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굴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굴학은 동굴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역사는 17세기 존 보몽의 멘딥 동굴 연구로 시작되었으며, 1890년 에밀 리비에르에 의해 speleology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에두아르-알프레드 마르텔은 '현대 동굴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동굴학회를 설립하여 독립적인 연구 분야로 발전시켰다. 동굴학은 동굴의 지질학 및 수문학, 생물학, 고생물학, 기상학, 화산 동굴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동굴 지도 제작과 같은 기술적인 측면도 다룬다. 동굴은 독특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며, 동굴 생물은 동굴생물, 동굴애호가, 동굴외래생물로 분류된다. 동굴 생태계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위협받기 때문에 보존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굴학 - 용암 동굴
용암 동굴은 저점성 용암류가 굳어지거나 용암 도랑이 덮이면서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양한 지형적 특징이 나타나고, 관광 자원 및 학술 연구 대상으로 활용되며 보존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 동굴 - 종유석
종유석은 동굴 천장에서 물이 증발하며 탄산 칼슘이 침전되어 자라나는 고드름 모양의 광물 덩어리이며, 석회암, 용암, 얼음, 콘크리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동굴 - 석순
석순은 석회암 동굴에서 주로 발견되는 동굴 생성물로, 탄산 칼슘 등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되어 종유석과 함께 석주를 만들기도 하며, 석회암 외에도 용암, 얼음, 콘크리트 등 다양한 환경에서 만들어지는 종류가 있다. - 지구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지구과학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동굴학 | |
---|---|
개요 | |
학문 분야 | 지질학, 지리학, 수문학, 생물학, 고고학의 학제간 연구 |
연구 대상 | 동굴 및 카르스트 지형 시스템 |
주요 연구 내용 | 동굴 생성 과정, 동굴 환경, 동굴 생물, 동굴 고고학, 동굴 보존 |
역사 | |
초기 연구 | 17세기부터 동굴 탐험 및 기록 시작 |
학문적 발전 | 19세기 후반부터 체계적인 연구 시작 |
현대 동굴학 | 20세기 후반부터 다양한 학문 분야와 융합하여 발전 |
연구 분야 | |
동굴 생성 및 지형 | 카르스트 지형 형성 과정 동굴 생성 메커니즘 연구 동굴 내부 지형 및 퇴적물 연구 |
동굴 환경 | 동굴 내부 기후 및 수문 환경 연구 동굴 생태계 연구 동굴 오염 및 보존 연구 |
동굴 생물 | 동굴 서식 생물 종 다양성 연구 동굴 생물 적응 메커니즘 연구 동굴 생물 분포 및 진화 연구 |
동굴 고고학 | 동굴 유적 발굴 및 연구 고대 인류의 동굴 이용 행태 연구 동굴 벽화 및 유물 연구 |
연구 방법 | |
지질학적 조사 | 동굴 주변 지질 구조 및 암석 특성 분석 |
수문학적 조사 | 동굴 내부 지하수 흐름 및 수질 분석 |
생물학적 조사 | 동굴 생물 종 분류 및 생태학적 특성 연구 |
고고학적 발굴 | 동굴 유적 발굴 및 연대 측정 |
지구화학적 분석 | 동굴 퇴적물 성분 분석 및 환경 변화 추적 |
원격 탐사 | 동굴 탐사 및 지도 제작 |
주요 연구 지역 | |
카르스트 지형 발달 지역 | 중국 구이린 베트남 퐁냐케방 국립공원 슬로베니아 슈코치안 동굴 크로아티아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 미국 매머드 동굴 국립공원 |
관련 학문 분야 | |
지질학 | 암석학, 구조지질학, 지형학, 퇴적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인문지리학 |
수문학 | 지하수학, 수문지질학 |
생물학 | 생태학, 분류학, 진화생물학 |
고고학 | 선사고고학, 역사고고학 |
관련 학회 및 기관 | |
국제 동굴학 연맹 (UIS) | 국제적인 동굴 연구 협력 기구 |
각국 동굴 학회 | 미국 동굴 학회 (NSS) 영국 동굴 학회 (BCA) 프랑스 동굴 학회 (FFS) |
대학 및 연구소 | 국내 대학 지질학과 해외 동굴 연구 전문 기관 |
동굴 탐험 (Speleothem) | |
어원 | 그리스어 "σπήλαιον" (spēlaion, 동굴) + "-λογία" (-logia, 연구) |
추가 정보 | |
참고 | 카르스트, 석회암, 동굴 생성물 |
2. 역사
1680년대에 존 보몽이 멘딥 동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썼고, 1890년 에밀 리비에르에 의해 'speleology'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1]
19세기 중반 이전에는 동굴 연구가 지리학, 지질학, 고고학의 일부로 여겨졌으나, '현대 동굴학의 아버지' 에두아르-알프레드 마르텔에 의해 동굴학이 별개의 연구 분야로 소개되었다. 1895년 마르텔은 동굴학회(Société de Spéléologie)를 설립했다.
1949년 프랑스 발랑스 쉬르 론에서 국제 동굴학 회의가 제안되었고, 1953년 파리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국제 동굴 연맹(International Union of Speleology, UIS)은 1965년에 설립되었다.[2] 동굴학의 성장은 동굴 탐험 스포츠의 성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1975년 일본 동굴 학회가 발족하면서 한국에도 동굴학 연구가 영향을 주었다. 아키요시다이에서는 야마구치 케이빙 클럽이 1962년부터 활동을 하고 있다.
2. 1. 세계 동굴학의 역사
17세기 존 보몽이 멘딥 동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썼다. 'speleology'라는 용어는 1890년 에밀 리비에르에 의해 만들어졌다.[1]19세기 중반 이전에는 동굴의 과학적 가치가 다른 과학 분야에 기여하는 측면에서만 고려되었으며, 동굴 연구는 지리학, 지질학 또는 고고학의 더 큰 학문 분야의 일부로 여겨졌다. 에두아르-알프레드 마르텔(1859–1938)의 연구 이전에는 동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는 '현대 동굴학의 아버지'로, 광범위하고 널리 알려진 동굴 탐험을 통해 동굴학을 별개의 연구 분야로 프랑스에 소개했다. 1895년 마르텔은 세계 최초의 동굴 과학 전담 기관인 동굴학회(Société de Spéléologie)를 설립했다.
1949년 프랑스 발랑스 쉬르 론에서 국제 동굴학 회의가 제안되었고, 1953년 파리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국제 동굴 연맹(International Union of Speleology, UIS)은 1965년에 설립되었다.[2] 동굴학의 성장은 대중의 관심과 인식을 자극한다는 점과 대부분의 동굴학 현장 연구가 스포츠 동굴 탐험가들에 의해 수행되었다는 사실 때문에 동굴 탐험 스포츠의 성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1975년에 일본 동굴 학회가 발족했고, 1995년에 일본 케이빙 협회(1960년 발족, 전신은 1956년 발족의 시코쿠 케이빙 클럽)와 일본 동굴 협회(1978년 발족)를 통합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일본 동굴 학회에는 동굴학 잡지 편집 위원회를 비롯하여, 동굴 측량・기록, 동굴 구조, 홈페이지 편집, 대회 기록, 케이빙 저널 편집의 6개 위원회가 있다. 케이빙 조직으로는, 아키요시다이에서 야마구치 케이빙 클럽이 1962년부터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 2. 한국 동굴학의 역사
1975년 일본 동굴 학회가 발족하면서 한국에도 동굴학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2] 1995년에는 일본 케이빙 협회와 일본 동굴 협회가 통합되었다.[2] 아키요시다이에서는 야마구치 케이빙 클럽이 1962년부터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3] 한국에서는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등 석회암 동굴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동굴 탐험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3. 동굴의 지질학 및 수문학
카르스트 지형에서 동굴은 일반적으로 용해라는 화학적 부식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3] 부식은 탄산염 암석에서는 화학 반응, 석고와 암염에서는 물리적 작용, 규산염 암석과 따뜻한 기후에서는 물질 분해를 통해 일어난다. 종유동 내부 지하수 흐름은 유로 형태나 강우 반응(유량, 수질, 수온 변화) 면에서 지표의 강과 유사하여 지하강으로 불린다.
3. 1. 동굴 생성
카르스트는 석회암이 기반암으로 존재하며 침식된 지형이다. 동굴은 일반적으로 용해라는 과정을 통해 화학적 부식으로 형성된다.[3] 부식은 탄산염 암석에서는 화학 반응을 통해, 석고와 암염에서는 물리적으로, 규산염 암석과 따뜻한 기후에서는 물질의 분해를 통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3. 2. 지구화학
동굴은 일반적으로 용해라는 과정을 통해 화학적 부식으로 형성된다.[3] 부식은 탄산염 암석에서는 화학 반응을 통해, 석고와 암염에서는 물리적으로, 규산염 암석과 따뜻한 기후에서는 물질 분해를 통해 일어난다. 동굴 생성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굴 내부에 쌓이는 광물 퇴적물로 만들어진 지질 구조이다.[4]3. 2. 1. 동굴 생성물
동굴 생성물은 자연 동굴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되는 광물 퇴적물에 의해 형성된 지질 구조이다.[4] 동굴 생성물은 탄산염 용해 반응으로 인해 가장 일반적으로 석회질 동굴에서 형성된다. 퇴적 이력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동굴 생성물의 화학적 조성, 점진적인 성장 및 동굴 내 보존은 고기후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3. 3. 수문학
카르스트 지형의 종유동 내부 지하수 흐름은 유로 형태나 강우에 대한 반응(유량, 수질, 수온 변화) 등에서 지표를 흐르는 강과 유사하여 지하강으로 불린다.3. 3. 1. 지하수계 조사
지하 동굴을 흐르는 지하수는 유로의 형태나 강우에 대한 반응(유량, 수질, 수온의 변화) 등, 지표를 흐르는 강의 성질과 유사한 점이 많아 지하강으로 표현된다.지하로 흘러 들어가는 강물이 어디로 흘러나오는지, 옛날부터 사람들은 관심을 가졌으며, 볍씨 껍질을 상류의 포놀에 흘려보내기도 했다. 동굴계 전체의 모습이나 형성, 발달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흐름의 연결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며, 근대에 과학적인 조사가 이루어지면서부터는 소금을 투입하여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조사하거나, 염료로 물을 착색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착색한 석송 ''Lycopodium''의 포자도 유효한 결과를 보였다. 현재는 플루오레세인 소다, 로다민, 에오신, 형광 증백제 등의 형광 염료나 동위 원소를 사용한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정밀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플루오레세인 소다가 자주 사용된다. 통상적으로는 검출할 수 없는 농도로 옅어진 하천수에서 활성탄을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플루오레세인 소다는 바스클린 등의 욕용제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하수도가 정비되지 않은 시골에서의 조사에서는 온천수에 의한 오염 여부와 상수도원으로 혼입될 가능성 등, 사전에 환경 평가가 필요하다.
4. 동굴 지도
동굴의 상세하고 정확한 지도 제작은 동굴에서 수행되는 일반적인 기술 활동 중 하나이다. 동굴 지도는 '측량'이라고 불리며, 동굴 간의 길이, 깊이, 부피를 비교하고, 동굴 생성에 대한 단서를 밝히며, 추가적인 과학 연구를 위한 공간적 기준을 제공하고, 방문객의 길 찾기를 돕는 데 사용된다.
4. 1. 동굴 측량
정확하고 상세한 동굴 지도를 제작하는 것은 동굴에서 수행되는 가장 일반적인 기술 활동 중 하나이다. 동굴 지도는 '측량'이라고 불리며, 동굴 간의 길이, 깊이, 부피를 비교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동굴 생성에 대한 단서를 밝히며, 추가적인 과학 연구를 위한 공간적 기준을 제공하고, 방문객의 길 찾기를 돕는다.동굴 지도 제작 시에는 동굴 입구 등의 고정점을 출발점으로 하여, '''스테이션''' 사이에서 일련의 연속적인 조준선 측정을 수행한다. 방향 측정에는 나침반, 고저차 측정에는 클리노미터, 거리 측정에는 광파측정기 등이 사용된다. 직선적인 데이터와 함께, 형상의 상세, 오르막 또는 내리막, 물웅덩이 또는 유수의 유무, 지면의 물질이 무엇인지 등이 기록된다. 이것을 바탕으로 지도 제작자가 '''라인 플롯'''이라고 불리는 것을 작성하고, 추가 조사를 통해 상세한 지도로 갱신해 나간다. 동굴 지도를 2차원적으로 종이 위에 표현할 때는 '''평면도'''와 '''단면도'''로 불리는 그림으로 나타내지만, 컴퓨터에서는 3차원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케이빙을 즐기는 사람 중에는 기법으로서 동굴 지도 제작을 하는 사람도 있다.
동굴 지도의 정확도('''등급''')는 측정의 기술과 방법에 의존한다. 영국 동굴 조사 학회는 1960년대에 동굴 지도의 정확도를 6단계로 나누어 Grade One(기억에 근거한 간단한 스케치)부터 Grade Six(삼각대를 사용한 각종 기기와 온도 보정이 가능한 철제 줄자를 사용한 측정)로 하고, 가장 일반적인 정확도를 Grade Five로 했다. 이 Grade Five는 손에 들고 측정하는 기기를 사용하고, 정밀도가 10cm 이하의 줄자를 사용한 것을 가리킨다.
동굴 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기기는 진화를 계속하고 있다. 컴퓨터나 관성 시스템, 전자 거리 측정기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지하에서의 이용을 고려한 것은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4. 2. 측량 소프트웨어 문제
정확하고 상세한 동굴 지도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측량 오차는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동굴의 중심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측량을 진행하면 오차가 누적되고, 이는 두 번째 입구나 루프(loop)가 발견될 때 불일치로 나타난다. 이러한 불일치를 해결하고 측량의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측량 소프트웨어가 활용된다.동굴 측량 소프트웨어는 축적된 오차를 보정하고, 여러 측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보다 정확한 동굴 지도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동굴은 조사가 진행될수록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랜 시간에 걸쳐 축적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수정하는 기능이 필수적이다.
5. 동굴 생물학
동굴은 다양한 생물들의 보금자리이다. 동굴 생태계는 지표면 생태계와 완전히 분리된 것은 아니지만, 동굴이 깊어질수록 독특한 환경을 가진다.
동굴 생태계는 에너지와 영양분이 제한적이며, 햇빛과 식물 잔해의 유입이 차단되어 지표면에 비해 열악하다. 주요 에너지원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기물이나 박쥐와 같은 주기성 동굴 동물의 배설물 등이다.[6]
동굴 생태계는 매우 취약하여 댐 건설, 석회암 채석, 수질 오염, 벌목 등 인간의 활동으로 쉽게 파괴될 수 있다.[7]
5. 1. 동굴 환경
동굴은 안정적인 온도가 없고, 높은 상대 습도, 낮은 증발률, 제한된 유기물 공급으로 인해 미생물 성장에 매우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 동굴 내 미생물 집합체에는 고세균, 세균, 균류 및 기타 미세 진핵생물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도로 적응된 미생물 군집은 동굴 생태계의 살아있는 중추를 나타내며 구조 형성 및 영양 네트워크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5]동굴은 많은 독특한 생물군에게 보금자리를 제공한다. 동굴 생태계는 매우 다양하며 지표면 서식지와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는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굴이 깊어질수록 생태계는 희소해진다.
동굴 환경은 세 가지 일반적인 범주로 나뉜다.
- 내생 환경: 균열과 암석 틈새, 지하수 침투, 뿌리의 돌출을 통해 지표면 토양과 소통하는 동굴의 부분이다.
- 준지하 환경: 동굴 입구 근처의 임계 구역으로, 햇빛이 마지막으로 도달하는 곳까지 확장된다.
- 지하 환경: 또는 "진정한" 동굴 환경. 이는 바람과 지하 강, 또는 동물의 이동을 통해 지표면과 정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거나, 거의 완전히 고립될 수 있다. 깊은 지하 환경은 햇빛이 아닌 석회암 및 기타 광물에서 화학 자가 영양 박테리아에 의해 방출되는 화학 에너지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하는 자율적인 생태계를 호스팅할 수 있다.[12]
동굴 유기체는 다음 세 가지 기본 클래스로 나뉜다.
라틴어 | 영어 | 정의 |
---|---|---|
동굴생물 | 동굴 거주자 | 동굴 생활에 특화된 의무적인 동굴 거주자이다. 일부는 짧은 기간 동안 동굴을 떠날 수 있으며, 생애 주기의 일부를 지상에서 완료할 수 있지만 동굴 환경 밖에서는 전체 생애를 살 수 없다. 예로는 화학 영양 박테리아, 일부 종의 편형동물, 반딧불이, 톡토기 및 눈먼 물고기가 있다. |
동굴애호가 | 동굴 애호가 | 동굴에서 생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살 수 있지만, 지표면의 적절한 환경에서도 생애 주기를 완료할 수 있다. 예로는 동굴 귀뚜라미, 박쥐, 지네, 가짜전갈, 거미 등이 있다. |
동굴외래생물 | 동굴 손님 | 동굴을 자주 드나들며 생애 주기의 일부를 위해 동굴을 필요로 할 수 있지만, 생애의 적어도 일부는 지표면(또는 준지하 구역)으로 돌아가야 한다. 겨울잠을 자는 파충류와 포유류가 가장 널리 알려진 예이다. |
또한 생존 이유 없이 동굴에 들어가는 지표면 유기체인 소위 ''우연한 동굴외래생물''도 있다. 일부는 심지어 동굴에서 생존할 수 없는 ''동굴 혐오자''일 수도 있다. 예로는 싱크홀에 빠진 사슴, 홍수로 동굴로 쓸려 들어온 개구리 등이 있다.
동굴 생태계를 제한하는 두 가지 요인은 일반적으로 에너지와 영양분이다. 어느 정도까지는 활발하게 형성되는 카르스트 동굴에서 항상 수분을 이용할 수 있다. 햇빛과 식물 잔해의 꾸준한 퇴적이 차단된 동굴은 지표면의 습한 지역에 비해 열악한 서식지이다. 동굴 환경의 대부분의 에너지는 외부 생태계의 잉여분에서 나온다. 동굴에서 에너지와 영양분의 주요 원천 중 하나는 동굴외래생물(대부분 박쥐)의 배설물이다. 다른 출처는 위에서 언급했다.[6],[13]
동굴 생태계는 매우 취약하다. 희소성과 생태계 내 위치 때문에 많은 인간 활동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댐 건설, 석회암 채석, 수질 오염 및 벌목은 지하 생물 공동체를 파괴하거나 파괴할 수 있는 몇 가지 재해일 뿐이다.[7],[14]
5. 2. 동굴 생물의 분류
동굴 생물은 크게 진동굴성 동물, 호동굴성 동물, 주기성 동굴 동물로 나뉜다.[5]종류 | 정의 | 예시 |
---|---|---|
진동굴성 동물 | 동굴 생활에 특화된 생물이다. 짧은 기간 동굴을 떠날 수는 있지만, 동굴 환경 밖에서는 생애를 지속할 수 없다. | 화학 영양 박테리아, 일부 편형동물, 반딧불이, 톡토기, 눈먼 물고기 |
호동굴성 동물 | 동굴에서 생애 일부 또는 전부를 보낼 수 있지만, 지표면의 적절한 환경에서도 생애 주기를 완료할 수 있다. | 동굴 귀뚜라미, 박쥐, 지네, 가짜전갈, 거미 |
주기성 동굴 동물 | 동굴을 자주 드나들며 생애 주기의 일부를 위해 동굴을 필요로 할 수 있지만, 적어도 생애 일부는 지표면 (또는 준지하 구역)으로 돌아가야 한다. | 겨울잠을 자는 파충류와 포유류 |
이 외에도 생존과 관계 없이 동굴에 들어가는 '우연한 동굴외래생물'도 있다. 이들은 동굴에서 생존할 수 없는 '동굴 혐오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싱크홀에 빠진 사슴이나 홍수로 동굴에 쓸려 들어온 개구리 등이 있다.[6]
5. 3. 동굴 생태계 보존
동굴 생태계는 에너지와 영양분이 제한적이며 외부 환경 변화에 취약하다. 동굴 환경은 햇빛과 식물 잔해의 유입이 차단되어 지표면에 비해 열악한 서식지이다. 동굴 생태계의 주요 에너지원은 외부 생태계에서 유입되는 유기물 조각이나 주기성 동굴 동물(대부분 박쥐)의 배설물이다.[6][13]댐 건설, 석회암 채석, 수질 오염, 벌목 등 인간 활동은 지하 생물 공동체를 파괴하거나 크게 위협할 수 있다.[7][14]
6. 동굴 고생물학
동굴에서는 종종 포유류의 화석이 발견되는데, 이는 고생물학과 관련이 있다. 특히 수직갱은 대형 동물에게 함정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석회 동굴 내의 지하수는 석회 성분이 풍부하여 화석 뼈가 풍화되지 않고 보존되기에 적합하므로 과거에 살았던 생물군을 밝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일본에서는 도치기현 갓산, 히로시마현 테이샤쿠다이, 야마구치현 아키요시다이, 오키나와현 등의 석회 동굴 등에서 발견된 화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7. 동굴 기상학
동굴 내 기류, 기온, 습도, 동굴 내 안개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 지중 온도는 보통 -50cm에서 일변화가, -10m에서 연변화가 소실된다고 하지만, 카르스트와 같은 동굴 지대에서는 이를 훨씬 넘는 수 배에서 수십 배 깊이까지 외기온의 영향을 받는다.[11] 이는 동굴 계통이나 틈새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출입(굴뚝 효과)이나 빗물의 침투가 격렬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굴뚝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지표수의 동굴 내 침투가 적은 동굴에서는 지표 온도의 영향을 덜 받는다. 동절기에 영하로 떨어진 기류가 대량으로 동굴 내로 유입되는 동굴에서는 차갑고 밀도가 높은 공기가 동굴 내에 체류하여 하절기에도 동굴 내 기온이 영하로 유지되고, 얼음에 의한 동굴 내 장식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동굴을 빙동(얼음 구멍)이라고 한다.
동굴 내 기류가 지표와의 미지의 연결 동굴 탐사에 응용되는 경우도 있다. 굴뚝 효과가 일어나는 것으로 인한 동굴 내 공기의 계절적인 이산화탄소 분압의 변화에 의해, 동굴 생성물은 주로 동절기에 성장한다는 연구도 있다.[11]
8. 화산 동굴학
화산 지대의 동굴에서는 용암이 때때로 강한 자성을 띠기 때문에 나침반을 사용한 측량이 불가능하며, 이산화탄소 등의 화산성 가스의 체류 등에 충분히 주의해야 하는 등, 일반적인 동굴 조사와는 다른 조사・연구의 방법과 탐험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화산동굴학이라는 독립된 분야를 이루고 있다.
9. 기타 분야
동굴학자들은 고고학자들과 협력하여 로마의 클로아카 막시마와 같은 지하 유적, 터널, 하수도 및 수로를 연구한다.[15]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에는 1500년경부터 이웃 나라 벨기에까지 뻗어있는 고밀도 망상 구조로 굴착된 백악질 채굴 갱도가 있다. 총 연장은 200km에 달한다. 광부들이 벽면에 남긴 그림이나 조각상 등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ST. PIETERSBERG 동굴).
일본 우쓰노미야 지방에는 에도 시대부터 굴착된 오야석 지하 채굴장이 많이 있으며, 거대한 공간을 만들어 왔다. 1989년에는 그러한 오래된 공동의 붕괴로 인해 지름 100m, 깊이 30m의 함몰이 일어났다.
참조
[1]
논문
Disciplinary identities and crossing boundaries: The academization of speleology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s://meridian.all[...]
2015-01-01
[2]
웹사이트
What is the UIS?
http://www.uis-spele[...]
2019-04-28
[3]
서적
Karst Hydrology and Physical Spele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4]
논문
Speleothems
https://www.scienced[...]
2019
[5]
웹사이트
Microbial diversity and proxy species for human impact in Italian karst caves
https://www.nature.c[...]
2023-01-13
[6]
문서
Classifications of Cave Biota & Cave Environments
1996
[7]
문서
The Fragile Underground
[8]
간행물
Rome's Ruins
http://ngm.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006-07
[9]
문서
1977
[10]
문서
1987
[11]
문서
2009
[12]
문서
1978
[13]
문서
Classifications of Cave Biota & Cave Environments
1996
[14]
문서
The Fragile Underground
[15]
웹사이트
Ruins Under Rome
http://www7.national[...]
[16]
두피디아
동굴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