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75년은 동진, 전량, 전진, 대 등의 연호가 사용되었으며, 훈족의 이동으로 게르만족 대이동이 시작된 해이다. 백제 근초고왕이 사망하고 근구수왕이 즉위했으며, 찬드라굽타 2세가 굽타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로마 제국에서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가 사망하고 발렌티니아누스 2세가 황제에 즉위했다. 또한 광개토대왕, 오로시우스 등이 태어났고, 발렌티니아누스 1세, 왕맹, 근초고왕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375년 | |
---|---|
기본 정보 | |
기원전 | 기원전 376년 |
서기 | 서기 376년 |
천년기 | 1천년기 |
세기 | 4세기 |
10년 | 370년대 |
달력 | |
로마력 | 375 Ab Urbe condita |
중국 달력 | 을해년 (木猪) |
율리우스력 | 375년 |
2. 연호
- 동진(東晉) 영강(寧康) 3년
- 전량(前凉) 승평(昇平) 19년(동진의 연호를 계속 사용)
- 전진(前秦) 건원(建元) 11년
- 대(代) 건국(建國) 38년
- 닌토쿠 천황 63년, 황기 1035년
- 고구려 소수림왕 5년, 단기 2708년
- 백제 근초고왕 30년, 근구수왕 원년
- 신라 내물왕 20년
- 불멸기원 918년
- 유대력 4135년 ~ 4136년
3. 기년
- 동진(東晉) 효무제(孝武帝) 3년
- 신라(新羅) 내물 마립간(奈勿麻立干) 20년
- 고구려(高句麗) 소수림왕(小獸林王) 5년
- 백제(百濟) 근초고왕(近肖古王) 30년 / 근구수왕(近仇首王) 원년
- 간지 : 을해
- 일본日本일본어
- * 닌토쿠 천황 63년
- * 황기 1035년
- 중국中国중국어
- * 동진 : 녕강 3년
- * 전량 : 승평 19년(동진의 연호를 계속 사용)
- * 전진 : 건원 11년
- * 대 : 건국 38년
- 조선朝鮮한국어
- * 고구려 : 소수림왕 5년
- * 백제 : 근초고왕 30년, 근구수왕 원년
- * 신라 : 내물왕 20년
- * 단기 2708년
- 불멸기원 : 918년
- 유대력 : 4135년 - 4136년
4. 사건
발람베르가 이끄는 훈족이 동고트족을 남쪽으로 몰아내면서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시작되었다. 훈족의 압박으로 게르만족의 일파인 서고트족이 이동을 시작했고, 이후 약 200년에 걸친 게르만 민족 대이동이 시작되었다. 훈족은 도나우강을 돌파했다.
동로마 제국의 황제 발렌스는 고트족과의 전쟁을 준비했다. 발렌티니아누스 2세가 로마 황제에 즉위했다.(+ 392년)
사산 제국의 샤푸르 2세가 사망하고, 그의 형제 아르다시르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찬드라굽타 2세는 굽타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켈트족이 브리튼 섬에 도착했다.
백제의 근초고왕이 재위 46년만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뒤를 이어 아들 근구수왕이 백제의 왕위에 올랐다.[1]
전진의 재상 왕맹이 사망했다.
4. 1. 세계
발람베르가 이끄는 훈족이 동고트족을 남쪽으로 몰아내면서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시작되었다. 훈족의 압박으로 게르만족의 일파인 서고트족이 이동을 시작했고, 이후 약 200년에 걸친 게르만 민족 대이동이 시작되었다. 훈족은 도나우강을 돌파했다.동로마 제국의 황제 발렌스는 고트족과의 전쟁을 준비했다. 발렌티니아누스 2세가 로마 황제에 즉위했다.(+ 392년)
사산 제국의 샤푸르 2세가 사망하고, 그의 형제 아르다시르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찬드라굽타 2세는 굽타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켈트족이 브리튼 섬에 도착했다.
4. 2. 로마 제국
발람베르가 이끄는 훈족이 동고트족을 남쪽으로 몰아내면서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시작되었다. 훈족은 도나우강을 돌파하였다. 훈족의 압박으로 게르만족의 일파인 서고트족이 이동을 시작, 이후 약 200년에 걸친 게르만 민족 대이동이 시작되었다.11월 17일 -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1세는 알레마니와 독일에서 지속적인 평화를 맺은 후, 다뉴브강 국경에서 콰디와 사르마티아인의 침략을 격퇴하기 위해 일리리쿰의 일리리쿰으로 진군하였다. 콰디와 협상하던 중, 54세의 발렌티니아누스는 너무 격분하여 헝가리의 브리게티오에서 졸도로 사망하였다. 그의 11년간의 통치는 극심한 잔혹함으로 특징지어졌지만, 그는 학교를 설립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봉사할 의사를 제공하기도 했다. 콰디는 메로바우데스(Magister militum)로부터 불안정한 평화를 받아들여 다뉴브 강에 정착할 땅을 얻는다.
16세의 그라티아누스는 ''아우구스타 트레베로룸''(현재 트리어)에서 정부를 장악하지만, 일리리아 군대의 충성을 유지하려는 대신들은 로마의 찬탈자를 두려워한다. 그들은 발렌티니아누스의 4살 된 아들 발렌티니아누스 2세를 그의 어머니 유스티나와 함께 섭정으로 공동 황제로 선포한다. 발렌티니아누스 2세는 이로서 로마 황제에 즉위한다.(+ 392년) 그라티아누스는 갈리아 속주의 행정을 스스로 맡고, 이탈리아, 일리리움, 히스파니아, 아프리카를 계모에게 넘겨주며, 그녀는 ''메디올라눔''(밀라노)을 거처로 삼는다.
그라티아누스는 그의 수석 고문 암브로시우스의 조언을 받아 이교를 체계적으로 박해하기 시작한다. 그는 신전의 재산을 몰수하고 그 돈을 황실 국고에 추가한다. 그는 아리우스파와 도나투스파를 금지한다.
아프리카에서 반항적인 베르베르 왕자 피르무스는 그의 형제 길돈에 의해 로마인에게 넘겨진다.
4. 3. 인도
황제 찬드라굽타 2세가 굽타 제국 (인도)의 통치자가 된다. 그는 사무드라굽타 대왕의 아들이며 공격적인 팽창 정책으로 통치를 유지한다.
4. 4. 한반도
발람베르가 이끄는 훈족이 동고트족을 남쪽으로 몰아내면서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시작되었다.[1] 백제의 근초고왕이 세상을 떠나고, 그의 아들 수가 왕위에 올랐다.[1] 근구수왕이 백제의 국왕이 되었다.[1]5. 문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책은 묶인 나무 잎으로 된 학교 교과서와 계산서로, 서부 이집트의 다클라 오아시스에서 유실되었다. 사막의 모래가 현대 고고학자들을 위해 그것들을 보존하고 있다. 최초의 두 개의 한국 불교 사찰이 세워졌다. 성 제롬이 칼키스 (시리아) 사막으로 은퇴했다. 마론파가 레바논에서 성 마론에 의해 창립되었다. 바빌론 탈무드가 라브 아시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미쉬나에 대한 이 주석은 약 250만 단어와 5,894 페이지를 포함한다.
6. 탄생
7. 사망
- 2월 23일 – 성 고르곤, 그레고리오스 장로의 딸
- 5월 30일 – 카이사레아의 엠멜리아, 비잔틴 동방 정교회 사제
- 9월 3일 – 망수에투스, 기독교 주교이자 성인
- 11월 17일 – 발렌티니아누스 1세, 로마 제국 황제 (321년 출생)[1]
- 왕맹 (또는 '''징뤼에'''), 중국 정치가 (325년 출생)[1]
- 근초고왕, 백제의 제13대 왕[1]
- 키푸나다, 쿠샨 제국의 인도 통치자
- 팜보 (또는 '''펨와'''), 콥트 사막 교부 (305년 출생)
- 라브 파파, 바빌로니아 유대인 아모라이자 탈무드 학자
- 사무드라굽타, 굽타 제국의 인도 황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