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불교천태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불교천태종은 594년 중국의 천태지자대사 지의가 창시한 천태종에서 유래한 불교 종단이다. 법화경을 근본 교의로 삼고 선정과 지혜의 조화를 종의로 하며, 의천에 의해 고려 시대에 해동천태종으로 성립되었다. 근대에는 상월원각대조사에 의해 중창되었으며, 지의, 의천, 상월원각대조사를 종조로 칭한다. 2015년 기준 신도수는 약 167만 명이며, 소의경전은 묘법연화경이다. 총본산은 충청북도 단양군에 있는 구인사이며, 전국 및 해외에 사찰을 두고 있다. 1991년 설립된 재단법인을 통해 포교, 교육, 사회복지사업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태종 - 아사리
    아사리는 윤회, 깨달음, 해탈, 열반, 삼보, 사성제, 팔정도, 중도 등 불교의 기본 사상을 의미하며, 삼십칠도품, 사무량심, 삼학 등의 수행과 초기 불교, 상좌부 불교, 대승 불교, 선불교 등 다양한 종파 및 불교 건축, 미술, 사찰음식 등의 문화를 포괄하고 사회 참여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 천태종 - 묘호인
    묘법원은 교토에 위치한 천태종 사찰로, 고시라카와 법황의 신임을 받아 융성했으며, 산주산겐도를 관할하고 국보인 고리와 중요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으며, 막말에는 존왕양이파 공경들의 회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 대한민국의 불교 종단 - 대한불교원효종
  • 대한민국의 불교 종단 - 대한불교보문종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대한불교천태종
개요
구인사 대웅보전
구인사 대웅보전
종파천태종
창종1966년
창종주상월원각대조사
총본산구인사
주창 사상법화경에 의한 교관겸수(敎觀兼修)
신도수200만 명
웹사이트대한불교천태종 공식 홈페이지
역사
기원중국 천태종
한국 전래고려 시대
중흥상월원각대조사에 의해 1966년 중흥
특징
교의법화경 사상
수행 방법교관겸수(敎觀兼修) (이론 학습과 수행 병행)
염불 강조나무아미타불 염불 수행
생활 불교현실 생활에서의 실천 강조
주요 사찰
총본산구인사
기타 사찰삼룡사
서울 관문사
부산 삼광사
영주 성락사
대구 대성사
제주 문강사
울산 황룡사
인천 황룡사
청주 명정사
창원 해명사
강릉 삼개사
관련 인물
창종주상월원각대조사
주요 인물도정
춘광
금강

2. 역사

대한불교천태종은 594년 중국의 천태지자대사 지의가 창시한 천태종에서 유래하였다.[5] 신라천태종고려 때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해동천태종으로 성립되었다.[5] 이후 조계종과의 통합과 분리를 거듭하다 조선시대에 선종으로 통합되었다.[5] 근대 대한불교천태종은 박상월이 세웠으며, 지의, 의천, 박상월을 종조(宗祖)로 칭한다.[5]

2. 1. 한국 천태종의 기원과 발전

594년 중국의 천태지자대사 지의천태종을 창시하였다.[5]

법화경을 근본 가르침으로 삼고, 선정(禪定)과 지혜를 함께 닦는 것을 종의(宗義)로 하는 신라천태종고려 때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해동천태종'''으로 성립되었다.[5] 이후 구산선문은 조계종(曹溪宗)으로 통합되면서 5교 9산이 5교 양종(조계종 '''·''' 천태종)으로 불리게 되었다.[5] 천태종의 성립으로 조계 9산은 큰 타격을 입어 겨우 종세(宗勢)를 유지했다.[5] 천태종고려 말에 천태법사종(天台法事宗)과 천태소자종(天台疏字宗)으로 나뉘었고 조선 태종 7년(1407년)에 다시 통합되었으며, 세종 6년(1424년)에 조계종 '''·''' 총남종(摠南宗)과 함께 선종(禪宗)으로 통합되고 선교 양종(禪敎兩宗)이란 이름이 나타나게 되었다.[5]

2. 2. 근현대 천태종의 중창

근대 대한불교천태종은 박상월이 세웠다. 대한불교천태종은 지의, 의천, 박상월을 종조(宗祖)로 칭한다.[5]

2015년 현재 대한불교천태종의 종정(宗正)은 김도용 대종사(大宗師)이다. 대한불교천태종의 신도수는 천태종 추산 167만 명이다.

3. 소의경전(所依經典)

대한불교천태종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은 《묘법연화경(법화경)》이다.[7] 소의경전은 각 종단의 종지(宗旨)를 좇아 수행(修行)하는 근본으로 삼는 경전(經典)을 말한다.[7]

4. 3대 지표

대한불교천태종은 대중불교, 생활불교, 애국불교를 3대 지표로 삼고 있다.

4. 1. 대중 불교의 구현(具現)

|크기=왼쪽}}

4. 2. 생활 불교의 지향(志向)

志向중국어은 '뜻이 가는 방향'을 의미한다. 대한불교천태종은 일상생활 속에서 불교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4. 3. 애국 불교의 건립

대한불교천태종은 애국불교, 생활불교, 대중불교를 3대 지표로 삼고 있다.

5. 사찰

대한불교천태종의 총본산은 충청북도 단양군에 있는 구인사이며, 일반적인 불교 사찰과 달리 콘크리트 구조로 건축되었다.

5. 1. 지역별 사찰 현황

대한불교천태종은 국내외 각지에 많은 사찰을 두고 있다. 국내에는 2017년 기준 152개, 국외에는 2019년 기준 3개의 사찰이 있다.[1]

5. 1. 1. 국내

지역사찰 수주요 사찰
서울특별시6개관문사 등
부산광역시5개삼광사 등
인천광역시1개황룡사 등
대구광역시2개대성사 등
대전광역시2개광수사 등
광주광역시1개금광사 등
울산광역시2개정광사 등
경기도19개[1]대광사 등 (지회 1개 포함)
강원도32개[1]삼운사 등 (포교당 2개 포함)
충청북도10개[1]명장사 등
충청남도9개[1]래운사, 만수사 등
경상북도37개[1]황해사 등 (포교당 2개 포함)
경상남도19개[1]원흥사, 삼학사
전라북도, 전라남도5개[1]만월사 등
제주특별자치도2개[1]해운사 등
총계152개[1](2017년 기준)


5. 1. 2. 국외

캐나다 평화사, 덴마크 고광사, 호주 남장사 등 총 3개 사찰이 있다. (2019년 기준)

6. 재단법인

1991년 4월 16일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으로 설립된 재단법인이다. 대한불교천태종은 애국 불교, 생활 불교, 대중 불교를 실현하여 상구보리(上求菩提)[6]·하화중생(下化衆生)[7]을 실천하고, 생활 불법(佛法)을 국민에게 체득시켜 건전하고 숭고한 국민 정신을 창달하여 개인 완성과 불국토 건설을 실현하고자 설립되었다. 사무실은 충북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132-1에 있다.

6. 1. 주요 사업 내용


  • 포교와 전법, 이와 관련된 교육 및 불교 학술 연구를 진행한다.
  • 대한불교천태종 소속 사원과 포교, 수도, 부속 시설 등 각종 재산을 유지 및 관리한다.
  • 양로원과 고아원을 비롯한 사회복지사업을 운영한다.
  • 불경 언역과 각종 불교 서적 출판을 지원한다.
  • 승려를 보호하고 양성한다.
  • 민족 불교문화 발전을 위한 문화 사업을 추진한다.
  • 각종 불교 행사와 홍보 활동을 진행한다.
  • 기타 법인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업을 수행한다.

참조

[1] 서적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2] 웹사이트 Guinsa http://iguide.travel[...]
[3] 웹사이트 충북관광허브사이트 http://www.cbtour.ne[...]
[4] 백과사전 대한불교천태종
[5] 백과사전 고려의 천태종
[6] 문서 불교 용어 정의
[7] 문서 불교 용어 정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