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우중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1936년 대구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67년 대우실업을 설립하여 대우그룹을 재계 2위 규모로 성장시켰으나,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대우그룹이 해체되면서 횡령 및 사기 혐의로 기소되었다. 2005년 귀국 후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지만 특별 사면되었으며, 2019년 8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계 프랑스인 - 이응노
한국의 추상화가이자 서예가인 이응노는 전통 수묵화에 서양 화풍을 접목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고, 앵포르멜과 추상 표현주의 영향을 받아 독창적인 콜라주 기법과 '아라샤주' 기법을 개발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는 등 굴곡 많은 삶 속에서도 '군상' 시리즈를 통해 한국적 추상을 완성한 동서양 미술의 조화를 이룬 거장으로 평가받는다. - 한국계 프랑스인 - 박병선 (역사가)
박병선은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직지심체요절을 발견하고 외규장각 의궤의 존재를 밝혀내는 데 헌신한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회사 설립자 - 이병철
대한민국 기업인인 이병철은 삼성그룹의 창업주로, 무역업을 시작으로 제조업, 전자산업, 금융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회사 설립자 - 정주영
정주영은 현대그룹을 창업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현대자동차공업사 설립 후 현대건설, 현대중공업 등을 세워 현대그룹을 한국 최대 재벌 기업으로 키웠으며, 경부고속도로 건설, 서울 올림픽 유치, 대북 사업 추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대한축구협회 회장 - 장택상
장택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임시정부 활동, 수도경찰청장, 초대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지지 후 야당 정치인으로 반독재 투쟁을 전개했다. - 대한축구협회 회장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김우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관 | 광산 |
| 출생일 | 1936년 12월 19일 |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경상북도 대구부 중구 |
| 사망일 | 2019년 12월 9일 |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아주대학교병원 |
| 국적 | 대한민국 |
| 직업 | 기업인 |
| 종교 | 개신교 |
| 배우자 | 정희자 |
| 경력 | |
| 주요 경력 | 대우그룹 회장 |
| 수상 | |
| 주요 수상 | 1999년 20세기 한국을 빛낸 30대 기업인 |
| 범죄 정보 | |
| 혐의 | 사기 |
| 선고 형량 | 징역 10년 |
| 선고 상태 | 사망 |
2. 생애
김우중은 대구광역시에서 경상북도 도지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6.25 전쟁으로 아버지가 납북되자 소년 가장으로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다.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1960년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60년부터 1966년까지 한성실업에서 근무한 후, 1967년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에서 자본금 500만 원으로 대우실업을 창업했다. 동남아시아, 미국 등지에 진출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며, 1970년대에는 대우건설, 대우증권, 대우전자, 대우조선 등을 잇달아 설립하며 신흥 재벌로 부상했다.
1993년 '세계 경영'을 선포하며 해외 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나,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대우그룹은 급격히 몰락했다. 김우중은 차입금을 사용하여 부실 기업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대우 그룹을 빠르게 확장시켰지만, 1998년의 아시아 경제 위기로 대한민국 경제가 큰 타격을 입었고, 1999년 대우 그룹도 해체되었다.
1999년, 김우중은 약 500억달러의 부채를 남긴 채 해외로 도피했다. 이후 41조 원 규모의 회계 사기, 9조 8천억 원의 불법 차입 등의 혐의로 인터폴의 수배를 받았다.[2]
2005년 6월 14일 귀국하여 체포되었으며, 조선일보에 따르면 "국민에게 상처를 준 것에 대해" 사과하고 그룹 붕괴에 대한 모든 책임을 받아들였다.[3] 2006년 11월 3일 서울고등법원 항소심에서 분식회계 및 사기대출, 횡령 및 국외 재산도피 혐의로 징역 8년 6개월, 벌금 1000만 원, 추징금 17조 9253억 원의 형을 구형받았고, 항소를 포기하여 형이 확정되었다.[4] 2007년 12월 30일 노무현 대통령에 의해 대통령 특사로 사면되었다.[5]
2019년 12월 9일, 폐렴으로 수원 아주대학교병원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
2. 1. 유년기 및 학창 시절
1936년 대구광역시 중구에서 대구사범학교 교수인 김용하와 전인항 사이의 6남매 중 4남으로 태어났다. 부친 김용하는 본관은 광산으로 호는 우당이며 경성제국대학 예과를 졸업하고 후일 제주도지사를 지냈다.6.25 전쟁으로 아버지가 납북되자 15세에 홀 어머니 아래서 소년 가장으로 가족들의 생계를 도맡았다. 휴전 후 상경해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진학하고 1956년 연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해 학창 생활을 보냈다. 김우중의 아버지는 훗날 대통령이 되는 박정희의 멘토였으며, 박정희는 김우중을 재정적으로 크게 지원했다.
1960년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2. 2. 대우그룹 창업과 성장
1967년 3월, 32세의 김우중은 트리코트 원단생산업체인 대도섬유의 도재환과 공동 출자하여 자본금 500만 원으로 대우실업을 설립했다. 회사 이름 '대우(大宇)'는 대도섬유의 '대(大)'와 김우중의 '우(宇)'를 따서 지었다. 첫해에 싱가포르에 트리코트 원단과 제품을 수출하여 58만 달러 규모의 수출 실적을 올렸고, 이후 인도네시아, 미국 등지로 시장을 넓혀 성공을 거두었다.[14]1970년대 초반부터 김우중은 대우건설, 대우증권, 대우전자, 대우조선 등을 창설하며 1974년에는 1억 달러 수출탑을 달성하는 등 신흥 재벌로 떠올랐다. 1981년에는 스스로 회장 자리에 올랐으며, 1982년 1월에는 (주)대우를 출범시키며 재계 4위로 도약했다.
1993년, 대우그룹은 '세계 경영'을 선포하였다. 김우중은 차입금을 사용하여 부실 기업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대우 그룹을 빠르게 확장시켰다. 창업 30년 만에 대우 그룹은 자산 규모 2위, 매출 규모 3위의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한국 주요 재벌 중 가장 많은 해외 지사를 보유하게 되었다.[14]
2. 3. 세계 경영과 전성기
연세대학교를 졸업한 김우중은 섬유 및 의류를 전문으로 하는 작은 무역 회사에 입사했다. 이후 회사를 나와 다섯 명의 동료와 함께 대우 산업을 설립했고, 연세대학교 동문 네트워크와 정치적 지원을 활용하여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김우중은 부실 기업을 차입금을 사용하여 인수하는 방식으로 대우그룹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빠르게 확장시켰다. 1967년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에서 자본금 500만 원으로 대우실업을 창업한 후, 동남아시아, 미국 시장에 진출하여 성공했다. 1970년대에는 대우건설, 대우증권, 대우전자, 대우조선 등을 잇달아 창설하며 신흥 재벌로 성장했다. 창업 30년 만에 대우 그룹은 자산 규모 2위, 매출 규모 3위의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한국 주요 재벌 중 가장 많은 해외 지사를 보유하여 급성장을 보여주었다.
2. 4. IMF 위기와 대우그룹 해체
IMF 구제금융으로 한국 경제가 큰 타격을 받았다. 그 여파로 부채비율이 400% 이상이었던 대우그룹은 쌍용을 인수하는 등 확장 정책을 이어나갔지만, 일본 노무라 증권이 1998년 10월 25일에 발표한 '대우에 비상벨이 울린다'는 보고서로 인해 대우그룹은 위기를 맞게 된다.[2] 이후 계열사를 41개에서 4개 업종 10개 회사로 구조조정하고 삼성그룹과의 빅딜도 추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1999년 8월 26일, 이미 구조조정으로 41개 회사 중 16개가 매각되었고 남은 25개 회사 중 12개가 워크아웃을 신청하였다. 당시 부채는 5000억달러였다. 대우그룹은 금융 부문을 중점으로 사업을 확장하여 내부적으로 부채가 많았다. 이는 사실상 그룹 해체였다. 1999년 11월 1일, 김우중은 13명의 대우그룹 사장단들과 함께 경영 포기 및 회장직을 사퇴하였다. 검찰의 수사를 피하기 위해 출국한 후 도피 생활을 하였으며, 중국에서 호화롭게 생활했다는 주장과 유럽 등지의 3류 호텔에서 햄버거로 끼니를 때우며 어렵게 생활했다는 주장이 있다. 당시 대우그룹은 김대중 정부가 정치적으로 탄압했다는 설과 단순한 구조조정 실패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3]2. 5. 해외 도피와 귀국, 사법 처리
5년 8개월 간의 해외 도피 생활을 하다가, 2005년 6월 14일 귀국하여 검찰의 조사를 받았다.[15] 귀국 직후 "국민에게 상처를 준 것에 대해" 사과하고 그룹 붕괴에 대한 모든 책임을 받아들였으며, "당국이 자신에게 어떤 처벌을 하든 기꺼이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3]2006년 11월 3일 서울고등법원 항소심에서 분식회계 및 사기대출, 횡령 및 국외 재산도피 혐의로 징역 8년 6개월, 벌금 1000만 원, 추징금 17조 9253억 원의 형을 구형받았고, 항소를 포기하여 형이 확정되었다.[4] 2007년 12월 31일 노무현 대통령에 의해 대통령 특사로 사면되었다.[5]
2014년 기준으로 전체 추징금의 0.5% 정도인 약 887억 원을 납부하였다. 2013년 김우중법에 대해 논란이 일었고, 여전히 17조 8000여억 원에 달하는 추징금을 미납한 상태이다. 2014년 연초에는 대우그룹 창립 기념일에 추징금 문제가 불거져 참석하지 못했다.
2. 6. 사면 이후와 사망
5년 8개월 간의 해외 도피 생활을 지속하다가, 2005년 6월 14일 입국하여 검찰의 조사를 받았다.[15] 2006년 11월 3일 서울고등법원 항소심에서 분식회계 및 사기대출, 횡령 및 국외 재산도피 혐의로 징역 8년 6개월, 벌금 1000만 원, 추징금 17조 9253억 원의 형을 구형받았고, 항소를 포기하여 형이 확정되었다. 2007년 12월 31일 노무현 대통령에 의해 대통령 특사로 사면되었다.[5]이후 베트남 등지에서 해외 기업인 양성에 힘쓰다가 2019년 12월 9일 오후 11시 50분 수원시 아주대학교병원에서 향년 82세(만 81세)로 숙환으로 별세하였다.[6][12]
3. 평가
김우중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4. 가족 관계
|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
| 아버지 | 김용하(金容河) | 1896년 | ? |
| 어머니 | 전인항(全仁恒) | 1898년 | ? |
| 부인 | 정희자(鄭姬子) | 1940년 2월 20일 | |
| 장녀 | 김선정(金善政) | 1965년 9월 17일 | |
| 장남 | 김선재(金善宰) | 1967년 1월 7일 | 1990년 11월 21일 |
| 차남 | 김선협(金善協) | 1968년 8월 15일 | |
| 며느리 | 박은영 | ||
| 삼남 | 김선용(金善勇) | 1975년 3월 21일 |
참조
[1]
웹사이트
(LEAD) Former Daewoo Group Chairman Kim Woo-choong dies at age 82
https://en.yna.co.kr[...]
2019-12-10
[2]
뉴스
Daewoo founder Kim gets 10-yr term
http://www.cnn.com/2[...]
2008-11-20
[3]
웹사이트
Kim Woo-choong Must Prove He Is Sincere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5-01-14
[4]
뉴스
Daewoo boss gets 10 years in jail
http://news.bbc.co.u[...]
2006-05-30
[5]
웹사이트
S.Korea pardons Daewoo founder, death-row inmates
https://www.reuters.[...]
Reuters
2007-12-31
[6]
뉴스
Kim Woo-choong, Who Strove to Be 'Automotive Genghis Khan,' Dies at 82
https://www.nytimes.[...]
2020-12-05
[7]
백과사전
大宇グループ
https://kotobank.jp/[...]
[8]
웹사이트
김우중, "기업인으로 남고 싶다"
https://www.mk.co.kr[...]
2022-07-18
[9]
웹사이트
김우중 영욕의 83년, 대한민국 고도성장 '빛과 그림자' 한 몸에
https://biz.chosun.c[...]
2024-04-20
[10]
웹사이트
김우중 일가 어디서 뭐하나?
https://www.joongang[...]
2023-08-22
[11]
웹사이트
역대 대한축구협회장 명단(이 기사는 表임)
https://sports.news.[...]
2022-05-28
[12]
뉴스
金宇中氏死去 韓国の旧大宇グループ創業者
https://web.archive.[...]
2019-12-10
[13]
문서
김우중 종교
[14]
웹인용
<20세기 ‘세계경영의 징기스칸’ ‘김기스칸’> 매일종교신문, 하승무, 2017
http://m.dailywrn.co[...]
2019-07-08
[15]
웹사이트
관련기사
http://www.ohmynews.[...]
[16]
웹인용
박지만 명예훼손 재판 무죄의 의미
http://www.sisaweek.[...]
시사위크
2017-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