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나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나빅은 퀘벡주 최북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1950년대 캐나다 정부의 이누이트 강제 이주 정책으로 인해 역사가 시작되었다. 현재는 카티빅 지역 정부를 통해 자치권을 행사하며, 14개의 마을에 약 14,000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이누이트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이누크티투트어를 주로 사용한다. 래글랜 광산을 중심으로 광물 자원이 풍부하며,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정치적으로는 지역 정부 설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문화적으로는 이누이트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누이트 거주지 - 그린란드
    그린란드는 북아메리카 북동쪽의 북극해와 대서양 사이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큰 섬이자 덴마크 왕국의 자치령으로, 면적의 대부분이 빙상으로 덮여 있고 이누이트족과 덴마크인을 비롯한 다양한 민족이 남서부 해안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 이누이트 거주지 - 누나부트 준주
    누나부트 준주는 캐나다 북부에 위치하며, 고대 에스키모 문화의 거주지였고 1999년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광업, 석유 및 가스,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이누이트 문화가 특징인 극지방의 준주이다.
  • 퀘벡주의 지리 - 허드슨 해협
    허드슨 해협은 캐나다 북부에 위치한 수역으로 배핀 섬, 사우스햄튼 섬 등의 섬과 본토로 둘러싸여 있으며, 국제수로기구(IHO)에 의해 경계가 정의된다.
  • 퀘벡주의 지리 - 제임스만
    제임스만은 캐나다 북동부 허드슨만의 남쪽 끝에 위치한 만으로, 1631년 토마스 제임스를 기념하여 명명되었으며, 허드슨 베이 회사의 모피 교역 중심지이자 현재는 수력 발전 댐 건설, 카누 여행, 철새 보호 구역으로 활용되고 있다.
누나빅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퀘벡 주에서 누나빅의 위치
누나빅의 위치 (퀘벡 주)
누나빅 지도
누나빅 지도
공식 명칭누나빅
현지어 명칭ᓄᓇᕕᒃ (이누이트어)
유형자치 지역 제안
별칭없음
표어없음
위치캐나다 퀘벡 주 노르뒤퀘벡 지역
설립해당 사항 없음
행정 수도쿠주악
정부 형태해당 사항 없음
지역 대표데니스 라모트 (퀘벡 주의회 의원, 2018년 이후)
실비 베루베 (캐나다 하원 의원, 2019년 이후)
행정 구역
연방 선거구아비티비-베이-제임스-누나빅-이유
주 선거구웅가바 (선거구)
면적
총 면적443,684.71 km²
인구
총인구 (2021년)14,045명
인구 밀도해당 사항 없음
인구 통계누나빔미우트
인구 통계
민족이누이트 88.7% (2006년)
언어이누크티투트어 75% (2006년), 90% (2016년)
시간대
시간대EST
UTC 오프셋-05
서머타임EDT
UTC 오프셋 (서머타임)-04
기타 정보
우편 번호해당 사항 없음
지역 번호해당 사항 없음
ISO 코드해당 사항 없음
공식 웹사이트해당 사항 없음

2. 역사

1950년대 캐나다 연방 정부는 냉전 시기 고위도 북극 지역에 대한 주권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이누이트 가족들을 누나빅에서 강제로 이주시켰다. 이들은 현재 누나부트에 있는 그리즈 피오르드와 레졸루트의 불모지 마을로 훨씬 더 북쪽으로 이송되었다. 이는 냉전 당시 고위도 북극 지역의 인구를 증가시켜 캐나다의 법적 점령을 보여주고 주권을 주장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운가바 반도의 이누크주악 출신 이누이트 8가족이 집과 사냥감을 제공받겠다는 약속을 받고 이주했지만, 이주한 사람들은 건물이 없고 친숙한 야생동물도 거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7] 이누이트들은 1년 후 누나빅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이 제안은 나중에 고위도 북극 지역에 대한 캐나다의 주권 주장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이유로 철회되었고, 이누이트들은 머물러야 했다. 결국 이누이트들은 현지 흰돌고래 이동 경로를 알게 되어 매년 18000km2에 걸쳐 사냥하며 그 지역에서 생존할 수 있게 되었다.[8]

누나빅과 퀘벡 북부의 다른 지역들은 1870년부터 1912년까지 노스웨스트 준주의 일부였다. 1912년 이 지역은 퀘벡으로 이관되었지만, 1960년대 조용한 혁명 이후까지는 이 지역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12] 1960년대 르네 레베크는 주의 수력 발전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지역은 "누보 퀘벡"으로 명명되었고, 많은 지명이 프랑스어화되었으며, 이 지역 학교에서 프랑스어 교육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침해와 제임스 만 프로젝트는 캐나다에서 이누이트의 최초 정치 조직인 북부 퀘벡 이누이트 협회를 탄생시켰고, 이 협회는 최종적으로 제임스 만 및 북부 퀘벡 협정을 위해 투쟁했다.[12] 이 협정은 퀘벡 내에 누나빅을 창설하기 위한 초기 법적 토대를 마련했다.

1978년 북동부 케베크 협정(Northeastern Québec Agreement)에 따라, 대부분의 누나빅 지역을 관할하는 카티비크 지역 정부(Kativik Regional Government)가 설립되었다. 현재 14개의 북부 마을이 이에 속해 있다. 케베크 주(50%), 연방 정부(25%)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으며, 수도는 가장 큰 북부 마을인 쿠주악(Kuujjuaq)이며 인구는 2,132명(2006년)이다.

같은 해 북동부 케베크 협정(Northeastern Québec Agreement)에 따라, 쿠주악에 본사를 둔 마키빅 사(Makivik Corporation)가 현재 북부 퀘벡 지역 이누이트의 권익을 대표하는 법정 대리인이 되었다. 마키빅 사는 이누이트의 자치권 확대를 주장하고 있으며, 누나부트 준주와 같은 준주(Territory)로서의 자치권 획득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캐나다 연방 정부, 케베크 주 정부와 누나빅은 "누나빅 지역 정부" 설립을 논의 중이다. 캐나다 정부와 케베크 주 정부는 지역 사법 관할권은 유지하되, 독자적인 내각의회를 가지고 교육 및 보건 관련 행정 서비스를 담당하는 지역 정부를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역 정부는 민족과 관계없이 설립되며, 누나빅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참여할 권리를 갖는다. 또한 케베크 주 정부는 누나빅 지역은 인구가 적지만, 이 지역을 대표하는 연방 의회 의석을 설치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2. 1. 캐나다 정부의 강제 이주 정책

1950년대 캐나다 연방 정부는 냉전 시기 고위도 북극 지역에 대한 주권을 강화하기 위해 누나빅 지역의 이누이트 가족들을 강제로 이주시켰다. 이들은 현재 누나부트의 그리즈 피오르드와 레졸루트로 불리는 불모지로 이주 당했다.[7]

이누이트들은 더 나은 삶을 약속받았지만, 실제로는 건물도 거의 없고 사냥할 동물도 부족한 척박한 환경에 놓였다.[7] 캐나다 정부는 1년 후 돌아갈 수 있게 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이 약속은 고위도 북극 지역에 대한 캐나다의 주권 주장에 해가 된다는 이유로 철회되었다.[7] 결국 이누이트들은 흰돌고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18000km2에 달하는 지역에서 사냥하며 생존할 수 있었다.[8]

1993년 캐나다 정부는 이주 프로그램 조사 청문회를 열었고, 원주민에 관한 왕립위원회는 "고위도 북극 이주: 1953-55년 이주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9] 정부는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1000만캐나다 달러를 지급하고 2010년에 공식 사과했다.[10] 이 사건은 멜라니 맥그래스의 저서 "긴 유배: 고위도 북극에서 이누이트의 배신과 생존 이야기"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11]

2. 2. 자치권 획득 운동

캐나다 연방 정부는 1950년대 냉전 당시 고위도 북극 지역의 인구를 증가시켜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 누나빅의 이누이트 가족들을 강제로 이주시켰다. 이들은 누나부트 준주의 그리즈 피오르드와 레졸루트로 이주했는데, 집과 사냥감을 제공받겠다는 약속과 달리 척박한 환경에 직면했다.[7] 이후 이누이트들은 생존 방법을 터득했지만, 캐나다 정부는 이들을 1년 후 돌려보내겠다는 약속을 어겼다.[8]

1993년 캐나다 정부는 이주 프로그램 조사 청문회를 열었고, 원주민에 관한 왕립위원회는 보고서를 발표했다.[9] 정부는 생존자와 가족들에게 1000만캐나다 달러를 지급하고 2010년에 공식 사과했다.[10]

누나빅은 1912년까지 노스웨스트 준주의 일부였다가 퀘벡으로 이관되었으나, 1960년대 조용한 혁명 이전까지는 퀘벡의 영향력이 거의 없었다. 1960년대 르네 레베크는 수력 발전 확장에 힘쓰면서 누나빅 지역을 "누보 퀘벡"으로 명명하고 프랑스어화 정책을 추진했다. 이러한 문화적 침해와 제임스 만 프로젝트에 대응하여 북부 퀘벡 이누이트 협회가 탄생했고, 제임스 만 및 북부 퀘벡 협정 체결에 기여했다.[12]

1978년 북동부 케베크 협정(Northeastern Québec Agreement)에 따라 카티비크 지역 정부(Kativik Regional Government)가 설립되어 누나빅 지역 대부분을 관할하게 되었다. 현재 14개의 북부 마을이 여기에 속하며, 수도는 쿠주악(Kuujjuaq)이다.

같은 해 북동부 케베크 협정(Northeastern Québec Agreement)에 따라 쿠주악에 본사를 둔 마키빅 사(Makivik Corporation)가 북부 퀘벡 이누이트의 권익을 대표하게 되었다. 이들은 자치권 확대와 누나부트 준주 섬들의 자원 이용권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누나부트 준주와 같은 준주(Territory)로서의 자치권 획득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캐나다 연방 정부, 퀘벡 주 정부, 누나빅은 "누나빅 지역 정부" 설립을 논의 중이다. 이 정부는 독자적인 내각의회를 가지고 교육 및 보건 서비스를 담당하며, 민족과 관계없이 누나빅 주민 모두에게 참여 권리가 주어진다. 설립 후에는 카티비크 지역 정부, 카티비크 교육 위원회, 누나빅 보건 사회 서비스 위원회 등이 새로운 지역 정부로 이관될 예정이다. 퀘벡 주 정부는 누나빅 지역을 대표하는 연방 의회 의석 설치를 주장하고 있다.

2011년 4월 누나빅 지역 정부 설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었으나, 약 70%의 반대로 부결되었다.[26]

3. 지리

누나빅은 퀘벡주 최북단에 위치한 광대한 지역이다. 북극과 아한대 기후대에 걸쳐 있다. 약 12,000명의 사람들이 누나빅의 여러 지역 사회에 거주하며, 이 수치는 원주민 공동체의 높은 인구 증가 추세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13]

누나빅은 서쪽의 허드슨 만, 북쪽의 허드슨 해협 및 웅가바 만을 사이에 두고 누나부트 준주와 분리되어 있다. 또한 퀘벡주의 코트노르 지역과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래브라도 지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웅가바 반도는 이 지역의 북쪽 3분의 2를 차지한다. 누나빅과 퀘벡 남부 사이에는 도로 연결이 없지만, 자메지 지역의 트랜스 타이가 도로는 쿠주자크에서 수백 킬로미터 남쪽의 북위 55도선에 있는 카니아피스카우 저수지 근처에서 끝난다. 모든 마을은 계절에 따라 여름과 가을에 정기적인 항공편과 해상 운송으로 연결된다. 누나빅 남부 내륙의 일부 지역은 셰퍼빌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여러 개의 길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Proposed Nunavik flag
누나빅의 제안된 깃발


누나빅에는 14개의 마을이 있으며, 대다수 주민은 이누이트족이다.[14] 누나빅의 주요 마을이자 행정 중심지는 웅가바 만 남쪽 해안에 있는 쿠주자크이며, 다른 마을로는 이누크주악 (영화 ''북쪽의 나누크''가 촬영된 곳), 살루이트, 푸비르니투크, 이부지빅, 캉기크수주악, 캉기크수알루주악, 캉기르숙, 타시우자크, 오팔룩, 아쿨리빅, 쿠악탁, 쿠주주아라픽, 우미우자크가 있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른 마을 인구는 쿠주자크(2,375명)에서 오팔룩(195명)까지 다양하다.

누나빅에는 핑구알루이트 분화구, 쿠튀르 분화구, 라 모아네리 분화구 및 클리어워터 호수를 구성하는 두 개의 분화구 등 5개의 운석 충돌구가 있다.

4. 기후

누나빅은 대부분 툰드라 지역으로, 식물이 자라기 어렵고 기온이 낮다. 서쪽, 동쪽, 북쪽 바다가 얼어붙어 있어 겨울이 길고 춥다. 여름에는 주변 바다가 녹으면서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기온이 조금 오르지만, 여전히 낮은 편이다. 이누크주악의 여름철 최고 기온은 평균 13°C, 1월 최고 기온은 -21°C로 매우 춥다. 이는 북극점에서 적도까지 거리의 1/3이 넘는 해발 지역 정착지로서는 매우 추운 기온이다. 연평균 기온은 비슷한 위도의 북유럽 해안 지역보다 최대 15°C 더 낮다. 여름철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덜 받는 지역은 기온이 다소 높아, 서해안과 달리 여름철 평균 기온이 10°C를 넘기 때문에 한계적인 타이가가 나타나기도 한다.

4. 1. 기후 변화와 환경

기후 변화 연구는 지역 사회 기반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전통 생태 지식(TEK,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과 정량적 데이터를 종합하고, 북극에서 관찰되는 변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15] 원주민 공동체는 최근 몇 년 동안 겨울이 짧아지고 따뜻해졌다고 보고하며, 식생 성장, 강수량, 해빙, 영구 동토층, 수위와 수질, 그리고 환경 내 납의 존재 등 다양한 환경 요인의 변화를 관찰했다.

누나빅의 식생 성장은 관목, 풀, 이끼류로 주로 구성되어 제한적이다. 툰드라에서의 나무 성장은 드물지만, 북극 버드나무와 발삼 포플러와 같은 일부 수종이 이 지역에서 발견된다.[15] 누나빅은 또한 구름딸기, 블루베리, 크로베리, 그리고 레드베리를 포함한 다양한 베리류 식물의 서식지이기도 하다.[15] 온도 상승으로 인해 지난 몇 년 동안 누나빅에서 나무와 관목의 성장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15]

또한, 해빙은 겨울 동안 얇아지고 수명이 짧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얼음 위를 통한 운송이 더 위험해지고 있다.[16] 북극의 연간 강수량 감소로 인해 담수 수위가 낮아졌다는 보고도 있다.[17]

이러한 변화는 천연 수원을 이용하는 지역 사회와 사람들의 건강에 잠재적 위협을 제기하고 있다. 누나빅의 수질 저하는 예를 들어 지아디아와 같은 위장관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17] 천연 수원과 관련된 위장관 질환 사례는 해빙이 녹기 시작하는 3월과 순록 이동 시기인 가을에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7]

기후 변화와 함께 북극의 납 농도도 변화하여 북부 지역 사회의 납 중독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누나빅에서는 산모 혈액의 납 농도가 50μg/L로 캐나다에서 가장 높았다.[18] 환경 내 납 수치 증가는 사냥에 사용되는 납탄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는 1999년에 금지되었지만 납탄이 북부 지역 사회로 계속 운송되고 있다.[18]

5. 인구

누나빅은 퀘벡주 최북단에 위치한 광대한 지역으로, 북극과 아한대 기후대에 걸쳐 있다. 약 12,000명의 사람들이 누나빅의 여러 지역 사회에 거주하며, 원주민 공동체의 높은 인구 증가 추세에 따라 이 수치는 증가하고 있다.[13]

누나빅에는 14개의 마을이 있으며, 대다수 주민은 이누이트족이다.[14] 누나빅의 주요 마을이자 행정 중심지는 웅가바 만 남쪽 해안에 있는 쿠주자크이며, 다른 마을로는 이누크주악 (영화 ''북쪽의 나누크''가 촬영된 곳), 살루이트, 푸비르니투크, 이부지빅, 캉기크수주악, 캉기크수알루주악, 캉기르숙, 타시우자크, 오팔룩, 아쿨리빅, 쿠악탁, 쿠주주아라픽 및 우미우자크가 있다.

마을 이름지위누나빅 인구[19]
2021년 인구2016년 인구변화
아쿨리빅(Akulivik)VN642633
오팔룩(Aupaluk)VN233209
이누주악(Inukjuak)VN18211757
이부지빅(Ivujivik)VN412414
캉기쿠알루주악(Kangiqsualujjuaq)VN956942
캉기쿠주악(Kangiqsujuaq)VN837750
캉기르숙(Kangirsuk)VN561567
쿠주악(Kuujjuaq)행정 중심지
VN
26682754
쿠주자라픽(Kuujjuarapik)
와프마구스투이(Whapmagoostui)
VN792654
푸비르니투크(Puvirnituq)VN21291779
콰크탁(Quaqtaq)VN453403
살루잇(Salluit)VN15801483
타시우작(Tasiujaq)VN420369
우미우작(Umiujaq)VN541442
마을 전체1404513156
퀘벡주 북부4574044561



누나빅의 마을들


2019년, 맥길 대학교의 몬트리올 신경학 연구소 및 병원 연구진은 누나빅 이누이트가 다른 어떤 알려진 집단과도 유전적으로 구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지질 대사와 관련된 경로에서 독특한 유전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고지방 식단과 캐나다 북극의 극심한 기온에 적응할 수 있다. 지리적으로 고립된 집단은 특정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결과로 독특한 유전적 특성을 발달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가장 가까운 친족은 이누이트 이전에 북극에 거주했던 고대 에스키모이다.[20]

마을/지역[21]총 인구이누이트비원주민이누이트 (%)비원주민 (%)
아쿨리빅507500798.61.4
아우팔룩174n.a.²n.a.n.a.n.a.
이누크주악1,5971,3408583.95.3
이부지빅349340097.40.0
캉기크수알루주악7357053095.94.1
캉기르수주악6055605092.68.3
캉기르숙4664254591.29.7
쿠주악2,1321,63546076.721.6
쿠주주아라픽5684655581.99.7
푸비르니투크1,4571,3854095.12.7
콰크탁3153001095.23.2
살루이트1,2411,1508592.76.8
타시우자크248n.a.n.a.n.a.n.a.
우미우자크3903751096.22.6
누나빅10,7849,56592088.78.5
노르뒤케벡39,5509,62516,02024.340.5
퀘벡7,435,90510,9507,327,4750.198.5


5. 1. 언어

2011년 NHS 설문조사 결과 모국어[22]
순위언어인구
1.이누크티투트어10,870
2.스페인어80
3.크리어70
4.기타 원주민 언어35
5.기타 비원주민 언어15
6.아랍어10
6.크리올어10
6.독일어10
6.포르투갈어10
6.니제르콩고어족 언어10



위 표에는 캐나다의 공식 언어인 프랑스어영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6. 경제

누나빅 지역은 광물 매장량이 풍부하며, 살루이트 근처에 위치한 래글랜 광산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광산 중 하나이다.[14] 이 광산은 카티니크/도널드슨 공항의 활주로와 디셉션 베이의 정광, 저장 및 선적 시설과 사계절 이용 가능한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광산 생산은 1997년에 시작되었으며, 현재 광산의 수명은 3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 광산은 아북극 영구 동토층 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취약한 영구 동토층을 보호하고 다른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수한 건설 및 채굴 기술이 필요하다. 연평균 기온은 -10°C이며, 지하의 평균 주변 온도는 -15°C이다. 래글랜 남쪽에 새로운 광산을 건설하여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 있다.

7. 정치

1950년대 캐나다 연방 정부는 캐나다의 고위도 북극에 대한 주권 주장에 대한 우려로 여러 이누이트 가족들을 누나빅에서 강제로 이주시켰다. 이 조치는 냉전 당시 고위도 북극 지역의 인구를 증가시켜 캐나다의 법적 점령을 보여주고 주권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었다.[7] 이누이트들은 집과 사냥감을 제공받겠다는 약속을 받았지만, 이주 후 건물도 없고 친숙한 야생동물도 거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7] 결국 이누이트들은 현지 흰돌고래 이동 경로를 알게 되어 매년 18000km2에 걸쳐 사냥하며 그 지역에서 생존할 수 있게 되었다.[8]

1993년 캐나다 정부는 이주 프로그램을 조사하기 위한 청문회를 열었고, 원주민에 관한 왕립위원회는 다음 해에 "고위도 북극 이주: 1953-55년 이주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9] 정부는 생존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1,000만 캐나다 달러를 지급했고, 2010년에 공식 사과했다.[10]

누나빅과 퀘벡 북부 지역은 1870년부터 1912년까지 노스웨스트 준주의 일부였다. 1912년 이 지역은 퀘벡으로 이관되었지만, 1960년대 조용한 혁명 이전까지는 퀘벡 주 정부의 관여가 거의 없었다.[12] 1960년대 르네 레베크는 퀘벡 주의 수력 발전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지역은 "누보 퀘벡(Nouveau-Québec)"으로 명명되었고, 많은 지명이 프랑스어화되었으며, 지역 학교에서 프랑스어 교육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변화와 제임스 만 프로젝트는 캐나다 이누이트 최초의 정치 조직인 북부 퀘벡 이누이트 협회를 탄생시켰고, 이 협회는 제임스 만 및 북부 퀘벡 협정 체결에 기여했다.[12]

허드슨 만 동쪽 해안, 북부 마을 쿠주주아라픽 근처에 있는 웨프마구스투이 크리 마을은 크리 지역 당국에 속하며, 이는 다시 크리 대의회(Eeyou Istchee)에 통합되었다. 누나빅 남쪽 코트노르 지역의 카와와치카마치 나스카피 부족은 누나빅 남부 지역에 독점적인 사냥 및 트래핑 지역을 소유하고 있으며 카티빅 지역 정부에 대표된다.

7. 1. 누나빅 지역 정부

1978년 북동부 케베크 협정에 따라, 누나빅 지역 대부분을 관할하는 카티비크 지역 정부가 설립되었다. 현재 14개의 북부 마을이 이에 속해 있다. 퀘벡 주(50%), 연방 정부(25%)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으며, 수도는 가장 큰 북부 마을인 쿠주악(Kuujjuaq|쿠주아크iu)이다.

같은 1978년 북동부 케베크 협정에 따라, 쿠주악에 본사를 둔 마키빅 사Makivik Corporation|영어(ᒪᑭᕝᕕᒃ ᑯᐊᐳᕇᓴᑦ|iu)가 현재 북부 퀘벡 지역 이누이트의 권익을 대표한다. 이누이트의 자치권 확대를 주장하고 있으며, 누나부트 준주에 속한 섬들의 자원 이용권에 대해서도 협상하고 있다. 나아가 누나부트 준주와 같은 준주(Territory)로서의 자치권 획득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캐나다 연방 정부, 퀘벡 주 정부와 누나빅은 "누나빅 지역 정부" 설립을 논의 중이다. 캐나다 정부와 퀘벡 주 정부는 지역 사법 관할권은 유지하되, 독자적인 내각의회를 가지고 교육 및 보건 관련 행정 서비스를 담당하는 지역 정부를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역 정부는 민족과 관계없이 설립되며, 누나빅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참여할 권리를 갖는다. 설립 후에는 현재의 카티비크 지역 정부, 카티비크 교육 위원회, 누나빅 보건 사회 서비스 위원회 등은 새로운 지역 정부로 통합될 예정이다. 또한 퀘벡 주 정부는 누나빅 지역은 인구가 적지만, 이 지역을 대표하는 연방 의회 의석을 설치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2011년 4월, 누나빅 지역 정부 설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었으나, 현행 안대로의 설립에는 반대가 약 70%로 나타나 부결되었다.[26]

8. 문화

누나빅의 마을들은 주로 이누이트족이 거주한다. 북쪽에 있는 누나부미우트 이웃들과 마찬가지로, 누나빔미우트 사람들은 비누돌로 조각을 하고 주로 카리부와 생선을 먹는다. 맑은 밤에는 오로라가 자주 보이며, 이 지역에서는 야외 활동이 풍부하다.

참조

[1] 웹사이트 Aboriginal Peoples in Canada in 2006: Inuit, Métis and First Nations, 2006 Census: Inuit: Inuit population: Young and growing https://web.archive.[...] Statistics Canada 2008-04-11
[2] 웹사이트 The Agreement in Principle and Where It's At http://www.nunavikgo[...]
[3] 뉴스 Quebec Inuit to sign historic self-governance agreement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07-08-13
[4] 뉴스 Inuit poised to gain control of large territory in Quebec https://web.archive.[...] CBC News 2007-08-13
[5] 뉴스 Que. Inuit vote against self-government plan http://www.cbc.ca/ne[...] CBC News 2011-04-29
[6] 뉴스 A Nunavik flag could inspire the region: designer https://web.archive.[...] 2013-05-09
[7] 웹사이트 Grise Fiord: History http://www.grisefior[...]
[8] 서적 The Long Exile: A Tale of Inuit Betrayal and Survival in the High Arctic Alfred A. Knopf
[9] 간행물 The High Arctic Relocation: A Report on the 1953-55 Relocation http://www.fedpubs.c[...] Canadian Government Publishing
[10] 뉴스 Inuit receive apology for forced relocation https://www.cbc.ca/n[...] CBC 2010-08-18
[11] 서적 Alfred A. Knopf
[12] 서적 Wrestling with colonialism on steroids : Quebec Inuit fight for their homeland http://worldcat.org/[...] Véhicule Press
[13] 웹사이트 Aboriginal peoples in Canada: Key results from the 2016 Census http://www.statcan.g[...] 2017-10-25
[14] 웹사이트 The Nunavik Inuit https://web.archive.[...]
[15] 논문 The Study of Inuit Knowledge of Climate Change in Nunavik, Quebec: A Mixed Methods Approach https://www.jstor.or[...] 2015
[16] 논문 Climate Change in Northern Quebec: Adaptation Strategies from Community-Based Research https://www.jstor.or[...] 2008
[17] 논문 Drinking Water and Potential Threats to Human Health in Nunavik: Adaptation Strategies under Climate Change Conditions https://www.jstor.or[...] 2007
[18] 논문 Gendered dimensions of environmental health, contaminants and global change in Nunavik, Canada https://www.jstor.or[...] 2006
[19]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Data 2021, Northern Villages https://www.nunivaat[...] 2022
[20] 웹사이트 Study finds Nunavik Inuit are genetically unique https://neuroscience[...]
[21]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Nunavik (villages), Nord-du-Québec and Québec Canada Research Chair on Comparative Aboriginal Condition 2006
[22] 웹사이트 Non-official language, Nunavik and communities https://www.nunivaat[...] Statistics Canada 2011
[23]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Agreement in Principle Concerning the Amalgamation of Certain Public Institutions and Creation of the Nunavik Regional Government http://www.nunavikgo[...] The Nunavik Regional Government negotiations website 2007-07-11
[25] 뉴스 Les Inuits auront leur gouvernement régional http://www.cyberpres[...] La Presse 2007-12-06
[26] 뉴스 Que. Inuit vote against self-government plan http://www.cbc.ca/ne[...] CBC News 2011-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