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으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으즈어는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에서 사용되었던 사어(死語)로, 남아라비아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기원전 1천년 중반에 남아라비아 문자로 기록된 비문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으며, 악숨 왕국 시대에는 게에즈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어 기독교 문헌 번역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0세기에 악숨 왕국이 멸망한 후에도 예배 언어와 문어로서의 지위를 유지했으며, 19세기 말까지 에티오피아의 공식 문어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에티오피아 정교회, 에리트레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가톨릭, 에리트레아 가톨릭 및 베타 이스라엘의 예배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언어 - 아파르어
    아파르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아파르족이 사용하며 사호어, 소말리어와 친족 관계를 가지고 지부티의 국어이자 에티오피아의 공식 업무 언어이며 에리트레아의 국어 중 하나로 인정받고, 짧고 긴 모음 구별,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다양한 문자 체계, 여러 방언 존재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에티오피아의 언어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 셈어파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 셈어파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 VSO형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VSO형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그으즈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그으즈어
로마자 표기Ge'ez
언어 정보
사용 지역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이스라엘
소멸 시기기원전 10세기 ~ 14세기 이전
현재 사용전례 언어로 사용
문자그으즈 문자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어파셈어파
어군남셈어군
하위 어군에티오피아 셈어군
북에티오피아
사용 종교에리트레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에리트레아 가톨릭교회, 에티오피아 가톨릭교회, 베타 이스라엘
ISO 639-2gez
ISO 639-3gez
이미지
그으즈어
창세기 29장 11-16절

2. 역사

게에즈어는 남아라비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기원전 10세기경 남아라비아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천년 중반에 새겨진 사바어 비문은 담트 왕국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에 셈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기원후 330년에서 356년 사이에 새겨진 에자나의 비석은 고대 게에즈어, 사바어, 그리고 그리스어로 쓰여 있다.


악숨 왕국 시대(기원후 4세기)에 게에즈어로 된 비문들이 등장하며, 이 시기에 게에즈 문자가 발전하였다. 초기 게에즈어 문헌은 주로 기독교 관련 번역물이었으며, 성경(외경 포함), 예배서, 성인전 등이 포함된다.

10세기 이후 게에즈어는 구어로서의 기능을 상실했지만,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예배 언어 및 공식 문어로서 19세기 말까지 사용되었다. 13세기 이후 아랍어 문헌의 번역이 활발해지면서 게에즈어 문학은 더욱 풍부해졌다.

영국 도서관에는 15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약 800개의 게에즈어 사본이 소장되어 있으며, 특히 마법과 점술 두루마리,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의 삽화 사본이 주목할 만하다. 이 컬렉션은 1830년대와 1840년대에 잉글랜드 성공회 선교회의 기증과 1868년 아비시니아 원정에서 영국이 테오드로스 2세 황제의 수도 암바 마리아엠에서 약탈한 사본들로 구성되어 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도 게에즈어로 된 삽화 사본이 소장되어 있다.

2. 1. 악숨 왕국 시대

에자나 1세와 에자나 2세의 비문은 그으즈어 발전의 중요한 자료이다. 이 비문들은 4세기에서 5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며, 10여 개가 남아 있다. 초기 비문은 남아라비아 문자 또는 모음 부호가 없는 게에즈 문자(에티오피아 문자)로 기록되었다.[34] 그러나 에자나 2세 후기부터는 모음 부호가 추가된 게에즈 문자가 사용되었다.[34] 에자나 2세는 초기에는 기독교도가 아니었으나, 후기에 일신교로 개종하였고, 그의 후손들은 기독교도였던 것으로 보인다.[34]

이 시기 문헌은 주로 기독교 선교를 위한 것으로, 성경(외경 포함), 예배용 문서, 성인전, 교부들의 저서 단편, 파코미우스의 수도원 규칙 그으즈어판 등이 있다. 이 문헌들은 대부분 그리스어에서 번역되거나 각색된 것이다.[35]

2. 2. 중세 시대

악숨 왕국이 10세기에 멸망한 후에도, 그으즈어는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예배 언어 및 공식적인 문어로서의 지위를 계속 유지했다.[36] 13세기 이후에는 아랍어로 쓰인 문헌들을 그으즈어로 번역하는 일이 활발해지면서, 다양한 분야의 그으즈어 문학이 발전하였다. 이 시기에는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신학, 역사, 법률과 관련된 많은 문서들이 그으즈어로 기록되었다.[35]

2. 3. 근현대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히도, 에리트레아 정교회 테와히도, 에티오피아 가톨릭, 에리트레아 가톨릭 기독교인들과 베타 이스라엘(베타 이스라엘)의 예배 언어이며, 기도와 예정된 공개 행사에 사용된다. 기독교 교회에서 사용하는 전례 의식은 에티오피아 전례[26][27][28] 또는 게에즈 전례[29][30][31][32]라고 한다.

악숨 왕국이 멸망한 10세기에는 이미 살아있는 언어로서의 게에즈어는 소멸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 후에도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의례어로 사용되었고, 19세기 말까지 실질적으로 에티오피아의 유일한 공식적인 문어로 남아 있었다.[36]

현재도 에티오피아 정교회, 에리트리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가톨릭 및 파라샤족예배·의례에서 주요 언어로 남아 있다. 하지만 에티오피아에서는 암하라어(현대 에티오피아의 주요 공용어) 또는 다른 현지어가, 에리트리아와 에티오피아의 티그라이 주에서는 티그리냐어가 설교에 사용되기도 한다.

3. 음운

게에즈어는 30개의 자음과 7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었다. 현대 에티오피아에서의 전통적인 발음은 암하라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셈어 특유의 강세음(방출음)이 존재한다.

게에즈어로 쓰여진 시편 한 구절


역사적으로, 는 원시 셈어 단모음 와 와 기본적으로 대응하며, 는 단모음 와, 모음 는 각각 원시 셈어 장모음 와, 는 원시 셈어 이중모음 와 와 대응한다.[40][41] 게에즈어에는 여전히 와 사이의 변화가 많이 존재하며, 와 사이에는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ተሎኩgez ''taloku'' ~ ተለውኩgez ''talawku'' ("나는 따랐다").

셈어의 강세음은 후두화음, 즉 방출음으로 실현된다. 는 일반적으로 파찰음 이 된다. 는 기원적으로 아랍어의 및 에 대응하지만, 본래 어떤 음이었는지는 불명확하다. 전통적으로는 와 동음으로 발음된다.[38]

게에즈어에서 셈조어의 *p는 f로 변화했지만, 그 외에 가 있다. 양자 모두 차용어(주로 그리스어에서 온)에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고유어에도 출현한다.[38]

치찰음 는 기원적으로 아랍어의 에 대응하지만, 전통적으로는 s와 동음으로 발음된다.[39]

유성 인두 마찰음 는 전통적인 발음에서는 과 구별되지 않는다. 도 h가 되고 있다.

3. 1. 자음

게에즈어 자음은 무성음, 유성음, 방출음의 세 가지 대립을 보인다. 예를 들어 파열음 및 마찰음에서 무성음인 /p/, /t/, /k/와 유성음인 /b/, /d/, /g/, 그리고 방출음인 /pʼ/, /tʼ/, /kʼ/가 서로 대립한다.[15]

원시 셈어의 "강세"는 게에즈어에서 강세음 p̣sem를 포함하도록 일반화되었다. 또한, 게에즈어는 원시 셈어 이중음소에서 유래한 순모음화된 연구개음(kʷ, gʷ, qʷ, ḫʷ)을 음운론화했다.[15]

일부 자음의 정확한 발음은 불분명하다. 예를 들어, 게에즈어 ś ሠgez는 원시 셈어 무성 측 마찰음에서 유래한 것으로 재구성되지만, 현재 에티오피아에서의 전통적인 발음은 암하라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어 본래의 음성이 어떠했는지는 불분명하다.[37] 마찬가지로, ḍ, ḫ 등의 자음도 정확한 발음은 불분명하다.[38][39]

다음은 게에즈어 자음의 종류와 그에 해당하는 국제 음성 기호(IPA), 그리고 게에즈 문자를 나타낸 표이다.[15]

순음치음(불명)연구개음순음화인두음성문음
무성 파열음ptkʔ
유성 파열음bdg
방출음q
무성 마찰음fsśḫʷh
유성 마찰음zʕ
방출음
비음mn
유음r, l
접근음yw



3. 2. 모음

게에즈어 모음은 a, i, u, e, o, ä, ə의 7종류가 있다. ə는 중앙모음 [ɨ]로 발음된다.[40] 모음의 장단은 표기되지 않는다.

게에즈 모음
 앞 모음중앙 모음뒤 모음
높은 모음iəu
중간 모음eo
중-낮은 모음ä [12] [13] a|아gez
낮은 모음a [14] ā|아gez



셈조어와의 모음 대응은 다음과 같다.[40][41]

셈조어aiuāīūayaw
게에즈어äəaiueo


4. 문자

창세기 29장 11~16절 (게에즈어)


그으즈어는 에티오피아 문자 또는 게에즈 아부기다로 쓰이는데, 이 문자는 원래 이 언어를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다. 암하라어와 티그리냐어와 같이 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에서는 ''Fidäl|피덜sem''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문자 또는 알파벳을 의미한다. 게에즈어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다.

게에즈 문자는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발전했으며, 초기에는 자음만을 표기했다. 에자나 2세 후기에 이르러 갑자기 모음 기호가 추가된 아부기다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모음 기호를 추가하지 않으면 묵음 모음 가 추가된다. 다른 6종류의 모음은 기호를 추가하여 표기한다. 게에즈어에는 일반적인 자음 26종류, 원순화 자음 4종류가 있으며, 전자에는 7종류의 모음, 후자에는 5종류의 모음이 뒤따르기 때문에 문자의 수는 26×7 + 4×5 = 202종류가 된다.[50] 게에즈 문자는 게에즈어를 대체로 잘 표기할 수 있지만, 강세나 장자음은 표기되지 않고, 자음 가 뒤따르는 경우와 모음이 뒤따르지 않는 경우를 구분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50]

게에즈 문자는 다른 언어, 보통 셈어파 계열 언어를 쓰는 데 적용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에티오피아의 암하라어와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의 티그리냐어이다. 세바트베이트어, 메엔어, 아게우어 등 에티오피아의 대부분의 다른 언어에도 사용된다. 에리트레아에서는 티그레어에 사용되며, 빌렌어(쿠시어파 언어)에도 종종 사용된다. 오로모어와 같이 아프리카의 뿔의 다른 언어들은 게에즈 문자를 사용했지만, 라틴 문자 기반 알파벳으로 바뀌었다.

또한 순순음 자음을 위한 네 가지 계열의 자음 기호를 사용하는데, 이는 비순순음 자음의 변형이다.

기본 기호q(a)|카semḫ(a)|ኸsemk(a)|커semg(a)|거sem
순순음 변형qʷ(a)| qʷ(a) semḫʷ(a)| ḫʷ(a) semkʷ(a)| kʷ(a) semgʷ(a)| gʷ(a) sem


5. 문법

게에즈어는 명사, 형용사, 분사가 성(남성, 여성), 수(단수, 복수), 격(주격, 목적격)에 따라 변화하는 굴절어이다.

명사구는 다음과 같은 어순을 따른다.[49]

: (지시어) 명사 (형용사)-(관계절)

예시는 다음과 같다.

በዛ ሀገር|ba-zā hagar|이 도시에서gez

ንጉሥ ክቡር|nəguś kəbur|영광스러운 왕gez

형용사와 한정사는 명사의 성과 수에 일치한다.[49]

ዛቲ ንግሥት ክብርት|zāti nəgəśt kəbərt|이 영광스러운 여왕gez

እሉ ነገሥት ክቡራን|ʼəllu nagaśt kəburān|이 영광스러운 왕들gez

관계절은 선행 명사의 성과 수에 일치하는 대명사로 시작한다.[49]

ብእሲ ዘቀተልዎ ለወልዱ|bəʾsi zaqatal-əww-o lawald-u|아들을 죽인 그 남자gez

많은 셈어에서처럼, 게에즈어에서 소유는 구성 상태를 통해 나타난다. 소유 명사에 접미사 -a|-agez를 붙여 구성하고, 그 뒤에 소유주를 붙인다.[49]

ወልደ ንጉሥ|wald-a nəguś|왕의 아들gez

ስመ መልአክ|səm-a malʼak|천사의 이름gez

명사구에 의한 소유를 나타내는 또 다른 방법은 명사에 대명사 접미사와 전치사 ለ|la|에게, 위해gez가 앞에 오는 소유주를 결합하는 것이다.[49]

ስሙ ለንጉሥ|səm-u lanəguś|왕의 이름gez

일반적인 어순은 VSO형(동사-주어-목적어)이지만, 어순은 상당히 자유롭다. 주어를 강조하기 위해 SVO로 하거나, 동사와 목적어가 밀접한 관계에 있을 때는 VOS가 되거나, 목적어가 주제로서 동사 앞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48] 관계절에서는 동사가 뒤에 오는 경향이 있다.[49]

「A는 B이다」라고 할 때는, 계사 대신 인칭대명사를 사용한다(「A 그 B」와 같은 형태). 현재 시제 이외에는 계사에 해당하는 동사 ኮነ|konägez 또는 ሀለወ|hälläwägez를 사용한다.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ሀለወ|hälläwägez를 사용할 수 있지만, ቦ|bogez / ቦቱ|bottugez(전치사 በ|bä|에gez 3인칭 단수 남성 대명사가 붙은 형태)와 명사를 조합하여 표현할 수 있다. ቦ|bogez의 부정(「아니다」)은 አልቦ|albogez이다. 전치사 በ|bägez는 소유를 나타내는 표현에서도 널리 사용되며, 「우리는 책을 가지고 있다」는 መጽሐፈ ብነ|mäṣḥaf-ä bə-nägez (말 그대로는 「책을 우리 안에」)로 표현된다.[47]

5. 1. 명사

그으즈어 명사는 성, 수, 격에 따라 형태가 변화한다.
성(性)그으즈어는 남성과 여성 두 가지 성을 구분한다. 여성 명사는 종종 어미 ት|트gez (-t)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እኅት|으흐트gez ('자매')와 같다. 그러나 다른 셈어와 달리 성 구분이 덜 엄격하여,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가 아닌 경우 많은 명사가 어느 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심지어 번역된 기독교 텍스트에서는 그리스어 명사의 성을 따르는 경향도 있다.[42]
수(數)단수와 복수 두 가지 수가 있다. 복수는 일반적으로 접미사 ኣት|아트gez (-āt)를 붙여 만든다. 남성 인명 명사의 경우 ኣን|안gez (-ān)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내부 복수를 사용하기도 한다.[42]

  • 접미사를 사용한 복수 예시
  • ዓመት|아마트gez ('해') → ዓመታት|아마타트gez
  • ገዳም|가담gez ('황무지, 무인 지역') → ገዳማት|가다마트gez
  • ሊቅ|리크gez ('장로, 우두머리') → ሊቃን|리칸gez
  • ጳጳስ|파파스gez ('(대)주교') → ጳጳሳት|파파사트gez

  • 내부 복수 예시
  • ቤት|베트gez ('집') → አብያት|아브야트gez
  • ቅርንብ|크르느브gez ('눈꺼풀') → ቀራንብት|카라느브트gez

격(格)주격(표시 없음)과 목적격(어미 -a로 표시) 두 가지 격이 있다. 또한, 절대 상태(표시 없음)와 구성 상태(-a로 표시) 두 가지 "상태"가 있다.[42]

ሊቅ|리크gez ('장로, 우두머리')의 격 변화
단수복수
절대
상태
구성
상태
절대
상태
구성
상태
주격ሊቅ|리크gezሊቀ|리커gezሊቃን|리칸gezሊቃነ|리카너gez
목적격ሊቀ|리커gezሊቀ|리커gezሊቃነ|리카너gezሊቃነ|리카너gez



고전/표준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단수 및 복수 명사는 격과 상태에 대해 종종 동일한 어미를 취하며, 수의 형태론은 어간에 접미사를 붙이거나 어간의 내부 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와 대명사 접미사 사이에는 일정한 형태론적 상호 작용이 있다. 예를 들어, የ|야gez ('나의')가 뒤에 오는 경우, 주격과 목적격 모두에서 결과 형태는 ሊቅየ|리크야gez이다. 그러나 ከ|카gez ('너의', 남성 단수)가 있는 경우 주격 ሊቅከ|리크카gez와 목적격 ሊቀከ|리카카gez를 구분하고, ሁ|후gez ('그의')의 경우 주격 ሊቁ|리쿠gez와 목적격 ሊቆ|리코gez를 구분한다.[42]
내부 복수 패턴내부 복수는 특정 패턴을 따른다.


  • 삼자음 명사:


삼자음 명사의 내부 복수 패턴
패턴단수의미복수
ʾaCCāCልብስ|르브스gez'의복'አልባስ|알바스gez
ፈረስ|파라스gez'말'አፍራስ|아프라스gez
ቤት|베트gez'집'አብያት|아브야트gez
ጾም|촘gez'금식'አጽዋም|아츠왐gez
ስም|슴gez'이름'አስማት|아스마트gez
ʾaCCuCሀገር|하가르gez'국가'አህጉር|아흐구르gez
አድግ|아드그gez'당나귀'አእዱግ|아으두그gez
ʾaCCəC(t)በትር|바트르gez'막대기'አብትር|아브트르gez
ርእስ|르으스gez'머리'አርእስት|아르으스트gez
ገብር|가브르gez'종, 노예'አግብርት|아그브르트gez
ʾaCāCəC(t)በግዕ|바그으gez'양'አባግዕ|아바그으gez
ጋንን|가는gez'악마'አጋንንት|아가느느트gez
CVCaCእዝን|으즌gez'귀'እዘን|으잔gez
እግር|으그르gez'발'እገር|으가르gez
CVCawእድ|으드gez'손'እደው|으다우gez
አብ|아브gez'아버지'አበው|아바우gez
እኍ/እኅው|으후/으흐우gez'형제'አኀው|아하우gez


  • 사자음 명사와 일부 삼자음 명사:


사자음 명사의 내부 복수 패턴
패턴의미단수복수
CaCāCəC(t)'처녀'ድንግል|드느글gezደናግል|다나글gez
'왕자'መስፍን|마스픈gezመሳፍንት|마사픈트gez
'별'ኮከብ|코카브gezከዋክብት|카와크브트gez
'창문'መስኮት|마스코트gezመሳኩት|마사쿠트gez
'닭'ዶርሆ|도르호gezደራውህ|다라우흐gez
'밤'ሌሊት|렐리트gezለያልይ|라얄르이gez
'땅'ብሔር|브헤르gezበሓውርት|바하우르트gez
'강'ውሒዝ|우히즈gezወሓይዝት|와하으즈트gez
'사제'ቀሲስ|카시스gezቀሳውስት|카사우스트gez



이 패턴을 취하는 삼자음 명사는 적어도 하나의 "장모음"을 가져야 한다.

목적격은 접미사 -ä를 붙여 표현하며, 목적격 이외에도 다른 명사에 수식되는 형태(연어형)로도 사용된다. 다른 셈어와 마찬가지로, 목적격 형태는 부사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42]

5. 2. 대명사

그으즈어의 인칭대명사는 인칭, 성, 수에 따라 변화하며, 독립형 대명사와 접미형 대명사가 있다. 지시대명사는 가까운 것을 가리키는 근칭과 멀리 있는 것을 가리키는 원칭으로 나뉘며, 성, 수, 격에 따라 변화한다.[43]

독립 인칭대명사는 1인칭에서는 성 구분이 없으며, 3인칭 단수에서만 주격과 목적격이 구분된다.

독립 인칭대명사[18]
colspan="3" |단수복수
1인칭አነ|아나gezንሕነ|느흐나gez
2인칭남성አንተ|안타gezአንትሙ|안트무gez
여성አንቲ|안티gezአንትን|안튼gez
3인칭남성주격ውእቱ|우으투gezውእቶሙ|우으토무gez, እሙንቱ|으문투gez
목적격ውእተ|우으타gez
여성주격ይእቲ|이으티gezውእቶን|우으톤gez, እማንቱ|으만투gez
목적격ይእተ|이으타gez



접미사 대명사는 명사, 전치사, 동사 끝에 붙는다. 자음으로 끝나는 복수 명사에 대명사 접미사가 붙으면 목적격/구성격 -a|-agez는 사라진다. (보통 -i-|-i-gez가 추가되어 대체됨, 예: -i-hu|-i-hugez, "그의 것").[18]

접미사 대명사[18]
rowspan="2" colspan="3" |기본형자음으로 끝나는
단수 명사와 함께
자음으로 끝나는
복수 명사와 함께
명사/전치사동사주격목적격
단수1인칭-የ|-야gez-ኒ|-니gez-ብየ|-으야gez-ብየ|-으야gez, -ቢየ|-이야gez
2인칭남성-ከ|-카gez-ብከ|-으카gez-በከ|-아카gez-ቢከ|-이카gez
여성-ኪ|-키gez-ብኪ|-으키gez-በኪ|-아키gez-ቢኪ|-이키gez, -ብኪ|-으키gez
3인칭남성ሁ|-후gez-ቡ|-우gez-ቦ|-오gez-ቢሁ|-이후gez
여성-ሃ|-하gez-ባ|-아gez-ቢሃ|-이하gez
복수1인칭-ነ|-나gez-ብነ|-으나gez-በነ|-아나gez-ቢነ|-이나gez
2인칭남성-ክሙ|-크무gez-ብክሙ|-으크무gez-በክሙ|-아크무gez-ቢክሙ|-이크무gez
여성-ክን|-큰gez-ብክን|-으큰gez-በክን|-아큰gez-ቢክን|-이큰gez
3인칭남성-ሆሙ|-호무gez-ቦሙ|-오무gez-ቢሆሙ|-이호무gez
여성-ሆን|-혼gez-ቦን|-온gez-ቢሆን|-이혼gez


5. 3. 동사

동사는 인칭, 성, 수, 시제(과거, 미완료, 명령)에 따라 활용되며, 파생형(사역, 수동, 재귀 등)과 어간형(A형, B형, C형)이 존재한다. 부정은 접두사 ʾi-|ʾi-gez를 통해 표현된다.[46]

동사는 인칭, 성(1인칭 제외), 수에 따라 변화하며, 과거, 미완료, 명령법 및 명령법의 시제에 따라 어간이 변화한다(명령법과 명령법의 어간은 같다). 과거에는 인칭 어미가, 미완료와 명령법에는 인칭 접두사가 붙는다. 동사의 파생형으로는 사역형, 수동·재귀형, 사역·수동형이 있다. 어간의 형태로는 A형(동사 어근의 두 번째 자음을 중복), B형, C형(첫 번째 자음 뒤의 모음을 길게 함)이 구별되지만, 이들은 파생 동사가 아니라 어휘적으로 어떤 동사 어근이 어떤 형태를 취하는지가 결정되어 있다.[45]

일반적인 부정 방식은 접두사 ʾi-|ʾi-gez이며, 악숨 비문에서 확인되는 ''ʾəy-''(이전의 *''ʾay'', 원시셈어 ''*ʾal''에서 구개음화에 의해 유래)에서 유래한다.[46]

인칭완료형미완료형
직설법명령법
1인칭단수qatal-ku|qatal-kugezʾə-qattəl|ʾə-qattəlgezʾə-qtəl|ʾə-qtəlgez
복수qatal-na|qatal-nageznə-qattəl|nə-qattəlgeznə-qtəl|nə-qtəlgez
2인칭남성단수qatal-ka|qatal-kageztə-qattəl|tə-qattəlgeztə-qtəl|tə-qtəlgez
복수qatal-kəmmu|qatal-kəmmugeztə-qattəl-u|tə-qattəl-ugeztə-qtəl-u|tə-qtəl-ugez
여성단수qatal-ki|qatal-kigeztə-qattəl-i|tə-qattəl-igeztə-qtəl-i|tə-qtəl-igez
복수qatal-kən|qatal-kəngeztə-qattəl-ā|tə-qattəl-āgeztə-qtəl-ā|tə-qtəl-āgez
3인칭남성단수qatal-a|qatal-agezyə-qattəl|yə-qattəlgezyə-qtəl|yə-qtəlgez
복수qatal-u|qatal-ugezyə-qattəl-u|yə-qattəl-ugezyə-qtəl-u|yə-qtəl-ugez
여성단수qatal-at|qatal-atgeztə-qattəl|tə-qattəlgeztə-qtəl|tə-qtəlgez
복수qatal-ā|qatal-āgezyə-qattəl-ā|yə-qattəl-āgezyə-qtəl-ā|yə-qtəl-āgez



동사 앞에 접두사 ʾi-|ʾi-gez를 붙여 부정을 표현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ንሕነ ኢንክል ሐዊረ|nəḥna ʾi-nəkl ḥawira|우리는 갈 수 없다gez

6. 현대적 사용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히도, 에리트레아 정교회 테와히도, 에티오피아 가톨릭, 에리트레아 가톨릭 기독교인들과 베타 이스라엘의 예배 언어이며, 기도와 예정된 공개 행사에 사용된다.

기독교 교회에서 사용하는 전례 의식은 에티오피아 전례[26][27][28] 또는 게에즈 전례[29][30][31][32]라고 한다.

참조

[1] harvnb
[2] 서적 Comparative grammar of the Semitic languages Routledge
[3] harvnb
[4] 간행물 Leaders and Religion of the Beth Israel; Festivals PER
[5] multiref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6] multiref
[7] multiref
[8] 논문 The Languages of Ethiopia: A New Lexicostatistic Classification and Some Problems of Diffusion 1971-05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ritrea https://books.google[...] Scarecrow
[10] 서적 Lexikon der untergegangenen Sprachen https://books.google[...] C. H. Beck
[11] 서적 ጥሩ የአማርኛ ድርሰት እንዴት ያለ ነው! Kuraz Publishing Agency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논문 Sounds of Gǝ{{ayin}}ǝz – How to Study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an Ancient Language https://journals.sub[...] 2011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웹사이트
[20] 웹사이트 Ethiopic Language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www.internati[...]
[21] 논문 Note on the Languages of Abyssinia https://www.jstor.or[...] 1935
[22]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D-Ha
[23] 논문 The Obelisk of Matara https://www.jstor.or[...] 1951-04
[24] 웹사이트 "Discovery of earliest illustrated manuscript," Martin Bailey, June 2010 https://archaeologyn[...] Theartnewspaper.com 2010-07-14
[25] 웹사이트 The Arts Newspaper June 2010 – Abuna Garima Gospels http://ethiopianheri[...] Ethiopianheritagefund.org
[26] 서적 The Sanctus in the Eucharistic Pray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Handbook for Liturgical Studies Liturgical Press
[28] 서적 The Rites of Eastern Christendom Gorgias Press LLC
[29] 서적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C. Hurst & Co.
[30]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Eerdmans
[3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Scarecrow Press
[32] 서적 Afrikas Horn Otto Harrassowitz Verlag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