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기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기 시대는 철의 제련 기술 발달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철기 제작 기술의 확산은 무기, 농기구 제작에 영향을 미쳐 농업 생산량 증가와 권력 집중을 가져왔다. 철기 시대는 청동기 시대를 대체하며, 지역에 따라 시기는 다르지만 근동,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에서 철기 시대는 독자적인 발전과 특징을 보였으며, 특히 아프리카에서는 석기 시대에서 바로 철기 시대로 이행하는 등 다양한 양상을 나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기 시대 - 갈리아
갈리아는 기원전 4세기부터 로마에 정복되기 전까지 현재의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이탈리아 북부 등을 포함하는 지역에 켈트족이 거주했던 지리적 명칭으로, 로마 제국 시대에는 로마 문화와 융합하여 갈로-로마 문화를 형성하고 프랑스 역사의 기반이 되었다. - 철기 시대 - 신아시리아 제국
신아시리아 제국은 기원전 934년부터 기원전 609년까지 존속했던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제국으로, 제국주의와 보편 군주제를 지향하며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근동 지역을 통치하고 넓은 영토를 다스렸으며 후대 제국에 유산을 남겼다. - 선사 시대 -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는 구리와 주석 합금인 청동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야금 기술 발달로 무기와 도구 제작 혁명, 농업 생산성 향상, 사회 발전, 장거리 무역 네트워크 발전을 가져왔고,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문화가 발전 후 철기 시대 도래와 함께 종말을 맞았다. - 선사 시대 - 신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만 년경부터 기원전 2천 년경까지 간석기 사용, 농경과 목축의 시작을 특징으로 하며, 지역에 따라 토기 사용이나 정착 생활 등이 추가적인 기준이 되고, 서남아시아에서 시작된 문화가 확산되어 농업과 목축의 발전으로 신석기 혁명이 일어났고, 각 지역의 환경과 문화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문화가 발전하다 청동기 또는 철기 시대의 도래와 함께 종료되었다. - 고고학 - 선사 시대
선사 시대는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이전 시대로, 고고학 등의 연구를 통해 인류 출현부터 문자의 발명까지를 아우르며 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로 나뉜다. - 고고학 -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는 구리와 주석 합금인 청동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야금 기술 발달로 무기와 도구 제작 혁명, 농업 생산성 향상, 사회 발전, 장거리 무역 네트워크 발전을 가져왔고,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문화가 발전 후 철기 시대 도래와 함께 종말을 맞았다.
철기 시대 | |
---|---|
지도 | |
시대 | |
시대 | 선사 시대 |
해당 기간 | 기원전 2000년경 – 기원전 100년경 |
연대 | 기원전 400년경 – 기원후 100년경 |
이전 시대 | 청동기 시대 |
다음 시대 | 역사 시대 |
기술 | |
주요 기술 | 철 제련 기술 |
도구 및 무기 | 철 도구 철제 무기 |
지역별 철기 시대 | |
유럽 | 유럽 |
근동 | 근동 |
남아시아 | 남아시아 |
동남아시아 | 동남아시아 |
동아시아 | 동아시아 |
서아프리카 | 서아프리카 |
역사적 맥락 | |
관련 시대 | 인류의 역사와 선사 시대 |
삼시대 체계 | 삼시대 체계 |
호모 | 호모 , 호모 에렉투스 |
에피팔레올리트 | 에피팔레올리트, 중석기 시대 |
문자의 역사 | 최초의 기록 |
원사 시대 | 원사 시대 |
근대 시대 | 초기 |
현대사 | 현대 |
플라이오세 | 플라이오세 |
홀로세 | 홀로세 |
2. 철의 제련 기술
초기 제철은 용광로에 목탄과 광석을 층층이 넣고 풀무로 공기를 불어넣어 일산화탄소가 철과 결합하고 있는 산소를 빼앗아 이산화탄소가 되고 금속 철이 되는 방식이었다. 이 화학 반응에 필요한 온도는 400~800도 정도이며, 온도가 낮으면 고체 상태로 환원되어 산소를 잃은 구멍투성이의 해면철이 된다. 굳건한 표면 위에서 적열 상태로 두들겨 불순물을 짜내고 철 원자끼리 다시 결합시켜 순수한 철로 만들 수 있다. 이것이 "단련하다"는 작업이다. 더 나아가 숯에 싸서 탄소 성분을 더해 단련하면 "강"을 제련할 수 있다.
철의 이용은 철기 시대의 시작보다 훨씬 이전부터였으며, 기원전 3000년경에는 이미 메소포타미아에서 철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초기에는 융점이 높았기 때문에 철광석에서 철을 제련할 수 없어, 주로 운철을 철의 재료로 사용했다. 이후 이집트 등에서도 출토 사례가 있지만, 제련의 어려움과 운철의 희소성 등으로 인해 이용이 많지 않았고, 무기와 농기구로는 주로 청동을 사용했다.
제철 기술은 일단 확산이 시작되자 상당한 속도로 구대륙 각지에 전파되었다. 기원전 1500년경부터 급속한 이동과 확장을 계속하고 있던 반투계 민족에게도 철기 제조 기술이 받아들여져, 기원전 3세기경에는 빅토리아 호 연안에 도달했다.[79] 이 지역은 반투계 민족의 제2차 확산의 중심지이며, 여기서 동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남아프리카로 철기 문명이 급속도로 확대되었다.
유럽에서는 지중해 연안의 이탈리아 반도 중부에 기원전 1100년경부터 빌라 노바 문화가 번영하고, 기원전 750년경부터 이 문화가 도시를 형성하여 에트루리아의 여러 도시가 성립했다. 중앙 유럽에서는 청동기 문명 후기 단계에 있던 할슈타트 문화가 기원전 800년경에 철기를 받아들이고, 기원전 450년경부터는 대신 라 테네 문화가 번영하게 되었다. 인도에서의 철기 시대는 기원전 1200년경에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우크라이나에서 중앙아시아의 초원 지대에서는 기원전 800년경부터 스키타이가 세력을 갖게 되지만, 스키타이는 철기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중국에서는 은나라 시대의 유적에서 이미 철기가 발견되고 있지만, 주로 사용된 것은 청동기였다. 본격적으로 제철이 시작된 것은 춘추 시대 중기인 기원전 600년경이며, 전국 시대가 되어 철제 무기도 사용되게 되었다. 동아시아 북부에서는 중국보다 일찍 철기가 전해져, 연해주에서는 기원전 1000년경에 철기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2. 1. 초기 철 생산
철은 초기 단계에서는 융점이 높아 제련이 어려웠다. 초기에는 주로 운철을 철의 재료로 사용했다.[6][7][8]제련된 철은 청동기 시대 중반부터 고고학 기록에 산발적으로 나타난다. 지구상의 철은 풍부하지만, 철을 제련하려면 1250°C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며, 기원전 2천년 말까지는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술로는 달성하기 어려웠다. 반면, 녹는점이 231.9°C인 주석과 상대적으로 녹는점이 1085°C로 온화한 구리로 이루어진 청동의 구성 요소는 기원전 6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신석기 시대 가마의 능력 범위 내에 있었으며, 900°C 이상의 온도를 생성할 수 있었다.[9]
고대 철 생산은 특수하게 설계된 용광로 외에도 불순물 제거, 탄소 혼합 조절을 위한 복잡한 절차 개발, 그리고 강철의 경도와 강도의 유용한 균형을 달성하기 위한 열간 가공의 발명을 필요로 했다.
아프리카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나이지리아 중부의 조스 고원에 녹 문화가 성립했지만, 이 문화는 용광로에 의한 철의 제련을 하고 있었고, 기원전 7세기부터 기원전 6세기의 블루머리로(Bloomery)도 발견되고 있다. 동시기에 수단의 메로에에서도 대량의 제철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아프리카로의 제철 전파 경로로는, 메로에에서 아프리카 전역으로 제철법이 전해졌다는 설과, 메로에와 서아프리카에 동시기에 별도 경로로 제철법이 전해지고, 그것이 전파되었다고 하는 설, 그리고 서아프리카에서 독자적으로 제철법이 개발되었다는 설이 있다.[78] 과거에는 첫 번째 설이 유력했지만, 서아프리카에서의 제철 시작 시기가 상당히 오래되었고, 메로에와 서아프리카의 제철법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에서 현재는 유력한 설이라고는 할 수 없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청동기가 철기와 함께 확산되어, 단독의 청동기 시대가 없이 석기 시대에서 직접 철기 시대로 이행한 것도 특징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철 야금술의 시작은 기원전 3000~2500년 사이이며, 나이지리아, 카메룬, 중앙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기원전 2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초기 철 야금술의 증거가 있다.
3. 철기 시대의 특징
철의 원료가 되는 모래철과 철광석은 청동기의 원료인 구리 광석이나 주석 광석에 비해 세계 여러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다. 철은 가공이 용이하고 강도가 강해 무기나 농기구 등의 원료로 적합했기 때문에, 제철법이 전파된 지역에서는 청동을 대신하여 철을 금속기의 중심으로 삼게 되었다.
철제 농기구와 무기가 대량 생산되면서 농작물 등의 생산량이 증가하여 부의 축적이 더욱 진전되었고, 각지의 왕들은 더욱 강력한 군사력을 갖추게 되었다. 축적된 부와 무력은 주변 지역의 통합으로 이어져 각지에서 강대한 통일 왕조가 성립하게 되었다. 또한, 선진 지역에서는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사상 체계의 확립도 진행되어, 철학사적으로 "주축 시대"라고 불리는 기원전 500년경 세계 동시의 사상적 대변혁이 일어났다. 이 외에도 청동기 시대에 국가를 형성하지 않았던 유럽이나 중앙아시아의 스텝 지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일본 등에서도 철기 보급에 따른 부의 증대와 편재는 권력 집중을 촉진하여 국가가 성립하게 되었다.
4. 지역별 철기 시대
현대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기원전 1200년경부터 세계적으로 철 생산이 시작되어 청동기 시대가 끝나고 철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유럽의 철기 시대는 근동의 청동기 붕괴와 연관되어 나타난다.
앤서니 스노드그래스[15][16]는 기원전 1300년경 지중해 지역에서 주석이 부족해지고 무역이 중단되면서 금속 세공인들이 청동 대신 철을 찾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당시 많은 청동 도구가 무기로 재활용되었고, 철의 광범위한 사용은 개선된 제철 기술과 낮은 비용으로 이어졌다. 주석 공급이 재개되었을 때 철은 이미 더 저렴하고 강하며 가벼웠기 때문에, 단조 철 도구가 주조 청동 도구를 영구적으로 대체하게 되었다.[17]
중앙 유럽과 서유럽의 철기 시대는 기원전 800년경부터 기원전 1년경까지, 북유럽에서는 기원전 600년경, 북스칸디나비아에서는 기원전 500년경에 시작되었다.
근동의 철기 시대는 기원전 1200년경(청동기 붕괴)부터 기원전 550년경(또는 기원전 539년)까지로, 헤로도토스의 역사서술 시작과 함께 원시 역사 시대가 끝나는 시점으로 여겨진다.
중국에서는 문자가 먼저 발달했기 때문에 철기 가공을 특징으로 하는 선사 시대가 없으며, 청동기 시대 중국은 진나라로 거의 직접적으로 이어진다. 중국의 맥락에서 "철기 시대"는 철 야금술이 지배적이지는 않았더라도 존재했던 기원전 900년경부터 기원전 100년까지의 과도기로 사용되기도 한다.
4. 1. 근동
기원전 13세기경 아나톨리아(현재의 터키)와 코카서스(현재의 유라시아) 지역에서 제철 및 제련 기술이 개발되면서 근동의 철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기술은 서아시아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기원전 1세기에는 청동 무기가 철제 무기로 대체되었다.[83] 히타이트는 철제 무기를 사용하여 에게해 인근의 강력한 패권국으로 부상했다.[83] 히타이트의 세력 확장은 철기 문화를 유럽과 아시아로 전파하는 계기가 되었다. 히타이트는 팔레스타인 및 이집트와의 교역을 통해 아시아 지역으로, 도리아 인과의 교역을 통해 유럽으로 제련 기술을 전파했으며, 아시리아 왕국 또한 히타이트와의 교역을 통해 철기 제련법을 최초로 접하게 되었다.[83]발견된 초기 비귀금속의 사례와 분포는 아래 표와 같다.[83]
년대 | 크레타 | 에게해 | 그리스 | 키프로스 | 전체 | 아나톨리아 | 총합계 |
---|---|---|---|---|---|---|---|
1300–1200 BC | 5 | 2 | 9 | 0 | 16 | 33 | 65 |
1200–1100 BC | 1 | 2 | 8 | 26 | 37 | N.A. | 74 |
1100–1000 BC | 13 | 3 | 31 | 33 | 80 | N.A. | 160 |
1000–900 BC | 37E | 30 | 115 | 29 | 140 | N.A. | 211 |
전체 청동기 시대 | 5 | 2 | 9 | 0 | 16 | 33 | 65 |
전체 철기 시대 | 51 | 35 | 163 | 88 | 337 | N.A. | 511 |
터키 카만-칼레회위크(카만-칼레회위크)에서 발견된 소량의 철 파편은 기원전 2200~2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탄소 연대 측정, 고고학적 맥락, 고고금속학적 검사를 종합하면 기원전 3천년기에 이미 강철로 만든 철제품이 중앙 아나톨리아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0] 기원전 1800년경 중앙 아나톨리아에서는 철제 도구가 매우 제한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주로 엘리트 계층이 신히타이트 제국(기원전 1400~1200년경) 시대에 일반적으로 사용했다.[11]
4. 2. 유럽
기원전 1000년경 소아시아에서 철기 제품이 유럽으로 유입되었다. 이후 500년에 걸쳐 북쪽과 서쪽으로 서서히 확산되었다.중앙 유럽과 서유럽의 철기 시대는 기원전 800년경부터 기원전 1년경까지 지속되었으며, 북유럽에서는 기원전 600년경, 북스칸디나비아에서는 기원전 500년경에 철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중앙 유럽의 철기 시대는 할슈타트 문화(기원전 800년~450년)와 라 텐 문화(기원전 450년 시작)로 구분된다. 이탈리아 반도에서는 기원전 1100년경부터 빌라노반 문화가 번성하였고, 기원전 750년경부터 이 문화가 도시를 형성하여 에트루리아의 여러 도시가 성립했다.
4. 3. 아시아
철기 시대의 도래와 함께 철의 제련 및 가공 기술은 아시아 각지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철은 모래철과 철광석 형태로 쉽게 구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각 지역에서 자체적인 제철 기술이 발달하여 금속기의 증산으로 이어졌다. 철은 가공이 쉽고 강도가 강해 무기와 농기구 제작에 적합했기 때문에, 청동기를 대체하여 금속기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철제 농기구와 무기의 대량 생산은 농업 생산량 증가와 부의 축적을 가져왔고, 각 지역의 왕들은 더욱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는 주변 지역 통합으로 이어져, 오리엔트에서는 최초의 통일 제국인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이 성립되었다. 인도에서는 16대국과 같은 왕조들이 성립한 후 마가다국이 강대해져 마우리아 왕조에 의해 통일되었다. 중국에서는 춘추전국시대를 거쳐 진나라에 의한 통일이 달성되고, 한나라에 의해 통일 상태가 고정되는 등 각지에서 강력한 통일 왕조가 성립하였다.
기원전 500년경에는 사회 복잡화에 따라 사상 체계 확립이 진행되어, 철학사적으로 "주축 시대"라고 불리는 사상적 대변혁이 일어났다. 청동기 시대에 국가를 형성하지 않았던 유럽, 중앙아시아의 스텝 지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등에서도 철기 보급에 따른 부의 증대와 편재는 권력 집중을 촉진하여 국가 성립으로 이어졌다.
철의 이용은 철기 시대 시작 이전인 기원전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이미 알려져 있었고, 아프리카 또한 기원전 3000년에서 기원전 2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초기에는 융점이 높아 철광석에서 철을 제련하기 어려워 주로 운철을 사용했다. 이후 이집트 등에서도 철기가 출토되었지만, 제련의 어려움과 운철의 희소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무기와 농기구로는 주로 청동을 사용했다.
4. 3. 1. 동아시아
중국에서는 은나라 시대 유적에서 철기가 발견되기도 했지만, 이는 널리 사용된 것이 아니라 주로 청동기가 사용되었다. 본격적인 제철은 춘추 시대 중기인 기원전 600년경에 시작되었고, 전국 시대에 철제 무기가 사용되었다.한편 동아시아 북부에서는 중국보다 이른 시기에 철기가 전래되어, 연해주에서는 기원전 1000년경에 이미 철기 시대를 맞이하고 있었다.
4. 3. 2. 한국
기원전 4세기경, 전국 시대 말기에서 서한(西漢) 초기에 이르는 시기에 중국과의 교역을 통해 철기가 한반도에 도입되었다. 기원전 2세기경 제철 기술이 빠르게 전파되었으며, 서기 1세기경에는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철제 농기구가 보편화되었다.[84] 철기 도입 시기에 대해 북한은 기원전 8~7세기로 보는 반면, 남한은 기원전 3~2세기로 보는 등 학계에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4. 3. 3. 남아시아
인도에서는 갠지스강 언덕의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기원전 1800년경에 철기가 등장했음이 밝혀졌다.[15] 기원전 1000년경 초, 인도에서 철 야금술이 발전했다. 기원전 1200년경에는 철기가 중동 지역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청동기의 지배적인 사용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했다.시기 | 문화/사건 | 설명 |
---|---|---|
기원전 1200년경 ~ 기원전 650년경 | 회색도색토기 문화(PGW) | |
기원전 650년경 ~ 기원전 200년경 | 북부흑광토기 문화(NBPW) | |
기원전 200년경 | 마우리아 제국 |
4. 4. 아프리카
기원전 5세기경 나이지리아 중부 조스 고원에 녹 문화가 성립되었으며, 이 문화는 용광로를 이용한 철 제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기원전 7세기에서 6세기의 블루머리로(Bloomery)도 발견되고 있다.[78] 같은 시기 수단의 메로에에서도 대규모 제철이 이루어졌다. 아프리카의 철 제련 전파 경로로는 메로에에서 아프리카 전역으로 제철법이 전해졌다는 설, 메로에와 서아프리카에 동시기에 별도 경로로 제철법이 전해지고 그것이 전파되었다는 설, 서아프리카에서 독자적으로 제철법이 개발되었다는 설이 있다.[78] 과거에는 첫 번째 설이 유력했지만, 서아프리카의 제철 시작 시기가 상당히 오래되었고 메로에와 서아프리카의 제철법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 때문에 현재는 유력한 설로 보기 어렵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청동기가 철기와 함께 확산되어 청동기 시대 없이 석기 시대에서 바로 철기 시대로 이행한 것도 특징이다. 기원전 1500년경부터 급속한 이동과 확장을 계속하던 반투계 민족에게도 철기 제조 기술이 전해져 기원전 3세기경 빅토리아 호 연안에 도달했다.[79] 이 지역은 반투계 민족의 2차 확산 중심지이며, এখান থেকে 동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남아프리카로 철기 문명이 빠르게 확대되었다.
5. 철기 시대의 종말
철기 시대는 각 지역의 역사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끝났다. 유럽에서는 로마 제국의 확장과 함께 철기 시대가 막을 내렸다. 중국에서는 진나라, 한나라와 같은 통일 왕조 성립 이후에도 철기 기술은 계속 발전했다.
인도의 초기 철기 시대는 기원전 1000년부터 기원전 600년까지 지속되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아누라다푸라와 시기리아의 알리가라 보호소에서 수집되었다.[60][61][62][63] 아누라다푸라 정착지는 기원전 800년경 10ha로 기록되어 있으며, 기원전 700~600년경에는 50ha로 성장하여 도시가 되었다.[64] 초기 철기 시대 지도자의 유골은 자프나의 아나이코다이에서 발굴되었다. "코 베타"라는 이름이 해당 유골과 함께 묻힌 인장에 브라마 문자로 새겨져 있으며, 발굴자들은 이를 기원전 3세기로 추정한다. 타밀어로 "왕"을 의미하는 "코"는 당시 남인도의 브라마 비문에 나오는 "코 아탄"과 "코 푸티비라"와 같은 이름과 비슷하다.[65] 초기 철기 시대 유적지는 칸다로다이, 마토타, 필라피티야, 티사마하라마에도 존재할 것으로 추측된다.[61]
인도 아대륙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확실하게 해독된 금석문은 기원전 3세기의 아쇼카의 칙령이며, 브라마 문자로 되어 있다.
6. 한국 철기 문화의 특징과 의의
한반도의 철기 문화는 중국, 북방 유목 민족과의 교류를 통해 발전했으며, 독자적인 특징을 형성했다. 철제 농기구의 보급은 농업 생산력을 크게 향상시켰고, 이는 사회 발전에 기여했다. 철제 무기는 군사력 강화에 기여하여, 삼국 시대 국가 간 경쟁과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가야는 풍부한 철 생산을 바탕으로 성장했으며, 철은 대외 교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신라, 백제, 고구려 등 삼국은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고대 국가 체제를 확립하고 발전해 나갔다. 특히 신라는 김씨 왕족들이 철광산을 독점하고 철기 생산을 주도하며,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화를 꾀하였다는 점에서 철기의 정치적 중요성이 부각된다.
참조
[1]
Britannica
The Metal Ages
https://www.britanni[...]
[2]
서적
European Prehistory: A Survey
https://books.google[...]
Springer
[3]
학술지
From bronze to iron: the transition from the bronze age to the iron age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https://ixtheo.de/Re[...]
Astroem
1978
[4]
서적
Das Staats-Lexikon: Bd.
https://books.google[...]
F. A. Brockhaus
2024-07-19
[5]
간행물
''Oriental Institute Communications''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6]
학술지
5,000 years old Egyptian iron beads made from hammered meteoritic iron
http://discovery.ucl[...]
[7]
서적
Archaeominera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Berlin Heidelberg
[8]
서적
Understanding Materials Science: History, Properties, Applications,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9]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World Histor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
학술지
The Significance of Early Bronze Age Iron Objects from Kaman-Kalehöyük, Turkey
http://www.jiaa-kama[...]
Japanese Institute of Anatolian Archaeology
[11]
학술지
Treatment and usage of iron in the Hittite empire in the 2nd millennium BC
[12]
웹사이트
How Old is the Iron Age in Sub-Saharan Africa?
http://www.homestead[...]
2007-02-19
[13]
학술지
Did They or Didn't They Invent It? Iron in Sub-Saharan Africa
https://muse.jhu.edu[...]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14]
웹사이트
Iron and its influence on the prehistoric site of Lejja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Nigeria, Nsukka
2014-12-12
[15]
서적
Arms and Armour of the Greeks
Thames & Hudson
[16]
서적
The Dark Age of Greec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Coming of the Age of Iron
New Haven
[18]
백과사전
Iron Age Caucasia
https://www.encyclop[...]
[19]
웹사이트
Iron Age
https://iranicaonlin[...]
2006-12-15
[20]
Britannica
Iron Age
[21]
웹사이트
Chapter 5: The Age of Iron
http://mygeologypage[...]
UC Davis
1999-04
[22]
서적
Near Eastern Archaeology
[23]
서적
From Bronze to Iron
Paul Astöms
[24]
웹사이트
Metalworking in Ancient Greece
http://www.wolftree.[...]
[25]
웹사이트
写真素材・ストックフォトのアフロ {{!}} Sword with the name of Merneptah, Ugarit, from the living quarters …
https://www.aflo.com[...]
2024-11-21
[26]
학술지
The meteoritic origin of Tutankhamun's iron dagger blade
[27]
뉴스
King Tut's Dagger Made of 'Iron From the Sky,' Researchers Say
https://www.nytimes.[...]
2016-06-04
[28]
뉴스
King Tut's dagger made from an ancient meteorite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6-06-05
[29]
백과사전
Iron
Brill
[30]
Britannica
History of Europe – The Iron Age
https://www.britanni[...]
[31]
서적
The European Iron Age
[32]
Britannica
History of Europe – The chronology of the Metal Ages
https://www.britanni[...]
[33]
Britannica
La Tène archaeological site, Switzerland
https://www.britanni[...]
[34]
Britannica
Hallstatt archaeological site, Austria
https://www.britanni[...]
[35]
서적
Exploring The World of "The Celts"
Thames and Hudson
[36]
서적
Genesis Too: A Rational Story of How All Things Began and the Main Events that Have Shaped Our World
Dorrance Publishing
2019
[37]
웹사이트
Citânia de Briteiros
http://www.wceh2014.[...]
2021-02-19
[38]
웹사이트
Citânia de Briteiros
http://www.csarmento[...]
2018-12-03
[39]
학술지
Towards an absolute chronology for the Iron Age of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40]
서적
Rannyi zheleznyi vek Priamuria
[41]
서적
The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09
[42]
서적
The Bronze Age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43]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Art: Landscape in art to Micronesian cultures
McGraw-Hill
[44]
웹사이트
Prehistoric Archaeological Periods in Japan
http://www.t-net.ne.[...]
2002-10-14
[45]
학술지
Samhan Sigi Jujocheolbu-eui Yutong Yangsang-e Daehan Geomto
[46]
학술지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iron production in Korea: A survey
1989
[47]
학술지
Early iron metallurgy in Korea
1989
[48]
서적
State Formation in Korea: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Perspectives
Psychology Press
2001
[49]
서적
Silla – Gaya Sahoe-eui Giwon-gwa Seongjang
Hakyeon Munhwasa
[50]
학술지
The origins of iron working in India: new evidence from the Central Ganga Plain and the Eastern Vindhy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51]
웹사이트
Metal Technologies of the Indus Valley Tradition in Pakistan and Western India
https://www.harappa.[...]
2019-01-03
[52]
뉴스
Rare discovery pushes back Iron Age in India
https://timesofindia[...]
2015-05-18
[53]
학술지
Iron Age in South India: Telangana and Andhra Pradesh
https://www.academia[...]
[54]
학술지
The Northern Black Painted Ware Culture of Middle Ganga Plain: Recent Perspective
https://www.academia[...]
2014-01
[55]
뉴스
Iron Age burial site discovered
http://www.thehindu.[...]
2008-09-10
[56]
서적
Early Antiqu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08-27
[57]
서적
Upaniṣad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8
[58]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nd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학술지
An ancient wind-powered iron smelting technology in Sri Lanka
http://www.nature.co[...]
1996
[60]
웹사이트
The Ancient Sri Lanka
http://www.lankalibr[...]
[61]
논문
The prehistory of Sri Lanka: An ecological perspective
https://www.proquest[...]
[62]
서적
Further studies in the settlement archaeology of the Sigiriya-Dambulla region
University of Kelaniya: Postgraduate Institute of Archaeology
[63]
서적
Further studies in the settlement archaeology of the Sigiriya-Dambulla region
University of Kelaniya: Postgraduate Institute of Archaeology
[64]
학술지
City and State Formation in Early Historic South Asia
1989
[65]
서적
The evolution of an ethnic identity : the Tamils in Sri Lanka c. 300 BCE to c. 1200 CE
South Asian Studies Centre Sydney
2005
[66]
서적
India: An Archaeological History: Palaeolithic Beginnings to Early Historic Foundatio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India
[67]
서적
Early Interactions between South and Southeast Asia
[68]
서적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
River Books
[69]
학술지
Science, Not Black Magic: Metal and Glass Production in Africa
2023-09-13
[70]
보고서
Aux origines de la métallurgie du fer en Afrique, Une ancienneté méconnue: Afrique de l'Ouest et Afrique centrale
http://portal.unesco[...]
UNESCO.
[71]
서적
A History of Sub-Saharan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2-08
[72]
서적
Nok: African Sculpture in Archaeological Context
Africa Magna Verlag Press
[73]
학술지
Early Metal Working in Sub-Saharan Africa: A Review of Recent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74]
학술지
Radiocarbon Chronology of the Iron Age in Sub-Saharan Africa
1968
[75]
학술지
Seeking Africa's first Iron Men
2009-01-09
[76]
학술지
Complex Iron Smelting and Prehistoric Culture in Tanzania: Recent discoveries show complex technological achievement in African iron production.
1978-09-22
[77]
서적
文明の誕生
中公新書
2015-06-25
[78]
서적
新書アフリカ史
講談社現代新書
2003-02-20
[79]
서적
新書アフリカ史
講談社現代新書
2003-02-20
[80]
웹사이트
AMS-炭素14年代測定法が明らかにした日本の鉄の歴史
https://www.jstage.j[...]
2022-05-23
[81]
서적
マヤ文明 密林に栄えた石器文化
岩波新書
2012-04-20
[82]
서적
オセアニアを知る事典
平凡社
1990-08-21
[83]
웹인용
Alex Webb, "Metalworking in Ancient Greece"
http://www.wolftree.[...]
2009-11-01
[84]
웹사이트
https://m.hani.co.k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석기에서 뼈 도구를 생각해낸 150만년 전 호미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