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돌고래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고래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으며, 현대의 88개 별자리 중 하나이다. 가장 밝은 별인 수알로킨과 로타네브는 니콜로 카치아토레가 자신의 이름을 라틴어로 거꾸로 하여 붙인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네 개의 별을 '히시보시'라고 불렀으며, 농경 사회에서 씨앗을 뿌릴 시기를 정하는 데 중요하게 여겼다. 서양에서는 포세이돈이 돌고래의 도움으로 암피트리테와 결혼한 이야기, 시인 아리온이 돌고래의 도움으로 살아남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돌고래자리에는 다양한 별과 천체가 있으며, 특히 NGC 6891, NGC 6934, NGC 7006 등의 성운과 구상 성단이 관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돌고래자리 - HD 195019 b
  • 돌고래자리 - HD 196885 Ab
  • 가공의 고래 - 프리 윌리
    영화 《프리 윌리》는 가출 소년 제시가 수족관에 갇힌 범고래 윌리와 우정을 쌓고 윌리를 바다로 돌려보내는 모험을 그린 이야기로, 실제 범고래 케이코가 윌리 역을 맡아 화제가 되었으며 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가공의 고래 - 진주 (네모바지 스폰지밥)
    진주는 네모바지 스폰지밥에 등장하는 집게사장의 수양딸이자 집게리아 부사장 겸 회계원으로, 쇼핑과 연예인 팬 활동을 즐기는 사춘기 소녀로 묘사되며 아버지의 간섭을 귀찮아하고 스폰지밥을 싫어하는 경향을 보인다.
  • 북반구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북반구의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는 W자 모양의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관측 가능하며 그리스 신화 속 오만한 왕비 카시오페이아와 연관되며, 셰다르, 카프 등의 별과 다양한 성운, 초신성 잔해를 포함한다.
돌고래자리
기본 정보
돌고래자리 별자리 지도
돌고래자리 별자리 지도
심볼돌고래
약자Del
소유격Delphini
영어 이름Delphinus
일본어 이름いるか座 (Irukaza)
로마자 표기Delfinus
위치북쪽하늘
관측 정보
적경20h 14m 14.1594s ~ 21h 08m 59.6073s
적위+2.4021468° ~ +20.9399471°
황도 좌표황경: 305.9295833333333° ~ 317.2483333333333°
황위: 14.896666666666667° ~ 23.64138888888889°
은경50.68833333333333° ~ 58.04583333333333°
은위5.956388888888889° ~ 11.747222222222221°
속도21.9 km/s
남중 시각9월 15일
20시에 남중하는 시기9월 하순
보이는 위도북위 90° ~ 남위 70°
별 정보
주요 별 개수5
바이어/플램스테드 지정 별 개수19
행성 보유 별 개수6
밝은 별 개수0
가장 밝은 별로타네브 (β Del)
겉보기 등급3.63
가장 가까운 별HU 돌고래자리
거리29.01 광년
파섹8.89 파섹
기타 정보
속하는 천구천상의 물
사분면NQ4
넓이189 평방도
넓이 순위69위
메시에 천체 개수0
유성우없음
인접 별자리여우자리
화살자리
독수리자리
물병자리
조랑말자리
페가수스자리

2. 역사

플람스티드 성도의 돌고래자리


돌고래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으며, 현대의 88개 별자리 중 하나이다.

가장 밝은 두 별인 수알로킨(Sualocin, Alpha Delphini)과 로타네브(Rotanev, Beta Delphini)는 1814년에 팔레르모 천문대에서 발간된 '팔레르모 별 목록'에 처음 등장하였다. 수알로킨과 로타네브를 거꾸로 읽으면 각각 니콜로 카차토레의 이름을 라틴어로 바꾼 니콜라우스 베나토르(Nicolaus Venator)가 된다.[2]

α・β・γ・δ의 4개의 4등성으로 이루어진 마름모꼴을 서구권에서는 구약성서의 욥기의 주인공에 연유하여 "'''욥의 관''' (Job's Coffin)"이라고 부른다.

2. 1. 한국

한국에서는 돌고래자리의 네 별을 '히시보시'라고 불렀으며, 농경 사회에서 씨앗을 뿌릴 시기를 정하는 데 중요하게 여겼다. 에도 시대 후기에는 '해돈(海豚)'이라고 불렀다. 현대 한국 천문학계에서는 '돌고래자리'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2. 2. 서양

19세기 영국의 별자리 카드집 우라니아의 거울에 그려진 돌고래자리


기원전 3세기 중반 마케도니아에서 활동한 시인 아라토스의 교훈시 『파이노메나(Φαινόμενα|파이노메나el, Phaenomena|파이노메나la)』에서는, α·β·γ·δ의 4개의 별이 이루는 사각형을 "4개의 구슬"이라고 칭했다.[1] 로마 제국 시대 2세기경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서 『헤 메갈레 쉰탁시스 테스 아스트로노미아스()』, 이른바 『알마게스트』에서 프톨레마이오스가 선정한 48개의 별자리 중 하나가 되었다.[2]

2. 3. 동양

중국 천문학에서 돌고래자리의 별들은 북방 현무에 위치해 있다.[5] 돌고래자리의 별들은 이십팔수의 북방 현무 7수 중 세 번째 별자리인 여숙에 배정되었다. ε・η・θ・ι・κ의 5개 별은 너무 익어 썩은 참외를 나타내는 성관 "패과(敗瓜)"를 이루었고, α・γ・δ・β・ζ의 5개 별은 좋은 참외를 나타내는 성관 "호과(瓠瓜)"를 이루었다.

고금도서집성』의 "여숙도(女宿圖)".

3. 특징

돌고래자리는 바다 위로 뛰어오른 돌고래 모양을 하고 있어 밤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북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여우자리, 화살자리, 독수리자리, 물병자리, 조랑말자리, 페가수스자리와 접해 있다.[1] 188.5 제곱도의 면적으로 88개 별자리 중 69번째 크기이다.[6] 1930년 외젠 들포르트가 정한 공식 별자리 경계는 14개 선분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이다. 적도 좌표계에서 적경 좌표는 ~ , 적위 좌표는 ~ 사이에 있다.[1] 위도 69°S 북쪽에서 관측 가능하다.[6]

3. 1. 별과 천체

돌고래자리는 4등급보다 밝은 별이 두 개 있으며, 가장 밝은 별은 3.6등급이다. 돌고래자리의 주요 별자리는 욥의 관으로,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델피니로 이루어진 거의 45° 꼭짓점을 가진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이다. 돌고래자리는 풍부한 은하수 별밭에 위치해 있다.

알파 델피니는 지구에서 241광년 떨어진 3.8등급의 푸른색을 띤 주계열성이다. 이 별은 분광 쌍성이며, 공식적으로 Sualocin(수알로킨)으로 명명되었다. 이 별의 절대 등급은 -0.4이다.

베타 델피니는 공식적으로 Rotanev(로타네브)라고 불린다. 이 별은 1873년에 쌍성으로 밝혀졌다. 이 별의 가까운 쌍성 사이의 간격은 대형 아마추어 망원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육안으로는 3.6등급의 흰색 별처럼 보인다. 공전 주기는 27년이며 지구에서 97광년 떨어져 있다.

감마 델피니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들 사이에서 유명한 쌍성이다. 주성은 4.3등급의 오렌지색 금색이며, 부성은 5.1등급의 밝은 노란색 별이다. 이 두 별은 3,000년이 넘는 공전 주기를 가진 진정한 쌍성을 이룬다. 125광년 떨어진 두 개의 구성원은 작은 아마추어 망원경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녹색으로 묘사되는 부성은 주성에서 10초각 떨어져 있다. "유령 이중성"이라고 불리는 Struve 2725는 비슷하게 보이지만 더 희미한 쌍성이다. 7.6등급과 8.4등급의 구성 요소는 6초각 떨어져 있으며 감마 델피니 자체에서 15분각 떨어져 있다. 최소 0.7 목성 질량을 가진 확인되지 않은 외계 행성이 별 중 하나를 공전할 수 있다.

델타 델피니는 4.43등급의 A형 주계열성이다. 이 별은 분광 쌍성이며, 두 별 모두 델타 방패자리 변광성이다.

엡실론 델피니, 데네브 덜핌(문자 그대로 "돌고래 꼬리"), 또는 알둘핀은 B6 III 항성 분류의 별이다. 이 별의 등급은 약 4.03으로 변동한다.

제타 델피니는 4.6등급의 A3Va 주계열성으로, 2014년에 갈색 왜성이 주변을 공전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제타 델피니 B의 질량은 50±15 이다.

독수리자리, 돌고래자리, 화살자리, 그리고 여름 은하수가 다크 스카이 보호 구역 베스트하벨란트에서 보이는 것처럼 페이드 인 애니메이션


로 아킬라에는 4.94등급이며 약 150광년 떨어져 있다. 고유 운동 때문에 1992년부터 (반올림된 수치 매개변수) 별자리 경계 내에 있었다. 이 별은 태양보다 금속 함량이 낮은 A형 주계열성이다.

HR 델피니는 1967년 12월에 3.5등급으로 밝아진 신성이었다. 신성이 최대 밝기에 도달하는 데 비정상적으로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이는 핵 열역학적 폭주 조건을 거의 충족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V339 델피니라는 또 다른 신성이 2013년에 감지되었으며, 4.3등급으로 정점을 찍었고 리튬을 생성하는 것으로 관찰된 최초의 신성이었다.

무지카는 플램스티드 명칭 18 델피니로도 알려져 있으며, 돌고래자리에 위치한 행성이 있는 다섯 개의 별 중 하나이다. 이 별은 G6 III의 스펙트럼 유형을 가지고 있다. 아리온 행성은 목성의 10.3배 이상 질량을 가진 매우 밀도가 높고 거대한 행성이다. 아리온은 대중이 외계 행성과 그 모성에 대한 이름을 제안할 기회를 얻었던 최초의 NameExoWorlds 대회에 참여했다.

α별의 고유 명칭 "'''수알로킨''' (Sualocin)"과 β별의 고유 명칭 "'''로타네브''' (Rotanev)"는 1814년에 팔레르모 천문대 대장 주세페 피아치가 간행한 별표 '팔레르모 성표'의 제2판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는 '팔레르모 성표'의 편찬 작업을 지휘했던 조수 니콜로 카차토레가 자신의 이름을 라틴어로 바꾼 ''Nicolaus Venator''를 거꾸로 읽은 것을 각각의 고유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

돌고래자리는 풍부한 은하수 별밭을 가지고 있어, 다음과 같은 어두운 천체들도 포함하고 있다.

  • NGC 6891: 10.5등급의 행성상 성운이다.
  • NGC 6905 (푸른 섬광 성운): 넓은 방출선을 보여준다. 중심별은 WO2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산소가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NGC 6934: 9.75등급의 구상 성단이다. 태양계로부터 약 52,000 광년 떨어져 있다. Shapley-Sawyer Concentration Class VIII에 속하며, 목동자리에 있는 또 다른 구상 성단과 기원을 공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구상 성단 치고는 중간 정도의 금속 함량을 가지고 있지만, 2018년 기준으로 연구가 부족하다.
  • NGC 7006: 11.5등급의 구상 성단으로, 약 137,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은하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비교적 어둡고 Class I에 속한다.

3. 1. 1. 항성

돌고래자리 α (수알로킨)는 6중성으로, 3.77등급이며 스펙트럼형은 B9 IV이다. 돌고래자리 β (로타네브)는 4 ~ 4.9등급이며, 스펙트럼형은 F5 IV이다. 돌고래자리 γ는 5.14등급(F7 V형)과 4.27등급(K1 IV형)으로 구성된 이중성이다. 돌고래자리 δ는 4.43등급이며 A7 IIIp형이다. 돌고래자리 ε (데네브 둘핌)는 4등급이며 B6 III형이다. 돌고래자리 R은 미라형 변광성으로, 주기는 285.5일이며 밝기는 7.6등급에서 13.8등급 사이에서 변한다.

돌고래자리의 주요 항성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항성 이름겉보기 등급스펙트럼형특징
돌고래자리 α (수알로킨)3.77B9 IV6중성
돌고래자리 β (로타네브)4 ~ 4.9F5 IV
돌고래자리 γ5.14 / 4.27F7 V / K1 IV이중성
돌고래자리 δ4.43A7 IIIp
돌고래자리 ε (데네브 둘핌)4B6 III
돌고래자리 R7.6 ~ 13.8미라형 변광성, 주기 285.5일



니콜로 카치아토레의 라틴어 이름인 Nicolaus Venator를 거꾸로 읽으면 돌고래자리 α별은 Sualocin(수알로킨), 돌고래자리 β별은 Rotanev(로타네브)가 된다.[1]

국제천문연맹(IAU)은 5개의 항성에 고유 명칭을 인증했다.[2]


  • α별: 태양계에서 약 238광년 거리에 있으며, 겉보기 밝기는 3.800 등급, 스펙트럼형은 B9IV인 4등급 별[3]삼중성이다. 주성인 Aa별에는 "'''수알로킨'''"[4](Sualocin[2])이라는 고유 명칭이 붙어있다.
  • β별: 겉보기 밝기 3.63 등급, 스펙트럼형 F5IV의 4등급 별로, 분광 쌍성[5]이다. 돌고래자리에서 가장 밝게 보인다. 주성 A별에는 "'''로타네브'''"[4](Rotanev[2])라는 고유 명칭이 붙어있다.
  • ε별: 태양계에서 약 366광년 거리에 있으며, 겉보기 밝기 4.03 등급, 스펙트럼형 B6IV의 4등급 별[6]이다. "'''알둘핀'''"[4](Aldulfin[2])이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고 있다.
  • 18번별: 태양계에서 약 245광년 거리에 있는, 겉보기 밝기 5.506 등급, 스펙트럼형 G6III의 황색 거성으로, 6등급 별[7]이다. 2008년외계 행성이 발견되었으며[8], 2015년에 주성에는 "'''무지카'''"[4](Musica[2]), 행성에는 "아리온(Arion)"이라는 고유 명칭이 붙었다.
  • HAT-P-23: 태양계에서 약 1,192광년 거리에 있는, 겉보기 밝기 11.94 등급, 스펙트럼형 G0의 항성으로, 12등급 별[9]이다. IAU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팔레스타인에 명명권이 주어져, 주성은 Moriah, 외계 행성은 Jebus로 명명되었다.[10]


그 외에 다음과 같은 항성들이 알려져 있다.

  • γ별: 태양계에서 약 116-117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다. 겉보기 밝기 4.96 등급, 스펙트럼형 F8V의 γ1[11]과 겉보기 밝기 4.25 등급, 스펙트럼형 K1IV의 γ2[12]로 이루어져 있다.[13]
  • δ별: 태양계에서 약 221광년 거리에 있는, 겉보기 밝기 4.417 등급, 스펙트럼형 kA7hF1VmF1pSrEuCr의 4등급 별[14]이다. 맥동 변광성 중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분류되며[14], 4.38등급에서 4.49등급 범위에서 밝기가 변한다.[15] 분광 쌍성으로, 2018년 연구에서는 1.78±0.07 태양 질량의 주성 A와 1.62±0.07 태양 질량의 반성 B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16]
  • R별: 태양계에서 약 2,580광년 거리에 있는 미라형 변광성[17]이다. 285.07일 주기로 겉보기 밝기가 7.6등급에서 13.8등급 범위에서 변화한다.[18]
  • 독수리자리 ρ별: 겉보기 밝기 4.946 등급의 5등급 별[19]이다. 원래 독수리자리의 항성이었지만, 매우 큰 고유 운동 때문에 1992년경 돌고래자리 영역으로 들어왔다.[20] 이는 IAU가 별자리의 경계를 확정한 1930년 이후, 바이어 기호가 붙은 항성이 경계를 넘어선 첫 번째 사례이다.[21]

3. 1. 2. 어두운 천체

돌고래자리는 풍부한 은하수 별밭을 가지고 있어 많은 중간 정도의 심원 천체를 포함하고 있다.

  • NGC 6891: 10.5등급의 행성상 성운이다.
  • NGC 6905 (푸른 섬광 성운): 넓은 방출선을 보여준다. 중심별은 WO2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산소가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41]
  • NGC 6934: 9.75등급의 구상 성단이다. 태양계로부터 약 52,000 광년 떨어져 있다.[42] Shapley-Sawyer Concentration Class VIII에 속하며[43], 목동자리에 있는 또 다른 구상 성단과 기원을 공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44] 구상 성단 치고는 중간 정도의 금속 함량을 가지고 있지만,[45] 2018년 기준으로 연구가 부족하다.[46]
  • NGC 7006: 11.5등급의 구상 성단으로, 약 137,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은하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44] 비교적 어둡고 Class I에 속한다.[43]

4. 신화

돌고래자리에는 두 가지 주요 전설이 전해진다.

첫 번째는 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암피트리테의 이야기이다. 포세이돈은 암피트리테에게 청혼했지만, 그녀는 처녀성을 지키기 위해 아틀라스 산맥으로 도망쳤다. 포세이돈이 보낸 심부름꾼 중 돌고래가 그녀를 찾아 설득하여 결혼을 성사시켰다. 포세이돈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돌고래를 별자리로 만들었다.

두 번째는 기원전 7세기경 그리스 시인 아리온과 관련된 이야기다. 코린토스의 궁정 음악가였던 아리온은 타렌툼에서 배를 타고 돌아오던 중 선원들의 음모에 빠졌다. 그는 죽기 전 마지막 소원으로 노래를 불렀고, 이 노래에 돌고래가 감동하여 아리온을 구해 그리스 해안까지 안전하게 데려다주었다.

4. 1. 포세이돈과 암피트리테

포세이돈이 바다의 요정 암피트리테에게 청혼했지만, 그녀는 순결을 지키기 위해 아틀라스 산맥으로 도망쳤다. 포세이돈의 심부름꾼 돌고래가 암피트리테를 설득하여 포세이돈과 결혼하게 하였다.[2] 포세이돈은 돌고래에게 감사하며 하늘에 별자리로 만들었다.[2] 사랑하는 사람에게 돌고래 인형을 선물하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미신이 있다.

4. 2. 아리온과 돌고래

그리스의 시인 레스보스의 아리온(기원전 7세기)은 코린토스를 다스리는 페리안더(Periander)의 궁정 음악가였는데, 시실리와 이탈리아를 여행하면서 많은 재산을 모았다. 타렌툼으로부터 집으로 가는 도중에 그의 선원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마지막 소원으로 애도가를 부를 것을 원했다. 그는 노래를 부르면서 바다에 빠졌는데, 음악에 매혹된 돌고래에게 구조되었다. 돌고래는 아리온을 그리스 해안까지 데려다 주고 떠났다.[4]

4. 3. 디오니소스와 티레니아 해적

디오니소스가 어렸을 때 티레니아 해적들에게 납치될 뻔했으나, 님프들의 노래로 해적들을 매혹시켜 돌고래로 변하게 했다. 디오니소스는 이들을 기억하기 위해 돌고래의 모습을 별들 사이에 두었다.[2]

참조

[1] 간행물 Delphinus,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20-07-15
[2] 웹사이트 HYGINUS, ASTRONOMICA 2.1-17 http://www.theoi.com[...] 2017-06-26
[3] 문서 Herodotus, ''Histories'' I.23-24; also [[Aulus Gellius]], ''Noctes Atticae'' XVI.19; [[Plutarch]], ''Conv. sept. sap.'' 160–62; [[Shakespeare]], ''Twelfth Night'' (Act I, Sc 2, line 16)
[4] 간행물 The Celestial Dolphin 2012-09
[5]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4 日 http://aeea.nmns.edu[...]
[6] 웹사이트 Constellations: Andromeda–Indu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6-03-04
[7] 간행물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1922
[8] 간행물 UBV photometry of stars whose positions are accurately known. VI
[9] 간행물 Dynamical masses of a selected sample of orbital binaries
[10]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2006
[11]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7-12-16
[12] 간행물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early type MK standards from HIPPARCOS parallaxes
[13] 간행물 Burnham's celestial handbook: an observer's guide to the universe beyond the Solar System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14] 간행물 A Photometric Analysis of Seventeen Binary Stars Using Speckle Imaging 2009-11
[15] 간행물 A Program for the Analysis of Long-Period Binaries: The Case of γ Delphini 1999
[16] 간행물 Detection Limits from the McDonald Observatory Planet Search Program 2006
[17] 간행물 The Physical Basis of Luminosity Classification in the Late A-, F-, and Early G-Type Stars. I. Precise Spectral Types for 372 Stars 2001-04
[18] 간행물 Statistical Properties of Galactic δ Scuti Stars: Revisited 2013
[19] 간행물 Catalogue and properties of δ Scuti stars in binaries 2017-02
[20] 간행물 The Kinematics of the Gould Belt: an Expanding Group? 1968-12
[21] 간행물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2017-01
[22] 간행물 Four-color, H-beta, and UBV photometry for bright B-type stars in the northern hemisphere
[23] 간행물 The VAST Survey - IV. A wide brown dwarf companion to the A3V star ζ Delphini 2014-12
[24] 간행물 Sixth Catalogue of Fundamental Stars (FK6). Part I. Basic fundamental stars with direct solutions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25] 서적 The Observer's Year: 366 Nights of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6-29
[26] 간행물 Photo-astrometric distances, extinctions, and astrophysical parameters for Gaia DR2 stars brighter than G = 18 2019-08-01
[27] 간행물 HR Delphini (Nova 1967) in 1967 - 71
[28] 간행물 The unusual nature of nova HR Delphini 1967 https://ui.adsabs.ha[...] 2020-07-19
[29] 간행물 Explosive lithium production in the classical nova V339 Del (Nova Delphini 2013) 2015-02-18
[30] 웹사이트 Bright New Nova In Delphinus — You can See it Tonight With Binoculars http://www.universet[...] 2013-08-15
[31] 웹사이트 Possible Bright Nova in Delphinus http://remanzacco.bl[...] Associazione Friulana di Astronomia e Meteorologia 2013-08-15
[32] 웹사이트 Nova Delphini 2013 (formerly PNV J20233073+2046041): images, spectra and maps http://www.virtualte[...] Gianluca Masi - Virtual Telescope Project 2013-08-15
[33] 간행물 The spectrophotometric parallaxes of 42 visual binaries
[34] 간행물 Planetary Companions around Three Intermediate-Mass G and K Giants: 18 Delphini, ξ Aquilae, and HD 81688 https://academic.oup[...] 2008-06-25
[35] 웹사이트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IAU https://www.iau.org/[...] 2020-07-19
[36] 웹사이트 Planet TOI-6883 b https://exoplanet.eu[...] 2024
[37] 논문 Confir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ccentric, Warm Jupiter TIC 393818343 b with a Network of Citizen Scientists 2024-05-23
[38] 논문 TOI-6883.01: A Single-transit Planet Candidate Detected from TESS 2024-02-26
[39] 웹사이트 Planet TOI-6883 c https://exoplanet.eu[...] 2024
[40] arXiv TIC 393818343 c: 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a Neptune-like planet in the Delphinus constellation 2024-10-09
[41] 논문 Planetary nebulae with Wolf–Rayet-type central stars – III. A detailed view of NGC 6905 and its central star 2022
[42] 논문 Orbits of Globular Clusters in the Outer Galaxy: NGC 7006 2001-10
[43] 간행물 A Classification of Globular Clusters 1927-08
[44] 간행물 A 1.4 GHz Arecibo Survey for Pulsars in Globular Clusters 2007-11
[45] 논문 Image-Subtraction Photometry of Variable Stars in the Field of the Globular Cluster NGC 6934 2001-03
[46] 논문 Metallicity Variations in the Type II Globular Cluster NGC 6934 201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