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관차는 스스로 동력을 내어 궤도를 따라 운행하는 차량을 의미하며, 최초의 기관차는 1804년 리처드 트레비식이 개발한 페니다렌호이다. 기관차는 동력 방식에 따라 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등으로 나뉘며, 용도에 따라 여객용, 화물용, 입환용, 특수목적용으로 구분된다. 동력집중식 열차는 기관차와 유사한 동력차와 객차로 구성된 열차이며, 보조 기관차는 출력이 부족하거나 급경사 구간에서 본 기관차를 돕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관차 - 연결봉
연결봉은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는 기계 장치로, 증기 기관이나 내연 기관에서 피스톤과 크랭크축을 연결하며, 강철,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작되고, 특수한 형태로도 사용된다. - 기관차 - 디젤 기관차
디젤 기관차는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며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기식, 유체식으로 나뉘고, 특히 디젤-전기 기관차는 디젤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해 얻은 전력으로 견인 전동기를 작동시키는 현재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 19세기 발명품 - 기관총
기관총은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19세기 개틀링 건에서 시작되어 맥심 기관총을 거쳐 발전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참호전의 주요 무기가 되었으며, 냉각 방식, 사용 탄약, 작동 방식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 제압 사격, 지역 거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 19세기 발명품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기관차 | |
|---|---|
| 개요 | |
| 정의 | 스스로 움직이는 철도 차량 |
| 용도 | 객차 또는 화차를 끌어 철도 노선을 따라 운행 자체 동력으로 승객이나 화물을 운송 |
| 역사 | |
| 초기 동력원 | 말 고정식 엔진 중력 |
| 19세기 후반 주요 동력원 | 증기 기관차 |
| 20세기 주요 동력원 |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
| 동력 방식에 따른 분류 | |
| 증기 기관차 | 석탄, 석유, 나무 등을 태워 물을 끓여 증기를 생산 증기 압력으로 피스톤을 움직여 동력 발생 |
| 디젤 기관차 | 디젤 엔진으로 동력 발생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디젤 전기 기관차, 디젤 액압 기관차, 디젤 기계식 기관차로 분류 |
| 전기 기관차 | 외부 전력 공급을 받아 전동기를 구동하여 동력 발생 가선 또는 제3궤조로부터 전력 공급 |
| 기타 동력 방식 | 가스 터빈 기관차 태양광 기관차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 |
| 세부 유형 | |
| 증기 | 탱크 기관차 관형 보일러 기관차 |
| 전기 | 전기 틸팅 열차 배터리 전기 기관차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기관차 |
| 디젤 | 디젤 다중 장치 디젤-전기 기관차 디젤 센터캡 기관차 |
| 가스 터빈 | 가스 터빈 전기 기관차 |
| 주요 구성 요소 (일반) | |
| 동력 발생 장치 | 증기 보일러 (증기 기관차) 디젤 엔진 (디젤 기관차) 전동기 (전기 기관차) |
| 동력 전달 장치 | 피스톤, 커넥팅 로드 (증기 기관차) 변속기, 차축 (디젤 기관차) 기어, 차축 (전기 기관차) |
| 제어 장치 | 밸브, 레귤레이터 (증기 기관차) 스로틀, 브레이크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
| 차체 및 대차 | 기관차의 뼈대를 이루는 구조물 바퀴와 연결되어 궤도 위를 주행 |
| 기타 | |
| 관련 용어 | 기차 철도 차량 철도 교통 |
2. 기원
리처드 트레비식은 1804년 페니다렌호를 개발하여 기관차 개발의 시초를 열었다. 이후 조지 스티븐슨이 1814년에 개발한 블뤼허호는 현재 증기 기관차의 원형으로 꼽힌다. 이러한 초기 기관차 개발은 이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방식의 기관차 개발로 이어졌다.
"기관차"라는 단어는 locola '장소에서' (locusla '장소'의 조격)와 중세 라틴어 motivusla '운동을 일으키는'에서 유래했으며, "기관차 엔진"이라는 용어의 축약형이다.[1] 이 용어는 1814년 자체 추진식 기관과 정지식 증기 기관을 구분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2]
2. 1. 초기 기관차 개발

리처드 트레비식은 영국 콘월주의 발명가로, 1804년에 최초의 기관차 '''페니다렌호'''를 개발하여 페니다렌의 광업용 궤도에서 처음으로 주행시켰다. 1808년에는 런던에서 원형 서킷을 설치하고 기관차 캐치-미-후-캔(Catch-Me-Who-Can) 호를 시연했으나, 차량 중량을 이기지 못한 주철 궤조가 파괴되어 기관차가 탈선하면서 전시는 중단되었다.
상업적으로 성공한 최초의 기관차는 매슈 머레이(Matthew Murray)가 1812년에 미들턴 철도(Middleton Railway)를 위해 개발한 살라망카(The Salamanca)호이다. 이 차량은 경량으로 주철제 궤조를 파손하지 않았지만, 차륜 점착에 의존하지 않고 전용 톱니바퀴와 궤조를 사용했다.
1813년에는 크리스토퍼 블랙킷(Christopher Blackett)과 윌리엄 헤들리(William Hedley)가 와일럼 탄광 철도(Wylam Colliery Railway) 용도로 개발한 퍼핑 빌리(Puffing Billy)호가 등장했는데, 이는 점착식 구동을 달성한 최초의 차량이다. 이 차량은 여러 차륜에 하중을 분산시켜 이를 달성했으며, 현재 영국에 보존 중이다.
1814년, 영국의 조지 스티븐슨은 트레비식과 헤들리의 기관차에 영향을 받아 킬링워스 탄광(Killingworth Colliery) 경영자를 설득하여 증기식 철도를 설치하고 블뤼허(Blücher) 호를 만들었다. 이 차량은 플렌지가 붙은 차륜, 점착 의존 방식, 실린더와 차륜 직접 연결 등 현재 증기 기관차의 원형을 갖춘 첫 차량으로 꼽힌다.
스티븐슨의 설계는 이후 기관차 설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는 1825년 최초의 공공철도인 스탁턴 앤드 달링턴 철도(Stockton and Darlington Railway)의 로코모션(Locomotion)호와 1829년 제작된 '''로켓(Rocket)호'''를 만들었다. 로켓호는 최초의 기관차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지만, 이후 기관차의 원형적 요소를 완성한 차량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이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방식의 기관차가 개발되었다.
3. 분류
기관차는 연료(목재, 석탄, 석유, 천연가스)를 연소시켜 동력을 얻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동력을 얻는다. 에너지원에 따라 기관차를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1. 동력 방식에 의한 분류
기관차는 동력 방식에 따라 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등으로 분류된다. 기관차 이전에는 인력, 마력, 중력, 케이블 시스템을 구동하는 정지형 엔진 등 다양한 저기술 방식으로 철도 동력을 생산했으나,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기관차는 연료(목재, 석탄, 석유, 천연가스)를 연소시켜 동력을 얻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동력을 얻는다. 에너지원에 따라 기관차를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다.

| 구분 | 종류 |
|---|---|
| 외연 기관차 | 증기 기관차(SL), 무화증기기관차, 열기 기관차(HL) |
| 내연 기관차 | 디젤 기관차(DL), 가솔린 기관차(PL), 등유 기관차(KL), 벤젠 기관차(BL), 나프탈렌 기관차(NL), 가스 기관차 |
| 전기 기관차(EL) | 축전지 기관차 |
| 기타 | 하이브리드 기관차, 공기 기관차(AL), 압축공기식 기관차, 원자력 기관차, 인력 기관차 |
무화증기기관차와 압축공기식 기관차를 통칭하여 무화 기관차라고 부르기도 한다. 객차에 동력 장치를 탑재한 것은 그 동력에 따라 전동차, 기관차 등으로 불린다.
최초의 내연기관 철도 차량은 1887년 갓틀리프 다임러가 제작한 등유 동력의 자전거식 기관차(draisine)이었으나,[15] 탑재량을 운반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기관차는 아니었다.
내연기관 기관차는 변속기를 통해 구동륜에 연결된 내연기관을 사용하며, 기관차가 정지해 있든 움직이든 엔진을 거의 일정한 속도로 작동시킨다. 내연기관 기관차는 연료 종류에 따라 분류되고, 변속기 종류에 따라 세분된다.
3. 1. 1. 증기 기관차
증기 기관차는 연료를 연소시키거나 다른 열원을 바탕으로 증기를 발생시켜 그 분압을 이용, 동력을 얻는 기관차이다. 사용하는 연료는 숯, 석탄에서 유류, 원자력까지 다양하다. 증기 기관차는 구동 방식, 연료 및 물 적재 방식, 차륜 배치, 차량 구조, 열원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지만, 엄밀한 분류 체계는 없다.19세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철도 동력원의 주류였으나, 효율이 낮고 정비할 요소가 많아 현재는 현업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
대한민국에서는 1899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모가형 증기 기관차가 도입된 이래 20세기 전반에 걸쳐 사용되었다. 그러나 1967년 정기열차에서 폐지되었고, 1983년 보존 차량 폐지로 현업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이후 관광용으로 1994년 대한민국 철도청 900호대 증기 기관차 1량이 도입되어 서울교외선에서 운행하다 2000년 5월 15일 운행이 중지되었다.[3][4][5][6][7][8][9][10][11][12][13][14]

3. 1. 2. 디젤 기관차
내연 기관을 사용하여 그 동력을 얻는 기관차를 통틀어 내연 기관차라고 한다. 가솔린 기관을 사용하는 가솔린 기관차, 디젤 기관을 사용하는 디젤 기관차, 가스 터빈을 사용하는 가스터빈 기관차 등으로 구분된다. 19세기 말부터 내연기관을 철도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동력전달 방식이 어려워 초기에는 본선 용도보다는 동차나 소형 입환용으로 사용되었다. 1920년대 전후 미국에서 디젤-전기식 동력전달장치가 실용화되고, 1950년대 유럽에서 액압식 동력전달장치가 실용화되면서 내연기관은 철도 동력 방식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초기 내연 기관차는 주로 가솔린 기관을 사용했으나, 화재 위험 때문에 점차 디젤 기관으로 바뀌었다. 현재는 대부분의 내연 기관차가 디젤 기관을 사용한다. 가스 터빈식도 잠시 주목받았지만 연비, 운전, 정비성 문제로 주류가 되지 못했다.대한민국에서는 1955년 3월 UN군으로부터 인수한 2000호대 디젤 기관차가 최초이다.[15] 현재 대한민국에서 운용되는 내연 기관차는 디젤 기관차가 유일하며, '내연 기관차'라는 분류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디젤 기관차는 디젤 엔진으로 구동된다. 초기 디젤 추진 개발에는 다양한 전달 시스템이 사용되었으며, 그중 전기식 전달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1914년,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의 전기 엔지니어 헤르만 렘프(Hermann Lemp)는 안정적인 직류(direct current) 전기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특허를 받았다.[17] 렘프의 설계는 단일 레버를 사용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조정된 방식으로 제어하는 방식이었으며, 모든 디젤-전기 기관차 제어의 원형이 되었다. 1917년부터 1918년까지 GE는 렘프의 제어 설계를 사용하여 세 대의 실험용 디젤-전기 기관차를 생산했다.[18] 1924년에는 유리 로모노소프(Yury Lomonosov)가 이끄는 팀이 설계하고 독일의 마시넨파브리크 에슬링겐(Maschinenfabrik Esslingen)에서 제작한 디젤-전기 기관차(러시아 Eel2형 기관차(Eel2, 원래 번호 Юэ 001/Yu-e 001))가 운행을 시작했다. 이 기관차는 5개의 구동 차축(1'E1')을 가지고 있었으며, 1925년부터 1954년까지 거의 30년 동안 열차를 운행했다.[19]


3. 1. 3. 전기 기관차
전기 기관차는 보통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운행하는 기관차를 의미하며, 넓게는 전기식 구동을 채택하는 증기 및 디젤 기관차를 포함하여 전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통칭한다.
전기 기관차는 독일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이후 도시 지역의 노면전차 등 궤도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오다가, 대출력 전동기를 제작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되면서 일반적인 철도에도 적용되게 되었다. 기술적으로 미성숙한 시기에는 유지관리나 시설 확충의 어려움으로 인해 급구배 및 장대터널 구간 용도로 한정되었다. 그러나 전력 및 제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적용 범위는 점차 확대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내연 기관차와 함께 철도 동력 방식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특히 1970년대의 오일쇼크에 따른 연료비 문제, 환경 문제, 선로 과밀 문제에 부응할 필요가 늘어남에 따라 전기 기관차의 입지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제강점기인 1944년에 경원선에 투입된 3000V용 데로형 전기 기관차가 최초이나, 이 구간은 현재 북한 지역에 속하며 차량 역시 북한이 인수하였다. 이후 전기 기관차는 사용되지 않다가 1968년에 산업선 전철화가 착공되면서 프랑스로부터 상용교류를 사용하는 8000호대 전기 기관차가 도입되며 본격적으로 운용되었다. 현재 8200호대 전기 기관차와 8500호대 전기 기관차를 필두로 그 채용이 늘고 있다.
전기 기관차는 사용하는 전력의 종류, 급전 방식, 전동기 제어 방식 등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된다.
- 급전 방식에 따른 구분
- * 가공가선식
- * 전력궤조식
- ** 제3궤조 방식
- ** 제4궤조 방식
3. 1. 4. 기타 동력 기관차
하이브리드식 기관차는 보통 전기식 내연 기관차에 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탑재하여, 그 동력원으로 내연기관과 전지 어느 한쪽이나 양쪽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기관차를 의미한다. 최근의 환경 문제나 연료비 절감을 위해 도입된 방식으로, 미국 등지에서 개발되어 일부 활용되고 있다.
전지식 기관차는 차체에 전지를 탑재하여 이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기관차이다. 대개 이들 전지는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이나, 일각에서는 연료 전지를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전지식 기관차는 가동시간이 부족하거나 출력에 비해 무게가 무거운 경우가 많으나, 대신 대규모의 급전 시설이 불필요하고 공기를 소모하지 않으며, 이선 현상에 따른 스파크 발생이 없어서, 폭발의 위험이 있거나 공기의 오염 우려가 심각한 곳에서 종종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분진을 취급하는 공장 구내의 화물 견인 기관차, 광산 등지에서 사용되는 광차, 입환용 기관차에 사용된다.[42]
공압식 기관차는 차체에 고압의 압축 공기를 탑재하고, 그 압력으로 구동하는 기관차이다. 이 방식의 기관차는 전기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강점이 있으나, 동력 성능이 떨어지고 압축 공기의 관리에 따른 어려움이 있으며 구동시간이 짧아 현재는 거의 도태된 상태이다. 과거 주로 탄광 등의 광차로, 짧은 거리에 사용하였다.[43]
3. 2. 용도에 따른 분류
기관차는 용도에 따라 크게 여객용, 화물용, 입환용, 특수목적용으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은 차량의 크기, 중량, 견인 특성, 견인력, 출력, 최고 속도, 동륜 직경 또는 종감속비, 서비스 장비 등 여러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41]여객 열차와 화물 열차 모두를 위해 설계된 혼합형 기관차(미국 영어: 범용 또는 로드 스위처 기관차)는 화물 기관차만큼 높은 초기 견인력을 발휘하지는 못하지만, 여객 기관차보다 더 무거운 열차를 견인할 수 있다.[41]
증기 기관차는 동륜의 직경이 초기 견인력과 최대 속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디젤 전기 기관차 및 전기 기관차의 경우, 주행 전동기와 차축 사이의 제어 시스템이 화물 또는 여객 운행을 위해 동력 출력을 조정한다.[41]
신칸센 네트워크와 같은 일부 고속 열차는 전동차(EMUs) 또는 디젤 동차(DMUs)를 사용하여 기관차를 사용하지 않는다.[41]
3. 2. 1. 여객용 기관차
여객용 기관차는 대개 최고 속도를 중시하며, 객차의 조명 및 냉난방을 위한 발전기나 증기 발생기 등 부가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41] 여객 기관차는 초기 견인력은 낮지만, 여객 운행 일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높은 속도로 운행할 수 있다.[41] 또한, 선두 전력 공급 장치(호텔 전력 또는 전동차 전력 공급이라고도 함) 또는 증기 발생기와 같은 다른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41]일부 고속 열차는 기관차를 사용하며, 푸시풀 방식으로 운행되기도 한다. 이러한 열차의 예로는 레일젯과 인터시티 225가 있다.[41] TGV, 탈고, 일부 KTX, ICE 1/ICE 2 및 인터시티 125를 포함한 많은 고속 열차는 승객을 위한 공간이 없고, 기술적으로 특수한 단방향 기관차인 전용 동력차를 사용한다.[41]
증기 기관차가 주류였던 시대에는 여객용과 화물용의 구분이 명확했다. 여객용 증기 기관차는 큰 바퀴를 비교적 적게 가진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여객용 증기 기관차 대부분이 동륜이 3축인 'C형'이었다.
전기 기관차나 디젤 기관차에서도 초기에는 여객용과 화물용 구분이 있었다. 예를 들어 여객용 전기 기관차인 EF58형 전기 기관차는 기어비가 크게 달라 고속 성능을 중시했다.
3. 2. 2. 화물용 기관차
화물용 기관차는 여객용 기관차와 반대로 견인력을 중시하며, 적정한 중량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여객 취급에서나 요구되는 부가 장치는 생략하는 예가 많다.[41]화물 기관차는 일반적으로 높은 초기 견인력과 높은 지속적인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통해 길고 무거운 열차를 출발시키고 이동시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최대 속도는 상대적으로 낮다.[41]
증기 기관차의 경우, 화물 운송용으로 설계된 기관차는 일반적으로 여객 기관차보다 동륜의 직경이 작다. 디젤 전기 기관차 및 전기 기관차의 경우, 주행 전동기와 차축 사이의 제어 시스템은 화물 운행을 위해 레일에 대한 동력 출력을 조정한다.[41]
증기기관차가 주류였던 시대에는 여객용과 화물용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경향이 있었다. 증기기관차는 성능 특성상, 동륜의 최대 회전수는 차체나 보일러의 크기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고, 그것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동륜의 직경과 피스톤의 스트로크량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큰 것은 륜축의 원리에 따라 고속 주행이 가능해지지만, 그만큼 토크가 떨어지므로 견인력도 떨어진다. 또한 증기기관차의 경우, 고정 축거는 동륜의 크기와 수에 따라 결정되지만, 이것에는 상한이 있는 반면 동륜의 수가 많으면 접착에는 유리하다. 따라서, 화물용 증기기관차는 작은 동륜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 많았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화물용 증기기관차의 대부분은 4축인 「D형」이다.[41]
전기기관차나 디젤기관차에서도 초기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화물용 전기기관차인 EF15형 전기기관차는 기어비가 여객용과 크게 달라서 견인력 중시였다.[41]
3. 2. 3. 입환용 기관차
입환용 기관차는 고속 주행 성능이 불필요한 대신, 제동력이 우수하고 잦은 가감속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특성은 여객용이나 화물용 기관차와는 구분된다. 이러한 성능을 모두 충족하도록 성능을 조율한 범용 기관차 또는 혼합 교통용 기관차도 존재한다.[41]3. 2. 4. 특수목적용 기관차
운전이나 선로의 특성에 따라 기관차를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차량 한계, 축중, 궤간의 제한이 있는 구간이나, 급경사, 급커브 구간, 또는 랙 레일과 같은 특수한 시설이 설치된 구간에는 그에 맞는 전용 기관차가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아프트식 철도용 기관차, 협궤 기관차, 방폭형 기관차 등이 있다.한편, 연결하는 차량의 제어 방식이나 연결기 방식, 서비스 공급 등에 따라서 전용 기관차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운전대가 부착된 객차를 견인하거나, 기관차의 중련 운전을 위해 총괄제어나 원격 제어 기능이 부착된 경우에는 이를 형식상으로 따로 구분한다. 또한 과거 증기식 난방 장치의 경우, 연결 가능한 기관차가 제한되기도 했다.
3. 3. 크기에 따른 분류
크기에 따른 분류는 기관차의 출력, 최대 견인량, 중량 등을 고려한 분류 체계이다.대한민국에서는 관리상 편의를 위해 디젤 기관차를 소형, 중형, 대형, 특대형으로 분류했으나, 현재는 중형과 특대형으로 양분되어 큰 의미는 없다.
| 구분 | 해당 기관차 |
|---|---|
| 소형 기관차 | 2000호대, 2100호대, 9100호대 디젤 기관차 |
| 중형 기관차 | 3000호대, 3100호대, 3200호대, 4000호대, 4100호대 4200호대, 4300호대, 4400호대 디젤 기관차 |
| 대형 기관차 | 5000호대, 6000호대, 6100호대, 6200호대, 6300호대 디젤 기관차 |
| 특대형 기관차 | 7000호대, 7100호대, 7200호대, 7300호대, 7400호대, 7500호대, 7600호대 디젤 기관차 |
| 전기 기관차 | 8000호대, 8100호대, 8200호대, 8500호대 전기 기관차 |
4. 동력집중식 열차
객차나 화물칸 없이 기관차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동력차와 객차로 구성된 열차도 전차나 기관차로 분류된다. 이러한 동력차는 특정 객차나 화차와 고정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관차로 분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철에는 프랑스의 TGV, 독일의 ICE 1·ICE 2, 오스트리아의 레일젯 등이 있다. 기관차에는 독일에서 TEE에 사용되었던 VT11.5형이나 영국의 인터시티 125 등이 있다. 일본에서도 JR화물이 운용하는 M250계 전동차(슈퍼 레일카고)가 있다.[1]
5. 보조 기관차
기관차 1량으로는 출력이 부족한 경우, 기관차를 2량 이상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보조 기관차를 마지막에 연결하여 뒤에서 밀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급경사 구간을 주행할 때 부스터처럼 사용하는 경우와 열차의 견인 정수가 클 때 행해진다.
급경사 구간 등에서 사용되는 보조 기관차는 보조기관차라고 한다. 일본에서도 ED79형 전기 기관차는 보조 기관차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안전 장치를 간략화한 차량이 있다.
기관차를 2량 이상 연결하는 것을 중련이라고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Locomotive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08-06-02
[2]
뉴스
Most Important and highly Valuable Sea-Sale Colliery, Near Newcastle-on-Tyne, to be sold by auction, by Mr. Burrell
1814-02-12
[3]
서적
Life of Richard Trevithick: With an Account of His Inventions, Volume 1
E.&F.N.Spon
1872
[4]
웹사이트
Richard Trevithick's steam locomotive | Rhagor
https://web.archive.[...]
Museumwales.ac.uk
2009-11-03
[5]
뉴스
Steam train anniversary begins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2-21
[6]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imothy Hackworth and the Locomotive
The Book Guild
[8]
서적
Developments and Changes in Science Based Technologies
Partridge Publishing
2014
[9]
서적
Encyclopedia of Railroads
Galahad Books
1977
[10]
서적
The Pictorial Encyclopedia of Railways
Hamlyn Publishing Group
[11]
문서
Ellis
[12]
웹사이트
Diesel Locomotives. The Construction of and Performance Obtained from the Oil Engine
http://mikes.railhis[...]
2007-10-04
[13]
저널
New Motors on Railroads: Electric and Gasoline Cars Replacing the Steam Locomotive
https://books.google[...]
2009-07-10
[14]
웹사이트
DIESEL LOCOMOTIVES
http://mikes.railhis[...]
2007-10-04
[15]
웹사이트
Daimler Motorwagen
https://www.technisc[...]
2019-04-12
[16]
잡지
The Railroad Equipment of the Yellow Aster Gold Mine Part 1: The Locomotives
2024-11
[17]
특허
US Patent No. 1,154,785
http://www.google.co[...]
1915-09-28
[18]
서적
[19]
웹사이트
The first russian diesel locos
http://izmerov.narod[...]
2017-12-02
[20]
웹사이트
Electrification of U.S. Railways: Pie in the Sky, or Realistic Goal? | Article | EESI
https://www.eesi.org[...]
2020-04-07
[21]
웹사이트
Richmond Union Passenger Railway
https://web.archive.[...]
IEEE History Center
2008-01-18
[22]
서적
London's Lost Tube Schemes
Capital Transport
[23]
서적
B&O Power
[24]
서적
Made in Hungary: Hungarian Contributions to Universal Culture
https://archive.org/[...]
Simon Publications LLC
[25]
서적
Hungarian Contributions to World Civilization
Alpha Publications
[26]
서적
Organ für die fortschritte des eisenbahnwesens in technischer beziehung
[27]
서적
Elektrotechnische Zeitschrift: Beihefte, Volumes 11–23
VDE Verlag
[28]
서적
L'Eclairage électrique, Volume 48
[29]
웹사이트
Kálmán Kandó (1869–1931)
https://web.archive.[...]
mszh.hu
2008-08-10
[30]
웹사이트
Kalman Kando
http://www.omikk.bme[...]
2011-10-26
[31]
웹사이트
Kalman Kando
https://archive.toda[...]
2009-12-05
[32]
서적
Mine Planning and Equipment Selection
Balkema
[33]
웹사이트
EMD Joule Battery Electric Locomotive arrives in Southern California
https://www.trains.c[...]
Kalmbach Media
2023-04-21
[3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https://archive.org/[...]
Routledge
[35]
서적
Our Home Railways
Frederick Warne and Co
[36]
서적
Treni
De Agostini
2003
[37]
논문
Mineral resources of Alaska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19
[38]
웹사이트
List of Kennecott Copper locomotives
https://web.archive.[...]
2017-12-02
[39]
웹사이트
A Rogue's Gallery: The TTC's Subway Work Car Fleet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transittoront[...]
2020-03-16
[40]
간행물
Atomic Locomotive Produces 7000 h.p.
https://books.google[...]
Popular Mechanics
1954-04
[41]
간행물
What Drives Electric Multiple Units?
http://www.ejrcf.or.[...]
East Japan Railway Culture Foundation
1998
[42]
웹사이트
国鉄AB10形電気機関車
https://ja.wikipedia[...]
[43]
웹사이트
Fireless_locomotive
https://en.wiki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