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국굴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국굴기'는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러시아, 미국의 흥망성쇠를 다룬 역사 다큐멘터리이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해양 시대를 열었지만 쇠퇴했고, 네덜란드는 상업과 해운으로 부상했다. 영국은 해양 패권을 장악하고 산업 혁명을 이끌었으며, 프랑스는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를 겪었다. 독일은 통일 후 강대국으로 부상했고,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근대화에 성공했다. 러시아는 개혁과 영토 확장을 통해 강대국이 되었고, 미국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발전시켜 세계 최강국으로 성장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이러한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 - 공화국을 향하여
    《공화국을 향하여》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 중국의 격변기를 배경으로 이홍장, 광서제, 위안스카이, 쑨원 등 정치인들의 갈등과 고뇌를 그린 중국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 - 풍미인간
    《풍미인간》은 음식의 맛, 요리 과정, 인간적인 이야기를 담은 중국의 다큐멘터리 시리즈로, 3개의 시즌이 방영되어 평론가와 시청자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 중국중앙방송 - 중국중앙텔레비전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은 1958년 베이징 텔레비전으로 시작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영 텔레비전 방송국이며, 중국 공산당의 지휘를 받고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며 정치 선전 도구로 활용되면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중국중앙방송 - CGTN 다큐멘터리
    CGTN 다큐멘터리는 중국국제텔레비전의 다큐멘터리 채널로 중국의 시각으로 제작된 다큐멘터리를 전 세계에 방송하며, 2011년 방송을 시작하여 2016년 채널명이 변경되었고, 2021년 영국 정보통신청의 방송 면허 취소로 유럽 내 방송 중단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일부 지역과 인터넷 방송을 통해 시청 가능하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대국굴기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개요
원제大国崛起 (Dà Guó Jué Qǐ 다궈줴치)
다른 이름Da Guo Jue Qi
장르역사 다큐멘터리
언어표준중국어
제작
원작《강대국의 흥망》 (폴 케네디 지음)
작가천진
감독런쉐안
총감독런쉐안
프로듀서류오 밍, 위안 정밍
해설쑨 잔산
음악예샤오강, 중국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제작사CCTV, 중국 텔레비전 미디어 유한공사, 베이징 싼두오탕 영화 광고 유한공사, 베이징 수정돌 디지털 기술 유한공사
방송 채널CCTV-2
방송 국가중화인민공화국
방송 정보
방송 기간중화인민공화국: 2006년 11월 13일 ~ 2006년 11월 24일
대한민국: 2007년 1월 29일 ~ 2007년 2월 10일 (본방송), 2007년 6월 25일 ~ 2007년 7월 10일 (재방송)
홍콩: 2007년 7월 2일 ~ 2007년 9월 17일
방송 횟수12회
회당 방송 시간50분
관련 정보
추가 편성대한민국: 한국교육방송공사
홍콩: TVB Jade

2. 해양 시대: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해양 진출

15세기 이베리아반도포르투갈스페인은 해양 탐험을 통해 아프리카아메리카 대륙으로 진출하며 세계사의 주역으로 떠올랐다.[1] 포르투갈은 항해왕자 엔히크의 주도로 해양 학교를 설립하고,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희망봉을 발견하고, 바스코 다 가마가 인도 항로를 개척했다.[1] 스페인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아메리카 발견을 지원하고, 에르난 코르테스프란시스코 피사로가 각각 아스텍 제국과 잉카 제국을 정복했다.[1]

1494년 토르데실라스 조약을 통해 카보베르데섬 서쪽을 기준으로 세계를 동서로 분할하여, 동쪽은 포르투갈이, 서쪽은 스페인이 차지하기로 합의했다.[1] 그러나 16세기 말부터 두 나라는 봉건 제도의 잔재, 양극화 심화, 상공업 발전 부진 등의 이유로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1]

2. 1. 포르투갈의 해양 진출과 엔히크 왕자

항해왕자 엔히크는 아랍인들의 향료 무역 장악에 대항하기 위해 세계 역사상 최초로 국립 해양학교를 설치하고 항해 기술 등을 연구하도록 했으며, 자주 함대를 파견하였다. 카보 다 로카를 출발한 함대는 아프리카 서해안을 돌아 남쪽으로 내려가 황금, 상아, 호박리스본으로 가져오는 데 성공하였다.[1]

1487년 7월,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지휘하는 3척의 배는 대서양을 따라 남쪽으로 가,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에 도착하였고, 1498년 5월, 바스코 다 가마가 지휘하는 선단이 드디어 인도에 도착하여 서양과 인도 사이의 무역로를 개설하는 데 성공하였다.[1]

2. 2. 스페인의 해양 진출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발견

이베리아 반도의 스페인포르투갈의 해양 진출과 발전, 몰락을 다루었다.[1]

2. 3. 아메리카 대륙 침략과 세계 분할

에르난 코르테스가 이끄는 군대는 베라쿠루스를 출발하여 멕시코로 진격하였다. 그들은 멕시코 일대를 통치하던 강력한 아스텍 제국 영역을 침략하였다. 아스텍 제국의 군주 몬테수마는 이들을 아스텍 문명의 전설에 나오는 깃털 달린 뱀 케트살코아틀로 여겨 환대했으나, 내부의 정치적 위기를 이용한 코르테스의 계략에 맞서 아스텍인들은 1521년 8월까지 저항하다가 코르테스의 군대에게 정복당했다.[1]

1532년, 프란시스코 피사로는 잉카 제국을 침략하여 최후의 잉카 제국 황제 아타왈파를 살해하고, 잉카인들의 저항을 간단하게 누른 뒤 잉카 제국을 정복하였다.[1]

1494년, 카보베르데섬 서쪽 서경 43도 37분 지점을 남북으로 경계선을 긋고, 경계선 동쪽은 모두 포르투갈이, 서쪽의 아메리카 지역은 스페인이 차지하기로 하는 토르데실라스 조약이 체결되어,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세계를 최초로 분할하게 되었다.[1]

2. 4.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몰락

16세기 말부터 스페인포르투갈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봉건 제도의 잔재를 제대로 없애지 못해 일부 계층에만 부가 집중되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결국 상공업이 몰락하고 백성들은 가난해져 제국의 경제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제국의 통치자는 무리한 전쟁에 자주 개입하여 국력을 낭비했으며, 종교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지 못해 국민 간의 결속이 약화되었다.[1]

더욱 중요한 문제는 그 무렵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이 상공업을 발전시켜 성장하는 동안 스페인포르투갈은 상공업 진흥에 힘쓰지 않았다는 점이었다.[1]

3. 소국대업(小國大業): 네덜란드의 부상

17세기, 인구 150만 명의 네덜란드는 세계 경제와 해운의 중심으로 성장하였다.[1] 네덜란드는 농업과 청어 가공, 플류트선 건조를 통한 해상 무역과 조선업, 연합 동인도 회사 설립과 암스테르담 증권거래소 및 암스테르담 은행 설립을 통한 금융 시스템 발전을 통해 부를 축적했다.

방송 제작진은 네덜란드인들이 환경에 맞는 대책, 정확한 상황 판단, 도전 정신, 효율적인 자원 관리, 경제적 이윤 극대화를 통해 발전을 이룩했다고 평가한다.

3. 1. 청어 가공업과 플류트 선박 건조

네덜란드는 처음에 농업과 청어 가공업으로 큰 부를 축적했다.[1] 이후 영국과의 무역 경쟁 과정에서, 플류트(Fluitschip|플륫쉽nl)선을 건조하여 해상 운송의 혁신을 이룸과 동시에 해상 무역과 조선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1]

3. 2. 연합 동인도 회사와 금융 시스템 발전

1602년 네덜란드는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인 연합 동인도 회사를 설립하고, 1609년 암스테르담 증권거래소와 암스테르담 은행을 설립하여 신용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경제와 상업 체계는 네덜란드의 부를 증대시키는 열쇠였고, 오늘날까지도 경제의 핵심 축을 이루는 존재이다. 17세기 중반, 네덜란드는 세계 무역의 절반을 점유하였다.

4. 현대화의 선봉: 영국의 부상 (1부)

영국은 스페인네덜란드를 제치고 해양 강국으로 부상하며 현대화를 선도하는 국가로 발전했다.

1558년 엘리자베스 1세 즉위 후 프랜시스 드레이크 등 해적에게 사략선 면허를 지급, 이들은 스페인의 약점을 공략해 자산을 영국으로 유입시켰다. 1588년 영국 해군은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격파하며 해양 강국으로 급부상했다.

1625년 찰스 1세 즉위 후, 의회는 대헌장에 명시된 권리를 요구했으나 찰스 1세는 의회를 해산했다. 1642년 청교도 혁명이 발발, 올리버 크롬웰이 이끄는 의회군이 승리하고 1649년 찰스 1세는 처형되었다.

찰스 2세의 왕정복고 이후 명예혁명을 통해 윌리엄 3세가 즉위하며 현재까지 이어지는 정치 체제가 안정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안정은 영국의 경제 발전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4. 1. 엘리자베스 1세와 해적 활동 지원

1558년, 엘리자베스 1세가 왕위에 오르고 프랜시스 드레이크 등 해적에게 사략선 면허를 지급하였고, 영국의 해적들은 스페인의 약점을 파고들어 자산을 영국으로 유입하였다. 1588년, 영국과 스페인 간의 전쟁이 터지고, 이때 영국 해군은 스페인의 자랑이었던 무적함대(Armada Invencible|아르마다 인벤시블레es)를 격파하여 일약 해양 대국으로 급부상하였다.[1]

4. 2. 무적함대 격파와 해양 패권 장악

1588년, 영국 해군은 스페인무적함대(Armada Invenciblees)를 격파하여 해양 대국으로 급부상하였다.[1] 이 승리로 영국은 해양 패권을 장악하고 세계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4. 3. 청교도 혁명과 명예 혁명

1625년 찰스 1세가 왕위에 오른 뒤, 영국 국회는 대헌장에 명시된 의회의 권리에 따라 정치를 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 이듬해 찰스 1세는 의회를 해산하였다. 1642년 찰스 1세는 자신을 따르는 왕당파의 이름으로 의회에 선전포고하여 청교도 혁명의 막이 올랐고, 혁명 전쟁 끝에 올리버 크롬웰이 지휘하는 의회의 승리로 끝났다. 의회는 찰스 1세의 처형을 결정하였고, 1649년 1월 30일 찰스 1세는 처형당하였다.[3]

올리버 크롬웰의 정치가 끝난 이후 왕정복고를 선언하며 찰스 2세가 즉위하였으나, 잘못된 정치를 수행하여 월리엄 3세를 왕위로 옹립한 명예혁명이 있은 후, 영국의 정치 체제는 큰 변화 없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3]

제작진은 영국이 이러한 정치적 안정 덕택에 경제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고 보고 있다.[3]

5. 산업화의 선구자: 영국 (2부)

싱가포르의 전 총리 리콴유는 영국 편을 보면 영국을 위대하게 만든 것이 무엇인지 그들의 국민에게 말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갔는지 알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주제는 왕권신수설을 폐지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러닝미드에서 왕을 끌어내린 남작들에 의해 도전받은 영국은 마그나 카르타를 갖게 되었고, 갑자기 "신성한 권리"는 의회에 기반하게 되었으며, 남작들은 의회에 있었다. 그것은 남작들이 성장할 공간을 제공했고, 결국 중산층이 등장했다. 왕이 너무 오만해지자 찰스 1세는 참수되었다.[3]

6. 열정의 세월: 프랑스

프랑스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를 거치며 격동의 세월을 보냈다.[3]

7. 제국의 역사: 독일



독일은 통일 이후 강력한 제국으로 성장하며 유럽의 주요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이 과정은 다큐멘터리 "대국굴기" 제6편에서 "제국의 역사: 독일"이라는 제목으로 다루어졌다.[3]

8. 백년유신(百年維新): 일본의 메이지 유신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고, 아시아의 강국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일본의 근대화 과정은 군국주의 팽창과 식민지배로 이어져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에 큰 피해를 입혔다.[3]

9. 국가 강화를 위한 길 찾기: 차르 러시아 (1부)

〈국가 강화를 위한 길 찾기: 차르 러시아 (寻道图强:沙俄중국어)〉 편에서는 표트르 대제와 예카테리나 2세의 개혁을 통해 러시아가 근대화를 추진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다룬다.[3]

10. 불안정한 상황과 새로운 길: 소련 (2부)

风云新途|펑윈신투중국어 : 소련

러시아 혁명 이후 탄생한 소련은 사회주의 체제를 구축하고 세계 강국으로 부상했다. 이 시리즈는 공산주의 국가에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도자가 국민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면 국민이 지도자를 심판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국민과 지도자 사이의 신뢰가 국가 성장의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한다.

11. 새로운 국가와 새로운 꿈: 미국 (1부)

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 시리즈를 언급하며, 미국이 어떻게 강대국이 되었는지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영국 편을 언급하며, 왕권신수설 폐지와 마그나 카르타를 통해 의회 권력이 강화되고 중산층이 성장하는 과정을 다룬다고 설명했다.[3] 또한 이 시리즈는 공산주의 국가에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도자가 국민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언급했다.[3]

12. 위기와 뉴딜: 미국 (2부)

1933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은 대공황의 위기를 겪었지만,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을 통해 경제를 회복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최강국으로 부상했다.[3]

13. 대도의 생각: 결론

大道行思|대도의 생각중국어는 강대국들의 흥망성쇠를 통해 역사적 교훈을 얻고,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3]

싱가포르의 전 총리 리콴유는 인터뷰에서 이 시리즈가 유럽 국가, 러시아, 일본이 어떻게 강대국이 되었는지 중국인들에게 알려주는 프로그램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영국 편에서는 왕권신수설 폐지와 마그나 카르타를 통해 찰스 1세가 참수되고, 국민과 지도자 사이의 신뢰가 커졌기 때문에 국가가 성장했다는 내용을 다룬다고 설명했다.[3]

이 시리즈는 중국 공산당에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도자가 국민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면 어떤 결과가 초래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중국의 점진적인 개방과 평화로운 부상을 지지하는 교훈을 담고 있으며, 미국과 세계에 중국이 규칙을 따를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3]

뉴욕 타임스》는 이 영화의 방영이 중국이 더 이상 "위선적인 겸손함"을 보이지 않고, 이제 중국의 부상 전망에 대해 사람들에게 논의를 장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논평했다.

참조

[1] 뉴스 China, shy giant, shows signs of shedding its false modesty.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6-12-09
[2] 뉴스 TV docu stimulates more open attitude to history, China, the world.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6-11-26
[3] 웹사이트 Full Transcript: Tom Plate and Jeffrey Cole interview Lee Kuan Yew http://www.asiamedia[...] Asia Media 2007-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