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 여객철도 E501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일본 여객철도 E501계 전동차는 조반선에서 사용하기 위해 도입된 교류/직류 겸용 통근형 전동차이다. 1995년 12월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스테인리스강 차체, 4도어 롱 시트, VVVF 인버터 제어 방식 등을 특징으로 한다. 조반선 쓰치우라역 이북 구간과 미토선에서 운행했으며, 2023년에는 특별 열차 'E501 SAKIGAKE'로 개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동일본 여객철도 107계 전동차
동일본 여객철도 107계 전동차는 노후 급행형 전동차 대체용으로 JR 동일본에서 개발한 2량 편성 통근형 전동차로, 165계 전동차 폐차 부품을 재활용하여 제작되었으며, 0번대와 100번대 모델이 존재하고 일부는 조신 전철에 양도되어 700형으로 운행 중이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는 국철에서 노후화된 113계 및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통근형 전동차로, 스테인리스 차체, 볼스터리스 대차, 회생 제동 시스템 등을 채택하여 효율성을 높였으며, 국철 민영화 이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서 운용되었고, JR 도카이에서는 315계 도입으로 퇴역 후 일부 차량이 산기 철도로 양도될 예정이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동일본 여객철도 E501계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서비스 시작 | 1995년 12월 |
운행 종료 | 현재 운행 중 |
소속 회사 | JR 동일본 |
노선 | 조반선 미토선 |
차량기지 | 가쓰타 |
차량 정보 | |
제조사 | 가와사키 중공업 도큐 차량 제조 |
제작 기간 | 1995년 - 1997년 |
차량 수 | 60량 (10량 편성 4개, 5량 편성 4개) |
편성 | 10량 편성 (기본 편성, 4M6T), 5량 편성 (부속 편성, 2M3T) |
편성 번호 | K701–K704, K751–K754 |
차체 | 스테인리스 스틸 |
차체 길이 | 제어차: 20,420 mm 중간차: 20,000 mm |
차체 폭 | 2,890 mm |
차체 높이 | 3,690 mm |
문 | 양쪽 4개 |
성능 | |
최고 속도 | 120 km/h |
가속도 | 2.0 km/h/s |
감속도 | 4.2 km/h/s |
구동 방식 | TD 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 |
기어비 | 16:97 (1:6.06) |
전기 시스템 | |
전력 공급 방식 | 가공 전차선 방식 |
전압 | 직류 1,500 V / 교류 20,000 V (50 Hz) |
집전 방식 | 팬터그래프 |
제어 장치 | |
초기 | GTO–VVVF (Siemens) |
현재 | IGBT–VVVF (Toshiba) |
주전동기 | MT70 3상 AC 유도 전동기 |
주전동기 출력 | 120 kW × 동력차당 4개 |
제동 장치 |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 |
신호 장치 | |
안전 장치 | ATS-SN ATS-P ATS-Ps (일부) |
기타 | |
궤간 | 1067mm |
2. 도입 경위
조반선의 수송 개선을 위해 일본 최초의 교류/직류 양용 통근형 전동차로 제조되었다. 209계 전동차를 기본으로 설계한 차량으로, 조반선의 교류 전철화 구간에서는 최초의 4도어 차량이다. 사용 노선의 특성 및 교류/직류 양용을 위해 209계와는 장착하는 전장품 등에 차이가 있다.
E501계 전동차는 조반선의 수송력 증강과 서비스 개선을 위해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장거리 운행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었다.
당초에는 403계·415계 외에 우에노 - 토리데 간에서 운용되던 103계의 교체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 러쉬 아워 시간에는 4도어 롱 시트차량의 수용력을 살려 대체로 호평을 받았지만, 1997년 3월 22일의 다이어 개정 시에 낮 시간대의 쓰치우라 이북에서 우에노로의 직통 열차가 큰폭으로 삭감되면서 (전차 롱 시트에 의한) 좌석수가 감소했고, 당초에는 화장실 설비가 없는 등의 이유로 장거리 운용에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다.
조반선에서는 도쿄로의 통근권이 토리데역에서 더 나아가 우시쿠, 쓰치우라 방면으로 확대되어 토리데 이북의 이용자가 계속 증가했지만, 토리데 이북은 이시오카시에 있는 기상청지자기 관측소에 대한 관측 장애를 피하기 위해 교류 전철화되어 있었고, 당시 쾌속 전차에서 사용되던 4도어 롱 시트의 103계는 직류 전용이라 사용할 수 없었다. 직류 전철화 구간을 북쪽으로 연장하는 것은 위에 언급한 이유로 불가능했고, 기존의 403계·415계는 1982년 이후에 롱 시트 차량인 415계 500번대와 1500번대(스테인리스 차량)를 도입했지만, 모두 3도어 차량이기 때문에 혼잡 시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었다.
게다가 쓰치우라시나 우시쿠시의 상공 회의소나 선출된 국회의원 등이 중심이 된 "현남 조반선 수송력 증강 기성 동맹회"가 조반선 "쾌속 전차"의 연장을 요구하는 의견을 당시 운수성 등에 지속적으로 제기했다. 이는 연선의 이미지 향상을 위해 근교형 전차가 아닌 4도어의 통근형 전차를 투입해 달라는 요구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본 형식이다.[1]
당시 토리데 이북에서 사용되던 403계, 415계 등 노후화된 3도어 세미 크로스 시트 차량에 비해 E501계는 4도어 롱 시트 차량이기 때문에, 러시 아워 시 혼잡 완화 등 일정한 효과는 있었지만, 통근형으로 도입된 경위로 인해 화장실을 설치하지 않아, 한정적인 구간에서의 운용에 그치게 되었다.[1]
3. 차량 개선
도입 초기에는 403계·415계 전동차와 더불어 우에노-도리데 구간에서 운용되던 103계를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4도어 롱 시트 차량의 수용력을 활용하여 혼잡 시간대에는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1997년 3월 22일 다이어 개정 당시, 낮 시간대 쓰치우라 이북에서 우에노로 직통하는 열차가 대폭 감소하면서 좌석 수가 줄어들었다. 또한 초기에는 화장실 설비가 없어 장거리 운용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3]
이는 쓰치우라시와 우시쿠시의 상공 회의소와 해당 지역 출신 국회의원 등이 중심이 된 '현남 조반선 수송력 증강 기성 동맹회'의 지속적인 요구에 따른 것이었다. 이들은 연선 이미지 향상을 위해 근교형 전차가 아닌 4도어 통근형 전차 투입을 요구했다.
E501계 전동차는 이러한 요구와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선을 거쳤다.
3. 1. 차체
차체는 선두부와 대틀의 일부를 제외하고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 209계와 같은 경량 스테인리스 구조를 채용했다.[2] 교류/직류 겸용으로 늘어나는 바닥 하부 기기를 위한 장비 공간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대차 간 거리를 13,300 mm에서 13,800 mm로 연장하고, 강도 확보를 위해 외판 두께를 1.2 mm에서 1.5 mm로 변경했다는 점이 다르다. 선두차 후위의 연결기는 E217계와 같은 충격 흡수형을 사용한다.
차체 띠는 103계 전동차와 같은 청록 1호이며, 허리판 상부에는 흰색 띠가 들어있다.
객실부의 옆창은 209계 각 구분과 마찬가지로, 차단부를 제외하고 고정 창을 사용했다. 2006년 9월부터 10월에 걸쳐 창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개조 공사가 시행되었다.
객용 출입문은 한쪽에 4개소에 양개식 미닫이문을 설치하고, 한쪽에 1개소를 제외하고 닫을 수 있는 "3/4 출입문 닫기" 스위치를 장착한다. 1995년 제작된 편성에는 영업 개시 후에 추가 개조를 했지만, 1997년 제작된 편성에는 완성 시부터 장착되어 있다.
3. 2. 전장계
동일본 여객철도 E501계 전동차는 조반 선의 수송 개선을 위해 일본 최초의 교류-직류 양용 통근형 전동차로 제조되었다. 209계 전동차를 기본으로 설계되었으며, 조반 선의 교류 전철화 구간에서는 최초의 4도어 차량이다. 사용 선구의 특성과 교류-직류 양용을 위해 209계와는 장비하는 전장품 등에 차이가 있다.
직류 구간과 교류 구간을 가르는 데드 섹션에서의 주 회로 전환은 ATS-P 지상자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며, 수동 전환도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전동차 2량에 주요 기기를 분산 탑재하는 M1M2 유닛을 채용한다. M1차(모하E501형)에는 주 변압기, 주 변환 장치, 집전 장치와 같은 주 회로 기기를, M2차(모하E500형)에는 주 변환 장치 외에 보조 전원 장치 등의 보조 기기를 탑재한다. 다만, 차체 하부 기기 공간의 사정상 공기 압축기는 유닛 상행 측의 부수차 (쿠하E500형, 사하E500형)에 탑재된다. 주 변압기는 1,212 kVA의 용량을 갖추고 교류 20,000V를 교류 730V(4권선)로 강압한다.
제어 장치는 VVVF 인버터를 채용하고, 독일 지멘스제 GTO 사이리스터 소자에 의한 CI3형 주 변환 장치[8]를 채용했다. JR의 재래선용 전동차에서는 유일한 채용 사례로, 발차・정차 시의 여자음은 음계를 연주하는 듯한 독특한 것이었다. 정차 시에도 음계를 연주하는 듯한 여자음을 내는 차량은 일본 국내에서 이 차량뿐이었다. 본 계열의 기동 가속도는 2.0km/h/s이다(자료에 따라서는 2.05km/h/s).
주 전동기는 농형 3상 유도 전동기를 사용하고, 출력은 209계의 95 kW에서 120 kW로 향상되었다. 이는 교류 관련 기기 탑재에 따른 자중 증가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최고 속도 120 km/h를 달성하기 위해 기어비는 E217계와 마찬가지로 16:97(≒1:6.06)이다.
보조 기기용 전원으로, 5량 급전이 가능한 정지형 인버터 (SC45, 정격 용량 210 kVA, AC 440 V, 60Hz)를 5량 당 1기 탑재한다. 보조 전원 장치의 전원은 주 변압기의 3차 권선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본 형식의 경우에는 주 변환 장치의 PWM 컨버터 출력을 전원으로 한다.
공기 압축기는 209계와 동일한 MH3096-C1600S 스크류 방식을 채용한다. 토출 용량은 1,600L/min이다.
팬터그래프는 마름모꼴 PS29를 채용했으나, 이후 싱글 암형으로 갱신되었다.
대차는 축량을 지지하는 축상 지지 기구를 갖는 볼스터리스 대차로, 베개 스프링에 공기 용수철을 사용한 JR동일본 일반형 전동차의 표준적인 사양이다[9]. 209계에서 채용된 DT61・TR246을 기반으로, 자중 증가에 따른 차축의 변경, 기어비 변경에 따른 구동 장치의 변경(전동 대차만)이 이루어진 DT61C(전동 대차) 및 TR246D(부수 대차)를 장착한다. 기초 제동은 편압식 답면 제동 (유닛 브레이크), 부수 대차만 답면 제동에 더하여 1축 1매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병용한다[9].요댐퍼는 준비 공사만 되어있다.
3. 3. 대차
축량식 축함 지지 기구를 가진 볼스터리스 대차로, 베개 스프링에 공기 용수철을 이용한 JR 동일본 일반형 전동차의 표준 사양이다.[9] 209계에서 채용된 DT61·TR246을 기반으로 자중 증가에 의한 차축 변경, 톱니바퀴비 변경에 의한 구동 장치 변경(전동 대차만)이 이루어진 DT61C(전동 대차) 및 TR246D(부수 대차)를 장착한다. 기초 제동은 편압식 답면 제동 (유닛 브레이크), 부수 대차만 답면 제동에 더하여 1축 1매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병용한다.[9] 요댐퍼는 준비 공사만 되어있다.
3. 4. 실내 설비
209계 전동차와 내장은 동일하지만, 좌석 겉감의 배색이 다르다. 일반석은 조반선의 노선 색상인 중거리 전철의 청색을 좌면 부분에, 쾌속 전철의 녹색을 등받이 부분에 각각 채용하고 있다.
가와사키 중공업제 편성에서는 차량 단부의 좌석 옆에 출입문 부분에 있는 칸막이와 동일한 홈이 있다. 손잡이는 209계와 동일하지만, 1997년제 편성 이후에는 약간 둥근 모양으로 변경되었다. 노약자석 부근은 E233계 전동차의 해당 부분과 유사하다.
차내 조명은 직류 전원에 따른다. 데드 섹션 통과 시에는 자동으로 축전지 공급으로 전환되므로, 기본적으로 소등되지 않는다 (교직류 전환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예외). 전원 전환 시에는 출입문 위의 전광 게시판이 소등된다. 제조 연도는 스티커 형식으로, 모든 편성이 일본 연호(元号)로 표기되어 있다.
2007년 3월 다이어 개정에서의 운용 구간 변경에 따라, 2006년 10월부터 2007년 2월에 걸쳐 기본 편성의 10호차 및 부속 편성의 1호차에 배리어 프리 대응 화장실이 설치되기 전까지는 모든 편성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3]
4. 운용의 변천
E501계 전동차는 조반선의 수송 개선을 위해 일본 최초의 교류/직류 양용 통근형 전동차로 제조되었다. 209계 전동차를 기본으로 설계되었으며, 조반선 교류 전철화 구간에서는 최초의 4도어 차량이다. 당초에는 403계·415계와 우에노-도리데 구간에서 운용되던 103계를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1997년 조반선 도리데 이북 구간의 대폭적인 감편으로 인해 제조가 중단되었다.
2003년 10월부터 차내 자동 방송이 도입되었고, 2007년 3월까지 E531계에 준하는 방송으로 변경되는 등 여러 차례 갱신되었다. 2006년 9월부터 10월까지 측면 창문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개조되었고,[5] 2006년 10월부터 2007년 2월까지는 기본 편성의 1, 10호차 및 부속 편성의 1호차에 배리어 프리 대응 화장실을 설치하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신뢰성 문제로 인해 2007년에 5량 부속 편성이, 2012년에 10량 기본 편성이 도시바제 IGBT 소자 제어 장치로 갱신되었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는 모든 PS29 런던형 팬터그래프가 싱글 암 팬터그래프로 교체되었다.[4]
2019년 3월부터는 K701, K752 편성의 행선 표시기가 막식에서 3색 LED식으로 변경되었고, 측면 행선 표시기에는 행선지 외에 노선명도 함께 표시되기 시작했다.
2023년 10월에는 E501계를 개조한 이벤트 열차 "E501 SAKIGAKE"가 발표되었다. 부속 편성 K754 편성을 대상으로, 측면 색상은 홍매화나 백매화를 연상시키는 분홍색과 흰색에 칼자루 끈을 형상화한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차내는 롱 시트 구조를 유지하면서 손잡이 부근에 테이블을 설치하고, 차가운 음료 제공을 위한 냉장고를 갖추었다. 2023년 11월 23일, "E501 SAKIGAKE"는 미토선에서 "미토선 지방주 열차"로 첫 운행을 시작했다.[10] 2024년 10월 13일에는 '부흥 하마도리 술 순례호'가 이와키 ~ 하라노마치에서 운전되어 SAKIGAKE 개조 후 처음으로 이와키 이북에 입선했다.[11]
현재 E501계는 조반선 미토 주변과 미토선을 중심으로 임시 열차로 운행되고 있다.
4. 1. 2007년 3월 개정 이전
1995년에 기본 10량 편성[14]과 부속 5량 편성 각 1편성, 1997년에 기본 10량 편성 및 부속 5량 편성 각 3편성, 총 60량이 가와사키 중공업(10량 편성 3편성, 5량 편성 2편성)과 도큐 차량 제조(10량 편성 1편성, 5량 편성 2편성)에서 제조되어 가쓰타 차량 사업소(당시)에 배치되었다. 1995년 12월 1일부터 조반선 우에노 - 쓰치우라 구간에서 영업 운전을 시작하여 보통 열차(토리데 - 우에노 구간은 쾌속)에만 사용되었다. 낮 시간대 운행은 10량 편성으로 운전했다.우에노 - 쓰치우라 구간 행선 표시기에는 2006년 (헤이세이 18년) 3월 17일까지 운행되었던 통근 쾌속 표시는 있었으나, 2005년 (헤이세이 17년) 7월 9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특별 쾌속은 E531계 한정 운행으로 결정되어 준비되지 않았다. 쾌속 표시도 있었지만, 정기 열차에서는 도리데 이남 쾌속 운전 구간에서도 통상 종착역명을 표시했다. 쓰치우라 이북 역명은 간다쓰, 토모베, 미토, 가쓰타 표시가 있었다.
차내 정차역 안내도는 우에노 - 쓰치우라 구간 보통 열차 정차역과 도리데 - 키타센주 간 각역 정차역을 게시했다. 당시에는 "보통"과 "각역 정차"가 나란히 게재되었다. 2004년 (헤이세이 16년) 10월 16일부터 도리데 이남에서 "쾌속"으로 안내되면서 "쓰치우라 - 도리데간 보통 도리데 - 우에노간 쾌속"으로 변경되었다.
아침 러시의 가장 혼잡한 시간대인 쓰치우라역 발 상행 6 - 7시대 열차에는 2005년 7월 9일 시간표 개정부터 운행을 시작한 같은 4도어 차량인 E531계와 함께 거의 집중적으로 투입되어, 도리데역에서 출발하는 E231계와 함께 승차 위치 통일 및 수용력 향상, 열차 지연 방지가 이루어졌다.
10량+5량 분할 편성으로, 좌석 서비스 향상을 위해 본 계열 운행 열차는 검사 시 415계, E531계에 의한 대행 운행을 포함하여 (영업 운전 개시 당시를 제외하고, 이후 시간표 개정 이후) 종일 15량 편성으로 운전되었다. 다만, 검사 등으로 가쓰타 차량 센터로 회송될 때는 쓰치우라 - 가쓰타 간 구내 유효장 관계상 10량 편성 및 5량 편성으로 분할하여 회송되었다.
예비 편성이 없어 도리데역 이북에서 120km/h 운전 가능한 본 계열 한정 운행과 403계, 415계로 대행 운전 가능한 운행으로 나뉘어 있었다. 검사 및 정비 등으로 403계, 415계가 대행 운전하는 경우 교류 구간 각 역에서 대행 운전 기간과 해당 시각의 4도어 차량이 3도어 차량으로 변경된다는 취지가 표시되었다. 같은 4도어 차량으로 130km/h 운전이 가능한 E531계가 2005년에 등장하고 전용 대응 개조 공사 개시로 E531계에 의한 대행 기회가 증가하면서, 본 계열은 2007년 2월 21일을 마지막으로 조반선 쓰치우라 이남에서의 소정 운행을 종료했다.

4. 2. 2007년 3월 개정 이후
E531계가 2007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으로 우에노역 발 조반선 열차에 투입되면서, E501계 열차는 조반선 쓰치우라역 이북 구간과 미토선의 각역 정차 열차로 운행 구간이 변경되었다.[3]5. 개조
1995년 1월에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의 영향으로 가와사키 중공업에서의 납품이 지연되어, 10량+5량 편성의 첫 열차는 1995년 12월 1일 시간표 개정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3][5][4]
2006년 9월부터 10월까지 측면 창문 일부를 열 수 있도록 개조되었다.[5] --
2006년 10월부터는 화장실 설치 개조가 진행되었으며, 2007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부터 E531계가 우에노역 발 조반선 열차에 투입되면서 E501계 열차는 조반선 쓰치우라역 이북의 구간과 미토선의 각역 정차 열차로 운행 구간이 변경되었다.[3]
2011년과 2012년 사이에는 전기 및 제동 장치를 교체하는 수명 연장 개조가 이루어졌다.[5] 이 열차는 원래 게이큐 2100계와 유사하며, 출발 시 "도레미파솔라시도" 음계를 내는 지멘스 GTO-VVVF 추진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지만, 개조를 통해 추진 시스템이 도시바 IGBT-VVVF로 변경되었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모든 PS29 런던형 팬터그래프가 싱글 암 팬터그래프로 교체되었다.[4]
2003년 10월부터 차내 자동 방송이 도입되었고, 2007년 3월까지 E531계에 준하는 방송으로 변경되는 등 여러 차례 갱신이 이루어졌다.
2007년 3월 시간표 개정으로 운행 구간이 변경됨에 따라 2006년 10월 ~ 2007년 2월에 걸쳐 기본 편성의 1, 10호차 및 부속 편성의 1호차에 배리어 프리 대응 화장실이 설치되었다. 순환식 화장실이다.
완성 당시에는 지멘스사 VVVF 인버터를 탑재했지만, 신뢰성 문제로 5량의 부속 편성은 2007년에, 10량의 기본 편성은 2012년에 도시바제 IGBT 소자의 제어 장치로 갱신했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월에 걸쳐 모든 부속 편성이 싱글 암 형태의 PS37A로 교체되었으며, 기본 편성도 2015년 2월부터 교체 공사가 진행되어 기본 · 부속 편성의 교체가 완료되었다.
2019년 3월부터 K701, K752 편성의 행선 표시기가 막식에서 3색 LED식으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측면의 행선 표시기는 행선지에 더해 노선명을 표시하게 되었다.
2023년 10월에 JR 동일본은 본 형식을 개조하여 이벤트 열차 "E501 SAKIGAKE"로 새롭게 운행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부속 편성의 K754 편성을 대상으로 측면 색상은 홍매나 백매를 이미지한 분홍색이나 흰색에 칼자루 끈을 이미지한 디자인으로 했고, 차내는 롱 시트인 채로 음식에 배려하여 손잡이 부근에 테이블을 설치했다. 또한, 차내에서 차가운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 냉장고를 장비했다.
개조소는 고리야마이다.
2023년 11월 23일에 미토역 - 유키역 간에서 "미토선 지방주 열차"로 운행을 시작했다.[10]
2024년 10월 13일에 '부흥 하마도리 술 순례호'가 이와키 ~ 하라노마치에서 운전되어 SAKIGAKE 개조 후 처음으로 이와키 이북에 입선했다.[11] 조반선 미토 주변과 미토선을 중심으로 임시 열차로 운행되고 있다.
편성번호 | 개조일 |
---|---|
K701 | 2007년 2월 21일 |
K702 | 2006년 10월 26일 |
K703 | 2006년 11월 20일 |
K704 | 2006년 10월 3일 |
K751 | 2007년 1월 31일 |
K752 | 2006년 11월 9일 |
K753 | 2006년 12월 6일 |
K754 | 2007년 1월 22일 |
편성번호 | 개조일 | 개조소 |
---|---|---|
K701 | 2012년 1월 20일 | |
K702 | 2012년 11월 5일 | |
K703 | 2012년 3월 27일 | |
K704 | 2011년 1월 26일 | |
K751 | 2011년 8월 21일 | |
K752 | 2011년 5월 21일 | |
K753 | 2011년 4월 25일 | |
K754 | 2011년 9월 1일 |
편성번호 | 개조일 |
---|---|
K701 | 2015년 11월 27일 |
K702 | 2015년 10월 29일 |
K703 | 2015년 12월 24일 |
K704 | 2015년 2월 13일 |
K751 | 2014년 12월 25일 |
K752 | 2014년 12월 27일 |
K753 | 2014년 12월 5일 |
K754 | 2014년 12월 24일 |
6. 편성표
2018년 10월 1일 현재, 가쓰타 차량센터에는 10량 편성(K701~K704) 4개와 5량 편성(K751~K754) 4개가 배치되어 있다. 10량 편성은 전동차(M) 4량과 무동력 부수차(T) 6량으로, 5량 편성은 전동차(M) 2량과 무동력 부수차(T) 3량으로 구성된다.[4]
富岡|토미오카일본어 방면 ← → 小山|코야마일본어·土浦|쓰치우라일본어 방면 | |||||||||||
10량 편성 (기본 편성) | 호차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1 |
---|---|---|---|---|---|---|---|---|---|---|---|
형식 | 쿠하E501 (Tc) | 사하E501 (T) | >모하E501 (M1) | 모하E500 (M2) | 사하E500 (T) | 사하E501 (T) | 사하E501 (T) | >모하E501 (M1) | 모하E500 (M2) | 쿠하E500 (Tc') | |
탑재 기기 | BT | MTr,CI | CI,SIV | CP | MTr,CI | CI,SIV | CP,BT | ||||
차량 중량 | 25.5ton | 22.5ton | 34.2ton | 31.8ton | 23.4ton | 22.5ton | 22.5ton | 34.2ton | 31.8ton | 26.1ton | |
K701 | 1 | 2 | 2 | 2 | 1 | 3 | 4 | 3 | 3 | 1001 | |
K702 | 2 | 6 | 5 | 5 | 2 | 7 | 8 | 6 | 6 | 1002 | |
K703 | 3 | 10 | 8 | 8 | 3 | 11 | 12 | 9 | 9 | 1003 | |
K704 | 4 | 14 | 11 | 11 | 4 | 15 | 16 | 12 | 12 | 1004 | |
5량 편성 (부속 편성) | 호차 | 5 | 4 | 3 | 2 | 1 | |||||
형식 | 쿠하E501 (Tc) | 사하E501 (T) | >모하E501 (M1) | 모하E500 (M2) | 쿠하E500 (Tc') | ||||||
탑재 기기 | BT | MTr,CI | CI,SIV | CP,BT | |||||||
차량 중량 | 25.5ton | 22.5ton | 34.2ton | 31.8ton | 26.1ton | ||||||
K751 | 1001 | 1 | 1 | 1 | 1 | ||||||
K752 | 1002 | 5 | 4 | 4 | 2 | ||||||
K753 | 1003 | 9 | 7 | 7 | 3 | ||||||
K754 | 1004 | 13 | 10 | 10 | 4 |
- 3호차와 8호차에는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1개씩 장착되어 있다.
- 10량 편성의 1호차와 10호차, 5량 편성의 1호차와 5호차에는 휠체어 공간이 있다.[4]
- 10량 편성의 1호차와 10호차, 5량 편성의 1호차에는 유니버설 디자인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4]
- 10량 편성의 8호차와 5량 편성의 4호차는 약냉방차로 지정되어 있다.[4]
- 기본 편성 10호차와 부속 편성 1호차는 전기 연결기가 있어 0번대, 기본 편성 1호차와 부속 편성 5호차는 전기 연결기가 없어 1000번대로 구분된다.
- 차량 중량은 낙성시 기준이다.
- MTr (Main-Transformer): 주 변압기
- CI (Converter・Inverter): 주 변환 장치(컨버터 장치 + VVVF 인버터 장치)
- SIV: 보조 전원 장치(정지형 인버터)
- CP: 공기 압축기
- BT: 축전지
7. 차량 이력표
편성 번호 | 제작사 | 인도일 | 화장실 설치 | 리모델링 | 팬터그래프 단일 암으로 변경 | 비고 |
---|---|---|---|---|---|---|
K701 | 가와사키 중공업 | 1995년 5월 23일 | 2007년 2월 21일 | 2012년 1월 20일 | 2015년 11월 27일 | |
K702 | 1997년 2월 20일 | 2006년 10월 26일 | 2012년 11월 5일 | 2015년 10월 29일 | ||
K703 | 1997년 3월 6일 | 2006년 11월 20일 | 2012년 3월 27일 | 2015년 12월 24일 | ||
K704 | 도큐 차량 제조 | 1997년 3월 18일 | 2006년 10월 3일 | 2011년 1월 26일 | 2015년 2월 13일 | |
K751 | 1995년 3월 28일 | 2007년 1월 31일 | 2011년 8월 21일 | 2014년 12월 25일 | ||
K752 | 가와사키 중공업 | 1997년 2월 21일 | 2006년 11월 9일 | 2011년 5월 21일 | 2014년 12월 27일 | |
K753 | 1997년 3월 7일 | 2006년 12월 6일 | 2011년 4월 25일 | 2014년 12월 5일 | ||
K754 | 도큐 차량 제조 | 1997년 3월 19일 | 2007년 1월 22일 | 2011년 9월 1일 | 2014년 12월 24일 | 2023년 10월 E501 SAKIGAKE 열차로 개조[6] |
- 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도큐 차량 제조
- 배치: 가쓰타 차량 센터[12]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JR's Railway Cars: JR全車両
Sekai Bunka
2009
[2]
간행물
JR第1世代の車両・現況と概要
Kōtsū Shimbun
2014-03
[3]
서적
JR全車輌ハンドブック2009
Neko Publishing
2009
[4]
서적
Kotsu Shimbunsha
2018-11-14
[5]
서적
JR電車編成表 2014夏
Kotsu Shimbunsha
2014-05-30
[6]
웹사이트
E501 系電車を活用した新しいイベント専用車両 「E501 SAKIGAKE(さきがけ)」がデビューします!
https://www.jreast.c[...]
East Railway Japan Company
2023-10-25
[7]
웹사이트
「E501 SAKIGAKEさきがけ」による団体運転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3-11-24
[8]
문서
シーメンス社の装置は[[京浜急行電鉄]]の[[京急2100形電車|2100形]]や[[京急1000形電車 (2代)|新1000形]]の一部にも採用されていた。
[9]
문서
日本鉄道車両工業会「車両技術」207号(1995年6月)「JR東日本E501系通勤形交直流電車」pp.20 - 31。
[10]
웹사이트
「E501 SAKIGAKE(さきがけ)」がデビュー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3-10-23
[11]
웹사이트
E501系 復興浜通り酒巡り号(ツアー)(2023年11月3日)
https://www.tetsudo.[...]
2023-10-10
[12]
문서
2004年(平成16年)3月31日までは「勝田電車区」、同年4月1日より「勝田車両センター」。
[13]
문서
ジェー・アール・アール編『JR電車編成表』2024夏 ジェー・アール・アール、交通新聞社、2024年、p.43。ISBN 9784330028248。
[14]
문서
1995年に川崎重工業で製造された基本10両編成は[[阪神・淡路大震災]]の影響で納車が遅れた。
[15]
문서
1997年に増備された車両の一部は老朽化した403系一部編成の置き換え用である。
[16]
문서
基本編成の運用をE531系付属編成2本で代用する場合、荒川沖駅の貨物列車待避線では乗務員の車内移動ができないため、本系列による運転時も含めてホームに降りて移動できる佐貫駅を使用していた。
[17]
문서
その後、日中の土浦駅始発列車はE531系付属編成による列車が1本あったほか、付属編成2本連結した10両編成の列車が土浦駅で折り返す運用も設定されていた。2022年3月12日のダイヤ改正で日中の土浦駅以北の列車は直接土浦駅で折り返すダイヤに変更された。
[18]
웹사이트
E501系 復興浜通り酒巡り号(ツアー)(2023年11月3日)
https://www.tetsudo.[...]
2023-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