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깨비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깨비불은 세계 각지에서 전해지는 초자연적인 현상으로, 다양한 형태와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온비, 히토다마, 여우불, 무지개불 등이 있으며, 지역에 따라 오사비불, 오보라, 금의 신의 불, 거미불, 지황전불 등 다양한 전설이 존재한다. 또한, 호주의 민 민 불빛, 캐나다의 세인트 루이스 불빛, 노르웨이의 헤스달렌 불빛, 영국의 롱든데일 불빛, 미국의 스푸크라이트, 폴딩 라이트, 마르파 불빛, 브라운 마운틴 불빛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보고된다. 이러한 현상들은 종종 죽은 자의 원혼, 불행의 징조, 또는 특정 장소의 영적인 기운과 연관되어 전해지며, 과학적인 해석과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된다.

2. 세계 각지의 도깨비불

윌오더위스프, 오니비, 히토다마 등 세계 각지에서 도깨비불과 유사한 현상이 목격되며, 특히 음습한 기후의 지역에서 자주 나타난다.[20] 전설 속에서 이러한 불빛은 현세를 떠도는 죽은 자의 영혼, 악마요괴의 장난, 요정의 짓 등으로 여겨지며,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괴불이 나타난 후 사람이 죽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하며, 독일스코틀랜드에서는 괴불이 있는 곳에 보물이 묻혀 있다는 속신도 있다.[20] UFO와 연관 짓기도 한다.[21]

과거에는 원인을 알 수 없었던 괴불 현상 중 일부는 생텔모의 불이나 不知火처럼 방전에 의한 발광 현상이나 대기광학현상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다른 괴불 현상에 대해서는 가연성 가스의 인화, 구전, 유성의 낙하, 횃불 등 단순한 조명이나 인공물의 착각·오인, 사람의 장난 등 다양한 설이 제기되고 있다.[21][22]

2. 1. 오스트레일리아

민 민 불빛은 호주 내륙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현상이다.[1] 이 불빛들은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기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이제는 현대 도시 전설의 일부가 되었다.[1]

2. 2. 캐나다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 세인트 루이스 근처에서는 세인트 루이스 불빛(St. Louis light)이라고 불리는 정체불명의 흰색 빛이 목격되기도 한다.[1]

2. 3. 일본

일본에서는 도깨비불을 '오니비(鬼火)' 또는 '히토다마(人魂)'라고 부르며, 이 외에도 여우불이나 무지개불 등 다양한 종류의 괴불에 대한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 오사비(筬火)

미야자키현노베오카 지방에서 메이지 시대 중반까지 목격담이 전해지던 괴불이다. 비 오는 밤, 노베오카의 미쓰가이케(三角池)라는 연못에 두 개의 불덩이가 나란히 나타났다고 한다. 베틀의 부속품인 오사(おさ)를 빌려준 여자와 빌린 여자 사이에 다툼이 벌어져 두 사람 모두 연못에 빠져 죽었고, 그 원한이 괴불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4] 이 괴불을 보면 불행한 일이 생긴다고도 전해진다.[5]

; 오보라(おぼら)

에히메현오미시마에 전해지는 괴불로, 죽은 사람의 영혼이 불이 된 것이라고 한다.[6] 같은 현 오치군 미야쿠보무라(현재의 이마바리시)에서는 "오보라비"라고 불리며, 바다 위나 묘지에 나타나는 괴불에 대한 전승이 있는데,[7] 이 둘은 동일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8]

; 금의 신의 불(金(かね)の神(かみ)の火(ひ))

에히메현 누와지마에 전해지는 괴불로, 민속학 연구소의 『종합일본민속어휘』에 기록되어 있다. 섣달 그믐날 밤늦게 누와지마의 우지가미(氏神, 사당) 뒤편에 나타나는 등불 같은 불로, 사람이 소리 지르는 듯한 소리를 낸다고 한다. 지역 주민들은 이 불의 출현을 토시토쿠신이 나타난 징조로 여겼다.[9]

; 금불(金火(きんか))

에도 시대의 기담집 『삼주기담』에 등장하는 괴불이다. 조사가도 하치만이나 고마쓰에 나타난다고 하며, 화약심지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한다.[10]

; 거미불(蜘(くも)火(び))

나라현이세키군 마토무쿠무라(사쿠라이시)에 전해지는 괴불이다. 수백 마리의 거미가 한 덩어리의 이 되어 하늘을 날아다니며, 이것에 닿으면 죽는다고 한다.[11]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 타마시마야시마에서는 "거미불"이 거미의 소행이라고 전해진다. 섬의 이나리 신사 숲 위에 붉은 불덩이가 나타나 산과 숲 위를 날아다니다가 사라진다고 한다.[12] 하리마(현재의 효고현)의 괴담집 『서반괴담실기』 중 "사요 춘초암 시휴 이화를 본 일"에서는, 하리마 사요군 사요무라(현재의 사요정)에 괴불이 나타났는데, 사람들은 "거미불이었을까"라고 추측했지만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13]

; 곤고로불(権(ごん)五(ご)郎(ろう)火(び))

니가타현산조시 혼조지 지방에 전해지는 괴불이다. 이소노 곤고로라는 사람이 도박에서 크게 이긴 후 살해당했는데, 그의 원한이 괴불이 된 것이라고 한다. 근처 농가에서는 곤고로불을 비가 오기 전의 징조로 여겼으며, 곤고로불을 본 농민들은 서둘러 벼를 거두었다고 한다.[14]

; 지황전불(地(じ)黄(おう)煎(せん)火(び))

에도 시대의 독본 『에혼 사요시구레』에 등장하는 괴불이다. 오미미즈구치(현재의 시가현고카시)에서 지황전(엿의 일종)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던 사람이 도적에게 살해당하고 돈을 빼앗겼는데, 그의 원혼이 괴불이 되어 비 오는 밤을 떠돌아다녔다고 한다.[15]

; 스우리칸코

아오모리현하치노헤시 오다테시오이리에 전해지는 괴불로, "시오이리 마을의 칸코"라는 뜻이다.[16] 칸코라는 미녀가 구혼을 거절한 남자들에게 아라이다가와에 생매장당한 후, 이 괴불이 날아다니게 되었다. 나중에 그 자리에 이와키 시멘트 공장이 세워질 때 칸코를 위로하는 사당이 세워졌다고 한다.[17]

; 그을린 등불(煤(すす)け提(ちょう)灯(ちん))

니가타현에 전해지는 괴불로, 비 오는 밤 시신을 씻은 물을 버리는 곳에서 불덩이가 튀어나와 둥둥 떠다닌다고 한다.[18]

; 야불(野(の)火(び))

토사국(현재의 고치현) 나가오카군에 전해지는 괴불이다. 산이나 마을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며, 우산 정도 크기의 불덩이가 떠다니다가 갑자기 터져 수십 개의 별과 같은 빛이 지상에서 높이 4, 5척(약 1.2~1.5미터)의 공중에 퍼지고, 때로는 그 범위가 수백 간(약 180미터 이상)에 달한다고 한다. 짚신에 침을 뱉어 부르면 머리 위로 와서 찬란하게 춤춘다고 한다.[19]

; 시리야자키 등대(尻屋埼灯台)

아오모리현시모키타군히가시도오리무라의 시리야자키에 있는 등대이다. 1945년 미군의 공습으로 운용 불능 상태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46년 여름 밤에 빛나는 것이 확인되어 등대장 대리가 "등대의 괴불에 대해"라는 공문서를 등대국에 보고했다. 8월에 임시 복구되면서 수수께끼의 빛은 사라졌다.[37]

2. 4. 노르웨이

헤스달렌 불빛은 노르웨이 헤스달렌 계곡에서 발생하는 미확인 불빛으로, 적어도 193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보고가 있다.

2. 5. 영국

영국 북부 피크 디스트릭트(Peak District) 상공에서 수백 년 동안 목격되어 온 것으로 알려진 롱든데일 불빛(Longdendale lights)이 있다.[1]

2. 6. 미국

미국에서는 미주리주 호넷(Hornet, Missouri)이라는 작은 마을 서쪽에 나타나는 정지된 빛인 스푸크라이트와 미시간주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현상인 폴딩 라이트가 있다. 과학적 조사 결과 두 현상 모두 멀리 떨어진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1]

마르파 불빛은 텍사스주에서 보고된 대기광 현상이다.[1]

브라운 마운틴 불빛은 노스캐롤라이나주 브라운 마운틴 근처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진 유령 불빛이다.[1]

3. 과학적 해석 및 기타 관점

세계 각국에서 윌오더위스프, 오니비, 히토다마 등 도깨비불 현상이 보고되며, 특히 음습한 기후 지역에서 자주 나타난다. 전설에서는 이러한 불을 현세를 떠도는 죽은 자의 영혼, 악마요괴의 짓, 요정의 장난 등으로 여겼으며, 인간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괴불이 나타난 후 사람이 죽었다는 이야기도 여러 나라에 전해진다.[20]

스푸크라이트는 미주리주 호넷이라는 작은 마을 서쪽에서 나타나는 빛이다. 폴딩 라이트는 미시간주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현상이다. 과학적 조사 결과 두 현상 모두 멀리 떨어진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마르파 불빛은 텍사스주에서 보고된 대기광 현상이다. 브라운 마운틴 불빛은 노스캐롤라이나주 브라운 마운틴 근처에서 나타나는 유령 불빛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스코틀랜드에는 괴불이 나타나는 곳에 보물이 묻혀 있다는 속신이 있으며, 의 정기, 또는 보물을 부장품으로 묻은 사람의 영혼이라고도 전해진다.[20] UFO와 관련지어 생각되기도 한다.[21]

과거 원인을 알 수 없었던 괴불 중에는 생텔모의 불이나 부지화처럼, 최근 방전에 의한 발광 현상이나 대기광학현상으로 원인이 밝혀진 것도 있다. 다른 괴불에 대해서도 가연성 가스의 인화, 구전, 유성의 낙하, 횃불 등 단순한 조명용 불이나 인공물의 착각·오인, 사람의 장난 등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고 있다.[21][22] 괴불이라고 여겨지는 현상의 대부분은 이러한 자연현상, 오인, 착각일 뿐이라는 지적도 있다.[21]

참조

[1] 서적 Tsunoda 1979
[2] 서적 Kanda 1992
[3] 서적 妖怪の民俗学・日本の見えない空間 Chikuma Shobo
[4] 서적 妖怪談義 講談社
[5] 학술지 県別日本妖怪事典 1989-12
[6] 서적 動物妖怪譚 中央公論新社
[7] 서적 Folklore Institute 1955
[8]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9] 서적 Folklore Institute 1955
[10] 서적 江戸怪異綺想文芸大系 国書刊行会
[11] 서적 おばけの正体 国書刊行会
[12] 서적 岡山の怪談 日本文教出版
[13] 서적 播磨の妖怪たち 「西播怪談実記」の世界 神戸新聞綜合出版センター
[14] 서적 日本民俗誌大系 角川書店
[15] 서적 百鬼繚乱 江戸怪談・妖怪絵本集成 国書刊行会
[16] 서적 現行全國妖怪辞典 中國民俗學會
[17] 서적 青森の伝説 角川書店
[18] 서적 綜合日本民俗語彙 平凡社
[19] 학술지 妖怪 1936-08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妖怪の民俗学・日本の見えない空間 筑摩書房
[23] 서적 妖怪談義 講談社
[24] 학술지 県別日本妖怪事典 新人物往来社
[25] 서적 動物妖怪譚 中央公論新社
[26]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27] 서적 江戸怪異綺想文芸大系 国書刊行会
[28] 서적 おばけの正体 国書刊行会
[29] 서적 岡山の怪談 日本文教出版
[30] 서적 播磨の妖怪たち 「西播怪談実記」の世界 神戸新聞綜合出版センター
[31] 서적 日本民俗誌大系 角川書店
[32] 서적 百鬼繚乱 江戸怪談・妖怪絵本集成 国書刊行会
[33] 서적 現行全國妖怪辞典 中國民俗學會
[34] 서적 青森の伝説 角川書店
[35] 서적 綜合日本民俗語彙 平凡社
[36] 논문 妖怪 http://www.nichibun.[...] 民間伝承の会
[37] 웹사이트 尻屋埼灯台 http://www.adnet.jp/[...] 2016-10-09
[38] 문서 하지만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