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데스 문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데스 문명은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지역에서 발생한 토착 문명으로, 독자적인 특징을 지닌 세계 6대 문명 중 하나로 꼽힌다. 이 문명은 문자가 없어 매듭 끈인 키푸를 사용하여 정보를 기록했으며, 바퀴 달린 차량과 가축이 부족했다. 또한, 얇은 토양, 추운 기후, 강수량 부족 등의 환경적 어려움 속에서 농업을 발전시켰고, 돈 대신 상호주의와 재분배를 기반으로 경제를 운영했다. 안데스 문명은 카랄-수페 문명, 차빈 문화, 나스카 문화, 모체 문화, 와리 제국, 티와나쿠 제국, 치모르, 잉카 제국 등을 거치며 발전했다. 16세기에 스페인에 의해 정복당했으나, 현대에도 아이류와 같은 혈연·지연 조직, 테라스 형태의 계단식 밭, 치차와 같은 전통 음식 문화, 파차마마 신앙 등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데스 문명 - 노르테 치코 문명
    노르테 치코 문명은 페루 연안 지역에서 기원전 3000년 이전에 발생하여 카랄-수페 유적지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관개 농업과 해안-내륙 교역을 통해 성장하고 기념비적 건축물과 키푸를 사용했으며, 후대 안데스 문명에 영향을 미쳤다.
  • 남아메리카의 역사 - 잉카 제국
    15세기부터 16세기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역에 존재했던 잉카 제국(타완틴수유)은 쿠스코를 중심으로 네 지역으로 나뉘어 급속히 확장되었으나, 스페인 침략과 내전으로 몰락 후에도 남아메리카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남아메리카의 역사 - 카우디요
    카우디요는 스페인어로 '지도자'를 뜻하며, 19세기 초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후 혼란기에 나타나 폭력을 통해 질서를 확립하고 추종자들의 충성을 기반으로 권력을 유지한 강력한 군사적·정치적 지도자를 지칭하며, 공화국 대통령과 같은 칭호로 통치를 정당화하려 했던 인물들을 대표적으로 아르헨티나의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멕시코의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프랑코 등이 있다.
  • 페루의 역사 - 아타우알파
    아타우알파는 잉카 제국의 마지막 황제로, 내전에서 승리했으나 스페인 군대에 포로로 잡혀 처형당하며 잉카 제국의 멸망을 가져왔고, 오늘날 안데스 지역에서는 저항의 상징 또는 왕위를 찬탈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페루의 역사 - 페루-볼리비아 연합
    페루-볼리비아 연합은 안드레스 데 산타크루스 통치 하에 볼리비아와 페루(북페루, 남페루)가 결합하여 형성된 남아메리카의 정치적 연합체였으나, 주변국과의 갈등과 내부 분열로 3년 만에 해체되었다.
안데스 문명

2. 특징

안데스 문명은 세계 6대 문명 중 하나로, 다른 문명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발전했다.[7] 다른 문명과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안데스 원주민들은 환경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독자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했다.

안데스 문명은 구세계 문명이나 메소아메리카 문명과는 다른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문자 미사용: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키푸라는 매듭과 색깔이 있는 끈으로 묶인 체계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했다.[8]
  • 바퀴 달린 차량과 가축 부재: 바퀴 달린 차량이나 쟁기질, 승용 동물로 사용할 수 있는 대형 가축이 없었다. 사람이나 라마가 짐을 운반했는데, 라마는 몸무게의 4분의 1(최대 45kg)까지만 운반할 수 있었다.[10]
  • 화폐 미사용: 돈이 없었고, 대부분의 경제는 상호주의와 재분배를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일부 지역에서 구리 도끼 화폐나 ''스폰딜루스'' 조개가 교환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했다.[12][13]
  • 독특한 생태 환경: 안데스 문명은 매우 건조한 해안 사막, 높은 안데스 산맥 등 혹독한 환경에 직면했다. 농업은 관개 시설과 안개 오아시스에 의존해야 했고, 고지대에서는 얇은 토양, 추운 기후, 강수량 부족, 평지 부족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11]


해안 앙데스 남성 튜닉, 13–15세기


안데스 문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특징설명
문자 부재키푸라는 매듭 묶음 방식을 통해 정보를 기록하고 전달했다.
청동기 단계철을 제조하지 않았고, 청동은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신석기 단계에 가까웠다.
, 주조 발달금, 은 제품은 대부분 스페인인에 의해 녹여져 괴 형태로 스페인 본국으로 옮겨졌다.
가축 사육라마는 짐 운반, 알파카는 털, 기니피그(쿠이)는 식용으로 사육되었으나, 낙타과 동물의 젖은 이용되지 않았다.
바퀴의 원리 부재전차나 짐수레 등이 발달하지 않았다.
덩이줄기류 주식감자, 오카, 고구마 등 덩이줄기류를 주로 재배했다. 곡물치차라는 술의 원료로 주로 이용되었다.
생태 환경과의 깊은 관계해안, 산간 분지, 고원 지대 등 다양한 생태 환경에 적응하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 외에도 아이유(Ayllu)라는 지연·혈연 조직, 쌍분제, 옥수수치차 이용, 코카 잎을 이용한 의례 등이 안데스 문명권, 특히 산간 분지와 고원 지대의 특징이다. 초석이 풍부했지만 화약 제조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철광석은 풍부했지만 철 단조 기술은 없었다. 무기는 돌 곤봉이나 활 정도였다. 한편, 곤봉 무기로 인한 함몰 두개골에 대한 신경외과학적 수술 기술이 존재했으며, 안데스 산맥의 코카가 마취제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면진 장치인 시클라가 발견되었다.

안데스 문명의 중심지는 크게 두 곳으로, 페루 북부 해안 지대(현재 트루히요시 주변)와 페루 남부에서 볼리비아 북부에 이르는 티티카카 호수 분지 일대이다. 하지만 문명의 발흥기에는 중앙 해안 지대에도 대규모 건조물이 지어졌고, 중기 호라이즌(와리 시대)이나 잉카 제국은 티티카카 호수 연안 문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지만 중앙 또는 남부 산간 분지에서 흥기했기 때문에, 두 중심지 관점은 가설 단계에 머물러 있다.

메소아메리카 문명 등 신대륙의 여러 문명과 문화는 유럽인의 침략으로 멸망하거나 변형되었지만, 안데스 문명의 일부는 현대에도 남아있다. 지방에서는 잉카 시대부터 이어져 온 아이유 조직이 기능하고, 발쟁기가 사용되며, 계단식 밭(안데네스)이 이용되고 있다. 기니피그 사육, 낙타과 동물 캐러밴, 옥수수치차를 즐기는 습관 등도 잉카 시대부터 이어져 오고 있다.

유럽인들은 물질적 정복 이후 기독교 포교를 통해 원주민의 종교를 탄압하여 가톨릭화했지만, 안데스 문명의 정신 세계는 완전히 파괴되지 않고 형태를 바꾸어 현대에도 남아있다. 특히 대지의 신 파차마마 신앙은 원주민 사회에 깊이 남아있으며, 도시에서도 축제 등에 파차마마 신앙에 기반한 관습이 널리 퍼져있다. 재래 신앙은 가톨릭 성인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혼합주의가 현대 안데스 원주민 정신 문화의 특징이다.

안데스 문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안데스 지역의 생태학적 환경을 이해해야 한다. 중앙 안데스 지역(현재의 페루볼리비아 북부)은 매우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안데스 문명의 발전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2. 1. 문자 부재와 키푸

안데스 문명은 학자들이 "독자적"이라고 간주하는 세계 6대 문명 중 하나로, 다른 문명에서 파생되지 않은 토착 문명이다.[7] 안데스 문명은 구세계의 독자적인 문명 및 메소아메리카 문화와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보였는데, 그중 하나가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신, 안데스 사회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매듭과 색깔이 있는 끈으로 묶은 체계인 키푸를 사용했다.[8]

키푸


키푸는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완전히 해독된 적이 없다. 학자들은 매듭이 묶인 키푸 끈이 숫자 데이터만 기록할 수 있는지, 아니면 서술적인 의사소통, 즉 진정한 글쓰기 체계로도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만약 진정한 글쓰기라면, 그것은 기호 집합이 아닌 매듭이 있는 끈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독특하다.[8] 키푸의 사용은 적어도 와리 제국 (서기 600–1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아마도 기원전 3천 년의 훨씬 더 이른 카랄/노르테 치코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갈 것이다.[9]

2. 2. 가축 사육

낙타과 동물인 라마는 짐 운반용 짐승으로, 알파카는 털을 이용하기 위해, 또한 식용으로 기니피그(쿠이)가 사육되었다. 그러나 구대륙과는 달리, 낙타과 동물의 젖은 이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낙타과 동물의 젖이 적기 때문이다.[10] 라마는 쟁기질이나 성인이 타기에는 충분히 크거나 강하지 않았다.

right

2. 3. 덩이줄기 작물 재배

안데스 문명에서는 감자, 오카, 마슈아(이사뇨), 고구마, 마니옥(카사바), 아치라 등의 덩이줄기류를 주로 재배했다.[19] 4대 문명이나 메소아메리카 문명이 곡물을 주요 식량 기반으로 발전한 것과 달리, 안데스 문명에서는 곡물의 가치가 낮았고, 곡물을 주식으로 삼는 문명은 아니었다. 옥수수는 일부 식용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스페인인들의 기록에 따르면 주로 치차라는 술의 원료로 이용되었고, 식용으로 쓰이지는 않았다고 한다. 고고학 유물에서도 치차를 마시는 데 사용된 컵이나 항아리 등에서 옥수수 찌꺼기가 발견된다. 이 외에도 퀴노아 등의 잡곡과 콩류도 고원 지대에서 이용되었다.[18]

해안 지대에서는 오래전부터 어패류도 많이 이용되었다. 일부 연구자들은 안데스 문명의 여명기에 해안 지역에서는 어패류를 주요 식량 기반으로 삼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6][17] 그러나 최근에는 어로가 독립적인 생업이었다는 모델에 대한 반론이 많으며, 페루 리마 북쪽의 카랄 유적(세계 유산)에서는 농경과의 조합이 주장되고 있다.

덩이줄기류는 안데스 지역 전체에 널리 퍼진 식용 작물로서, 안데스 문명을 지탱한 가장 중요한 식량 기반이었다. 옥수수 역시 안데스 전역에 퍼졌지만, 이는 식용이 아닌 술(치차)의 원료로 퍼진 것이므로 엄밀히 말해 "식량 기반"이라고 할 수는 없다.

안데스의 괴경류

2. 4. 수직 통제

안데스 지역은 해발 고도에 따라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이 나타나며, 이는 각 지역의 농업 생산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융가 지대에서는 열대 작물과 과일, 키추아 지대에서는 옥수수를 포함한 다양한 작물, 수니 지대에서는 감자 등의 덩이줄기류와 퀴노아 같은 잡곡이 주로 재배되었다. 푸나 지대는 주로 목축에 이용되었다.[19]

이처럼 서로 다른 생태 환경을 하나의 집단이나 가족 단위로 동시에 보유하고 이용하는 것을 수직 통제라 하며, 이는 안데스 문화의 중요한 특징이다. 즉, 고도별로 다른 작물을 재배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거시적인 수준에서 사회와 국가는 수직 군도를 사용하여 여러 고도와 위치에 식민지를 건설하여 농업 생산의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

3. 역사

최초의 인류는 파나마 지협을 통해 남아메리카에 도착한 후 대륙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며, 안데스 지역에 정착한 가장 초기의 증거는 기원전 15,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들은 수렵채집 부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고고학자들은 이 시기를 석기 시대라고 부른다. 그 후의 안데스 선(先)도자기 시대에는 식물이 광범위하게 재배되기 시작했고, 최초의 복잡한 사회인 카랄-수페 문명이 기원전 3500년에 등장하여 기원전 1800년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고지대에는 코토시 종교 전통과 같은 독특한 종교 중심지가 등장했다.[5]

기원전 1800년경이 되면, 토기의 이용이 시작된 것이 확인된다. 기원전 800년경부터 차빈 문화가 발달하게 된다. 이 이후, 차빈 양식이 안데스 북부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 때문에 이 차빈 양식이 퍼진 시대를 차빈=호라이즌 혹은 초기 호라이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같은 무렵, 북부 해안에는 정교한 토기를 수반한 쿠피스니케 문화가 발달한다. 기원 전후 무렵이 되면 신전을 중심으로 한 사회는 소멸하고, 잠시 후 왕국이 탄생한다.

기원 무렵이 되면 페루 북부 해안에는 모체 문화가, 나스카 문화가 일어난다. 이들 해안 지역에서는 관개 수로가 발달했다. 산간부에서는 기원 700년경이 되면 와리 문화가 발달하여, 도시적인 양상을 띠는 건조물군이 각지에 만들어진다. 또한 와리가 안데스 산맥 중에 테라스 모양의 층층 밭(안데네스)을 넓혔다고 한다. 이 시기, "정면을 향한 신"과 "수급을 가진 날개 달린 신"과 같은 모티프가 토기나 직물을 통해 페루 영역에 퍼졌다. 볼리비아의 티와나쿠 문화의 도상과 유사했기 때문에, 한때 "해안 티아와나코" 또는 "티와나코이데(유사 티와나코)"라고 불렸다. 현재는 이러한 도상은 와리 문화의 것으로 여겨지며, 티와나쿠 문화와 구별된다.

그 후, 페루 북부 해안에서는 8세기경부터 시칸 문화, 9세기 후반경부터 치무 왕국이 일어난다. 치무 왕국은 14세기경까지 시칸의 국가를 병합했다. 페루 중앙 해안 지대에는 찬카이 문화가 꽃피운다. 늦어도 10세기경에는 파차카막 문화가 꽃피운다. 티티카카 호 연안에서는, 티와나쿠 사회가 붕괴된 후, 아이마라족에 의한 여러 왕국이 정립하여 패권을 다투게 된다. 잉카는 이 싸움을 이용하여, 1470년경까지 티티카카 호 연안을 평정한다.

16세기에 유럽에서 온 스페인 식민주의자들이 안데스에 도착하여 결국 원주민 왕국을 정복하고 안데스 지역을 스페인 제국에 편입시켰다.

안데스 문명의 중심 지역은 주로 해안부, 산간 분지, 고원 지대로 나뉜다. 산간부와 고원 지대는 함께 취급되는 경우도 많다.

안데스 문명의 큰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징설명
문자를 갖지 않음구대륙의 세계 4대 문명이나 신대륙의 메소아메리카 문명과는 다른 가장 큰 특징이다. 끈의 매듭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키푸가 있었다.
청동기 단계철을 제조하지 않았다. 청동은 거의 이용되지 않았으며, 실제로는 신석기 단계에 가까웠다.
이나 주조 발달대부분 스페인인에 의해 녹여져 잉곳이 되어 스페인 본국으로 옮겨졌다.
가축 사육라마는 짐 운반용, 알파카는 털을 이용하기 위해, 기니피그(쿠이)는 식용으로 사육되었다. 낙타과 동물의 젖은 이용되지 않았다.
바퀴의 원리를 모름전차나 짐수레 등은 발달하지 않았다.
덩이줄기류 주된 식량 기반감자, 오카, 마슈아(이사뇨), 고구마, 마니옥(카사바), 아치라 등을 주로 재배했다.
안데스 특유의 생태학적 환경과 문화·문명의 발전에 깊은 관계생태학적 환경과의 관련성이 매우 강하고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외에도 아이류(아이유, ''Ayllu'')라고 불리는 지연·혈연 조직, 쌍분제, 옥수수술 치차, 코카 잎 등을 이용한 의례 등도 안데스 문명권, 특히 산간 분지나 고원 지대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초석이 풍부하지만 화약 제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철광석이 풍부한 지역이 많지만 철의 단조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무기는 돌로 만든 곤봉이나 활 정도였다. 함몰된 두개골에 대해 신경외과적인 수술을 하여 혈종 등을 제거하는 기술이 존재했다. 안데스 산맥에 자생하는 코카가 마취제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면진 장치인 시클라가 발견되었다.

안데스 문명의 중심은, 대략 2곳이라고 하며, 그 2곳에 인구도 집중되어 있었다고 한다. 하나는 현재 페루 트루히요시 주변의 북부 해안 지대, 다른 하나는 페루 남부에서 볼리비아 북부에 있는 티티카카 호수 분지 일대이다. 그러나 문명의 발흥기(형성기)에는 중앙 해안 지대에도 대규모 건조물이 지어졌고, 중기 호라이즌(와리 시대)이나 잉카 제국은 티티카카 호수 연안의 문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지만, 중앙 또는 남부 산간 분지에서 흥기하고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중심이라는 관점은 가설 단계에 있다.

남미에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한 흔적을 보여주는 유적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만 4000년 전이라는 연대 측정값을 보이는 유적도 있지만, 확실한 것은 클로비스 문화와 병행하는 1만 1000년 전의 어미형 첨두기를 사용한 사냥꾼들의 유적이다.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서 남쪽으로 120km 떨어진 곳에 있는 매머드의 해체 처리를 한 타구아타구아와 같은 킬 사이트는 이 시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유적이다. 기원전 7500년경까지 동굴 입구나 암벽을 이용하여 생활하는 사람들이 나타났고, 페루의 토케팔라 동굴과 아르헨티나의 라스 마노스 동굴에는 그러한 사람들의 수렵에 대한 소망을 표현한 동굴 벽화가 그려졌다.

기원전 5000년경부터 농경·목축을 하는 사회가 되었고, 토기 제작 직전까지를 전기라고 한다. 페루 북부 고지의 라우리코차 유적 Ⅱ기(기원전 6000년~3000년)에 사슴 대신, 라마, 알파카 등의 낙타과 동물 뼈의 출토량 증가가 보인다. 중앙 고지의 우추크마차이 동굴 5기(기원전 5500년~4200년)에서 역시 낙타과 동물 뼈의 출토량 증가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낙타과 동물을 사육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기원전 6000년경까지 고추, 호박, , 강낭콩 등의 재배가 시작된 것이 북고지의 기타레로 동굴 출토 식물 유존체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기원전 3000~2000년경부터 , 칸나 등의 재배가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일본의 안데스 문명 조사단은 신전 건축이 안데스 고지에서 광범위하게 퍼지는 기원전 2500년부터 형성기로 할 것을 제창하고 있지만, 페루에서는 기원전 1800년경 토기 사용 개시를 형성기의 시작으로 한다. 미국의 편년 체계에서는 사회 진화론적 명칭 체계를 피하기 위해, 토기가 존재하지 않는 기원전 1800년 이전을 선토기 시대, 토기가 출현하고 차빈 문화가 퍼지기 전인 기원전 800년경까지를 창세기, 차빈 문화가 안데스에 퍼졌다고 여겨지는 기원전 800년부터 기원전 250년경을 전기 호라이즌으로 한다.

3. 1. 안데스 초기 사회

기원전 15,000년경, 최초의 인류가 파나마 지협을 통해 남아메리카에 도착하여 안데스 지역에 정착했다. 이들은 수렵채집 부족 집단으로 생활했으며, 고고학자들은 이 시기를 석기 시대라고 부른다.[5] 이후 안데스 선(先)도자기 시대에는 식물이 광범위하게 재배되기 시작했고, 기원전 3500년에는 최초의 복잡한 사회인 카랄-수페 문명이 등장하여 기원전 1800년까지 지속되었다. 고지대에는 코토시 종교 전통과 같은 독특한 종교 중심지가 등장했다.[5]

아스페로의 피라미드 재건 모습

3. 2. 선(先)도자기 시대

기원전 2500년경, 현재 페루 리마시 북쪽의 수페 계곡에 카랄 유적(Norte Chico civilization|카랄-수페 문명영어)이 나타났다. 카랄 유적은 석조 건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원전 3000년부터 2500년경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발굴되어 복원된 유적들은 이미 매우 정교하게 만들어져 있어,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5] 이 시기 유적에는 해안 유적임에도 석조 건축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카랄 유적에서는 많은 양의 어패류가 출토되었다.

페루 북부 해안에는 와카 프리에타 촌락 유적과 알토 사라베리, 중앙 해안의 카스마 계곡에는 와이누나, 중앙 해안 지대에는 아스페로, 리마 북쪽에는 엘 파라이소와 같은 신전 유적이 건설되었다. 엘 파라이소는 U자형 건물 배치를 보이며, 한 변의 길이가 400m에 달한다. 한편, 산간 지역에서는 소형 신전들이 세워졌다. 기원전 3000년경 북부 고지 산타강 상류에는 라 가르가다 신전이, 기원전 2500년경에는 코토시 유적(페루 와누코 현)에 9m 크기의 "교차하는 손의 신전"이 건설되었다. 이 신전은 교차하는 손을 모티브로 하였다.[5]

이 시기에는 아직 토기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토기의 탄생 이전에 이러한 신전들이 건설된 것은 안데스 문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왕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시기는 미국의 편년에서 선(先)도기 시대로 구분되기도 한다.

3. 3. 도자기 시대

이 시기에는 차빈 문화(기원전 900년~기원전 200년), 파라카스 문화(기원전 800년~기원전 200년), 나스카 문화(기원전 200년~서기 800년), 모체 문명(서기 100년~700년), 와리와 티와나쿠 제국(서기 600년~1000년), 치모르(900년~1470년)와 같은 다양한 복잡한 사회가 발달했다.[5]

3. 4. 잉카 제국 시대

마추픽추, 타완틴수유 시대에 사람이 살았던 산악 정착지


15세기 전반부터 잉카는 급속히 세력을 확대하여 각지를 정복하고, 15세기 후반에는 치무 왕국을 굴복시켜 안데스 산맥 일대에 잉카 제국을 성립시켰다.[6] 1438년에 잉카는 아메리카 대륙 역사상 가장 큰 제국을 건설했는데, 이를 타완틴수유라고 불렀지만, 일반적으로 잉카 제국이라고 불린다.[6] 잉카는 전통적인 안데스 방식으로 제국을 통치하면서 수도인 쿠스코에서 제국을 다스렸다. 잉카 제국은 1230년경에 건국된 쿠스코 왕국에서 시작되었다.

잉카 제국은 여러 왕국을 통합하는 형태로 탄생했다. 그 영토는 북쪽으로는 현재의 콜롬비아 남부에서 남쪽으로는 칠레의 산티아고에 이르기까지 안데스 문명권의 거의 전역을 장악한 마지막 원주민 국가였다. 수도는 쿠스코였다.

잉카는 지금까지의 안데스 문명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잉카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보다 오히려 지금까지의 기술을 계승하여 발달시킨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키푸라고 불리는 결승 (끈의 매듭으로 수 등을 나타내는)이나 안데네스 (계단식 밭), 도로망 등은 와리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며, 웅대한 석조 건축 기술은 티와나쿠와 와리에, 금의 주조 기술은 시칸에서 치무를 거쳐 잉카로 계승되었다.

하지만, 현재 쿠스코나 페루 남부에서 많이 보이는 정교하게 만들어진 안데네스의 대부분은 잉카 시대의 것이며, 또한 도로망도 잉카 시대에 정비된 것이 많다.

3. 5. 스페인의 정복

1532년 소수의 병력과 화기를 가진 스페인인에 의해 잉카 제국이 정복되었다.[6] 이후, 원주민들에 의해 여러 차례 저항이 시도되었지만, 결국 완전히 정복되면서 1만 년 이상 몽골로이드에 의해 발전해 온 안데스 문명은 종말을 맞이했다.

4. 주요 문화

안데스 문명은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고, 청동기를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신석기에 가까웠으며, 금과 은 주조 기술이 발달했다는 특징을 보인다.[22] 라마와 알파카 등 가축을 사육했고, 바퀴의 원리를 몰랐으며, 감자와 오카 같은 덩이줄기를 주식으로 삼았다. 곡물은 치차라는 술의 원료로 사용된 옥수수를 제외하고는 주된 식량원이 아니었다.[22]

안데스 문명은 해안, 산간 분지, 고원 지대의 서로 다른 환경에서 교류하며 발전했다. 특히 산간 분지와 고원 지대의 독특한 환경 이용법은 국가 규모 사회 형성에 크게 기여했다는 '수직 통제'설도 있다.[22] 아이류라는 지연·혈연 조직, 쌍분제, 코카 잎을 이용한 의례 등도 특징적이다.[22] 초석이 풍부했지만 화약 제조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철광석은 풍부했지만 철 제련 기술은 발달하지 않았다. 무기는 돌로 만든 곤봉이나 활 정도였지만, 신경외과적 수술 기술은 존재했다.[22]

안데스 문명의 중심지는 페루 북부 해안 지대와 티티카카 호 분지 일대로 여겨지지만, 문명의 발흥기에는 중앙 해안 지대에도 대규모 건조물이 지어졌다.[22] 중기 호라이즌과 잉카 제국은 티티카카 호 연안 문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지만, 중앙 또는 남부 산간 분지에서 흥기했다.[22]

안데스 문명에서 발견된 주요 문화는 다음과 같다.

문화연대위치특징
카랄-수페 문명기원전 30세기 ~ 기원전 18세기페루 북중부 해안 노르테 치코 지역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 중 하나. 카랄 유적을 중심으로 발달.
차빈 문화기원전 1500년경페루 고지대종교적 운동. 차빈 데 우안타르를 중심으로 독특한 미술 양식 발달.
나스카 문화서기 100년 ~ 800년페루 남부 건조 해안 리오 그란데 데 나스카 배수 유역과 이카 계곡나스카 라인으로 유명. 지하 수도교 시스템인 푸키오 건설.
모체 문화서기 100년 ~ 800년페루 북부정교한 도자기, 금 세공, 기념비적인 건축물(우아카) 및 관개 시스템으로 유명.
와리 문화서기 500년 ~ 1000년페루 남중앙 안데스 산맥과 해안 지역와리 유적을 중심으로 페루 고지대와 해안 대부분을 지배.
티와나쿠서기 500년 ~ 1000년볼리비아 서부 티티카카 호 남동쪽 기슭잉카 제국의 주요 전조 중 하나. 태양의 문으로 유명.
치모르서기 900년경페루 트루히요 인근 모체 계곡찬 찬을 수도로 삼음. 1470년경 잉카 제국에 정복됨.
잉카 제국13세기 초 ~ 1572년페루 쿠스코를 중심으로 서부 남아메리카의 상당 부분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제국. 마추픽추 건설.


4. 1. 카랄-수페 문명

태평양 해안에서 약 20km 떨어진 건조한 수페 계곡에 있는 카랄 피라미드


카랄-수페 문명은 노르테 치코 문명이라고도 불리며,[22] 현재 페루 북중부 해안의 노르테 치코 지역에 30개에 달하는 주요 인구 중심지를 포함하는 복잡한 선콜럼비아 사회였다. 이곳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대 세계에서 문명이 별도로 기원한 문명의 요람 중 하나이다. 기원전 30세기에서 기원전 18세기 사이에 번성했다. 카랄-수페라는 다른 이름은 노르테 치코의 크고 잘 연구된 유적지인 수페 계곡의 카랄에서 유래되었다.[23] 노르테 치코의 복잡한 사회는 메소포타미아수메르보다 천 년 뒤에 나타났으며, 이집트 피라미드와 동시대였고, 메소아메리카의 올메카보다 거의 2천 년 앞섰다.

기원전 2500년경, 현재 페루 리마시 북방의 수페 계곡에 카랄 유적이 나타났는데, 이는 석조 건축을 주체로 하는 카랄(Norte Chico civilization영어)이라는 곳이다. 유적의 연대는 기원전 3000년부터 2500년경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발굴되어 현재 복원된 유적군은 이미 매우 정교하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더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 해안 유적은 햇볕에 말린 벽돌로 만들어진 것이 많지만, 이 시기의 유적에는 해안 유적 중에서도 석조 건축이 있다. 카랄 유적에서는 상당한 양의 어패류가 출토되었다.

또한, 페루 북부 해안에 와카 프리에타의 촌락 유적과 알토 사라베리, 중앙 해안의 카스마 계곡에 와이누나, 중앙 해안 지대에 아스페로, 마찬가지로 중앙 해안 지대에서 리마 북쪽에 엘 파라이소와 같은 신전 유적이 축조되었다. 엘 파라이소는 U자형으로 건물이 배치되어, 그 한 변이 400m에 달한다. 한편 산간부에서는 소형 신전이 세워졌는데, 기원전 3000년경에는 북부 고지 산타강 상류에 라 가르가다 신전, 기원전 2500년경에는 코토슈 유적(페루, 와누코 현)에 교차하는 손을 모티브로 한 9m 크기의 "교차하는 손의 신전"이 축조되었다.

그러나 이 유적들은 모두 당시에는 아직 토기를 사용하지 않는 시대의 것으로, 토기의 탄생 이전에 이러한 신전군을 탄생시킨 것에 안데스 문명의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왕의 존재를 강하게 시사하는 유물은 현재까지 나오지 않았다. 이 시기를 미국의 편년에서는 선토기 시대로 구분하기도 한다.

4. 2. 차빈 문화

차빈 문화는 주로 종교적인 운동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문화는 페루 고지대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차빈 문화는 매우 독특한 미술 양식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고양이 형상을 한 여러 도기 조각상에서 두드러진다. 차빈 데 우안타르는 차빈 문화의 중요한 의례 중심지였으며, 기원전 1,500년경에 세워졌다.[24]

차빈 금관, 형성기 기원전 1200년–300년 (라르코 박물관 소장품, 리마)

4. 3. 나스카 문화

나스카 문화(나스카라고도 함)는 서기 100년부터 800년까지 페루 남부 건조 해안을 따라 리오 그란데 데 나스카 배수 유역과 이카 계곡의 강 계곡에서 번성한 고고학적 문화였다. 극도로 복잡한 직물로 유명했던 앞선 파라카스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은 나스카는 도자기, 직물, 지상화(가장 일반적으로 나스카 라인으로 알려짐)와 같은 아름다운 공예품과 기술을 생산했다. 또한 오늘날까지도 기능하는 ''푸키오''로 알려진 인상적인 지하 수도교 시스템을 건설했다. 이카 주의 나스카 현은 이 사람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나스카 라인 나스카 문화에서 제작한 콘도르

4. 4. 모체 문화

페루의 문화적 시대도 참고.

모체 문화는 도기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그림은 서기 300년경의 콘도르이다.


모체 문명(또는 모치카 문화, 초기 치무, 선(先) 치무, 프로토-치무 등으로도 불림)은 지역 발전 시대 동안 서기 100년경부터 800년경까지 페루 북부에서 번성했다.[25] 많은 학자들은 모체가 하나의 거대한 제국이나 국가로 정치적으로 조직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풍부한 도상학기념물 건축에서 볼 수 있듯이, 공통적인 엘리트 문화를 공유하는 자율적인 정치 집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특히 정교하게 채색된 도자기, 세공, 기념비적인 건축물(''우아카'') 및 관개 시스템으로 유명하다.[25] 모체 역사는 대략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초기 모체 시대(서기 100~300년)의 모체 문화의 출현, 중기 모체 시대(서기 300~600년)의 확장과 번성, 후기 모체 시대(서기 500~750년)의 도시 집중과 그에 따른 붕괴이다.[26]

4. 5. 와리 제국

와리(Huari)는 서기 500년부터 1000년경까지 페루의 남중앙 안데스 산맥과 해안 지역에서 번성했던 중기 지평선 문명이었다. 와리의 이전 수도였던 와리는 Ayacucho시에서 11km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이 도시는 페루 고지대와 해안 대부분을 덮었던 문명의 중심지였다. 와리 유적 외에 가장 잘 보존된 유적은 최근에 발견된 치클라요시 근처의 북 와리 유적과 Moquegua의 세로 바울이다. 또한 쿠스코에서 티티카카 호수로 가는 길목에 있는 ''피킬라크타''("벼룩 마을") 와리 유적도 잘 알려져 있다.

쿠스코에 와리 문명이 건설한 행정 중심지 피킬라크타

4. 6. 티와나쿠 제국

티와나쿠 문화가 건설한 "태양의 문"


티와나쿠(티아우아나코 및 티아우아나쿠es)는 볼리비아 서부에 있는 중요한 선 콜럼비아 시대 고고학 유적지이다. 안데스 학자들은 티와나쿠가 약 500년 동안 주요 국가 권력의 의례적 및 행정적 수도로서 번성했으며, 잉카 제국의 가장 중요한 전조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고대 도시 국가의 유적은 라파스 주 잉가비 주 티와나쿠 시의 티티카카 호 남동쪽 기슭 근처에 있으며, 라 파스에서 서쪽으로 약 72km 떨어져 있다. 이 유적지는 스페인 정복자이자 자칭 "인도의 첫 번째 연대기 작가"인 페드로 시에자 데 레온에 의해 역사상 처음으로 기록되었다.[27] 레온은 잉카의 수도 쿨라수유를 찾던 중 1549년에 티와나쿠 유적을 발견했다. 일부 학자들은 티와나쿠의 현대 이름이 "세상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는 믿음을 암시하는 아이마라어 용어 ''taypiqala''(중앙의 돌)와 관련이 있다고 추측한다.[28] 그러나 티와나쿠 사람들이 사용했던 이름은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29][30]

4. 7. 치모르

치무인은 오늘날 페루 트루히요 인근 모체 계곡에 있는 거대한 흙벽돌 도시 찬 찬을 수도로 삼은 치모르의 주민이었다. 이 문화는 서기 900년경에 나타났다. 1470년경 잉카의 지배자 투파 잉카 유판키가 치무를 정복하는 원정을 이끌었다.[31]

이는 스페인인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기 불과 50년 전이었다. 그 결과, 스페인 연대기 작가들은 잉카 정복 이전에 살았던 사람들의 치무 문화에 대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 고고학적 증거는 치모르가 모체 문화의 잔재에서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초기 치무 도자기는 모체 도자기와 어느 정도 비슷했다. 치무 도자기는 모두 검은색이며, 귀금속 세공은 매우 정교하고 복잡하다.

토토라 부교를 탄 어부를 묘사한 치무 항아리 (1100–1400 CE)

4. 8. 잉카 제국

잉카인들이 건설한 마추픽추의 모습


잉카 제국(케추아어: ''타완틴수유'')는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제국이었다.[33] 제국의 행정, 정치 및 군사 중심지는 쿠스코에 있었다. 잉카 문명은 13세기 초 페루 고지대에서 시작되었으며, 마지막 잉카 요새는 1572년에 스페인에 의해 정복되었다. 1438년부터 1533년까지 잉카는 정복에서 평화적 동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루, 남서부 에콰도르, 서부 및 중남부 볼리비아, 북서부 아르헨티나, 북부 칠레, 그리고 남서부 콜롬비아의 작은 부분을 포함하여 안데스 산맥을 중심으로 서부 남아메리카의 상당 부분을 고대 제국과 비교할 수 있는 국가로 통합했다.[32]

5. 현대 안데스 사회와 문화

안데스 문명에서 짐 운반에 사용된 '''라마'''(낙타과)


유럽인(백인)의 침략으로 신대륙의 여러 문명과 문화는 멸망하거나 변형을 강요당했지만, 안데스 문명의 경우 그 일부는 현대에도 여전히 남아있다. 잉카 시대부터 이어져 온 아이류라는 혈연·지연 조직, 발로 쟁기, 테라스 형태의 계단식 밭(안데네스)이 현대까지 이용되고 있다. 또한 기니피그 (쿠이)를 식육용 가축으로 사육하고, 옥수수로 만든 술 치차를 농경 의례 등에 함께 즐기는 것도 잉카 시대부터 보이는 습관이다.

5. 1. 아이유

잉카 시대부터 이어져 온 아이류라고 불리는 혈연·지연 조직이 지방에서 기능하는 곳도 있다.[1]

5. 2. 전통 농업 기술

지방에서는 잉카 시대부터 이어져 온 아이류라고 불리는 혈연·지연 조직이 기능하는 곳도 있다. 경사진 토지가 많은 곳에서는 잉카 시대와 거의 변함없는 발로 쟁기가 사용되고 있다. 잉카 시대에 건설된 테라스 형태의 계단식 밭(안데네스)은 현대까지 계속 이용되고 있다.

5. 3. 전통 음식 문화

잉카 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 음식 문화가 현대에도 일부 남아있다. 기니피그(쿠이)를 식육용 가축으로 사육하고, 옥수수로 만든 술 치차를 농경 의례 등에 함께 즐기는 것은 잉카 시대부터 보이는 습관이다.

5. 4. 종교 혼합

유럽인(백인)의 침략으로 메소아메리카 문명이나 북미 원주민의 여러 문화는 멸망하거나 변형을 강요당했지만, 안데스 문명의 일부는 현대에도 여전히 남아있다. 물질적인 정복 이후, 기독교 포교를 위해 원주민의 독자적인 종교는 탄압받았다. 그 후, 가톨릭화가 진행되었고, 정복 이후 얼마 동안 지속된 이교도 탄압 등으로 안데스 문명에 존재했던 정신 세계는 철저하게 파괴되었지만, 형태를 바꾸어 현대에도 살아남아 있다. 특히, 대지의 신 파차마마에 대한 신앙은 원주민 사회에 깊이 남아 있다. 도시에서도 축제 등에 파차마마 신앙에 근거한 관습이 있으며, 안데스 지역 사람들에게 널리 침투해 있다. 재래의 신은 가톨릭 성인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혼합주의가 현대 안데스 원주민의 정신 문화의 특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re-Columbian civilizations - Andean, Inca, Moch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7-31
[2] 간행물 Dating Caral, a Preceramic Site in the Supe Valley on the Central Coast of Peru 2001-04-27
[3] 서적 Encyclopedia of the Incas Rowman & Littlefield 2015
[4] 웹사이트 'Pre-Columbian civilizations - Andean, Inca, Moch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9-08
[5] 서적 The Incas and Their Ancestors: The Archaeology of Peru Thames & Hudson 2001-06-01
[6] 웹사이트 Inca civilization facts and history https://kids.nationa[...] 2023-03-29
[7] 문서 Encyclopedia of the Incas Rowand & Littlefield 2015
[8] 서적 The Incas: New Perspectives W.W. Norton & Company 2006
[9] 웹사이트 Quipu – South America's Ancient Undeciphered Writing System https://www.thoughtc[...] 2017-08-23
[10] 웹사이트 Llamas as Pack Animals http://www.llamapack[...] 2017-08-23
[11] 간행물 Terracing and Irrigation in the Peruvian Highlands JSTOR 1987
[12] 논문 Axe-Monies and Their Relatives" by Dorothy Hosler; Heather Lechtman; Olaf Holm. (Review) 1993
[13] 논문 Spondylus in South American Prehistory Archaeopress 2011
[14] 서적 The Oxford Guide to Archa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5] 웹사이트 Domestication History of the Squash Plant https://www.thoughtc[...] 2018-06-19
[16] 웹사이트 The Maritime Foundations of Andean Civilization: An Evolving Hypothesis http://www.hallofmaa[...] The Hall of Ma'at 2008-06-13
[17] 서적 The Maritime Foundations of Andean Civilization Cummings
[18] 뉴스 Rediscovering the Lost Crops of the Inc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9-10-31
[19] 간행물 The Origins of Plant Cultivation and Domestication in the New World Tropics: Patterns, Process, and new Developments JSTOR 2011
[20] 서적 The Incas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Ltd. 2003
[21] 서적 Guns. Germs, and Steel: The Fate of Human Societies W.W. Norton & Co. 1999
[22] 문서
[23] 웹사이트 Sacred City of Caral-Supe https://whc.unesco.o[...] UNESCO 2011-06-09
[24] 웹사이트 Chavín de Huántar, Peru – A Pre-Columbian World Heritage Treasure http://globalheritag[...] Global Heritage Fund 2011-10-12
[25] 서적 World History: Patterns of Interaction https://archive.org/[...] McDougal Littell
[26] 논문 The Art of Moche Politics Blackwell Publishers 2004
[27] 서적 The Tiwanaku: Portrait of an Andean Civilization Wiley-Blackwell
[28] 서적 Exploring Ancient Skies: An Encyclopedic Survey of Archaeoastronomy Springer
[29] 서적 Frommers 500 Places to See Before They Disappear https://archive.org/[...] Frommers 2009-08-09
[30] 웹사이트 Profile: Fabricio R. Santos – The Genographic project https://genographic.[...] National Geographic 2009-08-09
[31]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Ancient America Penguin Books London Ltd. 1962
[32] 문서
[33] 문서
[34] 서적 Colonialismo y Desarollo Poscoloni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5] 웹사이트 Venezuela http://en.amigosprec[...]
[36] 웹사이트 青山和夫「マヤ文明 最新の研究成果」 NHK解説委員室 https://www.nhk.or.j[...] NHK 2023-08-02
[37] 웹인용 Pre-Columbian civilizations - Andean, Inca, Moch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7-31
[38] 저널 Dating Caral, a Preceramic Site in the Supe Valley on the Central Coast of Peru 2001-04-27
[39] 서적 Encyclopedia of the Incas Rowman & Littlefield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