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성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임은 1839년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성인이다. 부평에서 시집와 '부평댁'으로 불렸으며, 불우한 환경 속에서 천주교를 받아들였다. 맹인과 재혼하는 등 고난 속에서도 신앙을 지키며, 1839년 동료 신자들과 함께 자수하여 순교했다. 1925년 복자,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7년 출생 -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는 나폴레옹에 반대하며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와 결혼하여 반(反) 나폴레옹 세력의 중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지원 약속을 받아내고 빈 회의를 주최했으나, 고향으로 돌아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 1787년 출생 - 쇼코왕
    쇼코왕은 류큐 왕국의 제1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의사 증원과 형법전 편찬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말년의 정신 질환과 대기근으로 인해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1839년 사망 - 김효주 (종교인)
    김효주 아녜스는 1816년 밤섬에서 태어나 언니 김효임 콜룸바와 함께 신앙 생활을 하다가 1839년 기해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순교자이며,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839년 사망 - 페르난도 소르
    페르난도 소르는 스페인 출신의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양식을 결합한 기타 음악과 교육용 연습곡집으로 유명하며 후대 기타리스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 김효주 (종교인)
    김효주 아녜스는 1816년 밤섬에서 태어나 언니 김효임 콜룸바와 함께 신앙 생활을 하다가 1839년 기해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순교자이며,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 김대건
    김대건 안드레아는 한국 최초의 천주교 사제이자 순교자로, 천주교 신앙을 가진 가문에서 태어나 사제의 길을 걸으며 마카오와 필리핀에서 신학을 공부한 후 조선에서 선교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26세에 순교하였고, 그의 순교는 한국 천주교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어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김성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성임 마르타
출생일1787년
사망일1839년 7월 20일
축일9월 20일
교파로마 가톨릭교회
출생지인천 부평
사망지서울 서소문
직업순교자
시복일1925년 7월 5일
시복인교황 비오 11세
시성일1984년 5월 6일
시성인교황 요한 바오로 2세

2. 생애

김성임 마르타는 기해일기에 따르면 부평댁이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그녀가 인천 부평에서 시집왔음을 의미한다.[1] 그녀는 불우한 초년을 보냈고, 이후 천주교 신앙을 갖게 되어 1839년 자수하여 순교하였다.

2. 1. 불우한 초년

김성임은 부평 출신으로, 완고한 성격의 첫 남편과 불화를 겪고 이혼했다. 이후 한양으로 상경하여 점을 봐주며 생계를 이어가는 맹인과 재혼하였다. 50세가 넘도록 천주교를 알지 못했다.[1]

2. 2. 천주교 입교와 신앙 생활

김성임은 집안의 한 천주교 신자에게서 하느님과 그의 외아들 예수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천주교를 믿기 시작했다. 맹인 남편과 함께하는 삶은 힘들었지만, 과부가 된 후에는 교우들의 도움을 받으며 신앙 생활을 이어갔다. 교우들의 도움에 보답하고자 그들의 집안일을 거들었고, 그동안 신앙은 더욱 깊어졌다.

첫 남편을 견디지 못한 것과 미신에 의지한 재혼 등 과거의 죄를 회개했다. 깊은 슬픔을 느꼈지만 께 전적으로 의지하여 슬픔을 극복했고, 교우들의 관심과 모범은 하느님의 사랑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깨닫고 확신하게 만들었다.

2. 3. 자수와 순교

이영희 막달레나, 이매임 테레사, 김 루치아 등과 함께 박해와 용감한 순교자와 천국의 행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들은 하느님의 사랑에 깊이 감동하여 신앙을 공언하기 위해 조정에 자수하기로 결심했다.[1]

1839년 3월 말이나 4월 초, 김성임 마르타를 포함한 용감한 여성들은 포도청으로 가서 자신들이 천주교 신자임을 밝히고 묵주를 꺼내 보이며 감옥에 가두라고 말했다. 포졸은 그들을 묶어 감옥에 집어넣었다.[1]

포장은 김성임 마르타를 포함한 여성들을 심문하며 천주교를 진리의 종교로 믿는지, 천주를 부정할 수 있는지 물었다. 그들은 천주를 부정할 수 없으며, 천주를 위해 자수했고, 국법에 따라 죽을 것이나 결코 천주를 부정하지 않겠다고 답했다.[1]

몇 번의 혹독한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신앙을 지켰으며, 상급 재판소로 이송되어 다시 심문을 받았지만, 하느님을 숭배하며 그분을 위해 죽기로 작정하였다고 답했다. 포장은 그들이 자수한 것을 나무라며 더 심하게 고문했지만, 그들은 굴복하지 않았고 결국 사형을 선고받았다.[1]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1839년 7월 20일 서소문 밖에서 김성임 마르타를 포함한 여덟 명의 천주교도가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김성임 마르타가 순교할 당시 나이는 53세였다.[1]

3. 시복 및 시성

김성임 마르타는 1925년 7월 5일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 시복식을 통해 복자 품에 올랐다.[1] 1984년 5월 6일 서울특별시 여의도에서 한국 천주교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집전한 미사 중 103위 시성식을 통해 성인이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