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지영 (발레 무용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지영은 대한민국의 발레 무용수로, 바가노바 발레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서 최연소 수석 무용수로 활동했다. 1998년 파리 국제 댄스 콩쿠르 1위, 1999년 문화포장 화관 수훈, 2001년 카잔 국제 발레 콩쿠르 은메달 등 수많은 국제 콩쿠르에서 수상했다.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에서 수석 무용수로 활동했으며, 2019년 국립발레단에서의 마지막 공연을 끝으로 은퇴 후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출신 - 윤혜진
    윤혜진은 서울예술고등학교 등을 졸업하고 1998년 미국에서 발레 무용가로 데뷔하여 국립발레단 수석 무용수를 거쳐 몬테카를로 발레단에서 활동했으며, 아시아발레협회콩쿠르 대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발레 무용가이다.
  •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출신 - 김주원 (발레 무용수)
    김주원은 볼쇼이 발레학교를 졸업 후 다수의 발레 작품 주역으로 활동했을 뿐 아니라 뮤지컬, 연극,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며 대중과 소통하는 대한민국의 발레 무용수이다.
  • 대한민국의 여자 발레 무용수 - 왕지원
    왕지원은 로열발레스쿨과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발레를 전공한 후 국립발레단 단원으로 활동하다 배우로 전향하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활동하고 있으며, 2022년 발레리노 박종석과 결혼하였다.
  • 대한민국의 여자 발레 무용수 - 박소현 (배우)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난 배우 겸 방송인 박소현은 1993년 리포터로 데뷔하여 드라마, 라디오, TV 프로그램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특히 《비디오스타》 MC로 활약하고 있다.
김지영 (발레 무용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지영
로마자 표기Gim Ji-yeong
출생일1978년 7월 26일
출생지서울특별시
직업발레 무용수
경력
주요 경력2011.10 국립발레단 부설 발레아카데미 교장
2009.7~2019.6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객원 수석무용수
2002~2009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1997~2001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학력
학력바가노바발레학교 발레과 학사 (졸업)
수상
수상 내역1998년 USA국제발레콩쿠르 동상
1998년 파리국제무용콩쿠르 듀엣 1위
1998년 한국발레협회상 신인상
1998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화관장 수훈
1999년 카잔국제발레콩쿠르 은상
2001년 한국발레협회상 프리마발레리나상
2007년 알렉산드라 라디우스상

2. 초기 생애

김지영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는 태권도피아노 등 다양한 활동을 경험했다. 10세 때 발레 수업을 듣기 시작하며 발레에 대한 흥미를 키워나갔다.[1]

3. 무용 경력

김지영은 1991년 예원학교에 입학하여 전문적인 발레 교육을 받기 시작했으며, 1992년 러시아 바가노바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1997년 졸업했다. 졸업 후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귀국하여 1997년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 최연소 수석 무용수로 입단하며 프로 무용수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입단 초기부터 국내외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주요 발레 콩쿠르에서 수상하였고, 1999년에는 최연소로 문화훈장 화관장을 받았다. 같은 해 국립발레단을 잠시 떠나 유럽 진출을 모색한 끝에, 2002년 네덜란드 국립발레단(Het Nationale Balletnld)에 입단하여 2007년 수석 무용수로 승급하고 알렉산드라 라디우스상(Alexandra Radius Prize)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인 명성을 쌓았다.

2009년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 수석 무용수로 복귀하였으며, 동시에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의 객원 수석 무용수로도 활동했다. 이 시기 이탈리아의 테아트로 델 오페라 디 로마(Teatro dell'Opera di Romaita), 테아트로 마시모(Teatro Massimoita), 러시아볼쇼이 발레단 등 세계 유수의 발레단에 초청되어 객원 주역으로 활동하며 ''백조의 호수'', ''돈 키호테'', ''로미오와 줄리엣'', ''신데렐라'' 등 다양한 작품에서 주역을 맡았다. 또한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의 창작 발레 ''프린스 호동''의 낙랑 공주 역으로 해외 공연에 참여하기도 했다.

2019년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서의 활동을 마무리하고 은퇴하였으며, 이후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교수로 임용되어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3. 1.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초기)

Le Concours international de danse de Parisfra프랑스1위파트너 김용걸



1999년, 파리 국제 댄스 콩쿠르 우승 이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훈장 화관장을 수훈하였는데, 이는 당시 최연소 수훈 기록이었다. 같은 해, 김지영은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을 사임하고 유럽의 여러 발레단에 지원하며 새로운 도전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3. 2. 국제 콩쿠르 수상 및 해외 진출

김지영은 주요 국제 발레 콩쿠르에서 다수의 수상 경력을 쌓으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 1998년 미국 미시시피주 잭슨에서 열린 제6회 USA국제발레콩쿠르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파트너 김용걸과 함께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8회 파리 국제 무용 콩쿠르(Le Concours international de danse de Paris프랑스어)에서 듀엣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국제적 성과를 인정받아 1999년에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훈장 화관장(4등급)을 수훈했으며, 이는 역대 최연소 수훈 기록이었다. 2001년에는 러시아 타타르스탄 카잔에서 열린 카잔 국제 발레 콩쿠르에서 은메달과 함께 최우수 예술상(Best Artistry Award)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같은 해 한국발레협회로부터 프리마 발레리나상을 받으며 국내외적으로 최고의 발레리나 중 한 명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1999년 국립발레단을 잠시 떠나 유럽의 여러 발레단에 지원하며 해외 진출을 모색했다. 2002년, 당시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예술 감독이었던 웨인 이글링의 제안을 받아 그랑 쉬제(Grand sujet) 등급으로 네덜란드 국립발레단(Het Nationale Balletnl)에 입단하였다. 입단 후 꾸준히 실력을 인정받아 2005년에는 솔리스트로, 2007년에는 수석 무용수(Principal Dancer)로 승급했다. 특히 2007년에는 발레단 내에서 젊고 유망한 무용수에게 수여하는 알렉산드라 라디우스상(Alexandra Radius Prize)을 수상하며 네덜란드 발레계에서도 주목받는 존재가 되었다.

2009년 국립발레단에 수석 무용수로 복귀하였으나,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에서는 객원 수석 무용수(Guest Principal Dancer)로서의 활동을 병행했다. 이탈리아 로마의 테아트로 델 오페라 디 로마(Teatro dell'Opera di Romait) 발레단의 초청을 받아 ''백조의 호수''의 오데트/오딜 역으로 객원 데뷔 무대를 가졌다. 2010년에는 네덜란드 국립발레단과 함께 안무가 알렉세이 라트만스키 버전의 ''돈 키호테'' 초연에서 키트리 역을 맡았으며, 이 공연으로 테아트로 델 오페라 디 로마에 다시 초청되어 같은 역을 공연했다. 같은 해, 한-러 수교 20주년을 기념하여 국립발레단 소속으로 러시아 볼쇼이 발레단과 함께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 역과 ''레일라''(Raymonda)의 레이몬다 역을 공연하며 볼쇼이 극장 무대에 데뷔했다.

2011년 5월에는 이탈리아 시칠리아의 테아트로 마시모(Teatro Massimoit) 발레단과 함께 ''신데렐라''의 주역으로 데뷔했다. 같은 해 10월, 국립발레단이 산 카를로 댄스 페스티벌(San Carlo Dance Festival) 개막 공연에 초청되었을 때, 이탈리아 나폴리의 테아트로 디 산 카를로(Teatro di San Carloit)에서 창작 발레 ''프린스 호동''의 낙랑 공주 역을 맡아 공연했다.

3. 3.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1999년,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을 사임한 김지영은 유럽의 여러 발레단에 지원하고 오디션을 보았다. 2002년에는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예술 감독 웨인 이글링의 제안을 받아 그랜드 쉬제(Grand sujet) 등급으로 네덜란드 국립발레단(Het Nationale Balletnld)에 입단했다.

김지영은 2005년에 솔리스트로 승진했으며, 2007년에는 수석 무용수로 승진했다. 같은 해, 발레단으로부터 젊고 유망한 인재에게 주어지는 장려상인 알렉산드라 라디우스 상을 수상했다.

2009년, 김지영은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 다시 합류했지만,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에서는 객원 수석 무용수로 활동을 병행했다. 2010년에는 네덜란드 국립발레단과 함께 알렉세이 라트만스키가 안무한 ''돈 키호테''에서 키트리 역으로 초연 무대를 가졌다. 이 공연은 그녀가 테아트로 델 오페라 디 로마로부터 ''돈 키호테''의 키트리 역으로 다시 초청받는 계기가 되었다.

3. 4.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복귀)

2009년, 김지영은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 다시 합류했지만,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에서는 객원 수석 무용수로 활동을 병행했다.

2010년, 김지영은 네덜란드 국립발레단과 함께 알렉세이 라트만스키가 안무한 ''돈 키호테''에서 키트리 역으로 초연 무대를 가졌다. 이 공연을 계기로 이탈리아의 테아트로 델 오페라 디 로마 (로마 오페라 발레단)로부터 ''돈 키호테''의 키트리 역으로 다시 초청받았다. 이후 김지영은 볼쇼이 발레단과 함께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소속으로 데뷔하여, 한국-러시아 수교 20주년을 기념하는 공연에서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 역과 ''레일라''의 레이몬다 역을 맡았다.

2011년 4월, 김지영은 라틴 댄스 프로젝트 "라틴 이노베이션"에 출연했다. 같은 해 5월에는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 테아트로 마시모 발레단과 함께 ''신데렐라''로 데뷔했다. 2011년 10월,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은 산 카를로 댄스 페스티벌의 개막 공연으로 초청받았다. 국립발레단은 프린스 호동을 초연했으며, 김지영은 이탈리아 나폴리의 테아트로 디 산 카를로 (산 카를로 극장)에서 주역인 낙랑 공주 역을 맡았다.

2014년, 김지영은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의 동료 수석 무용수였던 김주원과 협업하여 탱고, 플라멩코, 발레, 현대 무용을 결합한 공연 "투 인 투(Two in Two)"에 출연했다. 두 사람은 2011년 이탈리아 나폴리의 테아트로 디 산 카를로에서 열린 국립발레단 공연 "프린스 호동"에서 낙랑 공주 역을 함께 맡은 바 있다.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서 수년간 활동한 후, 김지영은 2019년 여름에 발레단을 떠난다고 발표했다. 국립발레단에서의 마지막 공연은 서울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지젤''이었으며, 이후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3. 5. 은퇴 및 교육 활동

KNB에서 오랜 기간 활동한 후, 김지영은 2019년 여름 KNB를 떠난다고 발표했다. KNB에서의 마지막 공연은 서울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지젤''이었다. 은퇴 후에는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교수로 임용되어 교육 활동을 시작했다.

4. 주요 작품

김지영이 연기한 주요 작품과 배역은 다음과 같다.

4. 1.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1996년 러시아 바가노바 발레 아카데미를 졸업한 김지영은 졸업 공연 중 어머니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면서 러시아에서의 활동 계획을 접고 서울로 돌아왔다. 5개월 후, 그녀는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 역대 최연소 수석 무용수로 입단했다. 국립발레단에서의 데뷔 무대는 노트르담 드 파리의 에스메랄다 역이었다.

국립발레단 소속으로 활동하며 여러 국제 콩쿠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98년 미국 잭슨에서 열린 제6회 미국 국제 발레 콩쿠르에서 동메달을 수상했고, 같은 해 프랑스 파리 국제 댄스 콩쿠르에서는 파트너 김용걸과 함께 1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1999년에는 역대 최연소로 대한민국 문화 포장: 화관을 받았다. 2001년에는 러시아 타타르스탄 카잔 국제 발레 콩쿠르에서 은메달과 최우수 예술상을 받았으며, 대한민국 발레 협회로부터 프리마 발레리나 상을 수상했다.

1999년, 김지영은 국립발레단을 잠시 떠나 유럽 무대에 도전했다. 이후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에서 수석 무용수로 활동하다가 2009년 다시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 합류했다. 이때부터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에서는 객원 수석 무용수로 활동을 병행했다.

국립발레단 재입단 후에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2010년에는 한국-러시아 수교 20주년을 기념하여 국립발레단 소속으로 볼쇼이 발레단과 함께 데뷔 무대를 가졌으며,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과 레일라의 레이몬다 역을 맡았다. 2011년에는 이탈리아 나폴리의 테아트로 디 산 카를로에서 열린 산 카를로 댄스 페스티벌 개막 공연으로 국립발레단의 창작 발레 프린스 호동이 초연되었을 때, 주역인 낙랑 공주를 연기했다. 2014년에는 국립발레단의 동료 수석 무용수였던 김주원과 함께 탱고, 플라멩코, 발레, 현대 무용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공연 "투 인 투(Two in Two)"를 선보이기도 했다.

오랜 기간 국립발레단의 대표적인 수석 무용수로 활동했던 김지영은 2019년 여름 국립발레단을 떠난다고 발표했다. 서울 예술의 전당에서 공연한 지젤이 그녀의 국립발레단 고별 무대가 되었다. 이후 경희대학교 무용학부 교수로 임용되었다.

'''주요 레퍼토리'''

김지영이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서 주역으로 공연한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품배역
로미오와 줄리엣줄리엣
지젤지젤
백조의 호수오데트·오딜
레일라레일라
라 바야데르니키야
돈 키호테키트리
호두까기 인형클라라/마리/사탕 요정
스파르타쿠스프리지아
파키타파키타
해적메도라
노트르담 드 파리 (에스메랄다)에스메랄다
카르멘카르멘
프린스 호동낙랑공주
다이아나와 악테온 파드되다이아나
빈사의 백조주역
차이콥스키 파 드 두주역
그랑 파 클래식주역


4. 2.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1999년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을 떠난 후 유럽의 여러 발레단에 지원하며 새로운 기회를 모색했다. 2002년,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Het Nationale Ballet|헷 나시오날러 발레nld )의 예술 감독 웨인 이글링( Wayne Eagling|웨인 이글링eng )의 제안을 받아 그랜드 쉬제(Grand sujet) 등급으로 입단하였다.

입단 후 꾸준히 실력을 인정받아 2005년에는 솔리스트로, 2007년에는 발레단의 최고 등급인 수석 무용수로 승진했다. 같은 해, 발레단이 젊고 유망한 무용수에게 수여하는 알렉산드라 라디우스 상(Alexandra Radius Prize)을 받으며 그 재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2009년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에 수석 무용수로 복귀했지만, 네덜란드 국립발레단과는 인연을 이어가며 객원 수석 무용수로 활동했다. 2010년에는 네덜란드 국립발레단과 함께 세계적인 안무가 알렉세이 라트만스키( Alexei Ratmansky|알렉세이 라트만스키eng )가 안무한 돈 키호테 초연 무대에서 주역인 키트리 역을 성공적으로 소화하며 주목받았다.

'''주요 레퍼토리'''

작품배역
백조의 호수오데트/오딜
라 바야데르니키야, 감자티
잠자는 숲 속의 미녀오로라 공주
돈 키호테키트리
호두까기 인형클라라/사탕 요정
라 실피드실피드
주얼주역
세레나데주역
풀치넬라주역
심포니 인 C주역
프랭크 브리지 변주곡주역
차이콥스키 파 드 두주역
파이브 탱고주역
블랙 케이크주역
포 섹션스주역


4. 3. 기타 발레단

김지영은 대한민국 국립발레단과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외에도 여러 해외 유수 발레단에서 객원 무용수로 활동하며 국제적인 경력을 쌓았다.

'''로마 오페라 발레단''' (Balletto di Teatro dell'Opera di Romait)

이탈리아의 테아트로 델 오페라 디 로마 (로마 오페라 발레단)의 초청을 받아 ''백조의 호수''에서 오데트/오딜 역으로 데뷔했다. 2010년에는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에서 알렉세이 라트만스키 안무의 ''돈 키호테'' 키트리 역으로 성공적으로 공연한 후, 로마 오페라 발레단으로부터 같은 작품의 키트리 역으로 다시 초청받아 공연했다.

'''볼쇼이 발레단'''

2010년, 김지영은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소속으로 러시아볼쇼이 발레단 무대에 데뷔했다. 이는 대한민국-러시아 수교 20주년을 기념하는 공연의 일환이었다. 이 공연에서 그녀는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 역과 ''레일라''의 레이몬다 역을 맡아 연기했다.

'''테아트로 마시모 발레단'''

2011년 5월, 김지영은 이탈리아 시칠리아에 위치한 테아트로 마시모 발레단과 함께 ''신데렐라'' 공연에 출연하여 신데렐라 역으로 데뷔했다.

5.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주최/장소
1998년제6회 미국 국제 발레 콩쿠르 동메달미국 잭슨
1998년제8회 파리 국제 발레 콩쿠르 듀엣 1위프랑스 파리
1998년한국발레협회상 신인상대한민국
1999년대한민국 문화훈장 화관문화훈장대한민국
2001년카잔 국제 발레 콩쿠르 은메달 및 최고 예술상러시아 타타르 공화국 카잔
2001년한국발레협회상 프리마발레리나상대한민국
2007년알렉산드라 라디우스상네덜란드 국립 발레단


6. 스타일 및 평가

김지영은 뛰어난 기량과 아름다운 선을 지녔으며, 표현력이 풍부하고 다재다능한 발레리나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우아함은 ''백조의 호수'', ''지젤'', ''라 바야데르''[2]와 같은 고전 작품에서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음악과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는 평을 받는다. 차이코프스키 파드되와 같은 신고전주의 및 현대 발레에도 잘 어울린다. 특히 ''돈키호테''의 키트리 역할은 강력한 기량과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로 그녀의 대표적인 역할 중 하나로 꼽힌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ower Interview: The principal dancer Ji-Young Kim http://www.hankyung.[...] 2011-02-19
[2] 웹사이트 Ji-Young Kim wins Alexandra Radius Prize http://www.het-natio[...]
[3] 뉴스 Powerful Korean ballet mesmerizes Naples http://www.koreahera[...] 2019-10-20
[4] 뉴스 Top ballerinas to collaborate in 'Two in Two' http://www.koreahera[...] 2019-10-20
[5] 뉴스 Powerful Korean ballet mesmerizes Naples http://www.koreahera[...] 2019-10-20
[6] 뉴스 "[INTERVIEW] Prima ballerina Kim Ji-young recounts 20 years at Korean National Ballet" https://www.koreatim[...] 2019-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