55]
갑골문에는 귀방에 대한 정벌 내용이 명확히 나타나 있지 않다.[56] 귀방이 바이칼호에서 와서 몽골고원에서 주로 활동하였고, 허타오 지역으로 남하해 황하를 돌아 섬서, 산서 지역으로 들어 왔고 적적(赤狄)으로도 불렸으며, 정령, 위구르 및 현재의 위구족, 위구르족의 조상이 되었다는 견해도 있다.[57]
귀방은 곤융(昆戎), 낙천(洛泉), 곤이(昆夷), 곤이(緄夷), 관이(串夷) 등의 명칭과 혼용되기도 하였다. 청나라의 방준익(方濬益)은 "귀방은 서방 여러 융(戎)의 통칭이다."라고 하였다.[58] 상나라 때에는 여러 소국들이 모두 방(方)으로 지칭되었는데, 이는 방(邦)의 의미에 해당하며 상나라에 복속되지 않은 세력에게 붙여지는 명칭으로 여겨진다.[59]
귀방과 그 발전에 대해 학계에서는 다양한 설명이 있지만, 정론은 아직 없다. 근대에 와서 왕궈웨이는 귀방이 흉노의 전신이라고 보았다.[60] 그러나 현대 학자 린윈(林沄)은 형질인류학, 자연환경 등의 관점에서 선진 시대의 귀방 등 융적(戎狄)과 후세의 흉노 등 유목민족은 어떠한 관계도 없다고 하였다.[61]
죽서기년에 따르면, 상나라 왕 무정 32년에 귀방을 공격하여 3년간의 원정 끝에 왕의 군대가 귀방을 제압했다.[12] 무정의 귀방 정복은 역경 "주역"에도 언급되어 있다.[13][14][15] 갑골문에는 무정의 정복 이후 귀방이 상나라의 신하가 되었고, 다른 정체에 대항하여 상나라를 돕기도 했다는 기록이 있다. 귀족 관료는 상나라 조정에서 높은 지위를 얻기도 했다.[1]
상나라 왕 무을 35년에 주 지도자 길리왕이 서락(西落)에서 귀융(鬼戎)을 공격하여 20명의 적 왕을 사로잡았다.[16] 역사가들은 ''귀융''이 귀방과 동일하다고 본다.[17]
상나라 왕 제신(帝辛) 시대에 귀족은 오랫동안 상나라의 봉신이었고 상나라 왕실 정부에 참여했다.[1] 전국책에서 노중련은 귀후(鬼侯)가 제신의 삼공 중 한 명이며, 그의 딸을 제신에게 시집보냈으나, 제신이 그녀를 죽이고 귀후를 산 채로 삶아 죽였다고 기록하고 있다.[22]
주나라의 청동기 명문 중 주나라 강왕 25년 (기원전 976년)에 주조된 ''소우정'' (小盂鼎)은 초기 주나라 영토의 북동쪽에 위치한 것으로 보이는 ''귀방''을 언급했다. ''귀방''에 대한 두 번의 성공적인 전투 후, 주나라 승리자들은 사로잡은 적들을 주나라 사당으로 데려와 왕에게 바쳤다.[27]
기원전 650년 이후에는 귀방과 관련된 사건이 보고되지 않으며, 이는 북융(北戎)에 대한 마지막 언급이기도 하다. 그들은 새로운 북부 외국인 집단인 ''적''(狄)으로 대체되었다.[27] 귀방은 중국의 통치에 심각한 도전을 한 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중국을 침략하지 않았고, 오히려 중국의 원정의 피해자였다. 그들은 서주에 의해 정복되어 역사에서 사라진 초기 민족이었을 수도 있다.[28]
상나라는 갑골문으로 증명되는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상나라 군대가 내몽골 초원 출신의 인접 유목민들과 빈번하게 전쟁을 벌였다는 것을 기록하고 있다. 상 왕은 신탁 점을 치면서, 그의 내부 '토'(土) 지역 밖, 상나라 영토의 중심부에 위치한 야만족 집단인 '방'(方)에 대해 반복적으로 우려를 나타냈다.[38]
귀방은 알타이 산맥의 세이마-투르비노 문화와 관련될 수 있다.[41] 상 왕조의 유물 중 일부는 세이마-투르비노 문화의 유물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한쪽 갈고리가 있는 소켓 창날, 옥 인형, 사슴 머리 손잡이가 달린 칼 등이 있다.[41] 이러한 유물들은 북쪽의 세이마-투르비노 문화에서 파생되었으며, 상나라는 "귀방"의 북방 부족들과의 격렬하고 오랜 갈등을 보고했는데, 이는 이 시기와 정확히 일치한다. 이는 귀방이 알타이의 세이마-투르비노 문화 자체였으며, 상나라와의 수 세기 동안의 갈등이 다양한 물건과 제조 기술의 전파로 이어졌음을 시사한다.[41][42]
특히, 한쪽 갈고리가 있는 소켓 창날의 도입은 도사 문화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이며, 이때 가장 초기적이고 충실한 세이마-투르비노 유형이 기원전 2100-2000년경 중국에서 나타나기 시작한다.[41] 이러한 초기 유물들은 중국의 금속 야금사가 처음에는 유라시아 대초원의 문화에서 유래되었음을 시사한다.[43]
기원전 1400-700년에 묘사된 몽골의 사슴돌에 묘사된 유목 지도자들은 대규모 조직화된 유목 집단을 이끌었고, 남쪽에 있는 늦은 상 왕조와 초기 주 왕조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45]
5. 주나라와의 관계
죽서기년에 따르면 상나라 왕 무정은 32년에 귀방을 공격하여 형(荊)에 주둔했고, 34년에는 3년간의 원정 끝에 귀방을 제압했다. 이 때 적과 강이 복속했다.[12] 무정의 귀방 정복은 주역에도 언급되어 있다.[13][14][15] 갑골문에는 무정의 정복 이후 귀방이 상나라의 신하가 되어 강과 같은 다른 세력에 맞서 상나라를 돕기도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귀방 출신 관료는 상나라 조정에서 높은 지위를 얻기도 했다.[1]
상나라 왕 무을 35년, 주나라 지도자 길리는 서락(西落)에서 귀융(鬼戎)을 공격하여 20명의 적(狄) 왕을 사로잡았다.[16] 역사학자들은 귀융을 귀방과 동일시한다.[17]
상나라 왕 제신 시대에 귀족은 오랫동안 상나라의 봉신이었고 상나라 왕실 정부에 참여했다.[1] 전국책에서 노중련은 귀후(鬼侯)가 제신의 삼공 중 한 명이었고, 그의 딸을 제신에게 시집보냈으나, 제신이 그녀를 추하다고 여겨 죽이고 귀후를 산 채로 삶아 죽였다고 기록했다.[22] 사마천의 사기에도 유사한 기록이 있는데, 여기에는 구후(九侯)와 그의 딸, 악후(鄂侯)가 등장하며, 구후는 귀후와 동일시되었다.[1] 태평어람의 기록에는 귀후의 딸이 제신의 방탕을 반대하여 제신이 그녀와 그녀의 아버지를 죽였고, 악후 대신 형후를 도살했다는 내용이 있다.[25]
주나라 주나라 강왕 25년(기원전 976년)에 주조된 ''소우정''(小盂鼎)이라는 청동기 명문에는 초기 주나라 영토 북동쪽에 위치한 것으로 보이는 귀방에 대한 언급이 있다. 두 번의 성공적인 전투 후, 주나라 승리자들은 사로잡은 적들을 주나라 사당으로 데려와 왕에게 바쳤다. 포로의 수는 13,000명이 넘었고, 4명의 족장이 처형되었다. 주나라는 많은 전리품도 획득했다.[27]
기원전 650년 이후에는 귀방과 관련된 사건이 보고되지 않으며, 이는 북융(北戎)에 대한 마지막 언급이기도 하다. 그들은 새로운 북부 외부 집단인 ''적''(狄)으로 대체되었다.[27] 귀방은 중국의 통치에 심각한 도전을 한 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중국을 침략하지 않았고, 오히려 중국의 원정의 피해자였다. 그들은 단지 서주에 의해 정복되어 역사에서 사라진 초기 민족이었을 수도 있다.[28]
서주 시대의 청동기 비문에 귀방에 대한 전쟁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灵台白草坡 西周墓葬里的青铜王国
https://web.archive.[...]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CASS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23-11-06
[2]
서적
The Origins of Statecraft in Chin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3]
웹사이트
Wu Yi
https://zh.wikisourc[...]
[4]
웹사이트
Vol. 97, section Northern Di
https://zh.wikisourc[...]
[5]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nomadic tribes in China 3rd-5th cc
"Science", Moscow
1992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New York, Cambridge
1999
[7]
논문
A Hypothesis about the Source of the Sai Tribes
2000
[8]
서적
'The Tombs of the Rulers of Peng and Relationships between Zhou and Northern Non-Zhou Lineages (Until the Early Ninth Century B.C.)'
http://www.sinits.co[...]
2016
[9]
논문
Change and Standardization in Anyang: Writing and Culture in Bronze Age China
https://repository.u[...]
2015
[10]
서적
Yinxu buci yanjiu 殷墟卜辞研究
Shanghai Guji chubanshe
2006
[11]
문서
Khayutina (2016) p. 26-27
[12]
웹사이트
Wu Ding
https://ctext.org/zh[...]
[13]
문서
Creel (1970), p. 232.
[14]
웹사이트
䷾既濟 - Ji Ji
https://ctext.org/bo[...]
[15]
웹사이트
Wu Ding 武丁
http://www.chinaknow[...]
2011
[16]
웹사이트
Wu Yi
https://ctext.org/zh[...]
[17]
서적
The Northern Frontier in Pre-Imperial China//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8]
웹사이트
Shang knife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19]
서적
'Traders and raiders on China''s northern frontier: 19 November 1995 - 2 September 1996, Arthur M. Sackler Gallery'
https://ia601307.us.[...]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 [u.a.]
1995
[20]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urasian Neighbors: Artifacts, Identity and Death in the Frontier, 3000–700 BCE. Chapter Three - Identity and Artifacts on the North Central and Northeastern Frontier during the Period of State Expansion in the Late Second and the Early First Millennium BCE'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21]
간행물
Steppe Weapons in Ancient China and the Role of Hand-to-hand Combat
https://www.academia[...]
2015
[22]
웹사이트
Stratagems of Zhao 3 - Qin besieged Zhao's Handan
https://ctext.org/zh[...]
[23]
웹사이트
Annals of Yin
https://ctext.org/sh[...]
[24]
웹사이트
Di Xin
https://ctext.org/zh[...]
[25]
웹사이트
Sovereigns and Kings - Part 8
https://ctext.org/te[...]
[26]
웹사이트
vol. 19
https://ctext.org/li[...]
[27]
서적
Northern Frontier in Pre-Imperial China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https://www.academ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008
[28]
서적
Northern Frontier in Pre-Imperial China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https://www.academ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008
[29]
서적
Guantang jilin 觀堂集林
Hebei Jiaoyu chubanshe
1923
[30]
웹사이트
Di 狄
http://www.chinaknow[...]
2012
[31]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nomadic tribes in China 3rd-5th cc
[32]
서적
Guantang Jilin
[33]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Sünnu
"Science", Moscow
1968
[34]
서적
Shiji
[35]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Sünnu
[36]
시
"Major Hymns - Decade of Dang - Dang"
https://ctext.org/bo[...]
[37]
논문
Steppe Nomads as a Philosophical Problem in Classical China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1
[38]
학위논문
Change and Standardization in Anyang: Writing and Culture in Bronze Age China
https://repository.u[...]
2015
[39]
학술지
Colonizing China's Northern Frontier: Yan and Her Neighbors During the Early Western Zhou Period
2006-06
[40]
학술지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Introduction of The Chariot Into China
[41]
학술지
Seima-Turbino Culture and the Proto-Silk Road
https://www.academia[...]
2016
[42]
학술지
The origins of metallurgy in China
2017-10
[43]
학술지
Seima-Turbino Culture and the Proto-Silk Road
https://www.academia[...]
2016
[44]
학술지
Understanding early horse transport in eastern Eurasia through analysis of equine dentition
2021-12
[45]
학술지
Steppe Weapons in Ancient China and the Role of Hand-to-hand Combat
https://www.academia[...]
2015
[46]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The Crisis and Fall of the Western Zhou 1045–77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7]
학술지
Review of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The Crisis and Fall of the Western Zhou 1045-771 BC
https://www.jstor.or[...]
2008
[48]
학술지
The Triumph: A Heritage of Sorts
http://www.chinaheri[...]
2009
[49]
학술지
The Triumph: A Heritage of Sorts
http://www.chinaheri[...]
2009
[50]
학술지
INSCRIPTIONAL RECORDS OF THE WESTERN ZHOU
https://scholarworks[...]
2012
[51]
서적
殷─中国史最古の王朝
중공신서
[52]
문서
[53]
문서
黄帝·鬼方与大隗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鬼方考補證
[57]
웹사이트
鬼方遗民:维吾尔族的真正来历
https://book.douban.[...]
[58]
서적
綴遺齋彝器考釋
台聯國風出版社
1976
[59]
서적
殷─中国史最古の王朝
중공신서
[60]
문서
鬼方昆夷玁狁考
[61]
문서
戎狄非胡論
[62]
문서
[63]
웹인용
陕北发现商代宏大重楼环屋形建筑群
http://society.peopl[...]
2019-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