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돌망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망태는 철망으로 제작된 틀에 돌을 채워 넣어 만든 구조물로, 하천, 해안, 치산 등 토목 공사에서 호안, 옹벽, 배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초기에는 군사적 요새나 방어벽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활용된다. 원통형, 이불형, 특수 형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최근에는 생물 서식 공간 조성과 녹화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반공학 - 토목지질학
    토목지질학은 지질학의 한 분야로, 토목 공사에 지질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지질 재해를 평가하고 완화하는 학문이다.
  • 사막 녹화 - 혼농임업
  • 사막 녹화 - 사방댐
    사방댐은 계류, 배수로 등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늦추고 침식을 감소시키는 구조물로, 토사 유출 방지, 산림 보호, 지하수 함양, 수질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산사태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 건축재료 - 철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와 철근의 인장 강도를 결합하여 구조적 효율성을 높인 건축 재료이며,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이 철근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한다.
  • 건축재료 -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은 철에 크롬을 10.5% 이상 첨가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합금으로, 다양한 종류와 뛰어난 내식성, 강도를 가지며 여러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100% 재활용 가능한 지속 가능한 소재이다.
돌망태
개요
정의철망 또는 철사로 만든 망태에 돌을 채워 넣어 쌓는 구조물
하천, 해안, 사면 등의 침식 방지 및 안정화에 사용
재료 및 제작
망태 재료아연 도금 철선
PVC 코팅 철선
스테인리스강 철선
돌 재료자연석
쇄석
제작 방법철망을 상자 형태로 조립
돌을 채워 넣고 뚜껑을 닫아 결속
종류
형태에 따른 분류상자형 돌망태 (가장 일반적인 형태)
원통형 돌망태
매트형 돌망태 (얇고 넓은 형태, 사면 보호에 사용)
기능에 따른 분류호안 돌망태 (하천 제방 보호)
사면 돌망태 (사면 안정화)
옹벽 돌망태 (옹벽 구조물)
특징 및 장점
장점투수성이 우수하여 수압 상승 방지
유연성이 높아 지반 변형에 대한 적응력 우수
자연스러운 외관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빠름
경제적인 시공 비용
단점망태의 부식 가능성 (재료 선택 및 유지 관리 중요)
식생이 어렵다는 단점 존재 (식생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경우도 있음)
활용 분야
하천 공사제방 보호
호안 조성
어도 설치
해안 공사방파제
해안 침식 방지
사면 공사사면 보호
산사태 방지
기타옹벽
조경 시설
도로 건설
시공 시 유의사항
기초기초 지반의 다짐 및 평탄화 작업 철저
필요시 기초 콘크리트 타설
망태 조립철망 손상 여부 확인
정확한 위치에 설치
돌 채움망태 크기에 적합한 돌 사용
균등하게 채워 망태 변형 방지
결속뚜껑을 철선으로 견고하게 결속
연결 부위는 겹치게 하여 안정성 확보
유지 관리
점검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망태 손상, 돌 유실 여부 확인
보수손상된 망태는 교체 또는 보수
유실된 돌은 보충
관련 용어
유사 용어개비온 (Gabion, 영어)
사롱 (일본어)
관련 공법돌붙임 공법
콘크리트 옹벽 공법
추가 정보
주의사항설계 시 충분한 안전율 확보
시공 시 관련 규정 준수
환경 친화적인 재료 사용 고려

2. 역사

돌망태(蛇篭)는 재해 복구 및 하천 개수에서 사용되는 공법 중 하나로, 아연 도금 철선 등으로 만든 바구니에 자연석이나 쇄석 등을 채워 넣어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에 소울타리와 함께 대표적인 치수 구조물로 사용되었으며, 당시에는 대나무를 엮어 만든 돌망태가 사용되었다. 도쿠가와 미술관에 소장된 『고이시카와 후라쿠엔 그림』 등에서도 하천 호안에 사용된 돌망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에도 시대 중기의 국어 사전인 『와쿤시(倭訓栞)』에는 "사(蛇籠)란 뱀의 형상을 닮은 돌 바구니이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당시에는 원통형 돌망태가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돌망태는 대나무를 손으로 엮는 방식에서 기계로 엮는 방식으로, 재료는 대나무에서 아연 도금 철선으로 바뀌면서 형태도 다양해졌다. 1959년에 촬영된 구로베 강 호안 공사 사진에서는 돌망태를 틈 없이 세로로 깔아 둑을 보강하는 옛날 방식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고이시카와 후라쿠엔에서는 현재에도 에도 시대와 변함없이 대나무로 만든 돌망태를 연못 호안에 사용하고 있는데, 대나무 바구니는 시간이 지나면 느슨해지기 때문에 2년 정도마다 교체된다.

2. 1. 어원

일본어 "자카고(じゃかご)"는 완성된 형태가 과 유사한 모양으로 조립되는 바구니에서 유래했거나, 옛날부터 하천에 뱀 전설이 따른 것에서 유래했다고 생각된다. 籠과 篭의 차이는 전자가 정자(正字), 후자가 속자(俗字)이며, 어느 쪽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중국어로는 "사롱(蛇籠)"(간체자: 蛇笼), "스롱(石笼)", "샹롱(箱笼)"이라고 한다.

영어프랑스어의 "개비언(gabion)" (중세 프랑스어 "gabion"에서 유래[16])이나 독일어 "가비오네(Gabione)"는 이탈리아어 "가비오네(gabbione)"를 어원으로 하며, 가비오네는 케이지(바구니)를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가비아(gabbia)"를 어원으로 한다. 이탈리아어 가비아의 어원은 라틴어로 "케이지(바구니)"를 의미하는 "카베아(cavea)"이다. [ Eng: gabion, Ger: Gabione, Fra: gabion < Ita: gabbione < Ita: gabbia (=cage) < la: cavea (=cage) ]

2. 2. 초기 역사

일본의 경우, 옛날에는 "사(蛇籠)/사(蛇篭)"는 대나무를 귀갑형(거북이 등껍질 모양) 그물코의 원형 바구니로 엮어 사용했지만, 손으로 엮는 방식에서 기계로 엮는 방식으로, 또한 재료도 대나무에서 아연 도금 철선으로 바뀌면서, 그 형태도 공법에 맞춰 다양해졌다.

에도 시대에는 소울타리와 함께 대표적인 치수 구조물로 사용되었으며, 대나무로 만든 사(蛇籠)가 만들어졌다. 『고이시카와 후라쿠엔 그림』(도쿠가와 미술관 소장) 등에서도 하천의 호안에 사용된 사(蛇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에도 시대 중기의 국어 사전 『와쿤시(倭訓栞)』에는, "사(蛇籠)란 뱀의 형상을 닮은 돌 바구니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듯이, 원래 일본에서는 원통형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1959년(쇼와 34년)에 촬영된 구로베 강 호안 공사 사진에서는, 사(蛇籠)를 틈 없이 세로로 깔아 둑을 보강하는 옛날 방식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이시카와 후라쿠엔에서는 현재에도 에도 시대와 전혀 변함없이, 대나무로 만든 사(蛇籠)를 연못의 호안에 사용하고 있다. 대나무 바구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느슨해지기 때문에, 2년 정도마다 교체된다.

2. 3. 근대

일본의 경우, 옛날에는 "사(蛇籠)/사(蛇篭)"는 대나무를 귀갑형(거북이 등껍질 모양) 그물코의 원형 바구니로 엮어 사용했지만, 손으로 엮는 방식에서 기계로 엮는 방식으로, 또한 재료도 대나무에서 아연 도금 철선으로 바뀌면서, 그 형태도 공법에 맞춰 다양해졌다.

에도 시대에는 소울타리와 함께 대표적인 치수 구조물로 사용되었으며, 대나무로 만든 사(蛇籠)가 만들어졌다. 도쿠가와 미술관 소장의 『고이시카와 후라쿠엔 그림』 등에서도 하천의 호안에 사용된 사(蛇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에도 시대 중기의 국어 사전 『

1959년(쇼와 34년)에 촬영된 구로베 강 호안 공사 사진에서는, 사(蛇籠)를 틈 없이 세로로 깔아 둑을 보강하는 옛날 방식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이시카와 후라쿠엔에서는 현재에도 에도 시대와 전혀 변함없이, 대나무로 만든 사(蛇籠)를 연못의 호안에 사용하고 있다. 대나무 바구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느슨해지기 때문에, 2년 정도마다 교체된다.

2. 4. 현대

현대에는 아연 도금 철선 등의 바구니에 자연석, 쇄석 등을 채워 넣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일본에서는 기계로 엮는 방식으로 바뀌고, 재료도 대나무에서 아연 도금 철선으로 바뀌면서 형태도 다양해졌다. 1959년에 촬영된 구로베 강 호안 공사 사진에서는 돌망태를 틈 없이 세로로 깔아 둑을 보강하는 옛날 방식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고이시카와 후라쿠엔에서는 현재에도 에도 시대와 변함없이 대나무로 만든 돌망태를 연못의 호안에 사용하고 있으며, 대나무 바구니는 2년 정도마다 교체된다.

3. 종류 및 형태

돌망태는 특정 기능적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특수 디자인이 있으며, 특정 형태에 대한 몇 가지 특수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9]


  • 보루: 일반적으로 부직포 지오텍스타일로 내부에 멤브레인을 씌운 돌망태로, 암석 대신 입상 토양 채움을 사용할 수 있다.
  • 매트리스: 측면 치수에 비해 높이가 짧은 형태의 돌망태로, 일반적으로 매우 넓다. 높은 구조물을 건설하거나 지지하기보다는 파도 침식 및 유사한 공격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10]
  • 트라피온: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형태의 돌망태로, 계단 모양이 아닌 경사진 면을 만들기 위해 적층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용어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적어도 돌망태와 관련된 맥락에서는 Betafence Limited가 등록한 상표인 것으로 보인다.
  • '''원통형 돌망태''': 굴곡성이 뛰어나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수제(水制), 배수 등에 사용된다.
  • '''이불형 돌망태''' (각형 돌망태): 간이 구조이므로 작업성이 뛰어나 가장 널리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근고(根固)・바닥 막이, 토류에 사용된다.
  • '''이형 돌망태''': 달마형 돌망태, 세로 마름모 이불형 돌망태, 가로 마름모 이불형 돌망태, 이형 이불형 돌망태, 간충형 돌망태, 편평형 돌망태(타원형 돌망태), 자재형 돌망태(자유형 돌망태), 권지형 돌망태, 죽순형 돌망태, 삼각형 돌망태, 파형 돌망태(잔물결형 돌망태라고도 함), 부채형 돌망태, 어묵형 돌망태 등이 있다.

3. 1. 원통형 돌망태

원통형 돌망태는 굴곡성이 뛰어나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제방 덮개, 수제(水制), 배수 등에 사용된다.

3. 2. 이불형 돌망태 (각형 돌망태)

'''이불형 돌망태'''는 '''각형 돌망태'''라고도 한다. 간이 구조이므로 작업성이 뛰어나 가장 널리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근고(根固)・바닥 막이, 토류에 사용.

3. 3. 특수 형태 돌망태

매트리스로 만든 제방 보호


돌망태는 특정 기능적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특수 디자인이 있으며, 특정 형태에 대한 몇 가지 특수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9]

  • 보루: 일반적으로 부직포 지오텍스타일로 내부에 멤브레인을 씌운 돌망태로, 암석 대신 입상 토양 채움을 사용할 수 있다.
  • 매트리스: 측면 치수에 비해 높이가 짧은 형태의 돌망태로, 일반적으로 매우 넓다. 높은 구조물을 건설하거나 지지하기보다는 파도 침식 및 유사한 공격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10]
  • 트라피온: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형태의 돌망태로, 계단 모양이 아닌 경사진 면을 만들기 위해 적층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용어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적어도 돌망태와 관련된 맥락에서는 Betafence Limited가 등록한 상표인 것으로 보인다.
  • '''원통형 돌망태''': 굴곡성이 뛰어나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제방 덮개, 수제(水制), 배수 등에 사용된다.
  • '''이불형 돌망태''' (각형 돌망태): 간이 구조이므로 작업성이 뛰어나 가장 널리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근고(根固)・바닥 막이, 토류에 사용된다.
  • '''이형 돌망태''': 달마형 돌망태, 세로 마름모 이불형 돌망태, 가로 마름모 이불형 돌망태, 이형 이불형 돌망태, 간충형 돌망태, 편평형 돌망태(타원형 돌망태), 자재형 돌망태(자유형 돌망태), 권지형 돌망태, 죽순형 돌망태, 삼각형 돌망태, 파형 돌망태(잔물결형 돌망태), 부채형 돌망태, 어묵형 돌망태 등이 있다.

3. 4. 기타

돌망태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1]

  • '''원통형 돌망태''' : 굴곡성이 뛰어나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제방 덮개, 수제(水制), 배수 등에 사용된다.
  • '''이불형 돌망태''' : '''각형 돌망태'''라고도 한다. 간이 구조이므로 작업성이 뛰어나 가장 널리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근고(根固)·바닥 막이, 토류에 사용된다.
  • '''이형 돌망태''' : 달마형 돌망태, 세로 마름모 이불형 돌망태, 가로 마름모 이불형 돌망태, 이형 이불형 돌망태, 간충형 돌망태, 편평형 돌망태(타원형 돌망태), 자재형 돌망태(자유형 돌망태), 권지형 돌망태, 죽순형 돌망태, 삼각형 돌망태, 파형 돌망태(잔물결형 돌망태라고도 함), 부채형 돌망태, 어묵형 돌망태 등이 있다.

4. 용도

돌망태는 하천, 해안, 치산 등 토목 사업에서 호안, 근고, 수제, 바닥막이, 내진, 옹벽, 배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방재성뿐만 아니라 '다자연형 하천 조성'이 요구되면서 다양한 생물의 서식 공간(비오톱)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녹화를 목적으로 한 돌망태도 있다. '이중 이불 돌망태'는 패널식 이불 돌망태 내부에 안감 네트, 식생 시트 등을 대고 현지 발생 토사를 채워 자연의 회복, 보전을 촉진한다. '도금 돌망태 틀', '돌망태 틀'이라고 불리는 이불 돌망태에 비해 고강도·고내구성의 이불 돌망태는 시공성과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 향상을 내세우며 공사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4. 1. 토목 공사

돌망태는 해안선, 하천 제방, 사면을 침식으로부터 안정시키는 데 주로 사용된다. 19세기 후반 에밀리아 로마냐 사체르노에서 가에타노 마카페리에 의해 개선되고 특허를 받았다.[1] 그 외에도 옹벽, 방음벽, 임시 홍수 방어벽, 유출수에서 실트 여과, 소규모 또는 임시/영구 댐, 하천 정비, 수로 안대 등으로 사용되며, 취약한 구조물 주변으로 홍수 물의 흐름의 힘을 유도하는 데에도 쓰인다.

돌망태는 작은 하천의 어류 스크린으로도 사용된다. 돌망태 계단식 는 하천 정비 및 홍수 조절에 사용되며, 계단식 설계는 수로에서 에너지 소산율을 향상시킨다.[2]

돌망태 벽은 돌이 채워진 돌망태를 와이어로 묶어 쌓아 만든 옹벽이다. 돌망태 벽은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쌓는 대신 배터드 (사면을 향해 각도를 기울이거나) 또는 사면을 따라 계단식으로 쌓는다.

돌망태의 수명은 바구니 내용물이 아닌 와이어의 수명에 따라 달라지며, 와이어가 파손될 때 구조물은 실패한다. 아연 도금 강철 와이어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PVC 코팅 및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도 사용된다. PVC 코팅 아연 도금 돌망태는 60년 동안 생존할 것으로 추정된다.[3] 일부 돌망태 제조업체는 50년의 구조적 일관성을 보장한다.[4]

미국에서 돌망태가 하천 내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1957년부터 1965년까지 버지니아주 노스 강과 뉴햄프셔주 질랜드 강에서 완료된 프로젝트였다.[5] 두 미국 산림청 부지에는 150개 이상의 등급 제어 구조물, 제방 피복 및 수로 반사경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침식과 바구니의 구조적 무결성 부족으로 인해 하천 구조물의 상당 부분이 실패했다. 특히, 부하 이동에 의한 와이어의 부식 및 마모로 인해 구조물이 손상되어 처짐과 함께 수로로 붕괴되었다.

돌망태는 1995년에서 1997년 사이에 건축가 헤르조그 & 드 뫼롱에 의해 캘리포니아 나파 밸리의 도미누스 와이너리와 같이 건물에도 사용되었다. 외부는 현지에서 채석된 돌을 담은 모듈식 와이어 메쉬 돌망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물 내부로 공기 이동을 허용하고 내부의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환경을 조성한다.[6][7]

하천·해안·치산 등 토목 사업에서 각 형태와 특성을 살려 호안, 근고, 수제, 바닥막이, 내진, 옹벽, 배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방재성뿐만 아니라 '다자연형 하천 조성'이 요구되면서 다양한 생물의 서식 공간(비오톱)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녹화를 목적으로 한 돌망태도 있다. '이중 이불 돌망태'는 패널식 이불 돌망태의 내부에 안감 네트, 식생 시트 등을 대고 현지 발생 토사를 채워 자연의 회복, 보전을 촉진한다. '도금 돌망태 틀', '돌망태 틀'이라고 불리는 이불 돌망태에 비해 고강도·고내구성의 이불 돌망태가 시공성과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의 향상을 내세우며 공사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4. 2. 조경

돌망태는 해안선, 하천 제방, 사면을 침식으로부터 안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토목 공학적 구조물이다. 19세기 후반 에밀리아 로마냐 사체르노에서 가에타노 마카페리에 의해 개선되고 특허를 받았다. 옹벽, 방음벽, 임시 홍수 방어벽, 유출수에서 실트를 여과하고, 소규모 또는 임시/영구 댐, 하천 정비 또는 수로 안대 등에도 사용된다. 취약한 구조물 주변으로 홍수 물의 흐름의 힘을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돌망태는 작은 하천의 어류 스크린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돌망태 계단식 는 하천 정비 및 홍수 조절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계단식 설계는 수로에서 에너지 소산율을 향상시키며, 돌망태 계단식 보의 건설에 특히 적합하다.

돌망태 벽은 돌이 채워진 돌망태를 와이어로 묶어 쌓아 만든 옹벽이다. 수직으로 쌓는 대신 배터드 (사면을 향해 각도를 기울이거나) 또는 사면을 따라 계단식으로 쌓는다. 돌망태의 수명은 바구니 내용물이 아닌 와이어의 수명에 따라 달라진다. 아연 도금 강철 와이어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PVC 코팅 및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도 사용된다. PVC 코팅 아연 도금 돌망태는 60년 동안 생존할 것으로 추정된다.[3] 일부 돌망태 제조업체는 50년의 구조적 일관성을 보장한다.[4]

미국에서는 버지니아주 노스 강과 뉴햄프셔주 질랜드 강에서 1957년부터 1965년까지 완료된 프로젝트가 돌망태가 하천 내에서 사용된 첫 사례였다.[5] 150개 이상의 등급 제어 구조물, 제방 피복 및 수로 반사경이 건설되었으나, 침식과 바구니의 구조적 무결성 부족으로 인해 구조물의 상당 부분이 실패했다.

돌망태는 1995년에서 1997년 사이에 건축가 헤르조그 & 드 뫼롱에 의해 캘리포니아 나파 밸리의 도미누스 와이너리와 같이 건물에도 사용되었다. 외부는 현지에서 채석된 돌을 담은 모듈식 와이어 메쉬 돌망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물 내부로 공기 이동을 허용하고 내부의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환경을 조성한다.[6][7]

도시 공원에서는 돌망태 벽을 활용하여 녹지 벨트를 확장하고, 꽃밭 및 정원을 건설하며, 수경 시설 및 암석 형성과 결합하여 독특한 조경 효과를 만들 수 있다.[8]

하천·해안·치산 등 토목 사업에서 돌망태는 호안, 근고, 수제, 바닥막이, 내진, 옹벽, 배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방재성뿐만 아니라 '다자연형 하천 조성'이 요구되면서 다양한 생물의 서식 공간(비오톱)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녹화를 목적으로 한 돌망태도 있다. '이중 이불 돌망태'는 자연의 회복, 보전을 촉진한다. 또한, '도금 돌망태 틀', '돌망태 틀'이라고 불리는 고강도·고내구성의 이불 돌망태는 시공성과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의 향상을 내세우며 공사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4. 3. 군사적 용도

초기 돌망태는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뚫려있는 둥근 형태의 우리였으며, 군사적 요새로 사용하기 위해 버드나무를 엮어 만들고 흙을 채워 넣었다.[11] 1573년 4월 에든버러 성 포위 공격 당시, 에든버러의 포대 방어를 위해 이스트 로디언에서 버드나무 가지를 가져와 돌망태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12]

이러한 초기 군사용 돌망태는 주로 공병과 공성 포병 포수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다.[11] 버드나무로 엮어 만든 원통형 구조물은 가볍고 운반하기 쉬웠는데, 특히 다양한 지름으로 제작하여 서로 포개어 운반할 수 있어 효율적이었다. 현장에서는 돌망태를 세우고 고정한 뒤 흙을 채워 대포 주변에 효과적인 방벽을 구축하거나, 참호선을 따라 빠르게 방탄 성가퀴를 만들 수 있었다. 크림 전쟁 중에는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덤불이 부족하여 건초 더미에서 나온 고철 철제 굴렁쇠를 대신 사용하기도 했으며, 이는 다시 맞춤형 판철 돌망태로 이어지게 되었다.[11]

오늘날 돌망태는 전진 작전 기지(FOB)에서 박격포나 포격과 같은 폭발성, 파편, 간접 사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특히 숙소, 식당 등 많은 병력이 밀집되어 보호가 필요한 구역에 설치된다. 또한 항공기 방호벽, 폭발 방지벽 등 다양한 구조물에도 활용된다. 현대에 사용되는 돌망태는 흔히 "Hesco 방벽"이라고 불린다.

16세기 후반 그림에 묘사된 대포와 돌망태

4. 4. 기타

돌망태는 하천, 해안, 치산 등 토목 사업에서 호안, 근고, 수제, 바닥막이, 내진, 옹벽, 배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방재성뿐만 아니라 '다자연형 하천 조성'이 요구되면서 다양한 생물의 서식 공간(비오톱)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녹화를 목적으로 한 돌망태도 있다. '이중 이불 돌망태'는 패널식 이불 돌망태의 내부에 안감 네트, 식생 시트 등을 대고 현지 발생 토사를 채워 자연의 회복, 보전을 촉진한다.

또한, '도금 돌망태 틀', '돌망태 틀'이라고 불리는 이불 돌망태에 비해 고강도·고내구성의 이불 돌망태가 시공성과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의 향상을 내세우며 공사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5. 시공 방법

돌망태는 틀과 철망으로 구성되며, 철망은 아연 도금 철선으로 엮은 마름모꼴 철망으로 만든다.

원통형 돌망태는 몸통 그물, 덮개, 원형 링, 마감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통 그물을 펼치고 원형 링을 끼워 넣고 양쪽에 덮개 그물을 부착하여 완성한다. 각형 돌망태는 원형 링 대신 중간 틀, 뼈대 선을 끼워 넣는다.

등롱 돌망태는 조립이 필요 없다. 공장에서 조립한 후, 등롱을 접듯이 접은 완성품 상태로 공장에서 출하되며, 현장에서 펼치기만 하면 돌을 채울 수 있으므로, 긴급 재해 복구 공사 비축용으로 적합하다.

패널식 이불 돌망태는 조립이 간단하다. 공장에서 철망에 틀을 부착하여 패널 형태로 만들어서 접어서 출하, 현장에서 패널을 세우고 결합 코일로 입방체로 조립하므로, 조립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abiondesign.be http://gabiondesign.[...] 2008-01-06
[2] 논문 Hydraulics, Air Entrainment, and Energy Dissipation on a Gabion Stepped Weir http://infoscience.e[...] 2014-09
[3] 웹사이트 maccaferri-northamerica.com http://www.maccaferr[...] 2012-03-11
[4] 웹사이트 Feature Projects - Project 2 http://www.gabions.n[...] 2014-11-22
[5] 간행물 Gabions for stream and erosion control. 1961
[6] 웹사이트 Dominus Winery in Napa Valley, California, USA. http://www.floornatu[...] floornature.com 2009-02-22
[7] 웹사이트 Dominus Winery http://www.archiplan[...] Archiplanet 2009-02-22
[8] 웹사이트 Application Of Gabion Walls In Urban Parks: Increasing Green Space And Natural Beauty - Gabion,Gabion Basket,Garden Gabion Wall,Gabion Pillars,gabion Mattresses,Gabion Box,welded Gabion Mesh,diy Landscape Gabion Supplier,JOESCO Gabion Manufacturer. https://www.gabion.b[...] 2023-11-01
[9] 웹사이트 ridgeway-online.com http://www.ridgeway-[...]
[10] 웹사이트 Gabion Wall https://housemodify.[...]
[11] 서적 An elementary course of military engineering https://babel.hathit[...] Wiley 1870
[12] 문서 Register of the Privy Council of Scotland Edinburgh 1878
[13] 논문 Multibody modelling of gabion beams for impact applications http://www.tandfonli[...] 2013-06
[14] 논문 Real-scale investigation of the kinematic response of a rockfall protection embankment https://nhess.copern[...] 2014-05-23
[15] 논문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response of slender protective structures to rockfall impacts http://www.nrcresear[...] 2020-08
[16] Dictionary gabion Dictionary.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