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네그로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네그로스주는 필리핀 비사야 제도에 위치한 주로, 네그로스 섬의 남동쪽 절반을 차지한다. 초기에는 네그리토족, 오스트로네시아인 등이 거주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네그로스 주로 분할되었다. 미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점령을 겪었고, 1971년 시키호르가 독립 주가 되었다. 현재는 19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6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도는 두마게테이다.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관광 산업도 발달했다. 동네그로스주는 열대 기후를 보이며, 세부아노어를 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그로스섬 지방 - 서네그로스주
    네그로스 섬 서쪽에 위치한 서네그로스주는 필리핀 설탕 산업의 중심지로 "필리핀의 슈가볼"이라 불리며,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경제 다변화를 이루어 발전된 지방으로 성장하고 있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동네그로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2. 역사

1891년경, 약탈 해적의 공격을 마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종탑이 있는 두마게테 교회


네그로스는 비사야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마지막 빙하기 말에 해수면 상승으로 잘려 나가기 전에는 더 큰 육지의 일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3] 섬의 초기 거주자들 중에는 네그리토족과 오스트로네시아인이 있었고, 이후에는 주로 상인인 한족이 있었다.[2] 그들은 섬을 "부글라스"라고 불렀는데, 이는 "잘려나간"을 의미하는 토착어인 것으로 여겨진다.[3]

1565년 4월,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탐험대에 속한 스페인 탐험가들이 처음으로 이 섬에 도착했다. 레가스피는 보홀에 닻을 내리고 부하들을 섬에 정찰을 보냈다.[2] 세부와 네그로스 사이의 타뇬 해협의 강한 해류 때문에, 그들은 며칠 동안 떠밀려 섬의 서쪽에 상륙하게 되었다. 그들은 피부가 검은 많은 거주민들을 보았다고 보고했고, 섬을 "네그로스"(''Negro''는 스페인어로 "검은색"을 의미함)라고 불렀다.[2] 1571년, 레가스피는 섬의 엔코미엔다를 그의 부하 13명에게 할당했다.[2]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들은 이듬해부터 섬의 기독교화를 시작했다.

민다나오와 가깝기 때문에, 네그로스 남동쪽 해안은 모로족 약탈자들로부터 끊임없이 위협을 받았고, 따라서 기독교 마을을 보호하기 위해 망루가 건설되었다. 1890년 1월 1일, 발레리아노 웨일러 총독이 시행한 왕령에 의해 네그로스 섬은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와 네그로스 옥시덴탈 주로 분할되었다. 두마게테는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수도가 되었다. 1892년, 시키호르는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일부가 되었다.

필리핀 혁명은 1898년 네그로스에 도달하여 정부 기능을 방해했지만 극심한 폭력과 유혈 사태는 없었다. 1898년 11월 24일, 두마게테와 섬의 나머지 지역에 있는 스페인 식민 정부가 전복되었다. 이후, 네그로스 칸토날 공화국이 형성되었다.[4]

1901년, 미국은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를 재편했고 민간 정부를 수립했다. 1934년에는 별도의 군사 구역이 되었다. 미국 식민 정부 하에서는 도로 개선과 새로운 다리 건설을 통해 교통 인프라가 개발되었다.[6]

제2차 세계 대전 중, 네그로스 주의 두 지역 모두 일본 제국군에 의해 침략당했고, 많은 주민들이 내륙 산악 지대로 피난했다.[7] 1945년 8월 6일 현지 네그렌세 게릴라가 일본군을 공격하면서 필리핀-미국 연합군에 의해 네그로스 섬이 해방되었다.

1971년 9월 17일, 시키호르는 독립된 주로 승격되었다.[8]

기훌랑간 시는 2007년에 구성 도시가 되었으나, 2008년과 2010년에 도시 지위를 잃었다가 2011년에 도시 지위가 재확인되었다.

2015년 5월 29일, 동네그로스 주는 네그로스 섬 지역이 형성되면서 중앙 비사야스 지역에서 분리되었다.[9] 그러나 2017년 8월 9일, 네그로스 섬 지역을 해체했고, 동네그로스 주는 중앙 비사야스 지역으로 돌아갔다.[10]

2018년, 두테르테 행정부가 연방주의를 추진하면서 동네그로스 주와 네그로스 오키덴탈 주를 하나의 연방 지역으로 재통합하는 아이디어가 논의되었다.[11][12][13][14]

2024년 6월 13일, 동네그로스 주는 중앙 비사야스에서 네그로스 섬 지역으로 이전되었다.[15]

2024년 5월 17일, 필리핀 국립 역사 위원회는 1924년에 건축된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 청사 건물의 100주년 기념 표지석을 설치했다.[16][17]

2. 1. 초기 역사

네그로스는 비사야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마지막 빙하기 말에 해수면 상승으로 잘려 나가기 전에는 더 큰 육지의 일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3] 섬의 초기 거주자들 중에는 네그리토족과 오스트로네시아인이 있었고, 이후에는 주로 상인인 한족이 있었다.[2] 그들은 섬을 "부글라스"라고 불렀는데, 이는 "잘려나간"을 의미하는 토착어인 것으로 여겨진다.[3]

2. 2. 스페인 식민 시대



1565년 4월,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탐험대에 속한 스페인 탐험가들이 처음으로 이 섬에 도착했다. 레가스피는 보홀에 닻을 내리고 부하들을 섬에 정찰을 보냈다.[2] 세부와 네그로스 사이의 타뇬 해협의 강한 해류 때문에, 그들은 며칠 동안 떠밀려 섬의 서쪽에 상륙하게 되었다. 그들은 피부가 검은 많은 거주민들을 보았다고 보고했고, 섬을 "네그로스"(''Negro''는 스페인어로 "검은색"을 의미함)라고 불렀다. 당시 섬에는 일로그, 비날바간을 포함한 몇몇 해안 정착지를 제외하고는 사람이 드물게 거주했다. 1571년, 레가스피는 섬의 엔코미엔다를 그의 부하 13명에게 할당했다.[2]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들은 이듬해부터 섬의 기독교화를 시작했다. 이 섬은 1734년까지 오톤의 관할 구역으로 행정 처리되었고, 이때 군사 지구로 바뀌었으며, 일로그가 섬의 수도가 되었다. 수도는 1795년에 히마마일란으로 이전되었다. 네그로스는 1865년에 정치-군사 주가 되었고 수도는 바콜로드로 이전되었다.

민다나오와 가깝기 때문에, 네그로스 남동쪽 해안은 노예를 찾는 모로족 약탈자들로부터 끊임없이 위협을 받았고, 따라서 기독교 마을을 보호하기 위해 망루가 건설되었다. 모로족의 습격과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바콜로드에서 떨어진 거리는 1876년 7월 13명의 레콜렉토 수사들이 섬을 분할해 달라는 청원을 하게 만들었다.[2] 1890년 1월 1일, 발레리아노 웨일러 총독이 시행한 왕령에 의해 네그로스 섬은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와 네그로스 옥시덴탈 주로 분할되었다. 두마게테는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수도가 되었다. 1892년, 시키호르는 이전에 보홀의 정치-군사 주 아래 스페인에 의해 관리되었으며,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일부가 되었다.

필리핀 혁명은 1898년 네그로스에 도달하여 정부 기능을 방해했지만 극심한 폭력과 유혈 사태는 없었다. 섬의 혁명군은 농부들과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의 다른 저명한 사람들로 구성되었으며, 돈 디에고 데 라 비냐가 조직하고 이끌었다. 1898년 11월 24일, 두마게테와 섬의 나머지 지역에 있는 스페인 식민 정부가 전복되었다. 이후, 아라네타 장군의 지휘 하에 네그로스 옥시덴탈 지역과 돈 디에고 데 라 비냐의 지휘 하에 네그로스 오리엔탈 지역이 합쳐져 루손에 설립된 더 익숙한 말롤로스 공화국과는 별도의 정부인 네그로스 칸토날 공화국을 형성했다.[4]

2. 3. 미국 식민 시대

1901년, 미국은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를 재편했고, 데메트리오 라레나를 주지사로 하는 민간 정부를 수립했다. 미국 정부는 시키호르를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의 "하위 주"로 만들었다. 1917년 3월 10일, ''법률 2711''을 통해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는 미국 민간 정부 하의 주가 되었다.[5] 1934년에는 별도의 군사 구역인 ''코레히미엔토''가 되었다. 미국 식민 정부 하에서는 도로 개선과 새로운 다리 건설을 통해 교통 인프라가 개발되었다.[6]

2. 4. 일본 점령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중, 네그로스 주의 두 지역 모두 일본 제국군에 의해 침략당했고, 많은 주민들이 내륙 산악 지대로 피난했다.[7] 1945년 8월 6일 현지 네그렌세 게릴라가 일본군을 공격하면서 필리핀-미국 연합군에 의해 네그로스 섬이 해방되었다. 1942년 1월 3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필리핀 연방 육군의 제7, 제73, 제74, 제75 보병 사단이 창설되었으며, 1944년 10월 28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동네그로스주 군사 본부에서 필리핀 경찰의 제7 헌병 연대가 활동했다. 이들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네그로스에서 일본 제국군에 대항하는 반(反) 일본 제국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2. 5. 현대

1565년 4월,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탐험대에 속한 스페인 탐험가들이 처음으로 이 섬에 도착했다. 세부와 네그로스 사이의 타뇬 해협의 강한 해류 때문에, 그들은 며칠 동안 떠밀려 섬의 서쪽에 상륙하게 되었다. 그들은 피부가 검은 많은 거주민들을 보았다고 보고했고, 그들은 섬을 "네그로스"(''Negro''는 스페인어로 "검은색"을 의미함)라고 불렀다.[2] 1571년, 레가스피는 섬의 엔코미엔다를 그의 부하 13명에게 할당했다.[2]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들은 이듬해부터 섬의 기독교화를 시작했다.

민다나오와 가깝기 때문에, 네그로스 남동쪽 해안은 모로족 약탈자들로부터 끊임없이 위협을 받았고, 따라서 기독교 마을을 보호하기 위해 망루가 건설되었다. 1890년 1월 1일, 발레리아노 웨일러 총독이 시행한 왕령에 의해 네그로스 섬은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와 네그로스 옥시덴탈 주로 분할되었다. 두마게테는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수도가 되었다. 1892년, 시키호르는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일부가 되었다.

필리핀 혁명은 1898년 네그로스에 도달하여 정부 기능을 방해했지만 극심한 폭력과 유혈 사태는 없었다. 1898년 11월 24일, 두마게테와 섬의 나머지 지역에 있는 스페인 식민 정부가 전복되었다. 이후, 네그로스 칸토날 공화국이 형성되었다.[4]

1971년 9월 17일, 시키호르는 ''공화국 법률 제6396호''에 따라 독립된 주로 승격되었다.[8]

기훌랑간 시는 2007년 6월 14일에 ''공화국 법률 제9409호''가 비준되면서 구성 도시가 되었으나, 2008년과 2010년에 도시 지위를 잃었다가 2011년 2월 15일 필리핀 대법원 판결로 도시 지위가 재확인되었다.

2015년 5월 29일,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이 ''행정 명령 제183호, s. 2015''에 서명하여 네그로스 섬 지역이 형성되면서 동네그로스 주는 중앙 비사야스 지역에서 분리되었다.[9] 그러나 2017년 8월 9일,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행정 명령 제38호''에 서명하여 네그로스 섬 지역을 해체했고, 동네그로스 주는 중앙 비사야스 지역으로 돌아갔다.[10]

2018년, 두테르테 행정부가 연방주의를 추진하면서 동네그로스 주와 네그로스 오키덴탈 주를 하나의 연방 지역으로 재통합하는 아이디어가 논의되었다.[11][12][13][14]

2024년 6월 13일,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이 ''공화국 법률 12000호''에 서명한 후 동네그로스 주는 중앙 비사야스에서 네그로스 섬 지역으로 이전되었다.[15]

2. 5. 1.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 청사 100주년

2024년 5월 17일, 필리핀 국립 역사 위원회의 카르민다 아레발로 국장이 1924년에 건축된 그리스-이오니아식 다니엘 번햄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 청사" 건물의 100주년 기념-"희년" 기념 역사 표지석을 설치했다. 마누엘 "차코" L. 사가르바리아 주지사는 이메 마르코스, 프란시스 톨렌티노, 마크 비야르, 리사 혼티베로스, 리토 라피드, 징고이 에스트라다, 아일랜드 대사 윌리엄 존 카를로스, 필리핀 투어 운영자 협회 등이 참석한 가운데 표지석의 이전 증명서에 서명했다.[16][17] 이 역사적인 행사는 두마게테 시 두마게테 노스 로드에서 열렸다. 쿠 레데스마, 실리만 대학교 댄스 단, 오케스트라 신 아르코 등이 공연했으며, 마지막에는 프리덤 파크에서 파이로 뮤지컬 경연대회가 열렸다.[16][17]

3. 지리

아포 섬의 암석 형성


동네그로스주는 네그로스 섬의 남동쪽 절반을 차지하며, 북서쪽 절반은 네그로스 옥시덴탈주가 차지한다. 험준한 산맥이 동네그로스주와 네그로스 옥시덴탈주를 구분한다. 동쪽으로 타뇽 해협을 사이에 두고 세부 섬(세부 주)을 마주보고 있으며, 남쪽으로 바다를 사이에 두고 삼보앙가 반도 지방의 삼보앙가 델 노르테 주가 있다.

과거에는 중부 비사야 지방 (''Central Visayas, Region VII'')에 속했으나, 2024년 6월 이후 네그로스 섬 지방에 속해 있다.[39]

3. 1. 지형

동네그로스주는 네그로스 섬의 남동쪽 절반을 차지하며, 북서쪽 절반은 네그로스 옥시덴탈주가 차지한다. 총 면적은 5385.53km2이다. 험준한 산맥이 동네그로스주와 네그로스 옥시덴탈주를 구분한다. 동네그로스주는 동쪽으로 타뇽 해협을 사이에 두고 세부를 마주보고 있으며, 남동쪽으로는 시키호르 섬을 마주보고 있다. 술루 해는 남쪽에서 남서쪽으로 동네그로스주와 접해 있다. 네그로스는 주로 화산 지형으로, 토양이 농업에 이상적이다. 섬 지역의 경작 가능한 토지의 80%가 경작되고 있다.

발렌시아 남서쪽에 위치한 탈리니스 산은 네그로스에서 두 번째로 높은 화산이다.


동네그로스주의 지형은 낮고 홈이 파인 산맥이 특징이며, 일부는 해안선에 가깝게 위치해 있다. 동네그로스주 남쪽 끝에는 "Cuernos de Negros"("네그로스의 뿔")라고도 알려진 탈리니스 산이 있으며, 이는 높이가 2000m에 달하는 휴화산 복합 화산이다. 동네그로스주 북쪽 끝에는 섬 지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활화산 칸라온 산이 있으며, 높이는 2465m이다. 동네그로스주 남서부 내륙에는 평원과 고원이 몇 군데 있는데, 여기에는 타블라스 고원도 포함된다.[25]

3. 2. 기후

네그로스 오리엔탈주는 열대 기후를 보인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는 산맥 때문에, 이 주는 두 가지 유형의 기후 조건을 갖는다.[20] 주의 동쪽 지역은 적당히 뚜렷한 우기와 1~3개월 지속되는 짧은 건기로 특징지어진다. 주의 서쪽 절반은 뚜렷한 우기건기로 특징지어진다.[25]

4. 행정 구역

동네그로스 주는 19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6개의 도시로 구성되며, 이들은 다시 557개의 바랑가이로 세분화된다.[15] 두마게테는 주도이자 행정 소재지이며, 면적이 가장 작음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

동네그로스 주의 정치 구획


동네그로스주의 정치 지도
동네그로스 주의 입법 지도


입법 대표를 위해 도시와 지방 자치 단체는 3개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묶여 있으며, 각 선거구는 필리핀 하원국회의원을 선출한다.

1971년 9월 17일, 시키호르는 ''공화국 법률 제6396호''에 따라 독립된 주로 승격되었다.[8]

기훌랑간은 ''공화국 법률 제9409호''에 따라 구성 도시가 되었으나, LCP이 도시 지위 법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한 후 2008년과 2010년에 두 번이나 도시 지위를 잃었다. 이후 필리핀 대법원이 2011년 2월 15일에 도시 지위 법이 헌법에 부합한다고 판결을 확정하면서 도시 지위는 재확인되었다.

2015년 5월 29일,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은 ''행정 명령 제183호''에 서명하여 네그로스 섬 지역을 형성하였다.[9] 동네그로스 주는 중앙 비사야스 지역에서 분리되어 네그로스 오키덴탈 및 바콜로드와 함께 새로운 지역으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2017년 8월 9일,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벤자민 디오크노 예산 및 관리부 장관에 따르면 지역을 완전히 설립할 자금 부족을 이유로 ''행정 명령 제38호''에 서명하여 ''행정 명령 제183호''를 폐지함으로써 네그로스 섬 지역을 해체했다.[10] 이로 인해 동네그로스 주는 중앙 비사야스 지역으로 돌아갔다.

2018년, 두테르테 행정부가 연방주의를 추진하면서 동네그로스 주와 네그로스 오키덴탈 주를 하나의 연방 지역으로 재통합하는 아이디어가 지역 정치인들과 논의되었으며, 알려진 토착 네그렌세들의 추가적인 지원도 있었다.

2024년 6월 13일,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이 ''공화국 법률 12000호''에 서명한 후 동네그로스 주는 중앙 비사야스에서 네그로스 섬 지역으로 이전되었다.[15]

4. 1. 도시 및 지방 자치 단체 목록

동네그로스 주의 도시 및 지방 자치 단체 목록
도시 또는 지방 자치 단체지구인구 (2020년)연간 성장률 (%)면적 (km²)인구 밀도 (명/km²)바랑가이 수좌표
아믈란3구25,513111.85km22288
아융온2구47,102265.1km217824
바공4구41,20740.3km21,02222
바이스2구84,317319.64km226435
바사이4구28,531162km217610
바야완4구122,747699.08km217628
빈도이2구40,308173.7km223222
칸라온1구58,822170.93km234412
다우인4구30,018114.1km226323
두마게테2구134,10333.62km23,98930
기훌란간1구102,656388.56km226433
지말라루드1구32,256139.5km223128
라 리베르타드1구41,089174.64km223529
마비나이2구82,953319.44km226032
만주요드2구44,799264.6km216927
팜플로나3구39,805202.2km219716
산 호세3구21,95654.46km240314
산타 카탈리나4구77,501523.1km214822
시아톤4구83,082335.9km224726
시불란3구64,343163km239515
탄제이3구82,642276.05km229924
타야산2구38,159154.2km224728
발렌시아3구38,733147.49km226324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동네그로스 주의 인구는 1,432,990명이며,[21] 인구 밀도는 250PD/km2이다. 2010년 등록 유권자 수는 606,634명이었다.[22] 인구의 34.5%는 두마게테, 바야완, 기훌랑안, 탄제이, 바이스, 칸라온 등 6개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2010년에서 2015년 사이 연간 인구 증가율은 약 0.99%로, 전국 평균 1.72%보다 낮다.[21]

네그로스 섬 전체 주민들은 "네그렌세"라고 불리지만, 동네그로스 주민들은 서네그로스 주민들과 구별하기 위해 "네고렌세"라고 부르기도 한다. 많은 네고렌세는 오스트로네시아인 혈통이며, 중국 및/또는 스페인계 혈통을 가진 소수 민족도 있다.

동네그로스는 세부와 가깝기 때문에 주로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며, 주민의 72%가 세부아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힐리가이논어는 28%가 사용하며, 서네그로스와의 국경 근처 지역에서 흔히 사용된다. 필리핀어영어는 공식, 문학, 교육 목적으로 사용된다.

2000년 기준 동네그로스 주의 언어별 사용 인구는 다음과 같다.[21]

언어화자 수
세부아노어1,427,065명
힐리가이논어165,308명
기타 비사야어39,174명
볼라논어4,147명
기타8,318명
미보고8,065명


5. 1. 종교

기독교는 이 지역의 지배적인 종교이며, 로마 가톨릭교가 가장 큰 단일 교단(75%)이다.[23] 주류 개신교복음주의 개신교의 강력하고 증가하는 세력이 있으며, 이는 지역 인구의 약 9%를 차지한다. 예수 그리스도 교회는 전체 인구의 3-5%를 차지하며,[24]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여호와의 증인, 필리핀 독립 교회(아글리파얀 교회) 역시 어느 정도 존재감을 보인다. 이슬람교와 불교 신자는 소수이다.

6. 경제

발렌시아의 지열 발전소


동네그로스주는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주요 작물로는 사탕수수, 스위트콘, 코코넛, 등이 있다.[25] 해안 지역의 주요 수입원은 어업이다. 바야완을 중심으로 목장, 양어장, 고무 농장 등에도 종사한다. 내륙 지역에서는 , , 구리 등의 광물이 매장되어 있다.

발렌시아의 포레스트 캠프 리조트


이 지역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PO) 산업 성장으로 비사야 지역의 주요 기술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의 2차 도시 및 기타 기술 관련 산업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아믈란에서는 차량 조립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두마게테 외곽에서 대규모 주택 및 주택 단지 건설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지역의 2차 도시 및 빠르게 성장하는 마을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 산업으로는 생수 생산, 창고업, 냉동 및 건조 보관 등이 있다. 소매업은 두마게테 외곽의 다른 도시 지역으로 진출하여 바야완, 탄자이, 바이스와 같은 도시에서 슈퍼마켓과 쇼핑몰이 생겨났다. 두마게테와 남쪽으로 인접한 바콩에는 지역 및 수출 시장을 겨냥한 많은 산업 시설이 있어 경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 동네그로스주는 비사야 제도에서 주목할 만한 관광 명소이기도 하다.

7. 교통

두마게테의 오토바이 삼륜차


네그로스 오리엔탈에는 네그로스 섬의 둘레를 잇는 국도를 포함한 도로망이 있다. 이 지역의 국도와 지방도의 총 길이는 900km가 넘지만, 이 중 포장된 도로는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26]

많은 주민들은 자가용을 소유하지 않고 대중교통에만 의존한다. 버스지프니가 이 지역의 도시와 자치체를 연결한다. 마을 내의 짧은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오토바이 삼륜차("삼륜차"로 줄여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현지에서는 "하발하발"로 알려진 오토바이 택시가 다른 종류의 차량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서 주요 교통 수단이다.

2007년 시불란 공항 터미널


시불란 공항은 시불란에 위치해 있으며, 이 지역의 유일한 상업 공항이다.[26] 이 공항은 필리핀 항공과 세부 퍼시픽 항공이 운항하는 국내선 공항으로, 마닐라를 오가는 여러 편의 항공편이 매일 운항한다. 또한 세부카가얀데오로를 오가는 항공편도 운항한다. 2002년 통계에 따르면, 매달 평균 5,800명의 출발 승객과 5,700명의 도착 승객이 이 공항을 이용했다. 2021년 3월, 현재의 시불란 공항에 대한 업그레이드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여기에는 포장 재건, 터미널 건물 확장, CAAP 행정 건물 확장이 포함되었다.[27] 이 공항은 현재 위치의 혼잡으로 인해 바콩으로 이전될 예정이며, 2014년부터 제안되었고 2022년 현재 최종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26][28]

이 지역의 주요 항구는 두마게테 항이다. 또한, 이 지역에는 3차 항구로 분류된 5개의 다른 항구가 있다.[29]

8. 교육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립 대학교


주(province)의 대부분의 대학과 대학교는 두마게테에 집중되어 있으며, 두마게테는 남부의 학습 중심지이자 대학 도시로 널리 알려져 있다.

8. 1. 주요 대학교 및 교육 기관

학교위치
AMA 컴퓨터 칼리지두마게테
아시안 칼리지두마게테
콜레히오 데 산타 카탈리나 데 알레한드리아두마게테
디아즈 칼리지탄제이 시티
파운데이션 대학교두마게테
라 콘솔라시온 칼리지 바이스바이스
막시노 칼리지두마게테
메트로 두마게테 칼리지두마게테
네그로스 칼리지아융곤
네그로스 해양 칼리지 재단시불란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립 대학교 메인 및 바줌판단 캠퍼스두마게테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립 대학교 바이스 캠퍼스 I & II바이스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립 대학교 바야완-산타 카탈리나 캠퍼스바야완/산타 카탈리나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립 대학교 기훌란간 시티 캠퍼스기훌란간 시티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립 대학교 마비나이 캠퍼스마비나이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립 대학교 팜플로나 캠퍼스팜플로나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립 대학교 시아톤 캠퍼스시아톤
장로교 신학 대학두마게테
성 프란치스코 칼리지기훌란간 시티
성 요셉 칼리지 오브 칸라온칸라온
성 요셉 신학 대학시불란
STI 칼리지두마게테
실리만 대학교두마게테
성 바오로 대학교두마게테
사우스턴 테크 칼리지바야완
빌라플로레스 칼리지탄제이 시티


9. 문화

두마게테의 니노이 아키노 기념 자유 공원에서 열리는 부글라산 축제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각 마을은 연례 마을 축제를 기념하며, 일반적으로 특정 마을이나 도시의 수호 성인에게 헌정된다. 일부 더 큰 마을에서는 특정 지역이나 바랑가이를 위한 특별 축제가 열린다.

도시/마을축제일수호 성인
히마라루드1월 15일Sr. Sto. Niño
칸라온3월 19일Sr. San Jose
시불란6월 13일St. Anthony of Padua
타야산6월 13일St. Anthony of Padua
탄자이 시7월 25일성 야고보
바콩8월 28일St. Augustine of Hippo
바이스9월 10일St. Nicholas of Tolentino
다우인9월 10일St. Nicholas of Tolentino
만주요드10월 4일St. Francis of Assisi
발렌시아10월 12일버려진 자들의 성모
두마게테11월 25일St. Catherine of Alexandria
암란11월 30일St. Andrew
시아톤12월 6일St. Nicholas of Bari



부글라산 축제는 매년 10월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주도인 두마게테에서 열리며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축제의 축제"로 칭송받고 있다.[30] 이 축제는 일주일 동안 진행되며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각 마을과 도시의 독특한 부스가 현지 제품과 관광 명소를 선보인다. 이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플로트 퍼레이드와 거리 댄스 경연대회이다.[31] ''대통령령 695호''를 통해 2024년 10월 25일은 부글라산 축제를 기념하여 특별 휴무일로 선포되었다.[32]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리조트 수도인 다우인의 해변 리조트 풍경. 관광은 네그로스 오리엔탈주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


이 주는 이나타어 사용자의 마지막 생존 잔재의 고향이다. 세부아노어는 주 전역에서 사용되며, 토착 언어인 미나가핫어는 남부에서 사용된다.

10. 언론

동네그로스 주에는 ''두마게테 메트로포스트'',[33] ''네그로스 크로니클'',[34] ''두마게테 스타 인포머'', ''타임즈 포커스'', ''아일랜드 뉴스''[35] 등 최소 7개의 지역 언론 매체가 발행되고 있다. PLDT, 글로브 텔레콤, 디토 텔레커뮤니티와 그 자회사들은 이 지역의 주요 네트워크 연결 제공업체이다. TV와 라디오의 주요 제공업체는 폐국된 ABS-CBN 두마게테 방송국에서 인수한 AllTV 채널 12 두마게테를 운영하는 Advanced Media Broadcasting System, People's Television Network, GMA, GTV (필리핀 TV 네트워크)가 있다. G 샛, 시그널 TV, 샛라이트와 같은 케이블 TV 및 유료 TV 제공업체는 카파밀라 채널, BBC, ESPN 등 국제 프로그램의 시청을 지원한다. 이 지역은 이전에 주로 TV Patrol Central Visayas (ABS-CBN 세부와 공유)라는 하나의 지역 뉴스 방송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았다.

11. 주요 인물


  • 데메트리오 라레나 시니어 -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초대 주지사
  • 찬다 로메로 - 배우, TV 연예인
  • 발린 몬테네그로 비센테 - 배우, TV 연예인
  • 에디 로메로 - 영화 및 방송 예술 필리핀 국가 예술가
  • 호세 마리 찬 - 설탕 산업의 가수, 작곡가 겸 사업가 (출생지는 일로일로지만 동네그로스주 출신)
  • 후아니타 아마통 - 전 필리핀 재무부 장관
  • 펠릭스 마카시아르 - 필리핀 대법원 제14대 대법원장
  • 로엘 데가모 - 네그로스 오리엔탈 전 주지사
  • 호세 E. 로메로 무뇨스 - 필리핀(구 미국) 정치가이자 세인트 제임스 궁 대사
  • 호세 V. 로메로 주니어 - 필리핀 외교관
  • 에밀리오 야프 - 필리핀계 중국인 사업가
  • 마리아노 무뇨스 - 실리만 대학교 최초의 스페인어 교수이자 언어학과 학과장
  • 마리아 크리스티나 상그로니즈 데 바스케스 프라다 - 스페인계 필리핀 사교계 명사
  • 다니엘 패트릭 예이 파르콘 주교 - 현 탈리본 로마 가톨릭 교구 주교 (보홀 주, 발레모르모소)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3-11
[2] 웹사이트 WOW Philippines - Negros Oriental history http://www.wowphilip[...]
[3] 웹사이트 Files Magazine http://www.panaynews[...] 2016-07-22
[4] 웹사이트 Republic of Negros http://worldstatesme[...] 2016-07-22
[5] 웹사이트 An Act Amending the Administrative Code https://www.official[...] 2016-04-23
[6] 웹사이트 Major Hubs 5 Major Destinations http://www.asia-plan[...] 2016-07-22
[7] 서적 Stranded in the Philippines Naval Institute Press 2009
[8]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6398 - An Act Separating the Subprovince of Siquijor from the Province of Oriental Negros and Establishing It as an Independent Province http://laws.chanrobl[...] 2016-04-16
[9]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183; Creating a Negros Island Region and for Other Purposes https://www.official[...] 2016-07-08
[10] 뉴스 Duterte dissolves Negros Island Region http://www.rappler.c[...] Rappler 2017-08-10
[11] 뉴스 2 governors push Negros Island state http://www.sunstar.c[...] Sun.Star 2018-04-02
[12] 뉴스 Governors want Negros federal state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8-04-02
[13] 뉴스 Negros governors unite for Negros Island federal region https://www.ndb-onli[...] The Negros Daily Bulletin 2018-05-31
[14] 뉴스 Push for Negros Island as one federal region continues https://www.pna.gov.[...] The Philippine News Agency 2018-05-31
[15] 웹사이트 https://www.pna.gov.[...] 2024-08-01
[16] 뉴스 6 senators to join Negros Oriental's jubilee celebration https://www.pna.gov.[...] 2024-05-17
[17] 뉴스 NHCP unveils historical marker for Negros Oriental's Capitol building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24-05-17
[18] 웹사이트 Dumaguete Belfry - Philippines http://www.dumaguete[...] Dumaguete Info: the Website of Gentle People 2008-04-06
[19] 서적 100 Resorts in the Philippines: Places with a Heart https://books.google[...] Asiatype, Inc. 2004-04-05
[20] 웹사이트 Climate Condition http://www.agribizor[...] 2016-07-22
[21] 웹사이트 Negros Oriental: More Than One-Third of the Houses Were Built in the Latter 90's (Results from the 200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NSO); Table 4.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and Sex: Negros Oriental, 2000 https://www.census.g[...] 2016-04-23
[22] 웹사이트 Region: NIR - Negros Island Region http://www.nscb.gov.[...] 2016-07-22
[23] 웹사이트 MAP: Catholicism in the Philippines https://www.rappler.[...] 2015-01-18
[24] 웹사이트 MAP: Iglesia ni Cristo in the Philippines https://www.rappler.[...] 2014-07-26
[25] 웹사이트 Negros Oriental Provincial Agricultural Profile http://afmis.da.gov.[...] 2016-04-23
[26] 웹사이트 Transportation http://www.agribizor[...] 2016-07-22
[27] 뉴스 THE MUCH-IMPROVED AIRPORT OF DUMAGUETE! https://dotr.gov.ph/[...]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2-08-24
[28] 뉴스 ALTERNATE INTERNATIONAL AIRPORT: Why Bacong? pilot-legislators explain why… https://negroschroni[...] Negros Chronicle
[29] 웹사이트 Negros Oriental http://www.dti.gov.p[...] 2016-04-23
[30] 뉴스 The 'fantastic' Buglasan Festival of Dumaguete http://www.inq7.net/[...] 2016-04-23
[31] 뉴스 Buglasan Festival 2015 opens with 'Fiesta sa Nayon' http://www.sunstar.c[...] 2016-04-23
[32] 뉴스 Marcos declares non-working days in 5 localities across PH https://www.pna.gov.[...] 2024-09-29
[33] 웹사이트 Visayan News http://dumaguetemetr[...] 2016-04-16
[34] 웹사이트 (Home page) http://www.negroschr[...] 2016-04-16
[35] 웹사이트 Negros Oriental (home page) http://www.visayanda[...] 2016-04-16
[36] 웹사이트 Chief Justice Felix V. Makasiar http://elibrary.judi[...] 2010-06-05
[37] 웹사이트 University Town mourns death of Dr. Emilio T. Yap http://dumaguetemetr[...] 2017-07-13
[38] 웹사이트 Philippines: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citypopulati[...] Citypopulation 2023-02-19
[39] 뉴스 Marcos signs law creating new Negros Island Region https://www.philstar[...] Philippine Star 2024-06-13
[40]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41] 문서 2000
[42] 문서 2003
[43] 문서 2006
[44] 문서 2012
[45] 문서 2015
[46] 문서 2018
[47] 문서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