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티아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라티아누스는 359년에 태어나 383년에 사망한 서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367년 아버지 발렌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공동 황제로 임명되었으며, 375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이복 동생 발렌티니아누스 2세와 함께 제국을 통치했다. 그는 라인 강 방어, 고트족 격퇴 등 군사적 활동을 펼쳤으며, 테오도시우스 1세를 동방 황제로 임명하여 제국을 분할 통치했다. 말년에는 기독교로 개종하여 로마의 전통 종교를 억압했으나, 383년 마그누스 막시무스의 반란으로 인해 리옹에서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59년 출생 - 스틸리코
스틸리코는 반달족 아버지와 로마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테오도시우스 1세의 신임을 얻어 서로마 제국의 로마군 총사령관이 되었고, 호노리우스 황제의 후견인으로서 제국을 방어했으나 정치적 음모로 처형당해 서로마 제국 멸망을 가속화시킨 인물이다. - 359년 출생 - 고디기젤
고디기젤은 현재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다. - 383년 사망 - 아르다시르 2세
아르다시르 2세는 사산 제국의 왕으로, 379년에 즉위하여 4년간 재위하며 백성들에게 세금을 부과하지 않고 로마 제국과 평화 조약을 맺었으나 귀족들의 권력 견제 정책으로 폐위되었다. - 383년 사망 - 달마티아의 이삭
4세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수도사 달마티아의 이삭은 아리우스주의에 맞서 정통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고 수도원을 세워 초대 수도원장이 되었으며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 사형된 로마 황제 - 비텔리우스
비텔리우스는 69년 짧게 로마 황제를 지낸 인물로, 명문가 출신이지만 게르마니아 군단의 지지로 황제가 된 후 무능과 사치로 악명을 떨치다 베스파시아누스의 반란으로 몰락하여 처형당했다. - 사형된 로마 황제 - 마그누스 막시무스
4세기 후반 서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마그누스 막시무스는 브리타니아 주둔 로마군에 의해 추대되어 갈리아를 정복하고 서로마 황제로 인정받았으나, 이탈리아 지배를 시도하다 테오도시우스 1세에게 패배하여 처형되었으며, 이단 박해와 브리튼 및 브르타뉴 지역 역사, 웨일스 전설과 관련된 영웅적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 그라티아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그라티아누스 |
| 로마자 표기 | Geuratiānuseu |
| 전체 이름 |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
| 통치 정보 | |
| 직위 | 로마 황제 (서쪽) |
| 재위 기간 | 367년 8월 24일 – 383년 8월 25일 (375년 11월 17일부터 수석) |
| 즉위 유형 | 아우구스투스 |
| 이전 통치자 | 발렌티니아누스 1세 |
| 다음 통치자 | 마그누스 막시무스 |
| 섭정 | 발렌티니아누스 1세 (367–375), 발렌스 (동쪽, 367–378), 발렌티니아누스 2세 (375–383), 테오도시우스 1세 (동쪽, 379–383), 아르카디우스 (동쪽, 383) |
| 공동 통치자 유형 | 공동 통치자 |
| 개인 정보 | |
| 출생일 | 359년 4월 18일 |
| 출생지 | 시르미움, 판노니아 세쿤다 (현재의 스렘스카미트로비차, 세르비아) |
| 사망일 | 383년 8월 25일 (24세) |
| 사망지 | 루그두눔,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현재의 리옹, 프랑스) |
| 매장지 | 메디올라눔의 황실 영묘 (현재의 산트아퀼리노, 밀라노 산 로렌초 대성당) |
| 배우자 | 콘스탄티아, 라에타 |
| 가문 정보 | |
| 왕조 | 발렌티니아누스 |
| 아버지 | 발렌티니아누스 1세 |
| 어머니 | 마리나 세베라 |
| 종교 | 니케아 기독교 |
2. 생애
그라티아누스는 359년 판노니아의 시르미움에서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2] 367년 아버지 발렌티니아누스는 당시 8세(9살[7])인 그라티아누스를 공동 황제로 임명했고,[2] 375년 발렌티아누스가 죽자 판노니아의 로마 군단은 그라티아누스의 배다른 형제인 발렌티니아누스 2세를 공동 황제로 추대했다. 그라티아누스는 이 배다른 동생을 공동 황제로 인정하고 함께 통치했다.[7]
그라티아누스는 재위 대부분을 라인강을 건너 쳐들어오는 알레만니족 등 야만족을 물리치기 위해 갈리아에서 보냈다. 378년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삼촌이자 동로마 제국의 황제인 발렌스가 고트족에게 패배하고 전사하자, 히스파니아에서 은둔 생활을 하던 테오도시우스 1세를 발탁하여 379년 제국 동부의 공동 황제로 임명했다.[9]
383년 마그누스 막시무스가 브리타니아에서 황제로 추대되어 갈리아로 건너오자, 그라티아누스는 막시무스의 반란군을 토벌하려 했으나 자신의 무어인 기병대가 변절하여 막시무스 편으로 돌아서는 바람에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도망치다 루그두눔(지금의 프랑스 리옹)에서 살해당했다.[6]
2. 1. 초기 생애
그라티아누스는 359년 판노니아의 시르미움에서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2] 예로니무스의 ''연대기''와 ''파스칼 연대기''에 따르면, 출생일은 4월 18일이며, 이곳은 현재 세르비아의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이다. 시르미움은 판노니아 세쿤다의 수도였으며, 그의 어머니는 발렌티니아누스의 첫 번째 아내인 마리나 세베라였다.[2] 그라티아누스는 그의 할아버지 그라티아누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할아버지는 군사 호민관이었고, 나중에는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의 브리타니아 백작이었다.367년, 아버지 발렌티니아누스 1세는 8살[2](9살[7])인 그라티아누스를 공동 황제(아우구스투스)로 임명했다.[2] 이는 관례적인 첫 단계인 카이사르(부황제)를 건너뛴 파격적인 조치였다.[2] 발렌티니아누스는 아들의 나이와 경험 부족을 염려하여, 아들이 곧 있을 작전에 지휘관들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라티아누스는 웅변가인 아우소니우스에게 교육을 받았다.[2]

2. 2. 통치
375년 아버지 발렌티니아누스 1세가 사망하자, 판노니아의 로마 군단은 그라티아누스의 이복동생 발렌티니아누스 2세를 공동 황제로 추대했다. 그라티아누스는 이를 인정하고 함께 통치했다.[7]그라티아누스는 재위 기간 대부분을 라인강을 건너 쳐들어오는 알레만니족 등 야만족을 물리치기 위해 갈리아에서 보냈다. 378년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삼촌이자 동로마 제국의 황제인 발렌스가 고트족에게 패배하고 전사하자, 히스파니아에서 은둔 생활을 하던 테오도시우스 1세를 발탁하여 379년 제국 동부의 공동 황제로 임명했다.[9]
380년 그라티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2세, 테오도시우스 1세는 테살로니카 칙령을 발표하여 니케아 기독교를 유일한 합법적인 종교로 선포하고, 다른 모든 종교를 불법화했다.[12]
383년 브리타니아에서 마그누스 막시무스가 반란을 일으켜 갈리아로 진군하자, 그라티아누스는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고 루그두눔(현재 프랑스 리옹)에서 살해당했다.
2. 3. 죽음
그라티아누스는 마그누스 막시무스의 기병대장(magister equitum)인 안드라가티우스에게 쫓기다가 383년 8월 25일 리옹에서 살해당했다.[6] 막시무스는 처음에는 정치적인 이유로 그라티아누스의 시신을 보관했고, 암브로시우스가 시신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했다.[7] 그라티아누스의 유해는 387년 메디올라눔(현재의 밀라노) 황제 묘소에 안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8] 그는 사후 신격화되었다.[9]3. 종교 정책
378년 밀라노 주교 암브로시우스의 영향으로 그라티아누스는 종교 정책을 전환했다.[12] 초기에는 이교에 관대했으나, 이후 기독교를 진흥하고 이교 신앙을 억압했다. 379년 로마 황제 최초로 폰티펙스 막시무스 칭호를 거부하고 관련 의상 착용도 하지 않았다.[13] 같은 해 관용령을 철회하고,[12] 382년 로마 신관단(''pontifices'')과 베스타 신전 무녀의 권리를 박탈했으며,[12][14] 아우구스투스가 설치한 빅토리아 여신의 Altar of Victory|승리의 제단영어을 원로원에서 제거했다.[12][14]
381년부터 밀라노에 거주하며 암브로시우스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은[15][14] 그라티아누스는 모든 이교 사원과 신전을 몰수, 수입을 국고에 귀속시켰다. 이는 심마쿠스가 이끄는 원로원의 반발과 교황 다마수스가 이끄는 기독교 원로원들의 반대 시위를 야기했다.
4. 가족
374년 콘스탄티우스 2세의 외동딸인 콘스탄티아와 15세의 나이로 결혼했다. 콘스탄티아는 383년에 사망했는데, 사망 당시 나이는 20~22세로 추정된다.[6] 콘스탄티아와의 사이에서 아들(이름 불명)이 태어났으나, 그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라이타와 재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라이타는 410년 알라릭 1세의 로마 약탈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5. 평가
그라티아누스는 군사적 재능은 있었으나, 정치적으로는 미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5][14] 378년 알레만니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였으나,[8]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발렌스 황제가 전사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암브로시우스의 영향으로 379년 관용령을 철회하고,[12] 382년에는 로마 신관과 베스타 신전의 무녀의 권리를 박탈하고,[12][14] 원로원에 있던 빅토리아 여신의 상을 철거하는 등[12][14] 급격한 종교 정책 변화는 제국 내 갈등을 심화시켰다.
381년부터 거점을 밀라노로 옮기면서 암브로시우스의 영향력이 커졌고,[15][14] 고대 로마 전통 종교를 믿는 원로원과 군대의 지지를 잃었다. 결국 383년, 브리타니아 주둔 로마 군단이 마그누스 막시무스를 황제로 추대하고 반란을 일으키자, 그라티아누스는 패배하고 리옹에서 살해되었다.[9] 그의 죽음은 서로마 제국의 쇠퇴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ortrait head of emperor with sideburns (Gratian or Honorius?). Augusta Treverorum (Belgica II). Late fourth to early fifth century.
http://laststatues.c[...]
2012
[2]
서적
Age of Spirituality: Late Antique and Early Christian Ar
https://libmma.cont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77
[3]
논문
Sebastianus 2
[4]
서적
From Petrus to Pontifex Maximus
https://brill.com/di[...]
Brill
2020
[5]
서적
Caesar rules
https://books.google[...]
CUP
2022
[6]
웹사이트
Gratian (367-83 A.D.)
http://www.roman-emp[...]
[7]
문서
尚樹1999
[8]
문서
ギボン1952
[9]
문서
尚樹1999
[10]
문서
グラーティアヌース
[11]
문서
尚樹1999
[12]
문서
尚樹1999
[13]
문서
オストロゴルスキー2001
[14]
문서
南川2013
[15]
문서
尚樹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부조 (조각)|흉상]] [[트리어]]에서 발견되어 추정되는 그라티아누스 또는 호노리우스](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