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브고로드 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브고로드 루스는 발다이 구릉과 프리일메니 북서부 지역에 정착한 슬라브족과 핀족을 비롯한 다양한 민족들의 역사를 아우른다. 6세기에는 크리비치족, 8세기에는 일멘 슬로베니아족이 정착했으며, 스칸디나비아인도 존재했다. 9세기에는 노브고로드가 대규모 정착지로 발전했으며, 키예프 루스 형성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1136년 노브고로드는 키예프와의 관계를 거부하고 공화국 시대를 열었으며, 블라디미르-수즈달의 영향력을 받기도 했다. 1478년 모스크바에 합병되기 전까지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독립적인 정치적 지위를 유지하며 성장했다. 이후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에는 학살과 스웨덴 점령을 겪었으며, 17세기 이후에는 상업과 수공업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행정적으로는 피야티나로 나뉘었으며, 북극해와 카렐리야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확장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유럽사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동유럽사 - 노브고로드 공화국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중세 국가로, 민회를 통해 공작을 선출하고 모피 무역과 한자 동맹을 통해 번성했지만, 1478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되었다. - 러시아의 역사 - 빈 회의
빈 회의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정치 지형을 재편성하기 위해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 회의이며, 정통주의와 세력 균형을 통해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고자 했고,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여러 국가의 영토를 조정하고 노예 무역 금지 등을 합의하여 빈 체제를 구축했다. - 러시아의 역사 - 크론시타트 반란
크론시타트 반란은 1921년 러시아 크론시타트 해군 기지에서 발생한 반볼셰비키 봉기로, 볼셰비키의 정책에 반발한 수병들이 자유로운 선거 등을 요구하며 일어났지만 무력 진압되었고 레닌의 권력 강화와 신경제정책 도입의 배경이 되었다. - 역사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2013년
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교황 사임, 북한 핵실험, 용산 개발 사업 부도, 윤창중 사건, 스노든 폭로, 김연아 우승, 방탄소년단 데뷔, 넬슨 만델라 사망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노브고로드 루스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현지 이름 | Новгородская Русь (노브고로츠카야 루스) |
다른 표기 | Новгородская Русь (노브고로드 루스) |
존속 기간 시작 | 862년 |
존속 기간 끝 | 882년 |
지역 | 동유럽 |
수도 | 홀름가르드 |
공용어 | 고대 노르드어 고대 노브고로드어 |
종교 | 노르드 이교 슬라브 이교 |
데모님 | 루스인 |
정부 형태 | 군주제 |
입법부 | 베체 |
현재 국가 | |
정치 | |
지도자 칭호 | 공작 |
862년 ~ 879년 | 류리크 |
879년 ~ 913년 | 올레그 베시 |
왕조 | 류리크 왕조 |
이전 국가 | |
이전 | 루스 카간국 |
계승 국가 | |
계승 | 키예프 루스 |
2. 인구
노브고로드 루스 영토의 정착은 발다이 고원에서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프리일메니 북서부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다.[4] 고고학적 연구와 지명 연구를 통해, 이 지역에는 인도유럽어족 집단(미래의 발트족과 슬라브족)과 동쪽에서 온 발트-핀족의 조상에 의해 대체된 노스트라틱 공동체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6]
전통적으로 6세기에는 크리비치 부족, 8세기에는 동유럽 평원의 슬라브 정착 과정에서 일멘 슬로베니아인 부족이 이곳에 왔다고 여겨진다.[8] 핀족 부족은 같은 영토에 살면서 수많은 강과 호수의 이름에 자신들의 흔적을 남겼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슬라브 이전 지명을 전적으로 핀-우고르어로 해석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7]
스타라야 라도가와 류리코 고로디셰에서의 고고학 연구는 이 첫 번째 대규모 정착지의 주민들 사이에 고대 러시아(중세) 문학 자료에서 바랑기아인으로 언급되는 스칸디나비아인들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15][9][12]
슬라브족 외에도 노브고로드 랜드의 상당 부분은 다양한 핀족에 의해 점유되었다.[10][11] 슬라브족과 함께 보츠카야 피아티나는 보트족과 이조라족이 거주했으며, 이들은 오랫동안 노브고로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남부 핀란드에 살았던 옘은 일반적으로 노브고로드인들과 적대적인 관계였고 스웨덴 편에 더 기울었지만, 인근의 카렐리안은 일반적으로 노브고로드 편에 있었다.[45] 노브고로드는 리보니아와 에스토니아에 거주하는 추드족과 자주 싸웠다. 자볼로치에는 핀족 부족이 거주했으며, 이들은 종종 자볼로츠카야 추드로 불렸으며, 나중에 노브고로드 식민지 주민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45] 테르스키 해안은 사미족이 거주했다. 또한 북동쪽에는 페르미안족과 지릐안이 살았다. 슬라브 정착지의 중심지는 일멘 호수와 볼호프강 주변이었으며, 일멘 슬로베니아인이 이곳에 살았다.[45]
2. 1. 초기 정착
노브고로드 루스 영토의 정착은 발다이 고원에서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발다이(오스타시코프스키) 빙하 경계를 따라, 미래의 영토 중심지인 프리일메니 북서부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고학적[4] 그리고 지명 연구를 통해[5], 여기에는 인도유럽어족 집단(미래의 발트족과 슬라브족)과 동쪽에서 온 발트-핀족의 조상에 의해 대체된 이주하는 소위 노스트라틱 공동체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
전통적으로 6세기에 크리비치 부족이 이곳에 왔고, 8세기에는 동유럽 평원의 슬라브 정착 과정에서 일멘 슬로베니아인 부족이 왔다고 여겨진다. 핀족 부족은 같은 영토에 살면서 수많은 강과 호수의 이름에 자신들의 흔적을 남겼다. 슬라브 이전 지명을 전적으로 핀-우고르어로 해석하는 것은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의문을 제기받고 있다.[7] 슬라브 정착 시기는 크리비치와 관련된 긴 둔덕과 슬로베니아와 관련된 언덕 모양의 둔덕이 있는 무덤에 의존한다.[8]
스타라야 라도가와 류리코 고로디셰에서의 고고학 연구는 이 첫 번째 대규모 정착지의 주민들 사이에 고대 러시아(중세) 문학 자료에서 전통적으로 바랑기아인으로 언급되는 스칸디나비아인들의 존재를 보여준다.[15][9][12]
슬라브족 외에도 노브고로드 랜드의 상당 부분이 다양한 핀족에 의해 점유되었다.[10][11] 슬라브족과 함께 보츠카야 피아티나는 보트족과 이조라족이 거주했으며, 이들은 오랫동안 노브고로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남부 핀란드에 살았던 옘은 일반적으로 노브고로드인들과 적대적인 관계였고 스웨덴 편에 더 기울었지만, 인근의 카렐리안은 일반적으로 노브고로드 편에 있었다.[45] 노브고로드는 리보니아와 에스토니아에 거주하는 추드족과 자주 싸웠다. 자볼로치에는 핀족 부족이 거주했으며, 이는 종종 자볼로츠카야 추드로 불렸으며, 나중에 노브고로드 식민지 주민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45] 테르스키 해안은 사미족이 거주했다. 또한 북동쪽에는 페르미안족과 지릐안이 살았다.
슬라브 정착지의 중심지는 일멘 호수와 볼호프강 주변이었으며, 일멘 슬로베니아인이 이곳에 살았다.[45]
2. 2. 슬라브족과 핀족의 이주
노브고로드 루스 영토의 정착은 발다이 고원에서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발다이(오스타시코프스키) 빙하 경계를 따라, 미래의 영토 중심지인 프리일메니 북서부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고학적[4] 그리고 지명 연구를 통해[5], 여기에는 인도유럽어족 집단(미래의 발트족과 슬라브족)과 동쪽에서 온 발트-핀족의 조상에 의해 대체된 이주하는 소위 노스트라틱 공동체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
전통적으로 6세기에 크리비치 부족이 이곳에 왔고, 8세기에는 동유럽 평원의 슬라브 정착 과정에서 일멘 슬로베니아인 부족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핀족 부족은 같은 영토에 살면서 수많은 강과 호수의 이름에 자신들의 흔적을 남겼다. 슬라브 이전 지명을 전적으로 핀-우고르어로 해석하는 것은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의문을 제기받고 있다.[7] 슬라브 정착 시기는 크리비치와 관련된 긴 둔덕과 슬로베니아와 관련된 언덕 모양의 둔덕이 있는 무덤에 의존한다.[8]
슬라브족 외에도 노브고로드 랜드의 상당 부분이 다양한 핀족에 의해 점유되었다.[10][11] 슬라브족과 함께 보츠카야 피아티나는 보트족과 이조라족이 거주했으며, 이들은 오랫동안 노브고로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남부 핀란드에 살았던 옘은 일반적으로 노브고로드인들과 적대적인 관계였고 스웨덴 편에 더 기울었지만, 인근의 카렐리안은 일반적으로 노브고로드 편에 있었다.[45] 노브고로드는 리보니아와 에스토니아에 거주하는 추드족과 자주 싸웠다. 자볼로치에는 핀족 부족이 거주했으며, 이는 종종 자볼로츠카야 추드로 불렸으며, 나중에 노브고로드 식민지 주민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45] 테르스키 해안은 사미족이 거주했다. 또한 북동쪽에는 페르미안족과 지릐안이 살았다.
슬라브 정착지의 중심지는 일멘 호수와 볼호프강 주변이었으며, 일멘 슬로베니아인이 이곳에 살았다.[45]
2. 3. 다양한 민족 구성
노브고로드 루스 영토의 정착은 발다이 고원에서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프리일메니 북서부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다.[4] 고고학적 연구와 지명 연구를 통해, 이 지역에는 인도유럽어족 집단(미래의 발트족과 슬라브족)과 동쪽에서 온 발트-핀족의 조상에 의해 대체된 노스트라틱 공동체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6]전통적으로 6세기에는 크리비치 부족, 8세기에는 동유럽 평원의 슬라브 정착 과정에서 일멘 슬로베니아인 부족이 이곳에 왔다고 여겨진다.[8] 핀족 부족은 같은 영토에 살면서 수많은 강과 호수의 이름에 자신들의 흔적을 남겼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슬라브 이전 지명을 전적으로 핀-우고르어로 해석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7]
스타라야 라도가와 류리코 고로디셰에서의 고고학 연구는 이 첫 번째 대규모 정착지의 주민들 사이에 고대 러시아(중세) 문학 자료에서 바랑기아인으로 언급되는 스칸디나비아인들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15][9][12]
슬라브족 외에도 노브고로드 랜드의 상당 부분은 다양한 핀족에 의해 점유되었다.[10][11] 슬라브족과 함께 보츠카야 피아티나는 보트족과 이조라족이 거주했으며, 이들은 오랫동안 노브고로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남부 핀란드에 살았던 옘은 일반적으로 노브고로드인들과 적대적인 관계였고 스웨덴 편에 더 기울었지만, 인근의 카렐리안은 일반적으로 노브고로드 편에 있었다.[45] 노브고로드는 리보니아와 에스토니아에 거주하는 추드족과 자주 싸웠다. 자볼로치에는 핀족 부족이 거주했으며, 이들은 종종 자볼로츠카야 추드로 불렸으며, 나중에 노브고로드 식민지 주민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45] 테르스키 해안은 사미족이 거주했다. 또한 북동쪽에는 페르미안족과 지릐안이 살았다. 슬라브 정착지의 중심지는 일멘 호수와 볼호프강 주변이었으며, 일멘 슬로베니아인이 이곳에 살았다.[45]
3. 역사
3. 1. 키예프 루스 시대 (882년 이전)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9세기 노브고로드는 이미 대규모 정착지였다. 정확히는 볼호프의 수원과 류리코보 고로디셰[12][13]에서 크레체비치 맞은편, 홀로피 타운까지 이어진 일련의 정착지였다.[14] 다른 정착지로는 라도가,[15] 이즈보르스크와 아마도 벨로오제르가 있었다. 이 지역에는 슬라브족과 핀족 부족이 거주했으며, 9세기에는 스칸디나비아인도 있었다.[16] 스칸디나비아인들은 아마도 이 지역을 가르다리키라고 불렀을 것이다.[17]전설에 따르면 노브고로드 땅은 키예프 루스 형성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원초 연대기》는 이곳을 "크고 풍요로운 땅"이라고 부르며, 바랑인의 초대 전설(전통적으로 862년으로 추정)을 기록하고 있다. 그 내용은 주민들이 "우리 위에 군림하며 법에 따라 우리를 심판할 군주를 찾고 싶어"하여 류리크(류리코비치 왕조의 창시자), 시네우스와 트루보르를 초대하여 그들을 통치하게 했다는 것이다.
3. 2. 키예프 루스 시대 (882–1136)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연대기에서는 882년)에 루리코비치 국가의 중심지가 노브고로드에서 키예프로 옮겨졌다.[18][19] 10세기에 라도가는 노르웨이의 야를 에릭의 공격을 받았다. 980년, 노브고로드 공작 블라디미르 스뱌토슬라비치(세례자)는 바랑기아인 부대를 이끌고 키예프 공작 야로폴크를 전복했다.[18][19] 990년대에 노브고로드는 기독교로 개종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사제 보구밀 솔로베이와 티샤츠키 우고냐이와 함께 신앙을 지켰다. 노브고로드는 "불과 칼"로 강제로 세례를 받았는데, 많은 노브고로드인들이 살해당했고 도시 전체가 불탔다.[18][19] 1015-1019년, 노브고로드 공작 야로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 현명공은 키예프 공작 스뱌토폴크 저주받은 자를 전복했다.[18][19] 노브고로드인들은 전쟁 중 야로슬라프를 지지했고, 야로슬라프는 전쟁에서 승리한 후 그들에게 보상으로 "야로슬라프 법"과 "헌장"을 노브고로드에 부여했다. 이 문서들은 노브고로드인들이 초청한 공작들이 선서를 할 때 참조하는 헌장의 원형이 되었다.[18][19] 또한 야로슬라프 치하에서 데티네츠와 최초의 성 소피아 대성당이 건설되었다.[18][19]
루스인들 중 노브고로드인들은 북극해와 오네가 호수 사이 지역에 처음으로 도달했다. ''보이보드'' 울레브[20]가 이끄는 원정대는 1036년 페초라 강 계곡 또는 동쪽 지역으로 확인된 철문 근처에서 유그라 사람들에게 패배했다.[21][22] 유그라 부족과의 교역은 이미 1096년에 이루어졌다.[21][22] 1020년과 1067년에 노브고로드 땅은 폴로츠크의 이지야슬라비치족의 공격을 받았다.
11세기에 키예프 공작의 아들인 총독은 여전히 큰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 같은 기간에, 공작이 부재중일 때 또는 공작이 미성년자일 때 노브고로드에서 통치한 포사드니크 제도가 등장했다. 1095년, 노브고로드인들은 공작 다비드 스뱌토슬라비치의 부재에 불만을 품고 므스티슬라프를 다시 불렀고, 7년 후 키예프 공작이 므스티슬라프를 그의 아들로 대체하려는 시도에 반대했다. 주요 공화주의 권력(베체, 공작, 포사드니크)은 11세기에 노브고로드에서 등장했다.[3]
12세기 두 번째 10년 동안 블라디미르 모노마흐는 노브고로드 땅에서 중앙 권력을 강화했다. 연대기는 1113년에 노브고로드인들이 그에게 조공을 바쳤다고 보고한다.[21] 1117년, 노브고로드 공동체의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므스티슬라프는 아버지에 의해 남쪽으로 소환되었고, 공작 세볼로트가 노브고로드의 왕좌에 앉았다. 일부 보야르들은 이 결정에 반대하여 키예프로 소환되어 감옥에 갇혔다.
1132년 므스티슬라프 대왕이 죽고 정치적 분열 경향이 심화되면서 노브고로드 공작은 중앙 정부의 지원을 잃었다. 1134년, 세볼로트는 도시에서 추방되었다. 노브고로드로 돌아온 그는 노브고로드인들과 그의 권위를 제한하는 협정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 1135년 1월 26일, 세볼로트와 이제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가 이끄는 노브고로드 군대는 주달 공작 유리 돌고루키의 군대에 의해 즈다나야 산 전투에서 패배했다. 1136년 5월 28일, 노브고로드는 세볼로트 공작의 행동에 불만을 품고 그를 체포한 후 노브고로드에서 추방했다.
3. 3. 노브고로드 공화국 시대 (1136–1478)

11세기 후반부터 노브고로드인들은 통치자 결정에 대한 더 큰 통제력을 주장했고, 키예프와의 정치적 종속 관계를 거부했다.[23] 1136년, 그들은 브세볼로트 므스티슬라비치 공작을 추방했는데, 이는 그가 스메르드를 돌보지 않고, 페레야슬라블로 이동하려 했으며, 군사 문제에 있어 겁이 많고 우유부단했기 때문이다.[24] 체르니고프의 브세볼로트의 동생이자 므스티슬라비치들의 주요 동맹자이자 당시 키예프 공작인 야로폴크의 경쟁자였던 스뱌토슬라프 올고비치가 모노마흐 가문 출신으로, 노브고로드인들이 독립적으로 초청한 첫 번째 공작이 되었다.
이후 노브고로드인들은 여러 공작을 초청하고 해임할 수 있었다. 종종 이러한 초청이나 해임은 당시 루스의 지배적인 공작이 누구인지에 따라 결정되었으며,[25] 1212년과 같이 노브고로드인들이 동맹자들이 이러한 지위를 차지하도록 돕기도 했다.
노브고로드는 식량의 많은 부분을 블라디미르-수즈달 공작들이 통제하는 오카 지역에서 가져왔다. 그들은 곡물 수송을 차단하여 노브고로드에 식량 부족이나 기근을 유발할 수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했다. 셰크스나 계곡과 노브고로드에서 북드비나로 가는 길 근처에 위치한 벨로제르 마을을 장악한 후, 블라디미르는 또한 동쪽의 노브고로드의 재산을 위협할 수 있었고 종종 그곳에서 가져온 조공을 가로챘다. 때때로 노브고로드는 유리 돌고루키의 팽창주의 정책에 무력으로 저항하여 1134년 브세볼로트 므스티슬라비치의 지휘하에 침공을 시작했으나, 즈다나야 산에서 패배했다. 1149년, 노브고로드인들은 스뱌토폴크 므스티슬라비치와 함께 야로슬라블 주변을 약탈하고, 7천 명을 포로로 이끌고 봄 홍수로 인해 철수했다. 노브고로드는 블라디미르의 강력한 공작을 달래야 하는 경우가 더 많았는데, 여기에는 유리의 두 아들을 노브고로드 공작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포함되었다.[21]
1170년,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와 그의 동맹군이 키예프를 점령한 직후, 그들은 키예프에서 추방된 공작의 아들인 로만 므스티슬라비치가 있던 노브고로드에 대한 원정을 감행했다. 노브고로드인들은 방어 전투에서 승리하여 적에게 막대한 손실을 입히며 독립을 지켜냈다.
1181년부터 1209년까지, 1184~1187년과 1196~1197년의 간격을 제외하고 블라디미르-수즈달 왕조가 노브고로드에서 권력을 잡았으며, 1197년부터는 그 통치가 지속되었다.[26]
12세기 중반, 노브고로드 관료들은 북동쪽("포테이지 너머")에서 보유한 영토를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해 도시에서 보야르를 임명했다. 1130년대의 헌장에는 노브고로드 영토 내에 정기적으로 수입을 징수하여 노브고로드 주교에게 십일조로 보내는 30개의 행정 직책이 언급되어 있다. 12세기 내내 노브고로드는 발트-볼가-카스피 무역로를 이용하여 무역뿐만 아니라 비옥한 오카 지역에서 도시로 식량을 가져오기도 했다.[21]
- ---
므스티슬라프 우다트니의 활약1209년 초,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 우다트니는 토르조크를 점령하여 현지 포사드니크와 여러 상인들뿐만 아니라 블라디미르 대공 세볼로트 대둥지의 막내아들인 노브고로드 대공 스뱌토슬라프 세볼로도비치의 귀족 집단도 포획했다. 그 후 그는 노브고로드에 도움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
> "나는 성 소피아와 내 아버지의 무덤, 그리고 모든 노브고로드인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대공의 폭력에 대해 듣고 당신에게 왔으며, 나의 고향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세볼로트 대둥지는 토르조크 점령 소식을 듣고 그의 맏아들 콘스탄틴을 그에게 보냈다. 그러나 므스티슬라프는 도시 내에서 지지를 받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노브고로드인들은 현재 대공 스뱌토슬라프(콘스탄틴의 형제)를 체포하고 새로운 선택된 자를 지지하며 "대공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확인했다. 이런 식으로 므스티슬라프의 안전이 보장되었고, 그 후 콘스탄틴은 트베르에서 멈춰야 했으며, 노년에 군사적 갈등을 피했던 그의 아버지는 므스티슬라프를 노브고로드의 합법적인 통치자로 인정했다.
므스티슬라프는 노브고로드에 왔을 때 영향력 있는 후원자나 큰 부는 없었지만 유능한 군사 지휘관임을 입증했다. 노브고로드 연대기는 그를 매우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공정하게 재판하고 처벌하며, 성공적인 지휘관이며, 백성의 염려에 주의를 기울이고, 고귀하고 사심이 없다.
노브고로드에서 므스티슬라프는 내정에 대한 결단력과 주도성을 보였다. 그는 포사드니크와 대주교를 교체하고 도시와 포사드에서 적극적인 건설을 시작했으며, 자신의 영토에 대한 남쪽 접근로에서 방어 구조를 재건했다. 벨리키예 루키의 요새 벽을 재건하고 도시를 므스티슬라프의 형제 블라디미르의 통제하에 두었는데, 그는 프스코프에 거주했다.
그 후 프스코프는 노브고로드 땅의 남부(폴로츠크, 리투아니아) 및 서부(에스토니아, 라트갈레) 국경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남부 에스토니아(우간디, 바이가 및 일부 사칼라)와 북부 라트갈레(탈라바, 오켈라)의 국경 지역도 통제했다. 북부 에스토니아(비로니아), 보디, 이조라 및 카렐리야의 땅은 노브고로드의 영향력 아래 남아 있었다.
따라서 발트해 국가를 뒤떨어진 이교도 지방에서 서유럽 무역, 교회, 군사적 확장을 위한 중요한 지역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프스코프의 행정-정치적, 방어적, 상업적 중요성이 커지기 시작했다. 이는 므스티슬라프가 노브고로드에서 통치하는 동안 프스코프에 별도의 대공을 임명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헨리의 리보니아 연대기에 따르면,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프스코프 공국의 통치자들은 12세기에 우가우니안에 대해 잦은 습격을 가했지만 그들을 복종시키는 데는 실패했다. 곰머리 요새는 1116년과 1193년에, 타르바투는 1134년과 1192년에 정복되었으나, 이러한 임시 점령은 지속적인 영토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우가우니안 자체도 프스코프에 대한 여러 차례 습격을 가했다. 그러나 1224년 타르바투에는 현지 병력과 약 200명의 노브고로드 용병이 주둔하여 튜턴 기사단에 대항했다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도시는 1224년 8월 십자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모든 수비대가 죽었다. 비로니아와 노브고로드의 연결에 대한 정보는 더 제한적이다. 그들이 노브고로드의 지배를 받았다는 주장은 노브고로드의 1209년 비로니아 습격, 튜턴 십자군과 같은 그들에 대항하여 싸우고, 독립적으로 외교 협정을 맺었기 때문에 확인되지 않았다. 그들의 지도자 타벨린(타벨리누스)은 십자군이 현재의 에스토니아에 도달하기 전에 고틀란드 섬에서 독일에 의해 세례를 받았고, 영토는 덴마크 인구 조사서에 따라 리보니아 십자군 동안 덴마크 왕관에 의해 주장되었다.
노브고로드에서 1년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통치했으며 성 소피아 대성당에 묻힌 므스티슬라프의 아버지 용감한 므스티슬라프는 1179년에 2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추데에 대한 승리한 원정으로 기억되었다. 따라서 므스티슬라프 우다트니는 비슷한 작전으로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1209년 말, 그는 에스토니아 비로니아로 짧은 습격을 가하여 풍부한 전리품을 가지고 돌아왔고, 1210년에는 추데를 상대로 대규모 원정을 벌여 곰머리를 점령했다. 그는 추데스에게서 조공뿐만 아니라 정교회로 세례를 받겠다는 약속도 받아냈다. 그는 처음으로 기독교를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으로 사용했는데, 이는 이전에는 가톨릭교도만 해왔던 일이었다. 그러나 정교회 사제들은 가톨릭교도만큼 기동성이 없었고, 대공의 주도권은 이어지지 못했다. 대신 리가에서 사제들이 에스토니아인들에게 왔고, 곰머리(오덴페)는 나중에 리가 주교령의 영토 중 하나가 되었다. 동서 분열의 새로운 국경은 나르바강, 페이푸스호 및 피유사강을 경계로 설정되었는데, 동쪽은 동방 정교회가 지배하고 서쪽은 가톨릭 교회가 지배하는 경계였다. 이 분열은 현대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피유사강은 서쪽의 개신교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보로스와 동쪽의 동방 정교회의 영향을 받은 세토스 사이의 경계이다.
교회의 소극성에 불만을 품은 므스티슬라프는 1211년 1월 미트로판 대주교의 면직을 성사시키고 후틴스키 수도원의 수도사이자 영향력 있는 보야르 가문의 일원인 도브리냐 야드레이코비치를 임명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안토니우스라는 이름으로 대주교가 되었고 러시아 국경에서 설교와 선교 사업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1210년까지 독일인들은 에스토니아 정복을 시작하여 "리보니아" 조공을 지불할 것을 약속하는 폴로츠크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알베르트와 프스코프, 그리고 더 나아가 노브고로드 사이의 관계는 프스코프 대공 블라디미르 므스티슬라비치(므스티슬라프의 형제)의 딸과 알베르트 주교의 남동생인 테오도리쿠스의 결혼으로 강화되었다. 일부 역사가들에 따르면 알베르트와 블라디미르의 협력은 에스토니아를 그들 사이에 나누는 것과 같았다.
동시에 다우가바 강을 따라 리가의 권리를 인정하면서(아마도 쿠케노이스와 게르지케도) 폴로츠크 대공 블라디미르가 동포들의 지지를 잃으면서 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의 입지가 개선되었다.
- ---
모스크바, 리투아니아, 리보니아 기사단 사이에서1216년, 블라디미르 대공 야로슬라프의 형제가 노브고로드에 경제 봉쇄를 가하자, 노브고로드인들은 스몰렌스크 공작들의 도움을 받아 수즈달 공작들 간의 권력 투쟁에 개입했고, 그 결과 블라디미르 대공은 축출되었다. 그러나 13세기 초, 독일 가톨릭 기사단(검의 형제 기사단과 튜튼 기사단)은 이전에 노브고로드와 폴로츠크에 조공을 바치던 발트 부족들의 복속을 완료했고, 러시아 영토 자체의 국경에 도달하여 13세기 전반기에 노브고로드와 십자군 기사단 간의 갈등의 무대를 마련했다.[28][29] 프스코프와 노브고로드는 그들을 성공적으로 물리치기 위해 필요하다면 군사적 지원을 제공할 동맹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가 러시아 북서부 국경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는 점과 노브고로드 귀족과 블라디미르 공작 간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지원은 항상 제때 이루어지지 않았다. 프스코프의 더욱 위험한 상황은 프스코프와 노브고로드 간의 불일치를 야기했다. 프스코프인들은 노브고로드인과 블라디미르인들에게 발트해 원정에서 결정적인 성공을 거두거나 기사단과 평화를 맺을 것을 요구했다. 프스코프는 종종 노브고로드인들에 의해 추방된 공작들을 받아들였다.
몽골의 키예프 루스 침공 동안 노브고로드 영토의 남쪽 부분이 황폐해졌고, 볼로크 람스키, 볼로그다, 베제츠크, 토르조크가 모두 침략자들에게 점령되었다. 몽골이 토르조크 점령 이후 노브고로드를 공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설이 제시되었는데, 다가오는 봄 해빙기, 사료 부족, 랴잔과 블라디미르 공국과의 싸움에서 겪은 높은 손실 등이 그것이다.[28][29] 몽골에 의한 강력한 블라디미르 공국의 파괴는 노브고로드와 그 식민지에 대한 위험을 제거하고 러시아의 동쪽으로의 확장의 논쟁의 여지없는 지도자로 만들었다.[3]
1240년 7월 15일, 알렉산드르 야로슬라비치는 네바 전투에서 스웨덴군을 격파했고, 1242년 4월 5일에는 리보니아 기사단을 상대로 페이푸스 호수 전투에서 승리했다. 1257-1259년에는 몽골 약탈을 위협하며 노브고로드에 대한 영향력을 확립했다. 1268년, 리보니아 기사단은 격렬한 라코보르 전투에서 다시 패배했다.
14세기 초, 트베르 공작과 모스크바 공작들은 노브고로드에 대한 영향력을 놓고 경쟁했다. 골든 호드는 한 러시아 공작이 다른 공작보다 두드러진 우위를 점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투쟁에서 모스크바를 지원했고, 노브고로드 귀족들은 모스크바가 트베르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고 덜 위험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모스크바 공작에게 동정심을 보였다. 따라서 트베르의 미하일이 무력으로 노브고로드를 굴복시키려는 시도는 좌절되었다. 프스코프의 독립은 1348년 볼로토보 조약을 통해 노브고로드에 의해 인정되었다. 일부 주요 자료에 따르면 노브고로드인들은 1380년 쿨리코보 전투에 참여했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이러한 기록에 의문을 제기한다.[30]
1326년, 노브고로드에서 주교 모세, 포사드니크 올프로메이, 티시야츠키 오스타피는 스웨덴 및 노르웨이 국왕 마그누스 4세의 대사와 조약을 체결하여 라플란드의 영향권 범위를 정의했다. 조약은 고정된 국경을 설정하기보다는 원주민인 사미족의 어느 부분이 노르웨이에 조공을 바치고 어느 부분이 노브고로드에 조공을 바칠지를 규정했다.[31]
1330년대 이후 모스크바와 리투아니아가 러시아 영토를 지배하기 시작했고, 이후 노브고로드인들은 두 대공국에서 공작들을 초청했다. 1449년 모스크바는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러시아 내 영향력 구역을 설정하는 영원한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바실리 2세는 라이벌 드미트리 셰먀카를 물리치고 모스크바 내전에서 승리했다. 드미트리 셰먀카는 1453년 노브고로드에서 사망했다(독살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바실리 2세는 1456년 노브고로드를 공격했고, 노브고로드인들이 스타라야 루사 전투에서 패배한 후 모스크바와 야젤비치 조약을 체결하여 모스크바 공작의 노브고로드 문제에 대한 권한이 크게 확대되었다.
노브고로드는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카지미르 4세와 조약을 맺고 그를 공작으로 통치하도록 초청했다. 이 조약은 노브고로드의 정교회를 보호했다. 포사드니크는 정교회 신자여야 하고 국왕은 노브고로드 영토에 가톨릭 교회를 건설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반 3세는 노브고로드가 가톨릭으로 개종했다고 주장하며 1471년에 노브고로드를 상대로 첫 번째 원정을 시작했다. 노브고로드 군대가 셸론 전투에서 패배하고 도시가 포위된 후 코로스티닌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노브고로드는 이반 3세의 영지로 인정하고, 외교 정책을 모스크바에 종속시키고, 대공을 최종 사법 당국으로 받아들였으며, 모스크바 대공국에 일부 주변 지역을 잃었다. 노브고로드 영토는 1478년에 완전히 합병되었고 베체 종은 모스크바로 옮겨졌다.[35]
3. 3. 1. 블라디미르-수즈달의 영향
11세기 후반부터 노브고로드인들은 통치자 결정에 대한 더 큰 통제력을 주장했고, 키예프와의 정치적 종속 관계를 거부했다.[23] 1136년, 그들은 브세볼로트 므스티슬라비치 공작을 추방했는데, 이는 그가 스메르드를 돌보지 않고, 페레야슬라블로 이동하려 했으며, 군사 문제에 있어 겁이 많고 우유부단했기 때문이다.[24] 체르니고프의 브세볼로트의 동생이자 므스티슬라비치들의 주요 동맹자이자 당시 키예프 공작인 야로폴크의 경쟁자였던 스뱌토슬라프 올고비치가 모노마흐 가문 출신으로, 노브고로드인들이 독립적으로 초청한 첫 번째 공작이 되었다.이후 노브고로드인들은 여러 공작을 초청하고 해임할 수 있었다. 종종 이러한 초청이나 해임은 당시 루스의 지배적인 공작이 누구인지에 따라 결정되었으며,[25] 1212년과 같이 노브고로드인들이 동맹자들이 이러한 지위를 차지하도록 돕기도 했다.
노브고로드는 식량의 많은 부분을 블라디미르-수즈달 공작들이 통제하는 오카 지역에서 가져왔다. 그들은 곡물 수송을 차단하여 노브고로드에 식량 부족이나 기근을 유발할 수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했다. 셰크스나 계곡과 노브고로드에서 북드비나로 가는 길 근처에 위치한 벨로제르 마을을 장악한 후, 블라디미르는 또한 동쪽의 노브고로드의 재산을 위협할 수 있었고 종종 그곳에서 가져온 조공을 가로챘다. 때때로 노브고로드는 유리 돌고루키의 팽창주의 정책에 무력으로 저항하여 1134년 브세볼로트 므스티슬라비치의 지휘하에 침공을 시작했으나, 즈다나야 산에서 패배했다. 1149년, 노브고로드인들은 스뱌토폴크 므스티슬라비치와 함께 야로슬라블 주변을 약탈하고, 7천 명을 포로로 이끌고 봄 홍수로 인해 철수했다. 노브고로드는 블라디미르의 강력한 공작을 달래야 하는 경우가 더 많았는데, 여기에는 유리의 두 아들을 노브고로드 공작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포함되었다.[21]
1170년,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와 그의 동맹군이 키예프를 점령한 직후, 그들은 키예프에서 추방된 공작의 아들인 로만 므스티슬라비치가 있던 노브고로드에 대한 원정을 감행했다. 노브고로드인들은 방어 전투에서 승리하여 적에게 막대한 손실을 입히며 독립을 지켜냈다.
1181년부터 1209년까지, 1184~1187년과 1196~1197년의 간격을 제외하고 블라디미르-수즈달 왕조가 노브고로드에서 권력을 잡았으며, 1197년부터는 그 통치가 지속되었다.[26]
12세기 중반, 노브고로드 관료들은 북동쪽("포테이지 너머")에서 보유한 영토를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해 도시에서 보야르를 임명했다. 1130년대의 헌장에는 노브고로드 영토 내에 정기적으로 수입을 징수하여 노브고로드 주교에게 십일조로 보내는 30개의 행정 직책이 언급되어 있다. 12세기 내내 노브고로드는 발트-볼가-카스피 무역로를 이용하여 무역뿐만 아니라 비옥한 오카 지역에서 도시로 식량을 가져오기도 했다.[21]
3. 3. 2. 므스티슬라프 우다트니의 활약
1209년 초,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 우다트니는 토르조크를 점령하여 현지 포사드니크와 여러 상인들뿐만 아니라 블라디미르 대공 세볼로트 대둥지의 막내아들인 노브고로드 대공 스뱌토슬라프 세볼로도비치의 귀족 집단도 포획했다. 그 후 그는 노브고로드에 도움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 "나는 성 소피아와 내 아버지의 무덤, 그리고 모든 노브고로드인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대공의 폭력에 대해 듣고 당신에게 왔으며, 나의 고향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세볼로트 대둥지는 토르조크 점령 소식을 듣고 그의 맏아들 콘스탄틴을 그에게 보냈다. 그러나 므스티슬라프는 도시 내에서 지지를 받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노브고로드인들은 현재 대공 스뱌토슬라프(콘스탄틴의 형제)를 체포하고 새로운 선택된 자를 지지하며 "대공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확인했다. 이런 식으로 므스티슬라프의 안전이 보장되었고, 그 후 콘스탄틴은 트베르에서 멈춰야 했으며, 노년에 군사적 갈등을 피했던 그의 아버지는 므스티슬라프를 노브고로드의 합법적인 통치자로 인정했다.
므스티슬라프는 노브고로드에 왔을 때 영향력 있는 후원자나 큰 부는 없었지만 유능한 군사 지휘관임을 입증했다. 노브고로드 연대기는 그를 매우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공정하게 재판하고 처벌하며, 성공적인 지휘관이며, 백성의 염려에 주의를 기울이고, 고귀하고 사심이 없다.
노브고로드에서 므스티슬라프는 내정에 대한 결단력과 주도성을 보였다. 그는 포사드니크와 대주교를 교체하고 도시와 포사드에서 적극적인 건설을 시작했으며, 자신의 영토에 대한 남쪽 접근로에서 방어 구조를 재건했다. 벨리키예 루키의 요새 벽을 재건하고 도시를 므스티슬라프의 형제 블라디미르의 통제하에 두었는데, 그는 프스코프에 거주했다.
그 후 프스코프는 노브고로드 땅의 남부(폴로츠크, 리투아니아) 및 서부(에스토니아, 라트갈레) 국경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남부 에스토니아(우간디, 바이가 및 일부 사칼라)와 북부 라트갈레(탈라바, 오켈라)의 국경 지역도 통제했다. 북부 에스토니아(비로니아), 보디, 이조라 및 카렐리야의 땅은 노브고로드의 영향력 아래 남아 있었다.
따라서 발트해 국가를 뒤떨어진 이교도 지방에서 서유럽 무역, 교회, 군사적 확장을 위한 중요한 지역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프스코프의 행정-정치적, 방어적, 상업적 중요성이 커지기 시작했다. 이는 므스티슬라프가 노브고로드에서 통치하는 동안 프스코프에 별도의 대공을 임명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헨리의 리보니아 연대기에 따르면,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프스코프 공국의 통치자들은 12세기에 우가우니안에 대해 잦은 습격을 가했지만 그들을 복종시키는 데는 실패했다. 곰머리 요새는 1116년과 1193년에, 타르바투는 1134년과 1192년에 정복되었으나, 이러한 임시 점령은 지속적인 영토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우가우니안 자체도 프스코프에 대한 여러 차례 습격을 가했다. 그러나 1224년 타르바투에는 현지 병력과 약 200명의 노브고로드 용병이 주둔하여 튜턴 기사단에 대항했다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도시는 1224년 8월 십자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모든 수비대가 죽었다. 비로니아와 노브고로드의 연결에 대한 정보는 더 제한적이다. 그들이 노브고로드의 지배를 받았다는 주장은 노브고로드의 1209년 비로니아 습격, 튜턴 십자군과 같은 그들에 대항하여 싸우고, 독립적으로 외교 협정을 맺었기 때문에 확인되지 않았다. 그들의 지도자 타벨린(타벨리누스)은 십자군이 현재의 에스토니아에 도달하기 전에 고틀란드 섬에서 독일에 의해 세례를 받았고, 영토는 덴마크 인구 조사서에 따라 리보니아 십자군 동안 덴마크 왕관에 의해 주장되었다.
노브고로드에서 1년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통치했으며 성 소피아 대성당에 묻힌 므스티슬라프의 아버지 용감한 므스티슬라프는 1179년에 2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추데에 대한 승리한 원정으로 기억되었다. 따라서 므스티슬라프 우다트니는 비슷한 작전으로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1209년 말, 그는 에스토니아 비로니아로 짧은 습격을 가하여 풍부한 전리품을 가지고 돌아왔고, 1210년에는 추데를 상대로 대규모 원정을 벌여 곰머리를 점령했다. 그는 추데스에게서 조공뿐만 아니라 정교회로 세례를 받겠다는 약속도 받아냈다. 그는 처음으로 기독교를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으로 사용했는데, 이는 이전에는 가톨릭교도만 해왔던 일이었다. 그러나 정교회 사제들은 가톨릭교도만큼 기동성이 없었고, 대공의 주도권은 이어지지 못했다. 대신 리가에서 사제들이 에스토니아인들에게 왔고, 곰머리(오덴페)는 나중에 리가 주교령의 영토 중 하나가 되었다. 동서 분열의 새로운 국경은 나르바강, 페이푸스호 및 피유사강을 경계로 설정되었는데, 동쪽은 동방 정교회가 지배하고 서쪽은 가톨릭 교회가 지배하는 경계였다. 이 분열은 현대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피유사강은 서쪽의 개신교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보로스와 동쪽의 동방 정교회의 영향을 받은 세토스 사이의 경계이다.
교회의 소극성에 불만을 품은 므스티슬라프는 1211년 1월 미트로판 대주교의 면직을 성사시키고 후틴스키 수도원의 수도사이자 영향력 있는 보야르 가문의 일원인 도브리냐 야드레이코비치를 임명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안토니우스라는 이름으로 대주교가 되었고 러시아 국경에서 설교와 선교 사업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1210년까지 독일인들은 에스토니아 정복을 시작하여 "리보니아" 조공을 지불할 것을 약속하는 폴로츠크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알베르트와 프스코프, 그리고 더 나아가 노브고로드 사이의 관계는 프스코프 대공 블라디미르 므스티슬라비치(므스티슬라프의 형제)의 딸과 알베르트 주교의 남동생인 테오도리쿠스의 결혼으로 강화되었다. 일부 역사가들에 따르면 알베르트와 블라디미르의 협력은 에스토니아를 그들 사이에 나누는 것과 같았다.
동시에 다우가바 강을 따라 리가의 권리를 인정하면서(아마도 쿠케노이스와 게르지케도) 폴로츠크 대공 블라디미르가 동포들의 지지를 잃으면서 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의 입지가 개선되었다.
3. 3. 3. 모스크바, 리투아니아, 리보니아 기사단 사이에서
1216년, 블라디미르 대공 야로슬라프의 형제가 노브고로드에 경제 봉쇄를 가하자, 노브고로드인들은 스몰렌스크 공작들의 도움을 받아 수즈달 공작들 간의 권력 투쟁에 개입했고, 그 결과 블라디미르 대공은 축출되었다. 그러나 13세기 초, 독일 가톨릭 기사단(검의 형제 기사단과 튜튼 기사단)은 이전에 노브고로드와 폴로츠크에 조공을 바치던 발트 부족들의 복속을 완료했고, 러시아 영토 자체의 국경에 도달하여 13세기 전반기에 노브고로드와 십자군 기사단 간의 갈등의 무대를 마련했다.[28][29] 프스코프와 노브고로드는 그들을 성공적으로 물리치기 위해 필요하다면 군사적 지원을 제공할 동맹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가 러시아 북서부 국경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는 점과 노브고로드 귀족과 블라디미르 공작 간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지원은 항상 제때 이루어지지 않았다. 프스코프의 더욱 위험한 상황은 프스코프와 노브고로드 간의 불일치를 야기했다. 프스코프인들은 노브고로드인과 블라디미르인들에게 발트해 원정에서 결정적인 성공을 거두거나 기사단과 평화를 맺을 것을 요구했다. 프스코프는 종종 노브고로드인들에 의해 추방된 공작들을 받아들였다.몽골의 키예프 루스 침공 동안 노브고로드 영토의 남쪽 부분이 황폐해졌고, 볼로크 람스키, 볼로그다, 베제츠크, 토르조크가 모두 침략자들에게 점령되었다. 몽골이 토르조크 점령 이후 노브고로드를 공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설이 제시되었는데, 다가오는 봄 해빙기, 사료 부족, 랴잔과 블라디미르 공국과의 싸움에서 겪은 높은 손실 등이 그것이다.[28][29] 몽골에 의한 강력한 블라디미르 공국의 파괴는 노브고로드와 그 식민지에 대한 위험을 제거하고 러시아의 동쪽으로의 확장의 논쟁의 여지없는 지도자로 만들었다.[3]
1240년 7월 15일, 알렉산드르 야로슬라비치는 네바 전투에서 스웨덴군을 격파했고, 1242년 4월 5일에는 리보니아 기사단을 상대로 페이푸스 호수 전투에서 승리했다. 1257-1259년에는 몽골 약탈을 위협하며 노브고로드에 대한 영향력을 확립했다. 1268년, 리보니아 기사단은 격렬한 라코보르 전투에서 다시 패배했다.
14세기 초, 트베르 공작과 모스크바 공작들은 노브고로드에 대한 영향력을 놓고 경쟁했다. 골든 호드는 한 러시아 공작이 다른 공작보다 두드러진 우위를 점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투쟁에서 모스크바를 지원했고, 노브고로드 귀족들은 모스크바가 트베르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고 덜 위험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모스크바 공작에게 동정심을 보였다. 따라서 트베르의 미하일이 무력으로 노브고로드를 굴복시키려는 시도는 좌절되었다. 프스코프의 독립은 1348년 볼로토보 조약을 통해 노브고로드에 의해 인정되었다. 일부 주요 자료에 따르면 노브고로드인들은 1380년 쿨리코보 전투에 참여했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이러한 기록에 의문을 제기한다.[30]
1326년, 노브고로드에서 주교 모세, 포사드니크 올프로메이, 티시야츠키 오스타피는 스웨덴 및 노르웨이 국왕 마그누스 4세의 대사와 조약을 체결하여 라플란드의 영향권 범위를 정의했다. 조약은 고정된 국경을 설정하기보다는 원주민인 사미족의 어느 부분이 노르웨이에 조공을 바치고 어느 부분이 노브고로드에 조공을 바칠지를 규정했다.[31]
1330년대 이후 모스크바와 리투아니아가 러시아 영토를 지배하기 시작했고, 이후 노브고로드인들은 두 대공국에서 공작들을 초청했다. 1449년 모스크바는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러시아 내 영향력 구역을 설정하는 영원한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바실리 2세는 라이벌 드미트리 셰먀카를 물리치고 모스크바 내전에서 승리했다. 드미트리 셰먀카는 1453년 노브고로드에서 사망했다(독살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바실리 2세는 1456년 노브고로드를 공격했고, 노브고로드인들이 스타라야 루사 전투에서 패배한 후 모스크바와 야젤비치 조약을 체결하여 모스크바 공작의 노브고로드 문제에 대한 권한이 크게 확대되었다.
노브고로드는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카지미르 4세와 조약을 맺고 그를 공작으로 통치하도록 초청했다. 이 조약은 노브고로드의 정교회를 보호했다. 포사드니크는 정교회 신자여야 하고 국왕은 노브고로드 영토에 가톨릭 교회를 건설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반 3세는 노브고로드가 가톨릭으로 개종했다고 주장하며 1471년에 노브고로드를 상대로 첫 번째 원정을 시작했다. 노브고로드 군대가 셸론 전투에서 패배하고 도시가 포위된 후 코로스티닌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노브고로드는 이반 3세의 영지로 인정하고, 외교 정책을 모스크바에 종속시키고, 대공을 최종 사법 당국으로 받아들였으며, 모스크바 대공국에 일부 주변 지역을 잃었다. 노브고로드 영토는 1478년에 완전히 합병되었고 베체 종은 모스크바로 옮겨졌다.[35]
3. 4.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 (1478년 이후)
1478년 모스크바에 정복된 노브고로드는 이웃 국가들과의 이전 정치 관계를 물려받았다. 독립 시대의 유산은 외교 관행의 보존이었으며, 노브고로드의 북서쪽 이웃인 스웨덴과 리보니아는 대공의 노브고로드 총독을 통해 모스크바와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영토적 측면에서 러시아 차르국 시대(16~17세기)의 노브고로드 지역은 5개 구역(피야티나)으로 나뉘었다: 보드스카야, 셸론스카야, 오보네슈스카야, 데레브스카야, 베제츠카야. 당시 행정 구역의 가장 작은 단위는 포고스트였다.
이전 소유주로부터 몰수된 토지는 국가 토지로 선언되거나 모스크바 군인에게 장원으로 주어졌다. 현물 지대가 화폐 지대로 대체되면서 국가 토지에 거주하는 농민들의 부담은 공화국 시대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반면에 군인의 장원에 거주하는 농민들이 지불하는 지대는 거의 변동이 없거나 심지어 증가하기도 했다. 15세기 말 노브고로드 지역이 모스크바에 병합된 후 두 차례의 인구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는 러시아 인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두 차례의 인구 조사 사이에 인구는 14% 증가했다.[36]
1499년 3월 21일, 차르 이반 3세의 아들 바실리가 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의 대공으로 선포되었다. 1502년 4월에는 모스크바와 블라디미르의 대공이자 전 러시아의 자치 군주로 선포되어 이반 3세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 1505년 10월 27일 이반 3세가 사망한 후 그는 모스크바 대공국의 유일한 군주가 되었다.
3. 4. 1. 이반 4세 시대
1565년, 차르 이반 뇌제가 러시아 국가를 오프리치니나와 젬시나로 분할한 후, 이 도시는 젬시나에 속하게 되었다.[37][38] 노브고로드는 1569년에서 1570년 겨울, 이반 뇌제가 직접 이끄는 군대에 의해 자행된 오프리치니나 학살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학살의 이유는 반역에 대한 고발과 의심이었으며 (현대 역사가들은 노브고로드 음모는 이반 뇌제의 측근인 바실리 그리야즈니와 말류타 스쿠라토프가 조작한 것이라고 추정한다). 모스크바에서 노브고로드로 가는 길목에 있는 모든 도시가 약탈당했으며, 말류타 스쿠라토프는 트베리에서 필리프 대주교를 직접 목 졸라 죽였다. 노브고로드의 희생자 수는 총 인구 3만 5천 명 중 3,000명에서 27,000명으로 추정된다. 학살은 6주 동안 지속되었으며 수천 명이 고문을 당하고 볼호프 강에 익사했다. 도시는 약탈당했으며 교회, 수도원 및 상인의 재산이 몰수되었다.16세기 초 노브고로드 지역의 인구는 50만에서 80만 명으로 추정되었으며, 16세기 전반에 걸쳐 대체로 안정적이거나 약간 증가했다. 투르친과 네페도프에 따르면, 이 시기 노브고로드 지역은 과잉 인구를 경험하여 경작지의 토질이 악화되고, 비료 사용이 증가하며, 전염병이 발생하고, 1인당 소비량이 감소했다. 노브고로드 지역은 16세기 말 러시아 위기의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1552년 노브고로드를 강타한 심각한 전염병, 이반 뇌제의 학살, 반복되는 흉작, 증가하는 세금 부담으로 인해, 16세기 말까지 인구가 5분의 1로 감소했다.[39][40]

3. 4. 2. 혼란 시대와 스웨덴 점령
1609년 바실리 슈이스키 정부는 스웨덴과 비보르크 조약을 체결하여 코렐라를 스웨덴에 넘겨주었다.[41] 1610년 바실리 슈이스키가 폐위되고 모스크바가 블라디슬라프에게 충성을 맹세하자, 이반 살티코프가 노브고로드인들의 충성을 맹세하게 하기 위해 파견되었다.[41]1611년 여름, 스웨덴 장군 야코브 드 라 가르디는 노브고로드 당국과 협상을 시도했으나, 총독들은 답할 권한이 없다고 하였다. 프로코피 리야푸노프 등이 반폴란드 민병대를 조직하고, 리야푸노프는 바실리 부투르린을 노브고로드 총독으로 보냈다. 부투르린은 드 라 가르디와 협상하며 스웨덴 칼 9세의 아들에게 러시아 왕위를 제안했으나, 협상은 지연되었다. 부투르린은 드 라 가르디가 볼호프를 건너는 것을 허용하는 등 스웨덴에 유리한 행동을 하였다.
스웨덴은 이를 기회로 1611년 7월 8일 노브고로드를 공격했으나, 노브고로드인들이 포사드를 불태워 실패했다. 그러나 7월 16일 밤, 스웨덴은 노브고로드에 진입했다. 부투르린의 군대는 저항하지 않고 후퇴했고, 오도예프스키와 이시도르 대주교는 크렘린에 갇혀 드 라 가르디와 협상해야 했다. 결국 노브고로드는 스웨덴 왕을 후원자로 인정하고 드 라 가르디가 크렘린에 입성하는 협정이 체결되었다.
1612년 중반까지 스웨덴은 프스코프와 그도프를 제외한 모든 노브고로드 땅을 점령했으나, 프스코프 점령 시도는 실패했다. 포자르스키 공은 스웨덴과 협상을 시작했고, 1612년 5월 젬스트보 정부는 스웨덴 왕이 동생을 러시아에 보내 정교회로 개종시킨다면 노브고로드인들과 같은 회의에 참석하겠다고 제안했다.[42] 그러나 야로슬라블에서 온 스웨덴 대사들은 협상에 진전이 없음을 알렸고, 이는 포자르스키와 미닌이 젬스키 소보르를 소집하는 계기가 되었다.[42]
1612년 10월 모스크바가 해방된 후, 1613년 초 1613년 젬스키 소보르에서 미하일 로마노프가 새 차르로 선출되었다. 1613년 5월 25일, 티흐빈에서 스웨덴 주둔군에 대한 봉기가 일어났고, 이는 북서 러시아와 노브고로드 해방 투쟁의 시작이었다. 스웨덴은 1617년 스톨보보 조약에 따라 노브고로드를 떠났고, 노브고로드 땅의 경계는 축소되었다.
3. 4. 3. 17-18세기

노브고로드는 혼란의 시기 동안의 파괴에서 회복되었고 17세기 나머지 기간 동안 중요한 도시로 남았다. 노브고로드 상인들은 스웨덴과의 무역을 계속했고 1627년에는 스웨덴 무역 기지가 도시에 문을 열었다. 노브고로드는 러시아의 주요 수공예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200개 이상의 다양한 직업과 다양한 상품이 도시에서 생산되었다. 성벽과 성채가 복원되었고 표지 성모 성당, 볼호프 강 위의 돌다리, 상업 지구, 보예보다 법원을 포함한 많은 새로운 건물들이 노브고로드에 건설되었다.[43] 그 밖에도 부활 성당이 스타라야 루사에 건설되었다.
노브고로드 땅은 분열 이후 구교도의 거점이 되었다.[44]
발트 해 연안이 표트르 1세에 의해 스웨덴으로부터 탈환되고 새로운 수도가 세워지면서 노브고로드의 중요성은 감소했다. 1708년, 노브고로드는 잉게르만란트 (1710년부터 상트페테르부르크) 및 아르한겔 현의 일부가 되었고, 1726년에는 노브고로드 현이 창설되었으며, 여기에는 노브고로드, 프스코프, 트베리, 벨로제르스카야, 벨리코루츠카야 등 5개의 주가 있었다.
4. 행정 구역
행정적으로 중세 시대 말에는 피야틴으로 나뉘었는데, 이는 16세기 후반부터 다시 절반으로 나뉘었다.[45] 5개의 분할은 이전의 분할, 즉 볼로스트, 우예즈드 (프리수드), 포고스트, 그리고 스탄 위에 적용되었으며, 연대기에 따르면 이러한 행정 구역의 기초는 10세기에 올가 공주가 노브고로드 루스에 포고스트를 설립하고 조공의 규모를 정하면서 시작되었다.
노브고로드 루스가 러시아 국가에 편입된 후에도 영토 분할은 유지되었으며, 15세기 말부터 영토는 피야틴이라고 불렸다. 이전에는 노브고로드 루스는 지역으로, 12세기에는 피야틴과 동일한 이름을 가진 랴드, 즉 보츠카야 랴드, 오보네시스키 및 베제츠키 랴드, 셸론, 데레바로 나뉘었다. 각 피야티나에는 여러 개의 우예즈드 (프리수드)가 있었고, 각 프리수드 (우예즈드)에는 여러 개의 포고스트와 볼로스트가 있었다.
상대적으로 늦게 노브고로드에 의해 식민지화된 일부 지역은 5개의 분할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특별한 지위를 가진 여러 볼로스트를 형성했다. 북드비나 강을 따라 오네가 강에서 메젠 강까지 뻗어 있었던 자볼로치예 또는 드빈스카야 지역이 그 예이다. 페름은 비체그다 강과 상부 카마 강 유역에, 페초라는 페초라 강 양쪽 둑에서 우랄 산맥까지, 유그라는 우랄 산맥의 동쪽에 있었다.[45] 트레 또는 테르 해안[46]은 백해 해안에 있었다.
프스코프는 원래 노브고로드 루스에 속했지만, 13세기 말과 14세기에 그 중요성과 자율성이 커졌으며, 1348년 볼로토보 조약을 통해 프스코프의 정치적 독립이 인정되었다.
"노브고로드 루스"의 개념은 때때로 북드비나 강, 카렐리야 공화국,[47] 그리고 북극에 있는 노브고로드 식민지 지역을 포함한다.
참조
[1]
서적
Russian Lands in the 13th–14th Centuries: the Path of Political Development
Nauka
2016
[2]
서적
Titles of Russian Sovereigns
Alliance Archeo
2006
[3]
간행물
Novgorod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2002
[4]
서적
Neolithic Basin of the Msta River
Nauka
1981
[5]
서적
Hydronymy of the Russian North–West as a Source of Cultural and Historical Information
URSS Editorial
2004
[6]
웹사이트
Essays on the History of the Peoples of Russia in Antiquity and the Early Middle Ages
https://web.archive.[...]
Znak
2004
[7]
학술논문
Ancient European Hydronymy in Priilmenye
http://www.admin.nov[...]
2002
[8]
웹사이트
Псковская губерния № 29(49)
http://gubernia.psko[...]
2015-06-27
[9]
웹사이트
Aldeiguborg: Archeology and Toponymy
http://altladoga.nar[...]
[10]
학술논문
Novgorod, Karelia and Izhora Land in the Middle Ages
2005
[11]
웹사이트
The Medieval Korela. Formation of Ethnic and Cultural Community
http://www.priozersk[...]
[12]
웹사이트
Institute of the History of Material Culture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Rurikovo Settlement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Typology of the Volga Region Cities. "Novgorod and Novgorod Land. History and Archeology". Materials of the Scientific Conference
http://bibliotekar.r[...]
[14]
서적
Kholopiy Gorodok. Antiquities of the Volga Region
[15]
웹사이트
Institute of the History of Material Culture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Staraya Ladoga
https://web.archive.[...]
[16]
서적
Russia: A 1,000 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Overlook Pr.
2012
[17]
서적
Великий Новгород. История и культура IX-XVII веков.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Nestor-История
2007
[18]
서적
Rebellious Novgorod. Essays on the History of Statehood, Social and Political Struggle of the Late 9th – Early 13th Centuries
Publishing House of Saint Petersburg University
[19]
서적
Russian Republic
Charley
[20]
학술논문
Scandinavian Footprint in the History of the Novgorod Nobility
http://www.helsinki.[...]
2006
[21]
학술논문
Russian Eastward Expansion before the Mongol Invasion
https://www.jstor.or[...]
1947
[22]
서적
Хронологический перечень важнейших данных из истории Сибири. 1032-1882 гг
https://www.prlib.ru[...]
[23]
서적
Medieval Russia, 980-158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4]
서적
Крестьянские и городские восстания на Руси (XI-XIII вв.)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политиче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1955
[25]
학술논문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2008
[26]
서적
Northern Crusaders. Russia in the Struggle for Spheres of Influence in the Eastern Baltic of the 12th–13th Centuries
Eurasia
[27]
서적
Livonia, Rus' and the Baltic Crusades in the Thirteenth Century
Brill
2015
[28]
서적
Русь и кочевники
Вече
2008
[29]
서적
Очерки истории средневекового Новгорода
Изд-во «Русскій Міръ»; ИПЦ «Жизнь и мысль»
2013
[30]
서적
Конец ордынского ига
Наука
1984
[31]
서적
The Northern Crusades
Penguin UK
1997
[32]
웹사이트
Izborsk and the Hansa. Niebur's Peace. 1391
http://izd.pskgu.ru/[...]
[33]
서적
Новгород и Ганза
Рукописные памятники Древней Руси
2009
[34]
서적
Нумизмат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http://www.numizm.ru[...]
Высшая школа
1980
[35]
서적
Очерки истории средневекового Новгорода
Изд-во «Русскій Міръ»; ИПЦ «Жизнь и мысль»
2013
[36]
서적
Аграрная история Северо-Запада России: Вторая половина XV-начало XVI в
Наука
[37]
문서
Zemshchina
https://ru.wikisourc[...]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c Dictionary
1890–1907
[38]
간행물
Zemshchina
http://bigenc.ru/dom[...]
Great Russian Encyclopedia
2004–2017
[39]
서적
Историческая демография России эпохи феодализма: итоги и проблемы изучения
Наука
1994
[40]
서적
Secular cycl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41]
서적
Новгородское общество в эпоху Смуты
Русско-Балтийский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центр «БЛИЦ»
2009
[42]
웹사이트
Hidden Facts from the History of the Romanov Dynasty
http://www.adfontes.[...]
[43]
서적
В составе Моск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Великого Новгорода конца XV-начала XVIII в
Русско-Балтийский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центр БЛИЦ
[44]
서적
Великий Новгород. Взгляд из Европы XV-XIX centuries
Европейский Дом
[45]
문서
Novgorod the Great
https://ru.wikisourc[...]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c Dictionary
1890–1907
[46]
웹사이트
"The Course of Russian History: Essays in 9 Volumes. Volume 1. Lecture 23"
http://www.magister.[...]
[47]
웹사이트
Saksa Alexander Ivanovich, the Dissertation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