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능구렁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능구렁이(Lycodon rufozonatus)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뱀으로, 한반도, 중국 동부, 일본, 베트남, 라오스, 러시아 등지에서 발견된다. 몸길이는 최대 2m까지 자라며, 적갈색 바탕에 검은색 띠 무늬가 특징이다. 야행성이며, 뱀, 개구리, 조류 등을 먹고 산다. 붉은얼룩무늬뱀(L. r. rufozonatus)과 사키시마얼룩무늬뱀(L. r. walli) 두 아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능구렁이속 - 류큐능구렁이
    류큐능구렁이는 아마미 제도와 오키나와 제도에 분포하며 최대 200cm까지 자라는 대형 뱀으로, 다양한 동물을 먹이로 삼고 야행성이며, 악취가 나는 액체를 분비하여 자신을 보호하고, 애완동물로도 길러지며, 오키나와 방언으로 "맛타부"라고 불리고, 미남으로 둔갑하여 여성을 유혹한다는 전설이 있다.
  • 1842년 기재된 파충류 - 오클랜드녹색도마뱀붙이
    오클랜드녹색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 북섬 특정 지역에 서식하며 녹색을 띠는 16cm 크기의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위협으로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1842년 기재된 파충류 - 동부쪽뱀
    동부쪽뱀은 미국에서 가장 긴 토착 뱀 중 하나이며, 과거에는 넓게 분포했지만 현재는 서식지 파괴로 인해 분포 지역이 축소되어 일부 지역에서만 발견되며, 위협종으로 지정되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라오스의 파충류 - 큰머리거북
    큰머리거북은 캄보디아 등지에 서식하며 머리가 크고 등딱지 속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멸종위기종으로 불법 거래,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였다.
  • 라오스의 파충류 - 물왕도마뱀
    물왕도마뱀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반수생 생활을 하는 왕도마뱀과에 속하는 파충류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위협받아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된다.
능구렁이 - [생물]에 관한 문서
정보
아시아왕뱀
아시아왕뱀 Lycodon rufozonatus
기본 정보
학명Lycodon rufozonatus
명명자Cantor, 1842
멸종 위기 등급최소 관심 종 (LC)
IUCN 3.1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92124/2043244
한국 적색 목록미평가
일본 적색 목록준절멸위기 (NT)
한국어 이름능구렁이
영어 이름Asian king snake, Banded red snake, Red banded krait, Red banded odd-toothed snake, Red-banded snake
중국어 이름칠련사(赤链蛇)
일본어 이름아카마다라(アカマダラ)
아종
과거 학명

2. 학명 및 어원

아종의 학명 ''walli''는 프랭크 월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4]

2. 1. 어원

아종의 학명인 ''walli''는 영국의 파충류학자 프랭크 월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4]

3. 분포

붉은배율뱀은 북쪽의 한반도(극동 러시아까지 뻗어 있음)에서 남쪽의 북부 라오스베트남에 이르는 동아시아의 넓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분포 지역의 대부분은 중국 동부에 위치해 있다.[6] 대륙 개체군은 모두 모식 아종 (''L. r. rufozonatus'')으로 분류된다. 두 번째 아종인 ''L. r. walli''는 일본 남부의 류큐 열도에서 발견된다.[5]

3. 1. 상세 분포 지역

붉은배율뱀은 북쪽의 한반도(극동 러시아까지 뻗어 있음)에서 남쪽의 북부 라오스베트남에 이르는 동아시아의 넓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분포 지역의 대부분은 중국 동부에 위치해 있다.[6] 대륙 개체군은 모두 모식 아종 (''L. r. rufozonatus'')으로 분류된다. 두 번째 아종인 ''L. r. walli''는 일본 남부의 류큐 열도에서 발견된다.[5]

아종분포 지역
L. r. rufozonatus 붉은배 검은띠대한민국, 타이완,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에서 남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쓰시마, 센카쿠 열도), 베트남 북부, 라오스,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L. r. walli 사키시마 검은띠일본 (미야코 열도, 야에야마 열도) 고유 아종


4. 형태

능구렁이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전체적인 특징: 몸길이는 보통 120cm 정도이며, 최대 2m까지 자라는 경우도 있다. 몸통에는 50~70개, 꼬리에는 18~20개 정도의 굵은 띠 모양 검은색 반문이 있다.
  • 아종별 특징:
  • 붉은얼룩무늬뱀(''L. r. rufozonatus''): 전장은 60cm에서 120cm 사이이며, 적갈색 바탕에 검은 가로 줄무늬가 있다. 쓰시마섬 개체군은 체색이 더 선명하다.
  • 사키시마얼룩무늬뱀(''L. r. walli''): 전장은 50cm에서 100cm 사이로, 기아종보다 작다. 나카미코신섬 개체군은 바닷새를 먹어 130cm까지 자란다. 황갈색 바탕에 검은 가로 줄무늬가 있으며, 미야코 열도와 야에야마 열도 개체군 간 무늬 차이가 있다.
  • 비늘 특징: 머리는 길고 평평하며, 목과 다소 분리된다. 눈은 약간 튀어나와 있고 세로 동공을 가진다. 배쪽 비늘은 강한 용골을, 등쪽 비늘은 약한 용골을 가진다.[6] 비늘 수는 보통 17:17:15, 최대 21:19:17이다.[6]

4. 1. 전체적인 특징

몸길이는 120cm 가량이고, 많이 먹거나 오래 산 녀석들은 2m를 넘기도 한다. 머리는 넓고 주둥이 끝은 둥글고 가늘며 뾰족하다. 등은 적갈색이고, 굵은 띠 모양의 검은색 반문이 몸통에 50~70개, 꼬리에 18~20개 정도 있다. 동작이 느리고 독은 없다고 하지만, 사실 독사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활동한다. , 개구리, 두꺼비, 물고기, , 소형 조류(주로 새끼 새들을 잡아먹는다.), 두더지 따위의 소형 포유류 등을 먹는다. 주식은 뱀 중 독이 가장 강한 것으로 알려진 까치살모사이며, 소형 조류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16] 알은 약 10개를 낳으며, 다른 들에 비해 온도에 민감하여 가장 먼저 겨울잠에 들어가고 가장 늦게 겨울잠에서 깨어난다.

한국에서는 울릉도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의 인가 근처 논두렁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16] 황구렁이는 전체 길이(꼬리 포함)가 약 70cm까지 자라며, 극단적인 경우 130cm까지 자란다.[6] 머리는 길고 비교적 평평하며 목과 다소 분리되어 있다. 중간 크기의 눈은 약간 튀어나와 있으며 세로로 된 동공을 가지고 있다. 배쪽 비늘은 강한 용골을 가지고 있으며, 등쪽 비늘은 약하게 용골을 가지고 있다. 비늘 수는 일반적으로 17:17:15이지만, 최대 21:19:17까지 될 수 있다.[6]

검은 가로 줄무늬가 들어간다.

  • ''L. r. rufozonatus'' 붉은얼룩무늬뱀

전장은 60-120cm. 적갈색의 체색에 검은 가로 줄무늬가 몸통에는 55-70개, 꼬리에는 20-90개 들어간다. 쓰시마섬개체군은 체색이 더 선명하다고 한다.

  • ''L. r. walli'' 사키시마얼룩무늬뱀

전장 50-100cm. 기아종보다 작지만, 나카미코신섬의 개체군은 바닷새를 먹음으로써 대형화되어 130cm에 달한다고 한다.

황갈색의 체색에 검은 가로 줄무늬가 몸통에는 20-50개, 꼬리에는 10-30개 들어간다. 미야코 열도의 개체군은 가로 줄무늬가 크고 가로 줄무늬의 수가 적은 반면, 야에야마 열도의 개체군은 가로 줄무늬가 작고 가로 줄무늬의 수가 많다. 천적은 이와사키붉은배뱀.

4. 2. 아종별 특징


  • ''L. r. rufozonatus'' 붉은얼룩무늬뱀[1]

: 전장은 60cm-120cm이다. 적갈색 체색에 검은 가로 줄무늬가 몸통에는 55-70개, 꼬리에는 20-90개 들어간다. 쓰시마섬개체군은 체색이 더 선명하다고 한다.

  • ''L. r. walli'' 사키시마얼룩무늬뱀[2]

: 전장 50cm-100cm이다. 기아종보다 작지만, 나카미코신섬의 개체군은 바닷새를 먹음으로써 대형화되어 130cm에 달한다고 한다. 황갈색 체색에 검은 가로 줄무늬가 몸통에는 20-50개, 꼬리에는 10-30개 들어간다. 미야코 열도의 개체군은 가로 줄무늬가 크고 가로 줄무늬의 수가 적은 반면, 야에야마 열도의 개체군은 가로 줄무늬가 작고 가로 줄무늬의 수가 많다. 천적은 이와사키붉은배뱀이다.

4. 3. 비늘 특징

머리는 길고 비교적 평평하며 목과 다소 분리되어 있다. 중간 크기의 눈은 약간 튀어나와 있으며 세로로 된 동공을 가지고 있다. 배쪽 비늘은 강한 용골을 가지고 있으며, 등쪽 비늘은 약하게 용골을 가지고 있다.[6] 비늘 수는 일반적으로 17:17:15이지만, 최대 21:19:17까지 될 수 있다.[6]

5. 생태

몸길이는 약 120cm이며, 많이 먹거나 오래 산 개체는 2m를 넘기도 한다. 머리는 넓고 주둥이 끝은 둥글고 가늘며 끝이 뾰족하다. 등은 적갈색이고, 굵은 띠 모양의 검은색 반문이 몸통에 50~70개, 꼬리에 18~20개 정도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울릉도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의 인가 근처 논두렁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16] ''L. rufozonatus''는 ''Spirometra'' 속의 촌충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를 날것으로 섭취하면 스파르가눔증을 유발할 수 있다.[7]

5. 1. 서식지

''Lycodon rufozonatus''는 다양한 서식지에서 서식하며, 해수면 근처에서 2000m 높이까지 발견될 수 있다. 주로 하천 평야 근처에서 흔하게 발견되며,[6] 땅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때때로 시냇물에서 헤엄치는 모습도 보인다.[6] 평지에서 낮은 산지의 삼림, 초원, 물가에 살며, 지표성이지만 나무에 오르기도 한다.

5. 2. 행동 양식

능구렁이는 동작이 느리고 독은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독사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활동하는 야행성이다. 먹이로는 , 개구리, 두꺼비, 물고기, , 소형 조류(보통 새끼 새들을 잡아먹는다.), 소형 포유류(두더지나, 따위를 먹는다.) 등을 먹는다.[16] 특히 뱀 중에서는 까치살모사를 주식으로 하며, 소형 조류는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먹이가 없을 때는 어쩔 수 없이 먹기도 한다. 알은 약 10개를 낳으며, 다른 뱀들에 비해 온도에 민감하여 가장 먼저 겨울잠에 들어가고 가장 늦게 겨울잠에서 깨어난다.[16]

''Lycodon rufozonatus''는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며, 해수면 근처에서 2000m 높이까지 발견될 수 있다. 주로 하천 평야 근처에서 흔하게 발견되며,[6] 땅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때때로 시냇물에서 헤엄치는 모습도 볼 수 있다.[6] 물고기, 개구리, 도마뱀, , 어린 새 등을 먹는다.[6][3]

일반적으로 온순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다가가면 머리를 숨긴 채 둥근 덩어리로 몸을 웅크린다. 그러나 개체에 따라 예측 불가능할 수 있으며, 일부는 쉽게 물기도 한다.[6] 물렸을 때 독성 관련 임상 보고는 거의 없지만, 이 종은 독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6]

외적에게 습격당하면 총배설강에서 냄새가 나는 물질을 내뿜는 방어 행동을 한다.

식성은 동물성으로, 소형 포유류, 조류 및 그 알, 도마뱀, 뱀, 개구리, 어류 등을 먹지만, 특히 , 다람쥐, 개구리를 좋아하는 경향이 강하다.

번식 형태는 난생으로, 일본에서는 6-7월에 기아종은 한 번에 10개 전후, 사키시마 마다라는 한 번에 4-8개의 알을 낳는다.

5. 3. 먹이

능구렁이는 , 개구리, 두꺼비, 물고기, , 소형 조류(보통 새끼 새들을 잡아먹는다.), 소형 포유류(두더지나, 따위를 먹는다.) 등을 먹는다.[16] 특히 독이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까치살모사를 주식으로 잡아먹으며, 소형 조류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먹이가 없을 때는 어쩔 수 없이 먹기도 한다.[16]

''Lycodon rufozonatus''는 야행성이며, 물고기, 개구리, 도마뱀, , 어린 등을 먹고 산다.[3][6] 특히 , 다람쥐, 개구리를 좋아하는 경향이 강하다.

5. 4. 번식

능구렁이는 난생으로 번식한다.[2] 일본에서는 6-7월에 한 번에 10개 전후의 알을 낳는다.[16]

6. 인간과의 관계

능구렁이는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다. 삭시마누룩뱀은 일본에 서식하는 뱀 중에서는 성격이 온순하고 방어취를 내는 것을 제외하면 사육하기 쉬운 뱀으로 여겨진다.

6. 1. 기타

능구렁이는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다. 삭시마누룩뱀은 일본에 서식하는 뱀 누룩뱀속 중에서는 성격이 온순하고 방어취를 내는 것을 제외하면 사육하기 쉬운 뱀으로 여겨진다.

7. 분류

이 종은 1842년 테오도르 에드워드 칸토르에 의해 ''Lycodon rufo-zonatus''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술되었다.[8]

7. 1. 분류 역사

이 종은 1842년 테오도르 에드워드 칸토르가 "Chusan"(저우산, 중국)의 동물군에 관한 논문에서 ''Lycodon rufo-zonatus''로 처음 기술했다. 이 논문은 ''자연사 연보(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에 게재되었다.[8] 칸토르는 이 종을 "무해한"(독이 없는) 종으로 분류했으며, "갈색이며, 붉은색 가로 띠가 여러 개 있고, 배 쪽 표면은 진주색이며 꼬리 부분에 검은 반점이 있다"라고 묘사했다.[8]

7. 2. 아종


  • (''Lycodon rufozonatus rufozonatus'') Cantor, 1842
  • サキシママダラ|사키시마마다라일본어 (''Lycodon rufozonatus walli'') 슈타이네거, 1907

8. 기타 명칭

''L. rufozonatus''는 "아시아 왕뱀",[9] "붉은띠뱀", "붉은띠해삼", "붉은띠이상치뱀", "붉은띠뱀" 등 여러 일반명으로 알려져 있다.[6]

참조

[1] IUCN Lycodon rufozonatus 2021-11-18
[2] 웹사이트 Lycodon rufozonatus
[3] 백과사전 능구렁이 (Neung-guleong-i)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9-24
[4]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Reptiles of Northern Eurasia: Taxonomic Diversity, Distribution, Conservation Status Pensoft Publishers
[6] 웹사이트 Dinodon rufozonatum http://www.toxinolog[...] University of Adelaide 2012-09-06
[7] 서적 Manson's Tropical Disease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8] 저널 General features of Chusan, with remarks on the flora and fauna of that island https://www.biodiver[...]
[9] 저널 A description of an Asian king snake (Dinodon rufozonatum rufozonatum [Cantor, 1842]) clutch size from central western Taiwan http://www.herpetolo[...] 2012-09-17
[10] IUCN Lycodon rufozonatus 2024-12-13
[11] 웹사이트 日本産爬虫両生類標準和名リスト(2024年3月11日版) https://herpetology.[...] 2024-12-13
[12] IUCN Lycodon rufozonatus 2021-11-18
[13] 웹사이트 https://species.nibr[...]
[14] 웹사이트
[15] 저널 A description of an Asian king snake (Lycodon rufozonatum rufozonatum [Cantor, 1842]) clutch size from central western Taiwan http://www.herpetolo[...] 2013-05-02
[16]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