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도비시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도비시는 북마케도니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1019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비잔틴 제국, 세르비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2021년 기준 인구는 24,122명이다. 주민은 주로 마케도니아 정교회 신자이며, 이슬람교, 개신교, 가톨릭 신자도 있다. 주요 산업은 광업, 건설, 농업 등이며, 부침 광산이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화 센터, 도서관 등 문화 시설이 있으며, 축구, 농구, 핸드볼 등 다양한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진다. 셀추크(터키)와 벨리카 플라나(세르비아)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온화한 지중해성-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도비시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라도비시시 |
현지 이름 | Општина Радовиш |
현지 이름 (언어) | mk |
유형 | 도시 자치구 |
국가 | 북마케도니아 |
지역 | [[File:Logo of Southeastern Region, North Macedonia.svg|15px]] 남동부 통계 지역 |
![]() | |
![]() | |
![]() | |
시청 소재지 | 라도비시 |
시장 | 아초 리스토프 (VMRO-DPMNE) |
면적 | 497.48 km2 |
인구 | 24,122명 |
지역 번호 | 32 |
차량 번호판 | RA |
우편 번호 | 2420 |
웹사이트 | 라도비시시 공식 웹사이트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2. 역사
라도비시는 1019년 비잔틴 제국의 기록에 처음 등장하며, 중세 시대에는 지역 무역, 수공예, 광업의 중심지로 언급되었다. 도시의 이름은 슬라브계 공작부인 "라다"의 전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튀르크족 계열의 요르크 유목민이 정착하기도 했다.[1] 이후 19세기와 20세기를 거치며 여러 봉기와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등 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영향을 받았다.
2. 1. 중세 시대
라도비시는 1019년 비잔틴 제국의 차르 바실리 2세 통치 기간에 처음으로 역사 기록에 등장한다. 이 시기 라도비시는 지역 무역, 수공예, 광업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했다.'라도비시'라는 지명은 슬라브계 출신의 중세 공작부인인 "라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승에 따르면 라다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요새 위에 거주했다고 한다.
14세기에는 라도비시와 인근의 콘체 지역이 세르비아의 지배하에 놓였다. 1361년에는 세르비아의 차르 우로스가 라도비시를 방문하여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
2. 2. 오스만 제국 시대
16세기 마케도니아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시기, 라도비시 지역에는 요르크라고 불리는 유목민 튀르크족이 정착했다. 이들은 오늘날까지도 이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 집단이다.[1]2. 3. 근현대
19세기와 20세기 동안 라도비시와 주변 지역은 라즐로보 봉기, 크레스넨스코 봉기, 일린덴 봉기,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및 제2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의 영향을 받았다.3. 인구 통계
2021년 북마케도니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도비시 시의 총 인구는 24,122명이다.[2] 자세한 민족 및 종교 구성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1. 민족 구성 (2021년)
2021년 북마케도니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지방 자치 단체의 인구는 24,122명이다.[2] 해당 조사를 바탕으로 한 2021년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민족 | 인구 | 비율 (%) |
---|---|---|
총계 | 24,122 | 100 |
마케도니아인 | 17,278 | 71.63 |
튀르크인 | 4,013 | 16.64 |
로마인 | 261 | 1.08 |
세르비아인 | 25 | 0.1 |
알바니아인 | 24 | 0.09 |
발라흐인 | 14 | 0.06 |
보스니아인 | 2 | 0.01 |
기타 / 미신고 / 불명 | 74 | 0.31 |
행정 자료에서 데이터를 가져온 사람 | 2,431 | 10.08 |
3. 2. 종교 구성 (2021년)

라도비시 시에는 동방 정교회 교회와 수도원, 개신교 교회(감리교, 침례교, 여호와의 증인 왕국회관 등), 가톨릭 교회, 그리고 이슬람교 모스크가 존재한다.
2021년 북마케도니아 인구 조사에 따른 라도비시 시의 종교 구성은 다음과 같다.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포함한 기독교 신자가 다수를 차지하며, 이슬람교 신자도 상당수 거주하고 있다.
종교 | 신자 수 | 비율 (%) |
---|---|---|
총계 | 24,122 | 100 |
마케도니아 정교회 | 11,008 | 71.3 |
기독교/개신교 | 6,159 | |
가톨릭 | 24 | |
이슬람교 | 4,470 | 18.5 |
기타 | 30 | 0.12 |
행정 자료에서 데이터를 가져온 사람 | 2,431 | 10.1 |
4. 지방 정부
라도비시 시장은 지방 선거를 통해 직접 선출된다. 현 시장은 아초 리스토프로, 그는 2021년 지방 선거에서 VMRO-DPMNE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5. 문화
라도비시 시에는 문화 센터 "아코 카라마노프", 도서관 "브라카 밀라디노브치"와 같은 문화 기관이 있으며, 세 개의 아마추어 극단도 활동하고 있다. 매년 라도비시 시에서는 라도비시 문화 여름, 어린이 민속 축제 "오로 베셀로", 가이다 인예보, 그리고 아코 카라마노프 시 낭송 모임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6. 종교
라도비시 시는 주로 정교회 신자가 많으며, 무슬림, 개신교, 가톨릭 신자도 소수 존재한다.
주요 동방 정교회 교회로는 새로운 성 삼위일체 교회, 오래된 성 일리야 교회, 그리고 18세기에 지어진 성 콘스탄틴 왕과 헤나 여왕 교회가 있다. 또한 성 대천사 미카엘 수도원, 성 판텔레온 수도원, 성 조지 수도원과 같은 정교회 수도원도 위치해 있다.
그 외에도 두 곳의 감리교 교회, 한 곳의 침례교 교회, 여호와의 증인의 왕국회관 등 다양한 개신교 교파 시설과 두 개의 모스크가 있다.
북마케도니아의 2002년 인구 조사 및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른 라도비시 시의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
종교 | 2002년 | 2021년 | ||
---|---|---|---|---|
인구 | % | 인구 | % | |
총계 | 28,244 | 100 | 24,122 | 100 |
마케도니아 정교회 | 23,675 | 83.8 | 11,008 | 71.3 |
기타 기독교 (개신교) | 3 | 0.01 | 6,159 | |
가톨릭 | 13 | 0.05 | 24 | |
이슬람교 | 4,354 | 15.4 | 4,470 | 18.5 |
기타 | 199 | 0.70 | 30 | 0.12 |
행정 자료 기반 (미응답 등)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2,431 | 10.1 |
7. 교통
'''도로'''
라도비시는 국도 M6을 통해 인접 도시인 슈티프와 스트루미차와 연결된다. 이 도로는 라도비시로 접근하는 주요 경로이다. 북쪽으로는 슈티프가 37km 거리에 있으며, 남쪽으로는 스트루미차가 29km 거리에 있다. 수도 스코페까지의 거리는 121km이다.
'''공항'''
가장 가까운 공항은 수도 스코페 인근에 위치한 스코페 국제공항으로, 라도비시에서 북쪽으로 약 108km 떨어져 있다.
'''택시 및 버스'''
라도비시 버스터미널은 알렉산더 마케돈스키 대로에 위치하며, 시내 중심가에서 약 500m 거리에 있다. 버스터미널을 통해 스코페, 비톨라, 프릴레프 등 주요 도시 및 인근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택시는 도시 전역에서 이용 가능하며, 시내 요금은 대략 1.14EUR 또는 70MKD이다. 택시를 이용하여 다른 마을이나 도시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8. 미디어 및 통신
라도비시시에는 민영 방송 채널인 TV 코브라가 운영되고 있다. 유료 방송 서비스로는 케이블 TV 사업자인 텔레케이블, DVB-T(MPEG-4) 방식의 Vip TV, 위성방송(DirectToHome) 서비스인 TotalTV 등이 있다. 인터넷 서비스는 케이블, ADSL, WDSL, WiFi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도시 전역에 WiFi 핫스팟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3개의 전국 이동통신 사업자가 4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9. 스포츠 및 레저
라도비시 시민들, 특히 젊은 세대는 스포츠를 즐겨 하며, 축구, 농구, 핸드볼, 낚시 등이 인기 있는 종목이다. 라도비시에는 축구 클럽 FK 플라치코비차, 핸드볼 클럽 RK 라도비시, 낚시 클럽 Carp-Radoviš 등이 활동하고 있다.
"레바리"(Лебариmk)는 라도비시 스포츠 클럽들의 공식 서포터 그룹으로, 1991년에 결성되었다. 이들은 주로 녹색과 노란색의 상징물을 사용하며 라도비시의 모든 클럽을 응원한다.
라도비시는 예전부터 "스포츠 도시"로 불릴 만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레슬링 클럽 ''BK "부침-라도비스"''가 ''1995년 유럽 클럽 챔피언''과 ''1996년 세계 클럽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한 이후, 유럽과 세계적으로 자유형 및 그레코로만 레슬링의 "수도"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주요 타이틀 결정전 외에도 1991년 "레슬링 발칸 선수권 대회(자유형 및 그레코로만 스타일)", "마케도니아의 진주"와 같은 많은 대회가 ''라도비시 스포츠 센터 "25 마이"''에서 열렸다.
1999년에는 새로운 스포츠 시설인 챔피언 스포츠 센터(Спортски Центар и Ресторан Шампион - Радовишmk)가 문을 열었다. 이 센터는 올림픽 규격 수영장과 소형 수영장, 테니스 코트, 농구 코트, 탁구 시설, 핸드볼 코트, 축구장, 체육관 및 레스토랑을 갖추고 있다.
10. 교육
라도비시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 기관이 있다.
- '''초등학교'''
- * 크르스테 페트코프 미시르코프 - 라도비시: 6세부터 14세까지의 학생 약 1300명이 재학 중이다.
- * 니콜라 카레프 - 라도비시: 6세부터 14세까지의 학생 약 1100명이 재학 중이다.
- '''중등학교'''
- * SOU 코스타 수시노프 - 라도비시: 15세에서 18세 사이의 학생 약 1200명이 재학 중이며, 인문계열, 금속 공학 기술자, 컴퓨터 기술 및 자동화 전기 기술자 과정을 제공한다.
11. 경제 및 산업
라도비시의 경제는 광업, 건설업, 농업, 축산업, 사업 및 무역, 관광 및 접객업, 금융, 보험, 보건 산업, 수공예, 서비스업, 운송 및 여행사 등 다양한 활동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주요 산업 시설은 다음과 같다.
- 부침(Бучимmk): 라도비시의 유일하게 가동 중인 광산이자 북마케도니아에서 유일하게 구리와 금을 채굴하는 광산이다. 약 5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라도비시 산업과 경제의 중요한 원동력이다. 부침 광산은 직간접적으로 건설, 사업, 접객업, 운송 등 다른 산업 활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야카타박: 담배 구매, 제조 및 가공 업체.
- 야카 80: 제약, 화장품, 영양 제품 제조 업체.
- 시크 플라치코비차: 조리 및 미조리 너도밤나무 자재 및 최종 제품 생산 회사.
- 베스트 푸드 TI: 채소 및 과일 가공 업체.
- 믈레카라 조르기에비 라도비시 (구 코오페란트): 우유 및 유제품 구매 및 생산 회사.
- 섬유 및 의류 공장: 마르디, 코넬리, 마르코스 등 다수의 공장이 있다.
- 금속 제조업: 주요 생산 시설로는 메탈프로메트와 세미가 있다.
건설업 또한 라도비시의 중요한 경제 활동 분야이다.
- 테흐니카는 가장 큰 건설 회사이다. 이 외에도 많은 건설 사업자가 있으며, 주로 개인 주택, 소규모 산업 시설, 주말 주택 건설에 집중하고 있다.
이 외에도 라도비시에서는 금융, 보험, 운송, 여행, 택시 서비스, 접객업 등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12. 유명 인물
- 아초 카라마노프 - 시인
- 밀카 에프티모바 - 오페라 가수
- 코스타 치푸셰프
- 시벨 레제프
- 바스코 토도로프 - TV 쇼 아티스트
13. 국제 관계
라도비시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14. 기후
라도비시 시의 기후는 온화한 지중해성-대륙성 기후이다.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겨울은 춥고 습하며 눈이 자주 내리는 특징이 있다. 연평균 기온은 계곡에서는 12.5~13.0°C이고, 산맥의 가장 높은 지역에서는 최대 7.5°C이다. 가장 더운 달은 7월과 8월로, 기온이 보통 31°C를 넘고 종종 40°C에 도달하며, 평균 기온은 23°C이다.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은 1.2°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563mm이며, 해마다 큰 변동이 있지만 산과 계곡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연간 일조 시간은 2326시간으로, 하루 평균 6.4시간이며 연간 112일의 맑은 날이 있다.[4]
참조
[1]
웹사이트
Локална самоуправа
http://www.radovis.g[...]
2008-10-11
[2]
웹사이트
Попис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домаќинствата и становите во 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2021 - прв сет на податоци
https://www.stat.gov[...]
2022-07-22
[3]
웹사이트
http://etf.ugd.edu.m[...]
[4]
웹사이트
The Climate in Radovis
http://www.radovis.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