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자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자실은 정부 부처, 정당, 기업, 사법기관 등에 기자들이 상주하며 취재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대한민국, 일본,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운영되며, 특히 대한민국과 일본은 모든 중앙 부처에 기자실을 설치하는 등 기자실 운영에 차이를 보인다.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언론 통제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으며, 2000년대 초반 개방형 브리핑룸 제도가 도입되기도 했으나, 이명박 정부에서 다시 기자실 체제로 회귀했다. 일본의 기자실은 기자클럽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정보 독점, 폐쇄적인 운영 등의 비판을 받는다. 미국은 기자실과 브리핑룸을 구분하여 운영하며, 국제 연합에도 기자실이 설치되어 있다.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기자실은 정부 부처, 정당, 기업, 사법기관 등에 설치되었으며 기자단 소속 기자들이 상주하였다. 기자단은 1920년대에 처음 나타났으며, 일본의 기자클럽의 영향을 받아 같은 출입처를 가진 기자들이 결성하였다. 1963년 박정희 정부는 효과적인 언론 통제를 위해 청와대에 기자실을 설치하고 출입 여부를 승인하였다. 이때부터 기자실은 공식적인 취재 제도로 정착하였다.

1972년에 프레스 카드를 도입하여 주간지와 월간지 기자의 기자실 출입을 금지하였다. 이때부터 출입기자단 가입이 까다로워지고 출입기자단이 기자실을 독점적, 폐쇄적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언론 통폐합으로 언론사가 줄어들어 기자실은 특권을 공유하는 곳으로 변질되었다. 1990년대 신생 언론사가 급격하게 늘어났고 언론사 간에 경쟁이 치열해졌다. 그러나 출입 기자단은 가입하지 않은 언론사는 기자실을 이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출입기자단 미가입 언론사들은 기자실의 폐쇄적 운영을 비판하였다.

2003년 노무현 정부는 정부 부처에 설치된 기자실을 개방하여 브리핑룸과 송고실로 개편하는 개방형 브리핑룸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기자실을 되살리기로 결정했다.

한국 정부의 조사(2007년)에 따르면[8], 중앙 부처에 기자가 상주하는 기자실을 설치한 국가는 이탈리아와 일본, 한국뿐이다. 모든 중앙 부처에 기자실을 설치한 국가는 일본과 한국뿐이다. 이탈리아와 미국의 기자실은 일부 부처에만 있다.

한국에서는 2003년에 기자클럽이 폐지되고, "개방형 브리핑"(개방형 기자회견)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각 부처의 기자실과 기자회견실은 그대로 남았다. 시민 기자 등 신규 진입자는 괴롭힘을 당해 제대로 취재할 수 없었다. 2007년, 노무현 대통령은 "취재 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부처별 기자실과 기자회견실을 폐지하고, 지역별로 3개의 "합동 브리핑 센터"를 새로 만들어 '''기자실 통폐합'''을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공무원에 대한 개별 취재 창구를 일원화하고, 기자 발표를 인터넷으로 중계함으로써 기자실을 불필요하게 만들었다[9]. 기자클럽(출입 기자단)은 반발했지만, 기자실 통폐합은 실시되었다. 그러나 2008년 이명박이 대통령에 취임하자[10], 통폐합은 중단되었다. 부처별 기자실과 기자회견실은 부활했다.

2. 1. 비판과 논란

대한민국의 기자실은 정부 부처, 정당, 기업, 사법기관 등에 설치되었으며 기자단 소속 기자들이 상주하였다. 기자단은 1920년대에 처음 나타났으며, 일본의 기자클럽의 영향을 받아 같은 출입처를 가진 기자들이 결성하였다. 1963년 박정희 정부는 효과적인 언론 통제를 위해 청와대에 기자실을 설치하고 출입 여부를 승인하였다. 이때부터 기자실은 공식적인 취재 제도로 정착하였다. 1972년에 프레스 카드를 도입하여 주간지와 월간지 기자의 기자실 출입을 금지하였다. 이때부터 출입기자단 가입이 까다로워지고 출입기자단이 기자실을 독점적, 폐쇄적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언론 통폐합으로 언론사가 줄어들어 기자실은 특권을 공유하는 곳으로 변질되었다. 1990년대 신생 언론사가 급격하게 늘어났고 언론사 간에 경쟁이 치열해졌다. 그러나 출입 기자단은 가입하지 않은 언론사는 기자실을 이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출입기자단 미가입 언론사들은 기자실의 폐쇄적 운영을 비판하였다. 2003년 노무현 정부는 정부 부처에 설치된 기자실을 개방하여 브리핑룸과 송고실로 개편하는 개방형 브리핑룸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기자실을 되살리기로 결정했다.

2. 2. 개선 노력과 한계

대한민국의 기자실은 정부 부처, 정당, 기업, 사법기관 등에 설치되었으며 기자단 소속 기자들이 상주하였다. 기자단은 1920년대에 처음 나타났으며, 일본의 기자클럽의 영향을 받아 같은 출입처를 가진 기자들이 결성하였다. 1963년 박정희 정부는 효과적인 언론 통제를 위해 청와대에 기자실을 설치하고 출입 여부를 승인하였다. 이때부터 기자실은 공식적인 취재 제도로 정착하였다.

1972년에는 프레스 카드를 도입하여 주간지와 월간지 기자의 기자실 출입을 금지하였다. 이때부터 출입기자단 가입이 까다로워지고 출입기자단이 기자실을 독점적, 폐쇄적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언론 통폐합으로 언론사가 줄어들어 기자실은 특권을 공유하는 곳으로 변질되었다. 1990년대 신생 언론사가 급격하게 늘어났고 언론사 간에 경쟁이 치열해졌다. 그러나 출입 기자단은 가입하지 않은 언론사는 기자실을 이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출입기자단 미가입 언론사들은 기자실의 폐쇄적 운영을 비판하였다.

2003년 노무현 정부는 정부 부처에 설치된 기자실을 개방하여 브리핑룸과 송고실로 개편하는 개방형 브리핑룸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기자실을 되살리기로 결정했다.

3. 일본

일본의 기자실은 대한민국과 매우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기자실은 정부 부처 및 정당에 설치되어 있고, 자동차, 철강, 전력, 무역 등의 업계 단체에도 설치되어 있다.[14] 기자실에는 기자클럽 소속 기자들이 상주한다. 기자클럽은 기자실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독점하고 가입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기자실은 일본 특유의 시스템이다. 임의 단체에 불과한 특정 기자클럽이 공적 기관의 설비를 독점적으로 대여받아 배타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시적인 작업 공간이라기보다는 기자가 출근하는 무료 분실로 변모했다. 전국지는 1사당 연간 수억 엔의 사무실 비용을 면제받고 있다. 또한 기자실은 기자회견장과 마찬가지로 대여주로부터의 정보 제공 및 대여주에 대한 개별 취재의 장이 되고 있다. 그러나 성역화되어 기자클럽에 속하지 않은 미디어는 입실할 수 없다. 기자클럽의 이권 중 하나로 문제시되고 있다.

기자실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 후반 이후, 가마쿠라시나가노현 등 일부 지방 공공 단체에서 폐지되었다. 그러나 중앙 관청에서는 아직 신설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후반, 노무현 정부 주도로 중앙 관청의 기자실이 원칙적으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에서 현재는 부활했다.

3. 1. 특징

일본의 기자실은 대한민국과 매우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14] 기자실은 정부 부처, 정당, 자동차, 철강, 전력, 무역 등의 업계 단체에 설치되어 있으며,[14] 기자클럽 소속 기자들이 상주한다. 기자클럽은 기자실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독점하고 가입을 엄격하게 제한한다.

중앙성청의 기자 클럽은 기자실과 기자회견장을 함께 대여받는다. 관공서가 입주하는 주요 오피스 빌딩에 40㎡~700㎡[1]를 점유하고 있다.

기자회견장보다 2배~6배 넓은 공간에[1] 특정 기자만 상주하는 장소가 마련되어 있다. 책상, 의자, 응접 세트, 전화 및 팩스, 플라즈마 TV, 신문[2] 등의 비품이 무상으로 제공된다. 보도 협정 연락용 흑판이 설치되어 있고, 전용 접수처에는 공무원이 상주한다.

기자는 매일 기자실에 출근하여 홍보부 직원 등이 가져오는 보도 자료를 받거나, 업계 단체나 시민 단체 등에서 보도 자료를 '''투고'''받아 발표 보도를 진행한다.[3] 스스로 취재하지 않아도 기사를 쓸 수 있지만, 특종 누락을 막기 위해 퇴근 시간까지 상주해야 한다.[4] 기자실은 보도 협정 등 클럽의 규칙을 따르도록 상호 감시하는 장이기도 하다.

3. 2. 비판과 논란

일본의 기자실은 대한민국과 매우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 부처, 정당, 업계 단체 등에 설치되어 있다.[14] 기자실은 기자클럽 소속 기자들이 상주하며 정보를 독점하고 가입을 제한하는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14]

일본신문협회는 공공기관이 기자실을 설치하는 것은 행정상의 책무이며,[5] 공권력 감시와 정보 발굴에 의미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공공기관이 특정 기자클럽에 기자실을 대여하는 것은 공유재산의 목적 외 사용(일본국 헌법 제89조 위반)이라는 비판이 있다.[5]

기자실은 밀실이며 감시가 어렵고 사유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1990년대 도쿄도청의 유라쿠 기자클럽에서는 마작방을 설치하기도 했다.[6] 기자실 설치 및 유지에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이와세(1996년)는 전국적으로 약 110억 7761만 엔(첫 해)[7], 우에스기 타카시는 2009년 중앙 관청에서만 약 13억 4309만 엔[1]의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산했다.

기자실 운영 비용은 대부분 설치자가 부담하는 관행이 있다. 일부에서는 기자들이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게이단렌과 지방 자치 단체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일본 신문 협회는 임대료에 대해 묵살하고 있다. 중앙 관청 기자실의 전기 요금은 국비로 충당되며, 전화 및 팩스 요금, 신문 구독료도 일부 국비로 지원된다.[3]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기자실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2009년 발족한 소비자청에도 기자실이 설치되었다.

3. 3. 폐지 움직임

일본의 기자실은 대한민국과 매우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기자실은 정부 부처 및 정당에 설치되어 있고, 자동차, 철강, 전력, 무역 등의 업계 단체에도 설치되어 있다.[14] 기자실에는 기자클럽 소속 기자들이 상주한다. 기자클럽은 기자실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독점하고 가입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14]

1996년 4월,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는 기자실을 폐지하고 자유 등록제인 "홍보 미디어 센터"를 개설했다. 2001년 5월, 나가노현은 탈·기자클럽 선언을 발표했다. 현청 기자실을 폐지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프레스 센터 "표현 도장"을 개설했다. 2001년 6월, 도쿄도는 가치바시·유라쿠 기자클럽에 임대료를 지불하도록 요청했다. 도쿄도청에서는 기자실의 마작방 문제가 발생했었다. 이후 요청은 철회되었다.

4. 미국

미국은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 의회 등의 정부 부처 내에 기자들이 상주할 수 있는 기자실을 설치해두고 있다.[15] 그러나 대한민국의 기자실이 브리핑룸의 기능까지 했던 것과 달리 기자실과 브리핑룸을 엄격하게 구분하고 있다.[15] 기자실에 상주하지 않는 기자라도 정식 출입증이나 임시 출입증을 가지고 있으면 브리핑룸에 들어가 브리핑을 듣고 질의응답을 할 수 있다.[15]

한국 정부의 조사(2007년)에 따르면[8], 중앙 부처에 기자가 상주하는 기자실을 설치한 국가는 이탈리아와 일본, 한국뿐이다. 모든 중앙 부처에 기자실을 설치한 국가는 일본과 한국뿐이며, 이탈리아와 미국의 기자실은 일부 부처에만 있다. 미국의 국무부, 국방부, 법무부에는 홍보부와 일체화된 기자실이 있다.

미국의 기자실은 상주 언론사별 부스와 책상은 있지만, 일본의 기자클럽과 같은 휴식을 위한 소파나 냉장고는 없다[11]。프랑스의 TV 다큐멘터리 "가깝고도 먼 대통령 - 백악관 기자의 딜레마 -"에서 백악관 기자단과 기자실 내부, 미국의 주요 언론사가 우선적으로 취재하는 모습이 자세히 보도되었다.

5. 기타 국가

이탈리아는 총리실 기자실에 통신사 기자 6명만 상주하고 있다.[13] 한국 정부의 조사(2007년)에 따르면[8], 중앙 부처에 기자가 상주하는 기자실을 설치한 국가는 이탈리아와 일본, 한국뿐이다. 모든 중앙 부처에 기자실을 설치한 국가는 일본과 한국뿐이다. 이탈리아와 미국의 기자실은 일부 부처에만 있다. 이탈리아 총리실에는 통신사 기자가 수 명 상주하고 있다. 미국의 국무부, 국방부, 법무부에는 홍보부와 일체화된 기자실이 있다.

미국의 기자실은 상주 언론사별 부스와 책상은 있지만, 일본의 기자클럽과 같은 휴식을 위한 소파나 냉장고는 없다[11]。프랑스의 TV 다큐멘터리 "가깝고도 먼 대통령 - 백악관 기자의 딜레마 -"에서 백악관 기자단과 기자실 내부, 미국의 주요 언론사가 우선적으로 취재하는 모습이 자세히 보도되었다. 이 다큐멘터리는 일본에서도 NHK가 방영했다.

국제 연합에도 기자가 상주하는 기자실이 설치되어 있다[12]

6. 국제 연합

한국 정부의 조사(2007년)에 따르면[8], 중앙 부처에 기자가 상주하는 기자실을 설치한 국가는 이탈리아와 일본, 한국뿐이다. 모든 중앙 부처에 기자실을 설치한 국가는 일본과 한국뿐이다. 이탈리아와 미국의 기자실은 일부 부처에만 있다. 국가 기관은 아니지만, 국제 연합에도 기자가 상주하는 기자실이 설치되어 있다[12]

참조

[1] 서적 『記者クラブ崩壊』
[2] 서적 『記者クラブ崩壊』
[3] 서적 『新聞が面白くない理由』
[4] 웹사이트 取材現場では何が起きているのか? 新聞記者と雑誌記者に違い(5) https://www.itmedia.[...] Business Media 誠 2009-11-30
[5] 웹사이트 記者クラブに関する日本新聞協会編集委員会の見解 http://www.pressnet.[...] 日本新聞協会 2002-01-17
[6] 서적 『新聞が面白くない理由』
[7] 서적 『新聞が面白くない理由』
[8] 웹사이트 정부와 언론관계더 투명해져야 합니다 http://www.korea.kr/[...] www.korea.kr 2007-05-31
[9] 웹사이트 韓国政府の「記者室統廃合」で市民記者はよみがえるか http://it.nikkei.co.[...] IT PLUS 2007-06-12
[10] 웹사이트 前政権の取材支援システム先進化案、憲法訴願が却下 http://www.wowkorea.[...] WoW!Korea & YONHAP NEWS 2008-12-26
[11] 서적 ホワイトハウスとメディア 중앙공론사
[12] Twitter yasuomisawa / Twitter 2012年4月19日 https://twitter.com/[...]
[13] 뉴스 정부 기자실, 선진국에는 없다 http://korea.kr/news[...] 국정브리핑
[14] 간행물 특집 / 기자실이 바뀐다 : 일본 기자클럽의 변화 http://www.kpf.or.kr[...] 신문과 방송
[15] 간행물 특집 / 기자실이 바뀐다 :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 http://www.kpf.or.kr[...] 신문과 방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