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드 (미켈란젤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비드 (미켈란젤로)는 미켈란젤로가 제작한 르네상스 시대의 조각상으로, 구약성서의 다윗을 묘사하고 있다. 1501년부터 1504년까지 제작되었으며, 골리앗과의 싸움을 앞둔 다윗의 긴장감 넘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피렌체의 정치적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며, 1991년 훼손 사건과 2003년 복원 작업을 거쳤다. 현재는 피렌체의 아카데미아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복제품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켈란젤로의 조각품 - 모세 (미켈란젤로)
미켈란젤로가 율리우스 2세의 묘를 장식하기 위해 제작한 대리석 조각상 모세는 십계명을 받고 내려온 모세의 웅장하고 섬세한 모습을 묘사하며, 머리에 묘사된 뿔과 관련하여 다양한 해석과 심리학적, 예술사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 미켈란젤로의 조각품 - 피에타 (미켈란젤로)
미켈란젤로의 피에타는 죽은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 마리아를 묘사한 1498년에서 1500년 사이 제작된 대리석 조각상으로, 피라미드 구도, 젊은 성모, 절제된 수난 표현이 특징이며 성 베드로 대성당에 전시, 방탄 유리로 보호되고 있다. - 16세기 조각 작품 - 모세 (미켈란젤로)
미켈란젤로가 율리우스 2세의 묘를 장식하기 위해 제작한 대리석 조각상 모세는 십계명을 받고 내려온 모세의 웅장하고 섬세한 모습을 묘사하며, 머리에 묘사된 뿔과 관련하여 다양한 해석과 심리학적, 예술사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 16세기 조각 작품 - 사비니 여인의 납치
사비니 여인의 납치는 잠볼로냐가 1583년에 완성한 대리석 조각상으로, 세 명의 인물(노인, 청년, 여성)을 묘사하며 토스카나 대공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해 의뢰 없이 제작되었고, 예술적 기교와 형태 탐구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피렌체 로자 데이 란치에 전시되어 있다.
| 다비드 (미켈란젤로) | |
|---|---|
| 작품 정보 | |
| 제목 | '다비드' |
| 주제 | 성경 속 다비드 |
| 작가 | 미켈란젤로 |
| 제작 연도 | 1501년 – 1504년 6월 8일 |
| 매체 | 카라라 대리석 |
| 높이 (미터) | 5.17 |
| 높이 (센티미터) | 517 |
| 높이 (피트) | 17 |
| 너비 (센티미터) | 199 |
| 너비 (피트) | 6.5 |
| 도시 | 피렌체, 이탈리아 |
| 소장 미술관 | 피렌체 아카데미아 미술관 |
| 이전 작품 | 피에타 |
| 다음 작품 | 브뤼헤의 성모 |
| 이미지 | |
![]() | |
![]() | |
| 작품 설명 | |
| 설명 | 젊은 미켈란젤로의 걸작...활기가 넘치는 걸작 |
| 특징 | 역동적인 생명력이 느껴지는 작품 |
| 기타 정보 | |
| 관련 인물 | 다비데 |
2. 역사
다비드상의 역사는 미켈란젤로가 1501년부터 1504년까지 조각 작업을 하기 이전에 시작된다. 피렌체 대성당의 운영을 맡았던 '오페라 델 두오모'(Operai del Duomo)는 대성당 부벽을 장식할 12개의 대형 구약성서 인물 조각상 연작을 계획했다. 1410년 도나텔로가 테라코타로 여호수아 상을, 1463년 아고스티노 디 두치오가 헤라클레스 상을 제작했으며, 1464년 아고스티노는 다비드 상 제작을 의뢰받았다.
카라라 채석장에서 가져온 거대한 대리석으로 아고스티노가 일부 작업을 시작했으나, 1466년 도나텔로 사망 후 작업은 중단되었다. 10년 뒤 안토니오 로셀리노가 잠시 작업을 맡았지만 곧 계약이 종료되었고, 대리석 덩어리는 26년간 대성당 작업장 마당에 방치되었다.
1500년경, 오페라 델 두오모는 이 방치된 대리석을 완성할 예술가를 물색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등 여러 예술가의 자문을 거쳐 1501년 8월 16일, 26세의 미켈란젤로에게 작업을 맡겼다. 미켈란젤로는 같은 해 9월 13일부터 조각을 시작하여 2년 넘게 작업에 매진했다.
1504년 1월 조각상이 거의 완성되자, 6톤이 넘는 무게 때문에 원래 계획했던 대성당 지붕 설치가 어렵다는 판단하에 설치 장소를 다시 논의하게 되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산드로 보티첼리 등이 포함된 위원회는 여러 장소를 검토한 끝에, 도시의 시청사인 베키오궁 입구에 세우기로 결정했다. 1504년 6월, 다비드상은 4일간의 이동 끝에 베키오 궁전 앞에 설치되었으며, 기존에 있던 도나텔로의 청동 조각 유딧과 홀로페르네스를 대체했다.
피에타와 함께 미켈란젤로의 대표작이자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높이 517cm의 이 대리석 조각상은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이스라엘 왕국의 두 번째 통치자 다비드가 거인 골리앗과의 싸움을 앞두고 투석기를 어깨에 걸친 채 결연한 표정으로 서 있는 순간을 묘사한다. 인간의 강인함과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눈동자가 하트 모양으로 표현되거나 이스라엘 민족의 증표로 여겨지는 할례의 흔적이 없는 점 등은 르네상스 시대의 독특한 표현으로 해석된다.
원래 피렌체 시청사인 베키오궁 앞에 설치되었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이후 도시 국가 피렌체 공화국이 주변의 강력한 적대 세력에 위협받을 때 이 조각상은 피렌체의 자유와 저항 정신을 상징하는 존재로 해석되었다.
2. 1. 의뢰
다비드상의 역사는 미켈란젤로가 1501년부터 1504년까지 조각 작업을 하기 이전인 1464년경부터 시작된다.[5] 당시 피렌체 대성당의 건설 및 유지 관리를 담당하던 조직인 '오페라이 델 두오모'(Operai del Duomo, 두오모 공방 감독관)는[7] 대성당의 부벽을 장식할 12개의 대형 구약성서 인물 조각상 연작을 세울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10] 이 위원회는 대부분 영향력 있는 피렌체의 모직물 길드(아르테 델라 라나) 회원들로 구성되었다.[9]계획의 일환으로 1410년 도나텔로가 테라코타로 여호수아 상을 만들었고,[11] 1463년에는 그의 제자로 추정되는 아고스티노 디 두치오가 헤라클레스 상(당시 '거인' 또는 큰 인물을 의미하는 용어였을 수 있다[13])을 제작하도록 의뢰받았다.[12] 프로젝트를 이어가기 위해 1464년, 오페라이는 아고스티노 디 두치오에게 다비드 조각 제작을 다시 의뢰했다.[14] 이를 위해 이탈리아 카라라의 판티스크리티 채석장에서 거대한 대리석 한 블록이 조달되었다.[15] 아고스티노는 다리, 발, 몸통의 형태를 잡고 옷 주름을 거칠게 다듬었으며, 다리 사이에 구멍을 내는 기초 작업까지 진행했다. 그러나 1466년 스승 도나텔로가 사망하자 명확하지 않은 이유로 아고스티노의 작업은 중단되었다.
약 10년 후인 1476년, 안토니오 로셀리노가 아고스티노가 중단한 작업을 이어받도록 임명되었지만, 그의 계약 역시 곧 파기되었다. 결국, 거대한 대리석 덩어리는 25년 이상 대성당 작업장 마당에 방치된 채 날씨에 노출되었다.[9] 이 대리석은 '일 지간테'(il Gigante, 거인)라고 불렸다.[20][21] 1500년 대성당의 재고 목록에는 이 돌이 "다비드라고 불리는, 형편없이 조각되어 누워있는 어떤 대리석 형상"이라고 기록되었다.[17][18][19][9] 오페라이는 큰 비용과 노력을 들여 운반해 온[9] 이 대리석을 완성된 예술 작품으로 만들 예술가를 찾기로 결정하고, 경험 있는 장인들이 검토할 수 있도록 돌을 세우도록 지시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포함한 여러 예술가에게 자문했고 안드레아 산소비노도 관심을 보였지만,[22] 최종적으로 26세의 젊은 미켈란젤로가 오페라이를 설득하여 위촉을 받게 되었다.[23] 1501년 8월 16일, 미켈란젤로는 이 도전적인 임무를 맡는 공식 계약을 체결했다.[24] 계약 내용은 미켈란젤로를 대성당의 조각가로 선택하며, 아고스티노가 조각하다 만 '거인'이라 불리는 약 9 브라치아(braccia) 높이의 남성 인물상을 완성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작업은 9월 1일부터 시작하여 2년 안에 완료되어야 했다.[24] 미켈란젤로는 계약 한 달 뒤인 9월 13일 아침 일찍부터 조각 작업을 시작했으며,[25] 오페라 디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에서 제공된 작업 공간에서 매달 6피오리니의 급여를 받으며 2년 넘게 이 거대한 조각상 제작에 매달렸다.[26]
이 위촉은 메디치 가문이 추방된 후 수립된 피렌체 공화국이 내외부의 위협에 직면했던 중요한 시기에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다비드상 제작 프로젝트는 외부의 위협에 맞서 피렌체의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6]
2. 2. 제작 과정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 제작 역사는 1501년 시작된 실제 작업 기간보다 훨씬 이전인 146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피렌체 대성당(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의 운영을 맡고 있던 대성당 건설국(오페라 델 두오모)은 피렌체 양모업 조합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이들은 대성당의 버트레스에 구약성서를 주제로 한 12개의 거대한 조각상 연작을 장식할 계획을 세웠다. 이는 밀라노 공국 등 외부 위협에 맞서 피렌체의 자긍심을 높이려는 의도였다. 1463년까지 도나텔로의 '예언자'상과 그의 제자 아고스티노 디 두치오의 '헤라클레스'상 두 작품만 완성되었다. 같은 해 건설국은 아고스티노와 다비드상 제작 계약을 맺었으나, 그는 일부 작업만 진행한 뒤 1466년 스승 도나텔로가 사망하자 알 수 없는 이유로 작업을 중단하고 계약을 파기했다. 이후 건설국은 안토니오 로셀리노에게 미완성 작품 완성을 의뢰했지만 이 계약 역시 곧 파기되었다.결국, 북이탈리아 카라라의 판티스크리티 채석장에서[15] 운반된 길이 9브라치아의 거대한 흰색 대리석 덩어리는 대성당 작업장에 25년 동안 방치되었다. 이 돌은 최상급 스타투아리오가 아닌 ''비안코 오르디나리오'' 등급이었다.[15] 대리석은 소가 끄는 수레로 티레니아 해까지 운반된 다음, 소가 끄는 바지선에 실려 아르노 강을 거슬러 피렌체로 옮겨졌다.[30][34] 1500년 대성당 재고 목록에는 이 돌이 "대략 윤곽이 그려진 채로 엎드린 상태로 방치된 '다비드'라고 불리는 대리석상"으로 기록되었다. 이듬해 건설국은 이 거대한 대리석을 완성할 예술가를 찾기로 결정하고, 여러 예술가를 검토한 끝에 26세의 젊은 미켈란젤로에게 이 작업을 맡기기로 했다. 1501년 8월 16일, 미켈란젤로는 공식적으로 계약을 체결하고 9월 13일부터 조각 작업을 시작했다.[40]
미켈란젤로는 하나의 돌덩이가 예술 작품의 모든 가능성을 이미 내포하고 있으며, 예술가의 역할은 그 안에 숨겨진 이상적인 형태를 해방시키는 것이라고 믿었다.[33] 이는 그의 신플라톤주의적 신념, 즉 육체와 정신이 분리되어 있지만 조화롭게 작용하며 신과의 일치를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과 연결된다.[31][32] 실제 조각에 들어가기 전, 그는 스케치, 그림, 작은 테라코타 또는 밀랍 모델 제작 등 긴 준비 과정을 거쳤다.[30]
조르조 바사리에 따르면, 미켈란젤로는 가장 튀어나온 부분부터 조각하고 점차 안쪽으로 파고드는 방식으로 작업했다.[30] 그는 호기심 어린 시선을 피해 작업장 주위에 칸막이를 치고 비밀리에 작업을 진행했다. 바사리는 피렌체 시장이 시찰 왔을 때, 미켈란젤로가 작업대 위에서 망치 등만 두드리고 손에 쥔 대리석 가루를 뿌려 작업하는 척하며 시장을 속였다는 일화를 전하기도 했다.
작업을 위해 두오모의 오페라이는 대리석 덩어리를 수직으로 세웠고, 미켈란젤로는 모든 부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비계를 설치했다. 그는 직접 만든[15] 강철 조각칼을 사용했는데, 먼저 무겁고 뾰족한 철제 도구인 ''수비아''로 돌의 주요 부분을 거칠게 깎아낸 뒤, 두 개의 이빨이 달린 짧은 칼날인 ''칼카뉴올로''를 사용했다.[25] 이후 톱니 모양의 발톱 조각칼인 ''그라디나''를 사용하면서 대리석에서 점차 기본적인 형태가 드러나기 시작했다.[35][36] 그는 다비드의 머리카락과 눈동자를 조각할 때는 고대 조각가들처럼 활로 작동하는 드릴인 ''트라파노''를 사용했다.[37][38] 미켈란젤로는 평평한 조각칼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고, 주로 톱니 모양의 조각칼로 작품을 마무리하여 특유의 ''논 피니토''(미완성 기법) 효과를 내기도 했다. 2003년 복원 과정에서 이탈리아 연구진은 ''수비아'', 날카롭게 다듬은 ''수비아 다 타글리오'', 약간 평평한 ''웅히에토''(손톱), ''그라디나'', 더 작은 이빨 조각칼인 ''덴테 디 카네''(개 이빨)의 자국을 확인했지만, 평평한 조각칼 사용 증거는 찾지 못했다.[35]
미켈란젤로가 본격적인 작업에 앞서 1501년 9월 9일, 그는 "조각칼로 한두 번의 타격(uno vel duo ictibuslat)으로 가슴에 있던 특정 매듭(quoddam nodumlat)을 제거했다"고 기록되어 있다.[40] 이 매듭은 아고스티노 디 두치오가 남긴 것으로, 그가 조각상을 옷 입은 인물로 만들려 했다는 추측에 따라 옷 주름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미술사학자 어빙 라빈은 이 매듭이 아고스티노가 모델에서 대리석으로 치수를 옮기는 기계적 작업을 위한 고정 기준점, 즉 일종의 손잡이였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39] 라빈은 아고스티노의 작업 중단이 이러한 포인팅 시스템의 오류 때문일 수 있다고 추측하기도 했다.[40]

1504년 1월 25일, 조각상이 완성 단계에 이르자 피렌체 당국은 높이 5.17m[41], 무게 약 8.5톤[42]에 달하는 이 거대한 조각상을 원래 계획대로 대성당 지붕 위에 올리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했다. 그들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산드로 보티첼리를 포함한 30명의 피렌체 시민(주로 예술가)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소집하여 다비드상을 위한 적절한 설치 장소를 결정하도록 했다.[43][44] 위원회에서는 9개의 다른 장소가 논의되었으나, 주로 두 곳을 두고 의견이 갈렸다.[43] 줄리아노 다 상갈로가 이끌고 레오나르도와 피에로 디 코시모 등이 지지한 그룹은 대리석의 결함을 이유로 조각상을 피아차 델라 시뇨리아에 있는 란치 로지아의 지붕 아래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그룹은 시청사(팔라초 베키오) 입구에 세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한편 보티첼리와 코시모 로셀리 등은 원래 계획대로 대성당 앞에 두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45][46]
결국 1504년 6월, 다비드상은 팔라초 베키오 입구 옆에 설치하기로 결정되었다. 이 자리는 원래 영웅적인 저항을 상징하는 도나텔로의 청동 조각 유딧과 홀로페르네스가 있던 곳이었다.[47][48][49] 조각상을 대성당 작업장에서 피아차 델라 시뇨리아까지 약 800m 옮기는 데는 4일이 걸렸다. 조각상은 나무틀에 매달린 채, 기름칠을 한 14개의 통나무 위에서 40명 이상의 인부들이 굴려 운반했다.[50] 그해 여름, 다비드가 든 투석기와 나무 그루터기 모양의 받침대는 금으로 도금되었고, 허리에는 금색 허리띠 장식이 추가되었다.[51]
2. 3. 설치
1504년 조각상이 완성될 무렵, 피렌체 당국은 원래 계획했던 대로 피렌체 대성당 지붕 위에 거대한 조각상을 올리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에 레오나르도 다 빈치, 산드로 보티첼리를 포함한 피렌체의 저명한 시민 30명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소집되어 다비드상을 설치할 가장 적절한 장소를 논의했다. 위원회 내에서는 시뇨리아 광장의 로자 데이 란치 지붕 아래와 당시 시청사였던 베키오 궁전(팔라초 델라 시뇨리아) 입구 두 곳을 두고 의견이 나뉘었다.최종적으로 위원회는 다비드상을 베키오 궁전 입구에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이 자리는 원래 도나텔로가 제작한 청동상 '유딧과 홀로페르네스'가 있던 곳이었다. '유딧과 홀로페르네스' 역시 폭군에 대한 영웅적인 저항과 해방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었지만, 본래 메디치가를 찬양하기 위해 만들어진 작품이었다. 따라서 이 작품을 옮기고 다비드상을 설치한 시 당국의 결정에는 반(反)메디치적인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었다고 해석된다. 다비드상은 이후 주변의 강력한 적대 세력에 둘러싸인 도시 국가 피렌체 공화국의 저항 정신과 자유를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러한 상징성 때문에 다비드상은 정치적 격변기에 수난을 겪기도 했다. 1512년 메디치가가 피렌체로 복귀했을 때는 다비드의 목이 잘린 모습의 풍자 그림이 유행했으며, 1527년 로마 약탈을 계기로 다시 한번 반메디치 봉기가 일어났을 때에는 시위대가 던진 의자에 맞아 조각상의 왼팔이 세 조각으로 부러지는 등 큰 손상을 입었다. 이때 부서진 왼팔 파편은 조르조 바사리가 주워서 보관했다가 나중에 복원했다고 전해진다.
2. 4. 이후
1512년 메디치가가 복권했을 때는 홀로페르네스 대신 다비드상의 목이 잘린 풍자 그림이 유행했고, 1527년 로마 약탈을 계기로 일어난 반메디치 혁명 때에는 시위대에 의해 다비드상이 공격받아 왼팔이 부러지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이때 부서진 왼팔 파편은 조르조 바사리가 주워서 보관했다가 나중에 수리하는 데 사용되었다.1800년대 중반, 다비드상의 왼쪽 다리에서 작은 균열이 발견되었다. 이는 거대한 조각상이 놓인 땅이 고르지 않게 내려앉으면서 발생한 문제일 수 있다. 이러한 손상과 함께 오랜 시간 야외에 노출되어 풍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1873년 다비드상은 원래 위치였던 시뇨리아 광장에서 아카데미아 미술관 내부로 옮겨져 오늘날까지 전시되고 있으며 많은 방문객을 끌어들였다. 다비드상이 있던 베키오 궁전 앞 원래 자리에는 1910년에 복제품이 대신 설치되었다.
1991년, 경찰이 미쳤다고 묘사한 예술가 피에로 칸나타(Piero Cannata)는 재킷 아래에 숨겨둔 망치로 동상을 공격했다. 그는 나중에 16세기 베네치아 화가의 모델이 그에게 그렇게 하라고 명령했다고 말했다. 칸나타는 왼발 발가락을 다치는 과정에서 제지당했다. 현장 조사를 통해 얻은 대리석 파편을 감정한 결과, 미켈란젤로가 사용한 대리석은 카라라의 판티스크리티(Fantiscritti) 채석장에서 얻은 것임이 밝혀졌다.[116] 이 대리석은 미켈란젤로가 조각하기 40년 전에 채굴되었으며, 대리석 자체의 문제는 열화를 앞당기는 원인이 되는 미세한 구멍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완성 500주년을 앞둔 2003년에는 조각상의 얼룩이 눈에 띄게 되어 1843년 이후 160년 만에 대대적인 청소 및 복원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복원 방식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아카데미아 미술관장 프랑카 파레티는 500년 동안의 얼룩을 철저히 제거하려면 물로 씻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의뢰를 받은 복원 전문가 아녜세 파론키는 물로 씻으면 대리석이 손상된다고 반박했다. 관장과 대립한 파론키가 의뢰를 거절하고 사임하는 상황까지 이르렀지만, 최종적으로는 표면에 붙인 와시(和紙)에 수분을 공급하여 얼룩을 흡수시킨 후 떼어내는 방법으로 복원이 무사히 끝났다.[116]
2010년 11월 12일에는 유리 섬유로 제작된 다비드상 복제품이 단 하루 동안 피렌체 대성당의 지붕 위에 설치되는 이벤트가 열렸다. 이 설치는 작품을 의뢰한 오페라 델 두오모(Operai del Duomo)가 원래 예상했던 대로 동상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같은 해, 역사적 문서에 대한 법적 검토를 기반으로 피렌체시 당국이 시립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는 이탈리아 문화부와 반대하여 동상의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다비드의 소유권에 대한 분쟁이 발생했다.
3. 해석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은 이전 르네상스 시대의 작품들과는 다른 해석을 보여준다. 도나텔로나 베로키오가 골리앗을 물리친 후의 승리한 영웅을 묘사한 것과 달리,[66] 미켈란젤로는 골리앗과의 싸움 직전, 상대를 응시하며 긴장감과 결의에 찬 순간을 포착했다.[68] 찌푸린 눈썹, 긴장된 목, 핏줄이 드러난 오른손,[69] 그리고 어깨에 걸친 새총을 잡은 손[70][21] 등은 임박한 전투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달한다.
이 조각상은 고전적인 콘트라포스토 자세를 취하고 있다. 무게 중심을 오른발에 두고 왼발을 살짝 앞으로 내민 이 자세는[71] 인물에게 잠재된 에너지를 부여하며, 고대 그리스 조각의 영웅적 남성 나체 전통을 르네상스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엉덩이와 어깨의 각도를 달리하여 몸통에 자연스러운 S자 곡선을 만들고, 팔의 대조적인 위치(왼팔은 들고 오른팔은 내림)로[72] 자세의 역동성을 강조한다.[55] 미켈란젤로는 인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이 작품을 만들었으며, 돌덩이 안에 이미 존재하는 이상적인 형태를 끌어낸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다비드상은 르네상스 조각의 걸작이자 힘과 젊은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거대한 크기(대리석 원석 높이 517cm)는 동시대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바사리는 이를 "미켈란젤로가 죽은 자를 일으켜 세운 기적"이라 극찬하며 고대와 현대를 통틀어 최고의 조각상이라고 평가했다.[73][74]
다만, 신체 각 부분의 비율은 해부학적 정확성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머리와 상반신, 특히 오른손이 하반신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크게 표현되었는데,[75] 이는 조각상이 원래 피렌체 대성당의 높은 곳에 설치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아래에서 올려다볼 때 균형 잡힌 모습으로 보이도록 의도적으로 비례를 조정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아카데미아 미술관 중앙 홀과 같은 눈높이 전시는 미켈란젤로의 본래 의도와는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반면, 생식기의 크기가 작은 것은 당시 르네상스 예술의 일반적인 관행과 일치한다.
다비드상의 음경에 포피가 묘사된 점은 유대교의 할례 관습과 어긋나 논쟁거리가 되기도 했다. 역사적 인물인 다윗 왕은 당연히 할례를 받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켈란젤로가 고대 그리스의 미적 이상을 따르기 위해 의도적으로 포피를 남겼다는 해석과,[78][79] 혹은 르네상스 시대의 다른 종교화(예: 그리스도 아기 묘사)에서도 종종 할례 묘사를 생략했던 관례를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80] 일부에서는 이 조각상이 성서의 다윗이 아니라 다른 인물(모델)을 묘사한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다비드는 피렌체에서 오랫동안 정치적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81] 도나텔로의 청동 다윗상이 메디치 가문 추방 후 공화정의 상징으로 베키오 궁전에 세워졌던 것처럼,[82][6]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 역시 완성 후 베키오 궁전 입구 앞에 설치되면서(1504년~1873년) 피렌체 공화국의 자유와 독립을 상징하게 되었다. 사울 왕의 갑옷을 거부하고 자신의 무기로 거인 골리앗에 맞서는 다윗의 모습은 외세의 위협에 맞서 스스로를 지키려는 피렌체 시민 정신과 연결되었다.[66][84] 이러한 정치적 함의 때문에 조각상은 설치 초기부터 반대 세력의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 1504년 설치 직후 돌팔매질을 당했고, 1527년에는 메디치 가문에 반대하는 폭동 중에 왼팔이 파손되는 수난을 겪었다.[83]
피에타와 더불어 미켈란젤로의 대표작으로 꼽히며, 르네상스 예술 전체를 통틀어 가장 중요하고 유명한 작품 중 하나로 인정받는다.
4. 정치적 함의
다비드는 피렌체에서 오랫동안 정치적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며, 성경 속 영웅 다윗의 이미지는 이미 그곳에서 정치적 함의를 지니고 있었다.[81]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 제작 위촉은 메디치 가문이 추방되고 피렌체 공화국이 수립된 결정적인 시기에 이루어졌다.[5][6] 당시 피렌체 공화국은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계자들과 그 지지자들로부터 끊임없는 위협을 받고 있었으며, 이러한 위협에 맞서 다비드상 프로젝트가 재개된 것이다.[6]
이전에도 코시모 데 메디치를 위해 제작된 도나텔로의 청동 다비드상(약 1440년경)이 1494년 메디치 가문 추방 이후 시뇨리아에 의해 베키오 궁전 안뜰로 옮겨져 공화정부의 상징으로 사용된 바 있다.[81]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 역시 원래 피렌체 대성당 높은 곳에 설치될 예정이었으나, 당대 저명한 예술가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조각상의 정치적 의미와 상징성을 고려하여[46] 피렌체의 정치적 중심지인 베키오 궁전 앞에 설치하기로 결정했다.[82][6] 이는 다비드상이 단순한 종교적 인물을 넘어 피렌체 공화국의 수호자이자 정치적 상징으로 받아들여졌음을 보여준다.
마키아벨리는 다비드를 조국( patria|파토리아la )의 수호자로 묘사하는 오랜 피렌체 전통을 언급하며, 다윗이 사울 왕의 갑옷을 거절하고 자신의 무기(새총)로 골리앗과 맞선 것처럼, 피렌체 역시 외부의 도움 없이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시민 병사[66]와 도시의 자립 능력을 다비드상을 통해 상징화했다고 해석했다.[84]
이러한 강한 정치적 함의 때문에 다비드상은 초기부터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 설치된 첫 해에는 시위대가 던진 돌에 맞았고, 1527년에는 메디치 가문에 반대하는 폭동 중에 왼팔이 세 조각으로 부러지는 수난을 겪었다. 조르조 바사리는 당시 어린 자신과 친구 프란체스코 살비아티가 혼란 속에서 부서진 조각들을 수습하여 보관했다고 기록했다.[83]
한편, 도시의 주요 공공장소에 세워진 다비드상의 나체 표현 역시 단순한 예술적 재현을 넘어 정치적 의미를 지닌다는 해석도 있다. 이는 고대 조각의 영향을 받은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피렌체라는 정치 공동체( body politic|보디 폴리틱영어 )의 힘과 이상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 당시 피렌체 시민들에게 강한 공감을 불러일으켰을 것이다.[89]
5. 받침대

캐슬린 와일-개리스 브란트는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견해를 따라, 르네상스 조각에서 받침대가 작품의 기념비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했다.[90] 브란트는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 자체의 업적에 가려 받침대가 문헌에서 간과되고 사진에서도 잘 보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며, 이는 대부분의 르네상스 조각상 받침대가 겪은 운명이라고 설명했다.[91] 미켈란젤로가 활동하던 초기에는 조각가들이 받침대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다. 당시에는 독립적으로 세워지는 조각 자체가 드물었고, 주로 기존의 기둥이나 새로 만든 기둥 위에 작품을 놓았다. 조각상 받침대를 뜻하는 이탈리아어 단어인 ''Imbasamento''와 같은 받침대는 보통 건축 장식을 전문으로 하는 조각가(''scarpellini'')나 다른 조각가들이 만들었다.[91]
1504년 6월 11일, 다비드상을 시뇨리아 궁전으로 옮기는 작업을 책임졌던 건축가 시모네 델 폴라욜로와 안토니오 다 상갈로 장로는 피렌체 대성당의 운영위원회(''Operai'')로부터 "거인의 발 아래와 주위에"(''subtus et circum circa pedes gigantis'') 대리석 받침대를 만들라는 지시를 받았다. 다비드상이 이미 제자리에 놓인 후에 받침대 제작 지시가 내려왔기 때문에, 이 받침대는 조각상의 무게를 직접 지탱하는 단단한 돌덩이라기보다는 조각상의 하단부를 감싸는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받침대 제작과 설치는 건축가들이 담당했지만, 브란트는 이것이 미켈란젤로의 구상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91]
브란트에 따르면, 다비드상의 받침대는 조각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낸다. 이 받침대는 르네상스 시대에 거대한 조각상을 지지하기 위해 고대 건축의 주좌 형태를 사용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례 중 하나이다. 받침대를 만들 때는 무게 지탱 능력이나 설치의 어려움 같은 실용적인 측면이 고려되었겠지만, 세부적인 크기와 형태는 비교적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받침대는 단순히 교체 가능한 장식 요소가 아니었다. 받침대는 주변 건축 환경의 일부이면서도, 동시에 그 위에 놓인 조각상과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되었다. 이때부터 받침대는 조각 작품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91]
사회사학자 리처드 트렉슬러의 연구를 인용한 알리슨 라이트는 16세기 시뇨리아 광장에 조각상을 설치한 것을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 현대적 독립 조각을 전시하기 위한 최고의 공공 장소"라고 평가하며, 이는 당대 피렌체 사회가 도시 공동체와 개인의 명예를 얼마나 중시했는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한다. 미켈란젤로의 거상을 위해 제작된 받침대는 이러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도 새로운 의미를 지녔는데, 시청인 시뇨리아 궁전 앞 난간의 끝 부분에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도시의 중요한 장소가 갖는 상징적이고 의례적인 기능을 고려할 때, 이 받침대는 공공 장소와 성스러운 공간 모두에서 명예를 드높이고자 하는 당시 피렌체 사회의 의지를 나타내는 것이었다.[90]
6. 보존
19세기 중반부터 다비드상의 물리적 상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미 1746년경 한 차례 청소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1813년에는 조각가 스테파노 리치(Stefano Ricci)가 조각상을 부드럽게 닦고 밀랍 기반의 엔카우스틱[92](encaustic) 코팅을 표면에 발라 보호했다.[93] 1842년, 조각가 로렌초 바르톨리니(Lorenzo Bartolini)는 조각상의 철저한 보존 작업 필요성을 권고하며,[94] 보호를 위해 시뇨리아 광장의 로지아 델라 시뇨리아(Loggia della Signoria)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843년, 조각가 아리스토데모 코스톨리(Aristodemo Costoli)는 50% 염산 용액으로 조각상을 청소했는데, 이 과정에서 기존의 보호 코팅이 제거되고 대리석 표면에 구멍이 생기는 등 이전 400년간의 자연 풍화보다 더 심각한 손상을 입혔다.[92] 또한 1800년대 중반에는 동상 아래 지반이 고르지 않게 내려앉으면서 왼쪽 다리에 작은 균열이 발견되기도 했다.
결국 1873년, 추가적인 손상을 막기 위해 다비드상은 시뇨리아 광장에서 피렌체의 피렌체 아카데미아 미술관으로 옮겨져 현재까지 많은 방문객을 맞이하고 있다. 원래 위치였던 시뇨리아 광장에는 1910년에 복제품이 설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피렌체 아카데미아 미술관에 있던 미켈란젤로의 다른 작품들과 함께 다비드상도 폭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모래에 묻히고 벽돌로 덮어 보존 처리되었다.[95]
1991년에는 피에로 칸나타(Piero Cannata)라는 남성이 재킷 아래 숨겨온 망치로[57] 조각상의 왼발 두 번째 발가락 끝을 내리쳐 파손시키는 사건이 발생했다.[96] 칸나타는 체포되었으며, 당시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으로 인해 떨어져 나간 대리석 조각 샘플을 분광 분석, 동위원소 분석, 암석학 분석 등 과학적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다비드상에 사용된 대리석이 카라라(Carrara) 미젤리아(Miseglia) 계곡의 판티스크리티(Fantiscritti) 채석장에서 채취된 방해석(calcite)으로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97][98] 이 대리석은 미켈란젤로가 조각하기 약 40년 전에 채굴된 것으로, 미세한 구멍이 많아 이전 조각가들이 다루기 어려워했던 재료였다. 시에나 대학교(Università di Siena) 연구진은 이 구멍들이 돌 자체의 광물 구조에 기인하며, 현지에서는 크기에 따라 '타롤리(taròli)' 또는 '타르메(tarme)'라고 불린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구멍들에는 수 세기 동안의 대기 노출과 과거 복원 작업으로 인한 침착물이 쌓여 있기도 하다.[103]
대리석 표면의 열화와 오염으로 인해, 조각상 제작 500주년을 맞은 2004년에는 1843년 이후 처음으로 대규모 청소 및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다.[99] 이탈리아 국립 연구위원회와 오피치오 델레 피에트레 두레(Opificio delle Pietre Dure) 소속 전문가들로 구성된 과학 위원회는 증류수를 적신 찜질팩을 이용한 습식 청소 방법을 결정했다.[100] 그러나 처음 복원가로 선정되었던 아녜세 파론키(Agnese Parronchi)는 습식 방법이 대리석을 손상시킬 수 있다며 부드러운 솔과 전동 지우개를 이용한 건식 청소를 주장했다. 의견 대립 끝에 파론키가 사임하고, 친치아 파르니고니(Cinzia Parnigoni)가 복원 작업을 맡아 진행했다.[101][102] 일부 자료에 따르면 최종적으로는 표면에 일본 종이를 붙여 수분을 공급하고 오염 물질을 흡착시킨 후 떼어내는 방식으로 복원이 이루어졌다고도 한다.[116]
2024년 현재는 두 달에 한 번씩 조각상 주변에 임시 발판을 설치하고, 반나절 동안 부드러운 솔과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먼지와 거미줄을 제거하는 정기적인 청소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104]
7. 복제품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복제된 조각 작품 중 하나이다.[112]
1846년 8월 29일, 토스카나 대공 레오폴드 2세는 클레멘테 파피[92]에게 다비드상의 석고 주형 제작을 의뢰했다. 파피는 1847년 여름부터 작업을 시작했으며,[107] 그가 만든 석고 주형은 이후 모든 다비드상 복제의 원형이 되었다.[108] 파피는 이 주형으로 두 점의 석고 복제품을 만들었는데, 그중 하나는 1857년 레오폴드 2세가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에게 외교적 선물로 보낸 것이다.[107] 빅토리아 여왕은 이 조각상을 새로 개관한 사우스 켄싱턴 박물관(현재의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 기증했다.[107]
1858년 토스카나 주의 명령에 따라 파피는 다비드상 전체의 주형을 다시 제작하여 1866년 8월에 완성했다. 이 주형은 1867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 보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청동 복제품이 주조되어 1875년 미켈란젤로 탄생 400주년을 기념하여 피렌체의 미켈란젤로 광장에 세워졌다.[92]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 있는 석고 복제품에는 분리 가능한 석고 무화과나무 잎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이는 빅토리아 여왕이 처음 조각상의 나체를 보고 충격을 받은 것에 대한 반응으로 만들어졌으며, 왕족이 방문할 때 조각상에 걸었다고 전해진다.[109]
2010년 11월 12일, 다비드상의 섬유유리 복제품이 피렌체 대성당 지붕 아래 북쪽 계단의 모서리에 있는 부벽 위에 일주일 동안 설치되었다.[110] 이 설치는 작품을 의뢰한 오페라 델 두오모(Opera del Duomo, 대성당 운영 위원회)가 원래 구상했던 모습을 재현한 것이다.[111]
다비드상의 복제품은 석고, 모조 대리석, 섬유유리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져 전 세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때로는 해변 리조트나 카지노와 같은 예상치 못한 장소에 설치되어 문화적 분위기를 더하기도 한다.[113] 독특한 장식을 더한 패러디 복제품도 있는데, 예를 들어 1966년 샌프란시스코에서는 가죽 의상을 입은 다비드 복제품이 등장하기도 했다.[114][115]
한때 피렌체 시에서 다윗 왕 통치 3000주년을 기념하여 예루살렘에 복제품을 기증하려 했으나, 나체 조각상에 대한 종교적 반발로 무산되었다. 결국 옷을 입힌 다른 조각상을 보내는 것으로 타협했다.
실물 크기의 복제품은 다음 장소 등에서 볼 수 있다.
| 국가 | 도시/지역 | 장소 | 비고 |
|---|---|---|---|
| 영국 | 런던 |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 석고 복제품 |
| 오스트레일리아 | 서퍼스 파라다이스 | 쇼핑몰 | |
| 미국 | 수폴 (사우스다코타주) | ||
| 미국 | 필라델피아 | 필라델피아 미술관 | |
| 일본 | 미케하라 고원 미술관 | ||
| 일본 | 시가현 | 키보가오카 문화공원 청년의 성 | |
| 인도 | 푸네 | 푸네 대학교 | 영국 식민 통치 이후 남겨진 것 |
참조
[1]
서적
Exploring David: Diagnostic Tests and State of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Giunti Editore
[2]
서적
Michelangelo's David
https://books.google[...]
Harry N. Abrams
[3]
간행물
David (Verrocchio)
[4]
서적
The Machiavellian Moment: Florentine Political Thought and the Atlantic Republic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Michelangelo's David: A Search for Ident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6]
서적
Past-Present: Essays on Historicism in Art from Donatello to Picasso
https://archive.org/[...]
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7]
학술지
A study of Michelangelo's David from an accountability perspective: Antecedents of dialogic accounting in the early Florentine Renaissance
https://doi.org/10.1[...]
2023-02-00
[8]
서적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Private Life of a Masterpie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00-00
[10]
서적
From Marble to Flesh: The Biography of Michelangelo's David
https://books.google[...]
B'Gruppo
[11]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Michelangelo, Selected Scholarship in English: Life and Early Works
Taylor & Francis
[13]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La lettere di Michelangelo Buonarroti
https://books.google[...]
Successori Le Monnier
[15]
학술지
Carrara marble
https://nora.nerc.ac[...]
2018-00-00
[16]
서적
Carteggio inedito d'artisti dei secoli 14., 15., 16. pubblicato ed illustrato con documenti pure inediti dal dott. Giovanni Gaye: 1500-1557. 2
https://books.google[...]
G. Molini
[17]
학술지
Studien zu Michelagniolo Buonarroti und zur Kunst seiner Zeit. III
https://www.jstor.or[...]
1909-00-00
[18]
서적
Il duomo di Firenze: documenti sulla decorazione della chiesa e del campanile tratti dall'archivio dell'opera
https://books.google[...]
B. Cassirer
[19]
간행물
[20]
서적
Michelangelo: Sculptor
https://books.google[...]
Summerfield
[21]
서적
Encountering the Renaissance: Celebrating Gary M. Radke and 50 Years of the Syracuse University Graduate Program in Renaissance Art
WAPACC Organization
[22]
학술지
The David and Sculpture at the Cathedral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0-00
[23]
서적
The World of Michelangelo: 1475–1564
Time-Life Books
[24]
서적
La lettere di Michelangelo Buonarroti
https://books.google[...]
Successori Le Monnier
[25]
서적
Michelangelo: A Life in Six Masterpieces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5-00-00
[26]
서적
Michelangelo: Divine Draftsman and Designer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7]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학술지
Michelangelo in Florence: 'David' in 1503 and 'Hercules' in 1506
http://www.jstor.org[...]
2000-00-00
[29]
서적
Lives of the Artists: Volume 1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30]
서적
Michelangelo's David: A Masterpiece Restored
https://books.google[...]
Giunti Editore
[31]
웹사이트
The Process of Artistic Creation in Terms of the Non-finito
http://www.machinegr[...]
2001-05-07
[32]
학술지
The Michelangelo phenomenon
https://research.gol[...]
2009-12-01
[33]
서적
David's Sling: A History of Democracy in Ten Works of Art
https://books.google[...]
Encounter Books
[34]
서적
Michelangelo's Mountain: The Quest For Perfection in the Marble Quarries of Carrara
https://archive.org/[...]
New York : Free Press
[35]
서적
Michelangelo's Mountain: The Quest For Perfection in the Marble Quarries of Carrara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36]
서적
Elementary Instructions for Students of Sculpture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37]
서적
Vasari on Technique: Being the Introduction to the Three Arts of Design, Architecture, Sculpture and Painting, Prefixed to the Lives of the Most Excellent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https://books.google[...]
J.M. Dent
[38]
서적
Il Gigante: Michelangelo, Florence, and the David 1492–1504
https://books.google[...]
Macmillan
[39]
서적
Sculpture: Processes and Principles
https://books.google[...]
Allen Lane
1977
[40]
학술지
Bozzetti and Modelli Notes on Sculptural Procedure from the Early Renaissance through Bernini
https://publications[...]
Akten des 21. internationalen Kongresses für Kunstgeschichte in Bonn 1964
1967
[41]
웹사이트
We finish scanning the David
http://graphics.stan[...]
1999-03-28
[41]
웹사이트
A 3D computer model of the head of Michelangelo's David
https://accademia.st[...]
[42]
서적
Making and Moving Sculpture in Early Modern Italy
Routledge
[43]
학술지
The Location of Michelangelo's David: The Meeting of January 25, 1504
https://www.jstor.or[...]
1974
[44]
서적
Carteggio inedito d'artisti del sec. XIV, XV, XVI
Florence
[44]
서적
[44]
학술지
[44]
학술지
[44]
서적
[45]
학술지
The Location of Michelangelo's David: The Meeting of January 25, 1504
https://www.jstor.or[...]
1974
[46]
서적
Michelangelo and His World: Sculpture of the Itali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Harry N. Abrams
[47]
서적
Italian High Renaissance and Baroque sculpture
https://archive.org/[...]
New York : Vintage Books
[48]
학술지
Donatello's Bronze David and Judith as Metaphors of Medici Rule in Florence
https://www.tandfonl[...]
2023-07-09
[49]
서적
The Expanding Discourse: Feminism And Art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50]
서적
Art in Renaissance Italy
https://books.google[...]
Laurence King Publishing
[51]
서적
From Marble to Flesh: The Biography of Michelangelo's David
https://books.google[...]
B'Gruppo
[52]
서적
Michelangelo: A Reference Guide to His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3]
서적
The Cults of Raphael and Michelangelo: Artistic Sainthood and Memorials as a Second Life
Taylor & Francis
[54]
학술지
Diagnostic analysis of the lesions and stability of Michelangelo's David
[55]
서적
Michelangelo and His World: Sculpture of the Itali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Harry N. Abrams
[56]
서적
[57]
뉴스
Michelangelo's David Is Damaged
https://query.nytime[...]
2008-05-23
[58]
서적
The Cults of Raphael and Michelangelo: Artistic Sainthood and Memorials as a Second Lif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9]
학술지
Ground Penetrating Radar Survey of the Floor of the Accademia Gallery (Florence, Italy)
https://mdpi-res.com[...]
2021-03-26
[60]
학술지
Modelling the failure mechanisms of Michelangelo's David through small-scale centrifuge experiments
https://www.academia[...]
2015-01
[61]
학술지
Radar detection of pedestrian-induced vibrations on Michelangelo's David
2017-04-10
[62]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학술지
Crack assessment in marble sculptures using ultrasonic measurements: Laboratory tests and application on the statue of David by Michelangelo
https://www.academia[...]
2015-11-01
[64]
뉴스
Who Owns Michelangelo's 'David'?
https://www.nytimes.[...]
2010-09-01
[65]
뉴스
Florence vs Italy: Michelangelo's David at centre of ownership row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London)
2010-09-01
[66]
서적
Michelangelo, Selected Scholarship in English: Life and Early Works
Taylor & Francis
[67]
학술지
The Sources of the Young David by Andrea del Castagno
https://www.jstor.or[...]
1985
[68]
서적
Michelangelo
https://books.google[...]
Routledge
[69]
서적
Art of Renaissance Florence, 1400-1600
https://archive.org/[...]
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0]
서적
Italy Through the Stereoscope: Journeys in and about Italian Cities
https://books.google[...]
Underwood & Underwood
[71]
서적
Michelangelo: The Artist, the Man and his Tim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72]
학술지
Bellotto's Blunder and Michelangelo's David
https://www.academia[...]
2016-03-01
[73]
서적
The Beholder: The Experience of Art in Early Modern Europe
Routledge
[74]
서적
Le vite de' più eccellenti pittori, scultori e architettori nelle redazioni del 1550 e 1568
Florence
1966-01-01
[75]
서적
Michelangelo
https://books.google[...]
Routledge
[76]
서적
Michelangelo's Nose: A Myth and Its Maker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77]
서적
Michelangelo: A Tormented Lif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78]
학술지
Michelangelo and medicine
[79]
간행물
[80]
서적
Michelangelo's Sculpture: Selected Essay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1]
학술지
New Evidence for the Iconography of David in Quattrocento Florence
1995-01-01
[82]
학술지
The Location of Michelangelo's David: The Meeting of January 25, 1504
https://www.jstor.or[...]
1974-01-01
[83]
서적
Giorgio Vasari: Art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84]
학술지
Machiavelli, Michelangelo, and "David"
https://www.jstor.or[...]
2004-01-01
[85]
서적
L'art et les révolutions: Conférences plénières Tirage à part Strasbourg 1990 Congres International de histoire de l'art
Société alsacienne pour le développement de l'histoire de l'art
1990-01-01
[86]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
서적
The Beholder: The Experience of Art in Early Modern Europe
Routledge
[88]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9]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
학술지
'… con uno inbasamento et ornamento alto': The Rhetoric of the Pedestal c. 1430-1550
https://discovery.uc[...]
2011-02-01
[91]
학술지
On Pedestals: Michelangelo's David, Bandinelli's Hercules and Cacus and the Sculpture of the Piazza della Signoria
https://journals.ub.[...]
1983-01-01
[92]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3]
서적
Michelangelo's Mountain: The Quest For Perfection in the Marble Quarries of Carrara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94]
서적
Michelangelo's David: From Symbol to Myth
https://books.google[...]
Harry N. Abrams
[95]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6]
서적
Michelangelo's David: A Masterpiece Restored
https://books.google[...]
Giunti Editore
[97]
학술지
The marble of the David of Michelangelo: A multi-method analysis of provenance
https://www.academia[...]
2005-09-01
[98]
서적
Exploring David: Diagnostic Tests and State of Conservation
Giunti Editore
2004-01-01
[99]
뉴스
Michelangelo's 'David' Gets Spruced Up for His 500th Birthday (Published 2004)
https://www.nytimes.[...]
2004-05-24
[100]
서적
Contemporary Theory of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1]
잡지
Inglorious Restorations Destroying old masterpieces in order to save them
https://archive.harp[...]
2005-08-01
[102]
웹사이트
Michelangelo's 'David' Gets a Bath
https://www.cbsnews.[...]
2004-05-24
[103]
서적
Exploring David: Diagnostic Tests and State of Conservation
Giunti Editore
2004-01-01
[104]
웹사이트
'Dust is everywhere': rare glimpse of how Michelangelo's David is kept clean
https://www.theguard[...]
2024-02-19
[105]
서적
Western European Museums and Visual Persuasion: Art, Edifice, and Social Influ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06]
서적
Michelangelo: A Reference Guide to His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07]
서적
From Marble to Flesh: The Biography of Michelangelo's David
https://books.google[...]
B'Gruppo
[108]
서적
Michelangelo's David: A Masterpiece Restored
Giunti Editore
[109]
웹사이트
The story of Michelangelo's David
https://www.vam.ac.u[...]
2023-10-12
[110]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1]
서적
Michelangelo and the Viewer in His Time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112]
서적
Michelangelo's David: Florentine History and Civic Ident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
학술지
Medical kitsch
2008-03-05
[114]
웹사이트
Thirty Years of Collecting Art that Tells Our Stories
https://www.glbthist[...]
2024-06-02
[115]
웹사이트
Finding Fe-Be's - Rediscovering the history of an iconic bar
https://www.ebar.com[...]
2019-09-25
[116]
웹사이트
Honoring Agnese Parronchi
http://artwatchinter[...]
ArtWatch International
2004-12-09
[117]
뉴스
ミケランジェロの傑作がライフルで武装?! イタリア文化観光相が激怒の理由
https://web.archive.[...]
2014-03-21
[118]
논문
The Location of Michelangelo's David: The Meeting of January 25, 1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