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기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기 시대는 구리와 석기를 함께 사용한 시대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기원전 40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해당한다. 이 용어는 19세기 후반에 등장했으며, 유럽, 근동,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각 지역의 동기 시대는 독특한 특징을 보이며, 구리 제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회, 문화적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사 시대 - 철기 시대
    철기 시대는 철제 도구와 무기, 특히 강철 합금의 생산과 사용이 보편화된 시기로, 청동기 시대보다 단단하고 가벼운 도구를 만들 수 있게 했으며, 농업 생산량 증가, 군사력 강화, 사회 구조 변화를 가져왔다.
  • 선사 시대 -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는 구리와 주석 합금인 청동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야금 기술 발달로 무기와 도구 제작 혁명, 농업 생산성 향상, 사회 발전, 장거리 무역 네트워크 발전을 가져왔고,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문화가 발전 후 철기 시대 도래와 함께 종말을 맞았다.
  • 역사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2013년
    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교황 사임, 북한 핵실험, 용산 개발 사업 부도, 윤창중 사건, 스노든 폭로, 김연아 우승, 방탄소년단 데뷔, 넬슨 만델라 사망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동기 시대
시대적 위치
시대선사 시대, 구리
이전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다음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개요
다른 이름에네올리트, 금석병용기
정의구리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석기가 여전히 널리 사용된 시대
주요 특징구리 사용, 농업 발달, 사회 계층화 시작, 초기 도시 등장
지역별
아프리카 (기원전 2600년~기원후 1600년)나카다 문화
게르제 문화
A-그룹 문화
C-그룹 문화
케르마 문화
서아시아 (기원전 6000년~3500년)가술 문화 , 우루크 시대
유럽 (기원전 5500년~2200년)빈차 문화
바르나 문화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얌나 문화
코드웨어 문화
체르나보다 문화
데체아 무레슐루이 문화
고르네슈티 문화
구멜니차-카라노보 문화
페트레스티 문화
코초페니 문화
레메델로 문화
가우도 문화
몬테 클라로 문화
중앙아시아 (기원전 3700년~1700년)보타이 문화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복합체
아파나시에보 문화
남아시아 (기원전 4300년~1800년)인더스 문명 시대 구분
비르하나 문화
하크라웨어 문화
아하르-바나스 문화
카야타 문화
말와 문화
사발다 문화
조르웨 문화
아나르타 전통
아제이 문화
중국 (기원전 5000년~2900년)중국의 신석기 문화 목록
메소아메리카 (기원전 6500년~1000년)콜럼버스 이전 메소아메리카의 야금
관련 주제
관련 주제금속 공학
바퀴
말의 가축화

2. 용어

동기 시대(Chalcolithic)는 그리스어 칼코스(khalkos, 구리)와 리토스(lithos, 돌)의 합성어로, 구리와 석기가 함께 사용된 시기를 의미한다. 19세기 후반, 헝가리 과학자 페렌츠 풀스키는 카르파티아 분지에서 발견된 구리 유물을 바탕으로 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의 삼시대 구분에 구리 시대를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1881년, 존 에반스는 구리 사용이 청동기 사용보다 앞선다는 점을 지적하며 '과도기적 구리 시대'와 '진정한 청동기 시대'를 구분했다. 그는 이 과도기 시대를 청동기 시대의 일부가 아닌, 삼시대 구분법과는 별도로 묘사했다.[6]

1884년, 가에타노 키에리치는 이를 이탈리아어로 ''에네오-리티카(eneo-litica)'', 즉 '청동-석기' 과도기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이 용어가 청동과 석기가 모두 사용된 유일한 시대라는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구리 시대는 청동을 제외한 구리 사용이 특징이며, 석기는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리티카''는 과도기가 시작된 시점을 석기 시대로 명명한 것일 뿐, 또 다른 ''-석기'' 시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6]

이후 영국 학자들은 에반스의 '구리 시대' 또는 '에네올리식(Eneolithic)'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키에리치의 ''에네오-리티카''를 번역한 것이다. 그러나 '에네올리식'이 '신석기 시대 외부'에서 파생된 것처럼 보여 구리 시대를 명확하게 특징짓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1900년경, 많은 학자들이 이러한 오해를 피하기 위해 ''칼코리식(Chalcolithic)''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칼코리식은 그리스어 'khalkos'(구리)와 'lithos'(돌)를 결합한 단어이다.

하지만 '칼코리식' 역시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 이탈리아어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칼코리식''이 구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석기 시대의 일부인 또 다른 ''-석기'' 시대를 암시하는 것처럼 보였다. 오늘날, ''구리 시대'', ''에네올리식'', ''칼코리식''은 모두 에반스의 원래 구리 시대 정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유럽 고고학 문헌에서는 일반적으로 '칼코리식' 대신 '구리 시대'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동유럽에서는 '에네올리식'을 선호한다. 중동 고고학자들은 '칼코리식'을 주로 사용한다.[7]

3. 각 지역의 동기 시대

이스라엘 네게브 사막의 팀나 계곡에서 발견된 동기 시대의 구리 광산


알프스에서 발견된 기원전 3300년 전의 외찌 아이스맨은 구리 도끼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유럽에서 구리 채광이 적어도 5300년 전에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세르비아의 프로쿠플례에서도 구리 도끼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인간의 금속 도구 사용이 유럽에서는 약 7500년 전(기원전 5500년)에 시작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33]

이집트의 동기 시대는 청동기를 가진 이집트 중왕국까지 이어졌으며, 제18왕조가 되어서야 청동기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구리 시대는 중동에서 시작되었으며,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사이의 과도기이다. 이 시기는 전통적인 삼시대법(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에서는 예외적인 경우이다. 구리가 널리 사용되기 전에 주석 등으로 합금하려는 시도가 빠르게 시작되었기 때문에, 구리 문화 및 구리 시대의 구분을 명확히 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이러한 구분은 주로 기원전 4천 년 전후의 남동 유럽, 서아시아, 중앙아시아에만 사용된다. 유럽 고고학에서는 "구리 시대"라는 용어를 선호하는 반면, 중동의 고고학에서는 "금석 병용 시대"라는 용어가 동의어로 사용된다.

아스코 팔포라[31]에 따르면, 기원전 4300년~기원전 3200년 사이 인더스 문명 지역의 토기는 남투르크메니스탄이나 북이란과의 유사성을 보여주며, 이는 인구 이동과 교역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아메리카 문명에는 일반적으로 구리 시대 구분이 적용되지 않지만, 올드 코퍼 컴플렉스(현재 미시간주, 위스콘신주에 위치)에서는 구리를 도구, 무기 및 기타 도구에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적이 있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인공물은 기원전 4000년부터 기원전 10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며, 전 세계에서도 가장 오래된 유적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3. 1. 근동

야금술은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처음 등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간이 처음으로 제련광석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방연광을 가열하여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8]

초기 납 제련의 증거는 아나톨리아차탈회위크 유적(기원전 7천년기)에서 발견되는 납 구슬에서 찾을 수 있다.[9][10] 구리 제련은 기원전 6000년경 같은 유적지에서 나타나는데, 납 제련보다 늦게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13] 초기 야금술은 인근 텔 마그잘리야 유적지에서도 확인되며, 이곳은 도자기가 전혀 없는 더 이른 시기로 추정된다.

팀나 계곡에는 기원전 7000–5000년의 구리 채광 증거가 있다. 이란의 테헤란 평원에 있는 6개 고고학 유적지 분석에 따르면, 구리 도구 사용이 증가하면서 석기 유물의 재료 품질과 미적 변형에서 뚜렷한 하향 추세가 나타났다. 파젤리와 코닝햄(Fazeli & Coningham)은 이를 구리 도구 사용 증가로 인해 공예 전문화가 상실되었다는 증거로 보았다.[14] 테헤란 평원의 발견은 구리 작업 기술 도입이 석기 공예 전문가 시스템과 원자재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신석기 시대에 발전했던 교환 네트워크와 전문적인 가공 및 생산은 찰코리스 시대 중반(기원전 4500–3500년경)에 붕괴되고, 주로 가정 기반의 석기 도구 생산에 의한 지역 재료 사용으로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14]

기원전 4200년경 터키 동부(말라티아 주)의 노르순테페와 데기르멘테페 유적에서는 비소 구리 또는 청동이 생산되었다. 노르순테페 유적지에서는 기원전 4천년까지 비소 합금이 실제로 만들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노르순테페에서 확인된 슬래그에는 비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어떤 형태로든 비소가 별도로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15]

3. 2. 유럽

세르비아의 프로쿠플례에서 발견된 구리 도끼는 기원전 550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구리 제작의 가장 오래된 증거 중 하나이다.[33][16] 이는 구리 제련이 단일 기원지에서 전파된 것이 아니라 당시 아시아와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발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4]

기원전 3300년경의 외치 아이스맨은 구리 도끼를 소지하고 있어, 당시 유럽에서 구리 사용이 확산되었음을 보여준다. 유럽의 전투 도끼 문화는 구리 도끼를 본뜬 석제 도끼를 사용하기도 했다.

스페인 로스 밀라레스의 구리 시대 성벽 정착지 그림


유럽의 동기 시대 문화로는 이베리아 반도의 빌라 노바 데 상 페드로와 로스 밀라레스 유적이 대표적이며,[17] 이곳에서 비커 문화의 토기가 발견되기도 한다. 비커 문화는 유럽에 구리 및 청동 기술과 인도유럽어를 전파한 것으로 추정된다.

3. 3. 남아시아

메르가르 유적에서는 기원전 7700년에서 기원전 3300년 사이에 구리 광물을 이용한 도구가 제작되었다.[34] 인더스 문명 지역에서는 기원전 4300년에서 기원전 3200년 사이에 도자기 양식이 남투르크메니스탄 및 북이란 지역과 유사성을 보여, 활발한 교역과 인구 이동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인도에서는 아하르-바나스, 카이타, 말와, 조르웨 문화 등 독특한 도자기 양식을 가진 동기 시대 농경 공동체가 번성했다. 이들 문화의 도자기 양식은 다음과 같다.

문화시기특징
바나스기원전 2000년~기원전 1600년빨강, 흰색, 검은색 디자인
카이타기원전 2450년~기원전 1700년갈색 디자인
말와기원전 1900년~기원전 1400년빨강 또는 검은색 디자인
조르웨기원전 1500년~기원전 900년무광 표면, 흑색-적색 디자인

[20][21]

3. 4. 동아시아

기원전 5000년경 시안 동쪽 양사오 문화의 반포기 유적인 장자(姜寨)와 홍산 문화에서 동기가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28]

양사오 문화(기원전 5000–3000년) 시대에 구리 제조가 점차 나타났다. 장자는 반포 문화에서 구리 유물이 발견된 유일한 유적지이다. 고고학자들은 기원전 4천년 말부터 3천년 초까지 다양한 문화에서 구리 야금의 흔적을 발견했다. 여기에는 홍산 문화(4700–2900)의 구리 제련 유적과 구리 유물, 그리고 위안워전 유적의 구리 슬래그가 포함된다. 이는 황허 강 유역의 사람들이 양사오 문화 후기에 이미 구리 유물을 만드는 방법을 배웠음을 나타낸다.[29]

3. 5. 아메리카 대륙

미국 고고학에서는 금속 시대를 포함하지 않는 5개 시대 체계를 관례적으로 사용하지만, 금속 가공 기술은 일부 지역에서 유럽과의 접촉보다 앞섰다.

올드 코퍼 컴플렉스는 상부 오대호 지역(현재의 미시간과 위스콘신)을 중심으로 도구, 무기, 개인 장식품을 구리로 채굴하고 제작했다.[25] 이 유적지에서 나온 유물은 기원전 4000년에서 기원전 1000년 전의 것이며, 전 세계 동기 시대 유적지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곳 중 하나이다.[35]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제련 또는 합금에 대한 증거는 일부 논쟁의 대상이며, 고고학자들의 일반적인 가정은 물체가 냉간 가공으로 성형되었다는 것이다.[26]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문명은 구리 제련을 독자적으로 발명한 것으로 보인다.[24]

3. 6.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니제르 아르 산맥 지역에서는 기원전 3000년에서 2500년 사이에 독자적인 구리 제련 기술이 발전하였다. 이 과정은 발달된 상태는 아니었지만, 제련 기술이 외래에서 유입된 것은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기원전 1500년경에 성숙 단계에 접어들었다.[30]

참조

[1] 웹사이트 Chalcolithic https://www.britishm[...] 2023-08-12
[2] 백과사전 Chalcolithic Clarendon Press
[3] 논문 On the Timing of the Old Copper Complex in North America: A Comparison of Radiocarbon Dates from Different Archaeological Contexts https://www.cambridg[...] 2021-04
[4] 논문 On the origins of extractive metallurgy: New evidence from Europe https://www.scienced[...] 2022-09-06
[5] 논문 Tainted ores and the rise of tin bronzes in Eurasia, c. 6500 years ago http://discovery.ucl[...] 2019-06-11
[6] 논문 The 'Copper Age' – a history of the concept 2019-09-01
[7] 서적 Is There a British Chalcolithic?: People, place, and polity in the later third millennium Oxbow books
[7] 웹사이트 Abstracted http://www.oxbowbook[...]
[8] 서적 Ancient Mesopotamian Materials and Industries: The Archaeological Evi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9] 서적 Early Metal Mining and Production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USA) and Edinburgh University Press (GB) 1995
[10] 서적 Çatal Hüyük: A Neolithic Town in Anatolia https://catalog.loc.[...] McGraw-Hill / Thames and Hudson 1967
[11] 서적 Prehistoric Archeology Along the Zagros Flanks https://isac.uchicag[...]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983
[12] 논문 The Investigations of Soviet Expedition in Iraq 1974 The State Organization of Antiquities, Ministry of Culture and Arts 1977
[13] 서적 A Companion to the Archaeology of the Ancient Near East John Wiley & Sons 2012-08-15
[14] 논문 Stone tool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se during the Late Neolithic and Chalcolithic on the Tehran plain, Iran
[15] 간행물 Reconstructing the Arsenical Copper Production Process in Early Bronze Age Southwest Asia. https://web.archive.[...]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3-05-14
[16] 뉴스 Ancient axe find suggests Copper Age began earlier than believed http://www.thaindian[...] 2008-10-09
[17]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논문 Crafts and technologies of the Chalcolithic people of South Asia: An overview
[19] 논문 A pottery workshop with flint tools on blades knapped with copper at Nausharo (Indus civilisation
[20] 서적 The Pearson Indian History Manual for the UPSC Civil Services Preliminary Examination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1] 서적 Encyclopedia of Prehist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3-03-31
[22] 웹사이트 The Excavations at Pandu Rajar Dhibi https://indiancultur[...] 2023-07-03
[23] 논문 Royal "chariot" burials of Sanauli near Delhi and archaeological correlates of prehistoric Indo-Iranian languages https://journal.fi/s[...]
[24] 논문 A millennium of metallurgy recorded by lake sediments from Morococha, Peruvian Andes 2007-05-01
[25] 서적 Indian Mounds of Wisconsi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6] 논문 On the Timing of the Old Copper Complex in North America: A Comparison of Radiocarbon Dates from Different Archaeological Contexts https://www.cambridg[...] 2023-02-11
[27] 논문 Did Midwest pre-Columbia[n] Indians cast metal? A new look
[28] 논문 Jiangzhai: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of a Middle Neolithic Chinese village 2012-09
[29] 서적 The Formation of Chinese Civilization: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Yale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Civilizations of Africa University of Virginia
[31] 간행물 インダス文字解読の現状について(Study of the Indus script) http://www.helsinki.[...] 東方学会
[32] 문서
[33] 웹인용 Ancient axe find suggests Copper Age began earlier than believed http://www.thaindian[...] 2009-10-27
[34] 문서
[35] 문서 The Old Copper Complex of the Western Great Lak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