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대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대용은 1556년 나주에서 태어난 조선 시대의 무관으로, 임진왜란 시기 이순신 휘하에서 거북선 건조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훈련원 별시에 급제하여 군관으로 활동했으며, 임진왜란 중 옥포해전, 사천해전, 한산도 해전, 명량 해전, 노량 해전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이후 현감 등을 역임하며 창선, 해추선 등 다양한 군함을 개발했다. 그러나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하여, 탐욕스럽고 부패한 관리로 묘사되기도 했다. 현재 나주에는 그의 생가와 사당이 있으며, 영화와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성 라씨 - 나창주
    나창주는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및 부총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정치인으로, 국토통일원 연구관, 제1무임소 장관실 정책조정실장, 외무부 외교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과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이후 선거에서는 낙선하였다.
  • 금성 라씨 - 나성린
    나성린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제18대, 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한국공공경제학회 회장,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 등을 지냈으며 윤석열 대통령 후보 캠프 경제특보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정치 및 학술 활동을 펼쳤으나 여론조사 결과 유출 및 바른정당 창당 발기인 명단 등재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 조선의 과학자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조선의 과학자 - 정약용
    정약용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실학 사상 집대성, 과학 기술 분야 업적, 500여 권의 저술을 통한 사회 개혁 주장 등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에 선정되었다.
나대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나대용
한자 이름羅大用
로마자 표기Na Daeyong
출생1556년
사망1612년 1월 29일 (57세)
출생지조선 전라도 나주목 (현재의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오룡리)
본관금성
시망(時望)
체암(遞菴)
나대용 장군 초상
정치
정당무소속
경력
주요 직책전라좌수영 감조 전선 출납 군병 군관
유군장
강진현감
금구현감
능성현감
고성현감
남해현령
복무조선군
복무 기간1583년~1612년
최종 계급남해현령
부대조선 수군
참여 전쟁 및 전투
주요 참전 전투/전쟁임진왜란
정유재란
옥포 해전
당포 해전
사천 해전
명량해전
노량해전
기여거북선 건조에 기여
기타
무과 급제1583년(선조 16년)
사당전남 나주시 소충사(昭忠祠)
가족
나항

2. 생애

1556년 나주에서 첨추(僉樞) 나항(羅亢)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래 문장이 뛰어나 문인이 되려 하였으나, 1583년(선조 16년) 훈련원 별시에 병과 급제하여 훈련원봉사를 지냈다. 1591년 전라좌수사 이순신 휘하에 들어가 병선 연구에 힘썼는데, 특히 거북선을 건조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1] 1592년 옥포해전에서 유군장 직을 맡아 적의 대선 2척을 격파하였고, 사천해전에서는 분전 끝에 총탄을 맞아 부상을 입었으며, 한산도 해전에서도 부상을 당하였다. 명량해전과 1598년 노량해전에도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2] 이러한 공으로 1594년 강진현감으로 제수되었고, 이후 금구, 능성, 고성의 현감을 역임하였다.

1606년 12월 24일 선조에게 상소를 올려 창선을 개발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창선은 전투형 거북선과 탑승인원이 많이 필요한 판옥선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칼과 창을 빽빽이 꽂은 형태였다. 125명이 필요한 판옥선에 비해 격군 42명으로도 운용이 가능하여, 기존 인력으로 2배의 배를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6] 1610년 광해군 2년에는 남해현령에 제수되었고, 해추선(海鰍船)이라는 쾌속선을 고안하여 건조하였다. 1611년 경기수군을 관할하는 교동수사에 제수되었으나, 전쟁에서의 부상이 재발하여 부임하지 못하고 1612년 1월 29일 사망했다.

나대용 초상화

3. 거북선 및 군함 건조

1591년 이순신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하자, 나대용은 그의 휘하에 들어가 병선 연구에 힘썼다. 특히 거북선 건조에 큰 공을 세웠다.[6] 1592년 옥포해전에서 유군장으로 참전하여 적선 2척을 격파했고, 사천해전과 한산도 해전에서 부상을 입었음에도 명량해전과 노량해전에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다.[6]

이충무공전서에 그려진 전라좌수영 귀선


나대용은 조선 최고의 선박 기술자로, 조선 수군이 해전에서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거북선뿐만 아니라 판옥선을 개량한 창선, 해추선 등 새로운 군함 개발에도 힘썼다.[6]

3. 1. 거북선 설계의 특징

1587년, 나대용은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와 거북선을 설계했다. 그는 산수를 공부하고, 선박에 관한 책을 읽었으며, 거북선 모형을 제작했다. 당시 대규모 토목 공사에는 산술 계산에 능한 행정가들이 있었지만, 나대용과 같이 개인적인 발명을 하는 사람들은 스스로 산수를 공부하여 선박에 수학적 계산을 적용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북선의 설계는 성공적이었다.[1]

나대용은 삼국 시대부터 사람들이 만들어온 군함의 설계를 살펴보았다. 당시 조선 해군의 주력 군함은 판옥선이었다. 판옥선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상갑판이 높아서 적의 접근을 막고, 조선 수군이 화살을 더 멀리 쏠 수 있게 해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배의 앞부분은 상대적으로 낮아서 적의 공격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상갑판의 병사들은 노출되어 있어 적의 화살이나 창을 막을 방법이 없었다.[1]

고려 시대에는 해군이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 과선(과선|戈船한국어)을 사용했다. 과선은 배의 측면에 칼을 고정하여 적을 막을 수 있었다. 또한, 과선 앞쪽에 철제 충각을 설치하여 적선을 공격했다. 별맹선(별맹선|別猛船한국어)은 나대용이 관심을 가진 또 다른 유형의 군함이었다. 별맹선의 상갑판은 완전히 덮여 있었고, 병사들은 배 안에서 배치되었다.[1]

나대용은 거북선을 과선, 별맹선, 판옥선의 장점을 결합하여 설계했다. 거북선의 선체는 판옥선을 기반으로 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상갑판은 별맹선처럼 완전히 덮여 있었고, 지붕의 가시는 과선에서 유래되었다.[1]

3. 2. 기타 군함 개발

1606년 12월 24일 나대용은 선조에게 상소를 올려 창선(鎗船)을 개발하였다고 보고했다. 창선은 전투형 거북선과 탑승 인원이 많이 필요한 판옥선의 단점을 보완하여 칼과 창을 빽빽이 꽂은 배였다. 판옥선은 125명이 필요했지만, 창선은 격군 42명으로도 운용할 수 있어 기존 인력으로 2배의 배를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6] 1610년 광해군 2년에는 해추선(海鰍船)이라는 쾌속선을 고안하여 건조하였다.

4. 임진왜란 활약

나대용은 임진왜란 중 좌수영의 다섯 포구 중 하나인 발포의 임시 사령관(가장, 假將)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유군(遊軍)의 지휘관, 즉 지원 병력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옥포 해전에서 유군장 직을 맡아 적의 대선 2척을 격파하였고, 사천 해전에서는 분전 끝에 총탄을 맞아 부상을 입었다.[2] 한산도 해전에서도 부상을 당했으나, 명량 해전과 1598년 노량 해전에도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2]

5. 평가 및 논란

나대용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및 논란으로 나뉜다. 긍정적 평가는 주로 그의 해군 기술자로서의 업적에 집중되어 있으며, 부정적 평가 및 논란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그의 행적에 대한 기록을 바탕으로 한다.

5. 1. 긍정적 평가

나대용은 조선 최고의 선박 기술자로서, 해전에서 기술적 우위를 가지게 한 핵심 기술자였다. 거북선을 개발하였으며, 속도가 느린 판옥선을 개량하여 해추선, 창선 등을 고안하였다.[1]

나대용에 대한 기록은 《난중일기》, 《조선왕조실록》 등에 전해져 내려온다.[1]

5. 2. 부정적 평가 및 논란

나대용은 조선왕조실록에 총 27번 등장하는데, 《선조실록》에 3번, 《광해군일기》에 24번 등장한다. 《선조실록》에는 선조가 나대용의 파직을 요구하는 내용이 2번 언급된다. 《선조실록》에서 나대용에 관한 기록 중 1건만이 선박 건조와 관련 있으며, 이는 전체 조선왕조실록에서 유일하게 발견되는 기록이다.[1]

이후 《광해군일기》에는 사헌부사간원이 나대용의 고량군수(1608년)와 남해현감(1610년)직 파면을 반복적으로 요청했음이 나타난다. 이들 관청은 관료 임명, 탄핵, 법적 조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왕의 명령에 대해 비판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의무가 있었다. 이 문서들에서 나대용은 탐욕스럽고 어리석으며, 자신의 권력을 이용하여 지역 백성을 착취하는 주정뱅이로 묘사된다.[1]

6. 유적 및 기념

소충사와 나대용 장군 동상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오룡리에는 체암 나대용 장군을 모신 소충사라는 사당이 있고, 그 앞에 장군의 동상이 있다. 오룡리에는 나대용 장군의 생가와 묘소가 시도기념물 제26호 (전남)로 등록되어 있다.[7]

소충사는 나대용의 애국심과 해군의 전투력 강화 노력을 기리기 위해 1977년에 건립되었다. 소충사는 거북선 모형과 나대용의 위패로 구성되어 있다. 매년 4월 21일에 나대용의 업적을 기리는 행사가 열린다.

나대용 생가, 나주, 전라남도


나대용의 생가는 나주 문평면에 위치해 있으며, 정면 4칸, 측면 1칸 규모의 북향집이다. 묘소는 나대용 생가에서 약 3km 떨어진 산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전라남도 기념물 제26호로 지정되었다.

7. 현대 문화에서의 등장

ROKS 나대용 (SS-069)

  • 2009년 한정판 만화 시리즈 《이순신: 전사와 수호자》에 등장했다.

7. 1. 드라마

7. 2. 영화

7. 3.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
[2] 서적 Nanjung ilgi
[3] 웹사이트 Korean Database - Ichungmugong jeonseo http://www.krpia.co.[...]
[4] 웹사이트 Site to Honam Cultural Heritage http://www.memoryhon[...]
[5] 웹사이트 Page to War Memorial of Korea https://www.warmemo.[...]
[6] 웹인용 조선왕조실록 선조 206권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08-11-15
[7] 웹인용 나주시 관광정보 http://tour.naju.go.[...] 나주시 2008-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