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포털)는 다문화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재)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운영하는 포털이다. 한국어,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4개 언어로 2009년 4월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후 여러 언어를 추가했다. 한국 생활 정보, 학습 정보,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정보, 상담실, 자료실, 다문화 관련 소식 등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포털 사이트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포털 사이트 - MSN MSN은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95와 함께 출시한 웹 포털이자 관련 서비스 모음으로, 뉴스,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금융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주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합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넷 검색 엔진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인터넷 검색 엔진 - 네이버 네이버는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 및 포털 사이트로,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뉴스, 메일, 블로그,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대한민국의 웹사이트 - 다음 다음은 1995년 설립되어 검색, 커뮤니티, 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14년 카카오와 합병 후 현재는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의 웹사이트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라는 모토 아래 시민기자 제도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문으로, 시민들이 직접 기사를 쓰고 상근 기자가 편집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진보적인 성향을 띤다.
다문화가족에게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09년 4월 다문화가족지원 포털 '다누리'가 개설되었다. 초기에는 한국어,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4개 언어를 지원하며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타갈로그어, 크메르어, 몽골어, 러시아어, 일본어, 태국어가 순차적으로 추가되어 지원 언어가 총 10개로 확대되었다. 또한, 다문화가족 정보 매거진 'Rainbow+' 웹진 서비스 시작(2010년), 다누리 및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 전면 개편(2011년), 외부 콘텐츠 연계 기능 추가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 웹 접근성 인증마크 획득(2012년), 모바일 '다누리 앱' 출시(2014년) 등 지속적인 기능 개선과 서비스 확장이 이루어졌다.
지원 언어 추가: 일본어, 태국어 (총 10개 언어) 신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 개설 지원
2014년
모바일 서비스 다누리 앱 출시
3. 제공 서비스
다누리 포털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과 외국인 주민의 안정적인 정착과 사회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 서비스는 한국 생활에 필요한 각종 정보 제공, 한국어 및 다문화 이해 교육 자료 제공,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안내, 온라인 상담, 관련 자료 및 최신 소식 공유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 생활 정보''': 체류, 국적 취득, 교육, 취업, 의료 등 한국 생활 전반에 필요한 정보를 안내한다.
'''학습 정보''': 한국어 학습, 한국 생활 적응, 다문화 이해를 돕는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센터 정보''':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위치, 연락처, 프로그램 정보 등을 제공한다.
'''상담실''': 온라인을 통해 생활 관련 궁금증을 해소하고, 다국어 1:1 상담을 지원한다.
'''자료실''': 다문화가족 및 관련 활동가를 위한 자료, 통계, 정책 정보를 제공한다.
'''다문화 소식''': 다문화 관련 공지사항, 지역 소식, 언론 보도 등을 전달한다.
3. 1. 한국 생활 정보
다누리 포털은 한국에서의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다.
'''체류·국적 취득 정보''': 한국에 머무르거나 국적을 얻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안내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