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파엘 트루히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파엘 레오니다스 트루히요는 1891년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태어나, 1930년부터 1961년 암살될 때까지 도미니카 공화국을 철권 통치한 독재자이다. 그는 군대에서 경력을 쌓아 1930년 대통령에 취임한 후, 수도를 시우다드 트루히요로 개명하고 자신을 찬양하는 분위기를 조성했다. 트루히요는 파슬리 학살과 같은 인권 탄압을 자행했으며, 개인 숭배와 부정부패로 도미니카 공화국과 국제 사회에 악영향을 미쳤다. 그의 통치는 여러 문학 작품과 영화의 소재가 되었으며, 미국 CIA의 암살 개입 의혹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미니카 공화국의 반공주의자 - 호아킨 발라게르
    호아킨 발라게르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로서, 라파엘 트루히요 정권에서 요직을 거쳐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장기간 집권하며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인 통치와 인권 침해 논란에 휩싸였고,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암살된 정치인 - 라몬 카세레스
    라몬 카세레스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재임 기간 동안 미국의 재정 통제 강화, 1907년 헌법 공포, 군사 개혁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1911년 암살당했다.
  •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 - 호아킨 발라게르
    호아킨 발라게르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로서, 라파엘 트루히요 정권에서 요직을 거쳐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장기간 집권하며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인 통치와 인권 침해 논란에 휩싸였고,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 - 라울 몬데시
    라울 몬데시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LA 다저스에서 데뷔하여 신인왕을 수상하고 30홈런-30도루를 달성, 골드글러브상을 수상했으며, 은퇴 후에는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나 공금 횡령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라파엘 트루히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 접두사대장
이름라파엘 트루히요
로마자 표기Rafael Leónidas Trujillo Molina
별칭(두목)
출생 이름라파엘 레오니다스 트루히요 이 몰리나
출생일1891년 10월 24일
출생지산크리스토발, 도미니카 공화국
사망일1961년 5월 30일
사망 원인총기 암살
사망 장소시우다드 트루히요, 도미니카 공화국
안장 장소밍고루비오 묘지, 마드리드, 스페인
라파엘 트루히요 서명
라파엘 트루히요의 서명
가족
배우자

친척엑토르 트루히요 (형)
알마 맥로플린 (제수)
자녀8명 ( 람피스 트루히요, 안헬리타 트루히요 포함)http://www.idg.org.do/capsulas/febrero2009/febrero200921.htm
경력
직업군인
정치인
사업가
복무 기간1916년–1961년
소속
도미니카 국가 경찰
도미니카 공화국군 대원수 계급장
대원수
참전참전 기록 없음
정치 경력
소속 정당도미니카당
도미니카 공화국 대통령 (제36대)임기 시작: 1930년 8월 16일
임기 종료: 1938년 8월 16일
도미니카 공화국 대통령 (제39대)임기 시작: 1942년 5월 18일
임기 종료: 1952년 8월 16일
도미니카 공화국 대장임기 시작: 1934년
임기 종료: 1961년 5월 30일
전임 대통령 (제36대)라파엘 에스트렐라 우레냐(대행)
후임 대통령 (제36대)하신토 페이나도
부통령 (제36대)라파엘 에스트렐라 우레냐 (1930년–1932년)
공석 (1932년–1934년)
하신토 페이나도 (1934년–1938년)
전임 대통령 (제39대)마누엘 데 헤수스 트론코소 데 라 콘차
후임 대통령 (제39대)엑토르 트루히요
후임 대장람피스 트루히요
기타
참고 자료http://www.unesco.org/new/fileadmin/MULTIMEDIA/HQ/CI/CI/pdf/mow/nomination_forms/Documentary%20Heritage%20on%20the%20Resistance%20and%20Struggle%20for%20Human%20Rights%20in%20the%20Dominican%20Republic%201930%201961%20Nomination%20Form.pdf
관련 인물로물로 베탄쿠르
헤수스 갈린데스

2. 생애와 경력

라파엘 레오니다스 트루히요 몰리나는 1891년 10월 24일 도미니카 공화국 산크리스토발의 중하층 가정에서 태어났다.[9] 아버지는 카나리아 제도 출신 하사관 호세 트루히요 모나가스와 도미니카 출신 실베리아 발데스 멘데스의 아들 호세 트루히요 발데스였고, 어머니는 훗날 '마마 줄리아'로 알려진 알타그라시아 줄리아 몰리나 슈발리에로, 농부 페드로 몰리나 페냐와 교사 루이사 에르시나 슈발리에 사이에서 태어났다.[10][11]

트루히요의 외할머니 슈발리에는 프랑스계 저스틴 빅터 투렌느 카리에 블레즈와 아이티 혼혈 출신 엘레오노르 줄리엣 슈발리에 모로의 딸이었다. 외할머니의 어머니 쪽으로는 루이즈 모로와 남편 베르나르 슈발리에 루베르튀르의 손녀였는데, 베르나르 슈발리에 루베르튀르는 아이티 국부 투생 루베르튀르의 누이 마리-누엘 루베르튀르와 프랑스 귀족 장 바티스트 슈발리에 드 푸이보로 백작 사이에서 태어났다.[10][11]

트루히요는 형제자매 11명 중 셋째였으며,[9][12] 루이스 라파엘 "네네" 트루히요라는 입양된 형제가 있었다.[10] 그는 어릴 적 외모에 신경을 써 군사 장식을 흉내 낸 병뚜껑을 옷에 달고 다니기도 했다.

2. 1.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라파엘 레오니다스 트루히요 몰리나는 1891년 10월 24일 도미니카 공화국 산크리스토발에서 소매점을 운영하던 아버지 호세 트루히요 발데스와 어머니 알타그라시아 줄리아 몰리나 슈발리에 사이에서 11명의 자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9] 그의 아버지는 카나리아 제도 출신 하사관 호세 트루히요 모나가스와 실베리아 발데스 멘데스의 아들이었고, 어머니는 농부 페드로 몰리나 페냐와 교사 루이사 에르시나 슈발리에 사이에서 태어났다.[10][11]

트루히요는 6세에 후안 힐라리우 메리노의 학교에 입학했고, 7세에 파블로 바리나스의 학교로 전학하여 우제니오 마리아 데 오스토스의 제자들에게 교육받고 초등 교육을 마쳤다. 16세에 모스 부호 전신 연산자로 취직해 약 3년간 일했다. 이후 소 떼 훔치기, 수표 위조, 우편 강도 등 범죄에 가담하여 수감되기도 했으며, '42인의 일당'이라는 폭력적인 강도단을 조직하기도 했다.[13][14]

1916년 제1차 세계 대전미국이 도미니카 공화국을 점령하자,[15] 트루히요는 보카치카의 사탕수수 농장에서 감독으로 일하다가 1918년 미군이 질서 유지를 위해 설립한 국가경비대에 합류하여 소위로 임관했다.[16] 이후 미 해병대에서 훈련받고, 대령 리처드 멀컴 커츠의 훈련과 해병대 지휘관들의 능력을 인정받아 1919년 중위, 1922년 대위로 승진하여 국가경비대 제10중대를 지휘했다. 1923년에는 소령으로 진급하여 제1군관구 사찰관으로 임명되었다.[16]

1924년 호라시오 바스케스 대통령은 트루히요를 국가경찰 사령관으로 임명했고, 1928년에는 준장으로 임명했다.

2. 2. 권력 장악 과정

1916년 미국은 도미니카 공화국을 점령하면서 질서 유지를 위해 도미니카 군대 경찰을 설립했다.[15] 1918년, 트루히요는 미군 제임스 J. 맥린 소령의 도움으로 국가경비대에 합류하여 소위로 임관했고, 미 해병대에서 훈련을 받았다.[16] 대령 리처드 멀컴 커츠는 트루히요를 훈련시켰고, 많은 해병대 지휘관들은 그의 능력을 칭찬하며 승진을 승인했다. 그는 1919년 중위로, 1922년 대위로 진급하여 국가경비대 제10중대를 지휘했다. 1923년에는 소령으로 진급하여 제1군관구 사찰관으로 임명되었다.[16]

라파엘 트루히요 (1922년)


1924년 미군 철수 후, 호라시오 바스케스 대통령은 트루히요를 국가경찰 사령관으로 임명했고, 1928년에는 준장으로 임명했다.[16]

1930년 2월, 산티아고에서 바스케스 대통령에 대한 반란이 일어났다.[17] 트루히요는 반란군 지도자 라파엘 에스트렐라 우레냐와 비밀리에 거래하여, 에스트렐라가 권력을 잡도록 허용하는 대가로 트루히요가 새로운 선거에서 대통령에 출마하는 것을 허용했다. 트루히요는 "중립"을 가장하며 반란군이 수도를 점령하도록 놔두었다. 3월 3일, 에스트렐라는 대통령 직무대행으로 선포되었고, 트루히요는 경찰과 군대의 수장으로 확정되었다.[18]

1930년 대통령 선거에서 트루히요는 도미니카당의 후보가 되었고, 에스트렐라는 그의 러닝메이트가 되었다.[19] 군대의 방해로 다른 후보들은 사퇴했고, 트루히요-에스트렐라 후보는 9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20] 미국 대사 찰스 보이드 커티스는 트루히요가 실제 유권자보다 훨씬 많은 표를 얻었다고 기록했다.[21]

3. 트루히요 정부 (1930-1961)

산세논 허리케인으로 피해를 입은 수도를 재건하면서, 트루히요는 도시 이름을 자신의 이름을 딴 시우다드 트루히요로 바꾸고 전국에 자신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물을 세웠다.[22]

1931년 도미니카당을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선포하고 국민들에게 당 가입을 강요하여 일당 독재 체제를 만들었다.[23][24] 1934년 대선에서는 반대 세력이 없는 상황에서 무투표로 재선되었다.[23]

3. 1. 초기 통치 (1930-1940)

1930년 트루히요가 대통령에 취임한 지 3주 후, 산세논 허리케인이 수도 산토도밍고를 덮쳐 3000명(다른 기록에서는 2000명)이 사망했다. 트루히요는 미국 적십자의 구호 자금을 지원받아 도시 재건에 착수했다.[22]

1933년 트루히요


트루히요의 42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1933년 발행된 우표


1931년 8월 16일, 취임 1주년을 맞아 트루히요는 도미니카당을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선포했다. 사실상 일당 독재 국가가 시작되었으며, 공무원들은 급여의 10%를 당에 기부해야 했고,[23][24] 시민들도 당원 가입을 강요받았다. 당원들은 팜나무 그림이 있는 회원증, 즉 "팔미타"를 소지해야 했으며, 미소지 시 부랑죄로 체포될 수 있었다. 당 가입이나 기부를 거부하는 사람들은 위험을 감수해야 했고, 정권 반대파들은 의문의 죽음을 당하기도 했다.

1934년, 트루히요는 군대 최고사령관으로 승진한 후 재선에 도전했다. 조직적인 반대 세력이 사라진 상황에서 그는 무투표로 당선되었다. 조작되거나 무쟁의로 진행된 선거 외에도, 트루히요는 "시민 검열"을 통해 대규모 군중의 충성 맹세를 받아내며 지지 기반을 더욱 강화했다.[23]

트루히요가 육군 대원수로 사용한 기장


1936년, 마리오 페르민 카브랄의 제안으로 도미니카 공화국 의회는 수도 산토도밍고의 이름을 시우다드 트루히요로 변경하는 데 압도적으로 찬성했다. 산 크리스토발 주는 "트루히요"로, 국가 최고봉인 피코 두아르테는 피코 트루히요로 개명되었다. "엘 헤페"(El Jefe, 수장)의 동상이 대량 생산되어 전국에 세워졌고, 다리와 공공 건물도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국가 신문들은 1면에 트루히요 칭찬 기사를 실었고, 자동차 번호판에는 "¡Viva Trujillo!"(트루히요 만세!)나 "Año del Benefactor de la Patria"(조국의 은인의 해)와 같은 슬로건이 사용되었다. 시우다드 트루히요에는 "Dios y Trujillo"(하느님과 트루히요)라는 전광판이 설치되었고, 교회들조차 "Dios en el cielo, Trujillo en la tierra"(하늘에는 하느님, 땅에는 트루히요)라는 슬로건을 게시해야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문구의 순서는 바뀌어 "땅에는 트루히요, 하늘에는 하느님"이 되었다. 트루히요는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되기도 했지만, 위원회는 이를 거절했다.

트루히요 시대 표지판 (스페인어: "이 집에서 트루히요는 국가적 상징입니다")

3. 2. 독재 강화와 억압 통치 (1930년대 후반 - 1961)

1936년 마리오 페르민 카브랄의 제안으로 도미니카 공화국 의회는 수도의 이름을 산토도밍고에서 시우다드 트루히요로 변경하는 데 압도적인 찬성으로 투표했다. 산 크리스토발 주는 "트루히요"로, 국가 최고봉인 피코 두아르테는 피코 트루히요로 개명되었다. "엘 헤페"(El Jefe, 수장)의 동상이 대량 생산되어 도미니카 공화국 전역에 세워졌고, 다리와 공공 건물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국가 신문들은 1면에 트루히요를 칭찬하는 기사를 실었고, 자동차 번호판에는 "¡Viva Trujillo!"(트루히요 만세!)나 "Año del Benefactor de la Patria"(조국의 은인의 해)와 같은 슬로건이 포함되었다. 시우다드 트루히요에는 야간에도 "Dios y Trujillo"(하느님과 트루히요)를 볼 수 있도록 전광판이 설치되었다. 결국 교회들조차도 "Dios en el cielo, Trujillo en la tierra"(하늘에는 하느님, 땅에는 트루히요)라는 슬로건을 게시해야 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구의 순서가 바뀌어 (땅에는 트루히요, 하늘에는 하느님)이 되었다.

1938년 트루히요는 하신토 페이나도를 새 대통령으로 지명했으나, 자신은 대원수 칭호를 겸하며 실질적으로 도미니카 공화국을 지배했다. 1940년 페이나도가 사망하자 마누엘 트롱코소 델 라 콘차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트루히요 정권은 반체제 인사와 정적을 숙청하는 억압 통치를 펼쳤다. 비밀경찰(SIM)을 통해 감시와 탄압을 강화했으며, 미라발 자매, 헤수스 갈린데스 교수 등이 희생되었다.[82]

1937년에는 파슬리 학살을 일으켜 아이티계 주민 수만 명을 학살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약 2만~3만 명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미국의 압력으로 1938년 1월 배상에 합의했으나, 1939년 금액이 525000USD로 감소했고, 희생자 유가족에게는 겨우 30달러만이 전해졌다. 나머지는 관리들의 부패로 탕진되었다.[25][44]

3. 3. 경제 정책 및 근대화

트루히요 시대에는 연금 제도 도입, 주택 및 공공 의료 시설, 항만, 도로 등 국가 기반 시설 확충과 개선이 이루어져 경제가 크게 발전했다.[22] 1940년에는 외채를 완전히 상환하여 미국은 도미니카의 관세 관리를 해제했고, 의회는 트루히요를 "재정적 독립 회복자"로 칭송했다.[22]

한편, 트루히요는 설탕, 커피, 맥주, 담배 등 국가 주요 산업을 일가 독점으로 지배했으며, 개인 재산은 10억달러에 달했다.[22]

트루히요는 환경 보호 정책으로도 유명했다. 야케 델 수르 강 주변의 자연 보호 구역인 베다도 델 야케를 크게 확장했다.[24] 1934년에는 화전 농업을 금지하고, 공원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산림 감시 기관을 설립했으며, 자신의 허가 없이는 소나무 벌채를 금지했다.[24] 1950년대에는 도미니카 공화국 수로의 댐 건설에 따른 수력 발전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의뢰했는데, 연구 결과 숲이 우거진 수로만이 수력 댐을 지탱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오자 잠재적인 강 유역의 벌채를 금지했다.[24]

2018년 야케 델 수르 강; 트루히요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자연 환경 보존 정책으로 유명했으며 이 강 주변에 거대한 자연 보호 구역을 조성했습니다.

3. 4. 대외 관계

트루히요는 반공주의와 친미 정책을 펼치며 미국과 협력했다. 1941년 12월 11일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독일에 선전 포고를 했고, 유엔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35] 초기에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고, 1940년 9월 24일 코델 헐과의 헐-트루히요 조약을 통해 미국의 채무 상환 조치를 취했다.[36]

그러나 그의 친미 정책은 라틴 아메리카의 코스타리카, 베네수엘라 등 좌익 국가들과 마찰을 빚었다.[35] 특히 아이티와의 관계는 악화되어 1937년 파슬리 학살을 일으켰다.[39] 이 학살로 인해 약 2만~3만 명의 아이티 주민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39] 1938년 1월, 미국의 압력으로 배상에 합의했으나, 1939년 배상금은 525000USD로 감소했고, 희생자들에게는 겨우 30달러만이 지급되었으며 나머지는 관리들의 부패로 탕진되었다.[25][44]

1947년에는 후안 보쉬 등 도미니카 망명자들이 쿠바에 집중되어 도미니카 공화국 침공을 목표로 훈련을 받기도 했다.[46] 트루히요는 풀헨시오 바티스타를 지원했으나, 쿠바 혁명으로 바티스타가 축출되자 그를 망명시켰다.[47]

1959년에는 쿠바 침공에 대비하여 국방 예산을 증가시키기도 했다.[47] 1950년대 후반, 트루히요는 주변국 내정에 더욱 간섭하며 베네수엘라로물로 베탕쿠르 대통령 암살을 시도했다.[48] 1960년 6월 24일 베탕쿠르 암살 미수 사건으로 인해 국제적인 비난 여론이 일어났고, 미주 기구(OAS)는 도미니카 공화국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경제 제재 조치를 부과했다.[48] 1960년 11월 25일에 일어난 미라발 자매 암살 사건은 그의 억압 정치에 대한 저항을 더욱 가중시켰으며, 베탕쿠르 사건을 계기로 미국과의 관계는 단절되었다.

3. 5. 암살 (1961)

1961년 5월 30일, 라파엘 트루히요는 자신의 고향인 산크리스토발을 자동차로 방문하던 중 기관총 사격을 받고 암살당했다.[58] 그는 1957년형 파란색 쉐보레 벨 에어(Chevrolet Bel Air)를 타고 가던 중 도미니카 수도 외곽 도로에서 매복 공격을 받았다. 이 암살은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지원을 받아 모데스토 디아스, 살바도르 에스트레야 사달라, 안토니오 델 라 마사, 아마도 가르시아 게레로, 마누엘 카세레스 미셸, 후안 토마스 디아즈, 로베르토 파스토리사, 루이스 아미아마 티오, 안토니오 임벨트 발레라, 페드로 리비오 켄데노, 와스카르 테제다 등이 공모하여 실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9]

그러나 암살 기획자들은 권력 장악에 실패했는데, 호세 레네 로만 페르난데스(푸포 로만) 장군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공모자들을 배신했고, 예비 계획도 없었기 때문이다.[60] SIM은 트루히요 암살에 가담한 사람들을 색출하기 위해 신속하고 잔혹하게 대응했다. 수백 명의 용의자가 체포되어 고문을 당했으며, 11월 18일에는 "아시엔다 마리아 학살"에서 6명의 공모자가 처형되었다.[61] 7명의 암살자 중 임베르트와 루이스 아미아마 티오만이 살아남았다.[62]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과의 외교 회담 중에 트루히요의 사망 소식을 접했다.[63] 트루히요의 장례식은 고위 관료의 장례식으로 치러졌으며, 그의 시신은 고향인 산 크리스토발에 처음 매장되었다. 발라게르 당시 도미니카 공화국 대통령이 조사를 낭독했다. 트루히요 가족의 국가 장악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11월 19일 Rebellion of the Pilots의 군사 반란과 미국의 개입 위협으로 트루히요 정권은 막을 내렸다.[64]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트루히요 암살 개입 여부는 논란이 되고 있다. 임베르트는 음모자들이 자체적으로 행동했다고 주장했지만,[62] 트루히요가 CIA가 제공한 무기로 암살된 것은 분명하다.[66][62][67] 1975년 미국 부장관에게 제출된 보고서에서 CIA 관계자들은 CIA가 암살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았고", 암살을 계획한 집단과 "미약한 연관성"만 가지고 있었다고 기술했다.[68]

코드 마이어는 국제 단체를 조종하는 책임을 맡은 CIA 관계자였다.[69] 그는 미국쿠바피델 카스트로에 맞서 서반구를 결집시키려는 움직임 속에서 후안 보쉬, 볼만, 피게레스와의 접촉을 새로운 목적으로 이용했고, 트루히요는 더 이상 필요없는 존재가 되었다.[69] 도미니카 공화국 내 반체제 인사들은 암살이 트루히요를 제거하는 유일한 확실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69]

국무차관 체스터 보울스에 따르면, 1961년 국무부 내부에서 이 문제에 대한 논의는 활발했다.[71] 대통령 특별 보좌관인 리처드 N. 구드윈은 반군 연합과 직접 접촉하며 트루히요에 대한 개입을 주장했다.[71]

CIA 내부 각서에는 1973년 살인 사건에 대한 감찰관실 조사 결과 "음모자들과 CIA의 광범위한 연루"가 드러났다고 명시되어 있다. CIA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부를 "변화시킨" 역할을 "도미니카 공화국을 전체주의 독재 정권에서 서구식 민주주의로 이끌었다는 '성공'"으로 묘사했다.[72][69]

“5월 30일 영웅 기념비”, 1993년 실바노 로라가 트루히요가 사살된 30호 국도(Autopista 30 de Mayo)를 따라 세운 조각상

4. 개인 생활

트루히요는 업무에 매우 뛰어났지만,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겼다. 새벽 4시에 일어나 나랏일을 처리하고, 저녁 늦게까지 업무를 계속하는 꼼꼼한 스타일이었다.[49] 그는 산 크리스토발 근처 에스탄시아 푼다시온(Estancia Fundacion)에 있는 ''카사 카오바스(Casa Caobas)''를 가장 좋아했다.[56] 그 외에도 여러 곳에 집을 소유하고 있었다.[57]

트루히요와 그의 가족들은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대규모 목장을 소유하고 육류와 우유 생산을 독점했으며, 소금, 설탕, 담배, 목재, 복권 사업도 지배했다. 1937년 트루히요의 연 수입은 약 150만달러였다.[51] 사망 당시에는 111개 회사를 소유하고 있었다. 그는 화려한 의상과 넥타이를 좋아하여 각각 2천 벌, 1만 개 이상을 수집했다.[51]

트루히요는 세 번 결혼했다. 1913년 아민타 레데스마 라샤펠(Aminta Ledesma Lachapelle)과 결혼하여 두 딸을 낳았고, 1927년 비엔베니다 리카르도 마르티네스(Bienvenida Ricardo Martínez)와 재혼했다. 1935년에는 마리아 데 로스 안헬레스 마르티네스 알바(María de los Ángeles Martínez Alba)와 결혼하여 라파엘 레오니다스 람피스(Rafael Leónidas Ramfis) 등 세 자녀를 두었다. 1937년에는 리나 로바톤 피탈루가(Lina Lovatón Pittaluga)를 만나 두 자녀를 낳았다. 그는 풍만한 체형의 혼혈 여성을 선호하는 등 탐욕스러운 성욕을 보였다.

트루히요 가족들은 정부와 군대에서 요직을 차지했다. 그의 아들은 네 살 때 도미니카 군대 대령이 되기도 했다.[50] 두 형제 엑토르(Héctor)와 호세 아리스멘디(José Arismendy)도 정부에서 일했다. 호세 아리스멘디 트루히요는 라디오 방송국 ''라 보스 도미니카나''(La Voz Dominicana)를 설립했다.

트루히요는 야구에 관심이 없었지만, 흑인 리그 스타 새첼 페이지를 초청하여 시우다드 트루히요 드래곤스(Dragones de Ciudad Trujillo) 팀에서 뛰게 했다. 페이지는 경호원들이 자신을 감시했다고 농담하기도 했다.[54]

트루히요는 건강했지만, 만성적인 요로 감염과 전립선 문제로 고통받았다.[55] 그는 "엘 헤페"(El Jefe, "수장") 또는 "엘 베네파크토르"(El Benefactor, "은인")로 알려졌지만, 메달을 많이 착용하여 ''차피타스''(Chapitas, "병뚜껑")라고 불리기도 했다.

5. 유산과 평가

후안 보쉬(Juan Bosch) 등 도미니카 망명자들은 1947년 쿠바에서 라몬 그라우(Ramón Grau) 정부의 지원을 받아 트루히요 타도 원정을 준비했으나, 미국의 압력으로 중단되었다.[46] 풀헨시오 바티스타(Fulgencio Batista) 집권 초기, 트루히요는 반(反) 바티스타 세력을 지원했지만, 이들이 피델 카스트로(Fidel Castro)와 동맹을 맺으면서 지원한 무기가 카스트로 반군에게 넘어갔다. 1956년 이후 카스트로가 세력을 얻자, 트루히요는 바티스타를 지원했으나 쿠바 혁명(Cuban Revolution)으로 바티스타가 축출되자, 1959년 8월까지 그를 "사실상의 죄수"로 잡아두었다.[47] 바티스타는 포르투갈(Portugal) 망명을 위해 300만~400만 달러를 지불해야 했다.[47]

카스트로의 위협에 대응하여 트루히요는 국방 예산을 증액하고, 아이티 방어를 위한 외국인 부대를 편성했다. 1959년 6월, 쿠바 비행기가 콘스탄사(Constanza, Dominican Republic)에 착륙하고, 두 척의 요트에 실린 침입자들이 북쪽 해안에 상륙했으나, 도미니카 군대가 승리했다.[47] 1959년 8월, 조니 아베스(Johnny Abbes)는 쿠바 트리니다드(Trinidad, Cuba) 근처에서 반카스트로 그룹을 지원하려 했으나, 쿠바군의 기습으로 실패했다.[48]

트루히요의 통치는 도미니카 공화국과 국제 사회에 여러 영향을 미쳤으며, 그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긍정적 평가로는 환경 보호 정책, 개방적인 이민 정책, 외채 상환을 통한 재정 문제 해결 등이 있다. 그러나 30년 이상 철권 통치를 하며 수많은 인권 탄압과 정치적 반대파를 숙청했다는 부정적 평가가 있다. 그의 정권은 개인 숭배, 권력 남용, 부정부패로 악명이 높았으며, 파슬리 학살은 그의 잔혹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또한, 군사정보국(SIM)을 통해 공포 정치를 펼치고, 주변국과의 관계에서도 문제를 일으켜 외교적 고립을 심화시켰다.

5. 1. 긍정적 평가 (논란의 여지 있음)

트루히요는 환경 보호에 적극적이었다. 그는 호아킨 발라게르를 후원하여 도미니카 공화국의 환경 보호 정책을 강화했다. 발라게르는 빈곤층의 생계형 벌목이든 부유층의 탐욕형 벌목이든 가리지 않고 엄벌에 처했으며, 강과 해안의 습지대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 국립공원을 지나는 도로 공사와 대규모 환경 파괴를 일으키는 댐 건설을 강제로 중단시켰다. 오늘날 도미니카 공화국이 자랑하는 녹지의 대부분은 발라게르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24]

트루히요 정권은 야케 델 수르 강 주변의 자연 보호 구역인 베다도 델 야케를 크게 확장했다. 1934년 화전 농업 방식을 금지하고, 공원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산림 감시 기관을 설립했으며, 자신의 허가 없이는 소나무 벌채를 금지했다. 1950년대에는 도미니카 공화국 수로의 댐 건설에 따른 수력 발전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의뢰했는데, 연구 결과 숲이 우거진 수로만이 수력 댐을 지탱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오자 잠재적인 강 유역의 벌채를 금지했다.[24]

트루히요는 개방적인 이민 정책으로 유럽에서 온 유대인 난민, 일본인 이주민, 스페인 내전 이후 스페인에서 온 망명자들을 받아들였다. 특히 1938년 에비앙 회의에서 도미니카 공화국은 최대 10만 명의 유대인 난민을 수용하겠다고 제안한 유일한 국가였다.[33]

트루히요는 도미니카의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1940년 9월 24일, 미국의 국무장관 코델 헐과 헐-트루히요 조약을 체결하여 미국의 도미니카 관세 징수 및 사용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하게 하고, 도미니카 공화국은 외채 상환을 보장하기 위해 통합된 정부 수입을 특별 은행 계좌에 예치하기로 약속했다. 이를 통해 정부는 관세를 제한 없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36] 이러한 외교적 성공으로 트루히요는 자신을 국가의 구원자로 제시하는 대대적인 선전 캠페인을 시작했고, 법률에 따라 '은인(Benefactor)'은 '국가 재정 독립 회복자(Restaurador de la independencia financiera de la Republica)'로 선포되었다.[37]

5. 2. 부정적 평가

트루히요는 30년 이상 도미니카 공화국을 철권 통치하며 수많은 인권 탄압과 정치적 반대파 숙청을 자행했다. 그의 정권은 개인 숭배, 권력 남용, 부정부패로 악명이 높았다. 특히 1937년에 벌어진 파슬리 학살은 트루히요의 잔혹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이 학살로 국경 지역에서 도미니카 공화국을 탈출하려던 아이티계 주민 수만 명이 학살당했다.[39]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배상금이 지급되긴 했지만, 대부분은 부패한 관리들에게 돌아갔고 희생자 가족에게는 극히 일부만이 전달되었다.[25]

트루히요는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수도 산토도밍고를 '시우다드 트루히요'로 개명하고, 자신의 이름을 딴 동상과 건물을 세우는 등 개인 숭배를 강요했다. 심지어 교회에 "하늘에는 하느님, 땅에는 트루히요"라는 구호를 내걸도록 했다.[25]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군사정보국(SIM)은 공포 정치의 도구로 활용되었다. SIM은 반대파를 감시하고 고문, 살해했으며, 이 과정에서 미라발 자매 살해 사건과 같은 국제적으로 비난받는 사건들이 발생했다.[30]

트루히요는 주변국과의 관계에서도 문제를 일으켰다. 아이티 대통령 암살 시도와 베네수엘라 대통령 로물로 베탕쿠르 암살 미수 사건은 그의 외교적 고립을 심화시켰다.[31] 특히 베탕쿠르 암살 미수 사건은 미주 기구(OAS)의 경제 제재를 초래했다.

6. 대중 문화

트루히요와 그의 시대를 다룬 다양한 책, 영화, 다큐멘터리가 존재한다.

매체 종류제목출시일세부 정보
Trujillo: The Little Caesar of the Caribbean (트루히요: 카리브해의 작은 카이사르)1958년헤르만 오르네스 코이스쿠(Germán Ornes Coiscou) 저술. 30년 이상 도미니카인 여러 세대에 암처럼 번져간 트루히요 독재의 공포를 보여준다.
공포의 무리 (The Terrible Ones)1966년발레리 뮬만(Valerie Moolman) 저술. 공포의 무리(트루히요 반대파 암살자들의 과부들), 쿠바 피델리스트들, 중국 공산주의 세력이 트루히요 독재 기간 동안 축적된 1억 달러 상당의 금과 보석을 찾아 회수하려는 시도를 묘사.
Memorias de un Cortesano de la Era de Trujillo (트루히요 시대의 신하의 회상록)1988년호아킨 발라게르(Joaquín Balaguer) 저술. 트루히요가 임명한 도미니카 공화국의 마지막 꼭두각시 대통령. 1960년에 임명되어 1966년~1996년 기간 대부분을 스스로 통치.
La era de Trujillo: un estudio casuístico de dictadura hispanoamericana (트루히요 시대: 히스파노아메리카 독재의 사례 연구)1990년마누엘 바스케스 몬탈반(Manuel Vazquez Montalbán) 저술. 갈린데스의 삶과 실종을 허구적으로 재현.
TV 영화게임의 영혼 (Soul of the Game)1996년산토 도밍고의 야구 경기 도중 짧게 등장.
영화El Misterio Galíndez – The Galindez File (갈린데스 미스터리 – 갈린데스 파일)2003년헤라르도 에레로(Gerardo Herrero) 감독. 1956년 실종된 PNV 당원이자 바스크 외교관인 예수스 데 갈린데스 수아레스(Jesús de Galíndez Suárez)에 대한 영화. 트루히요 정권에 대한 그의 반대로 인해 실종된 것으로 추정.
오거의 딸 ('The Ogres Daughter'')2024년카트린 바르동(Catherine Bardon) 저술, 티나 코버(Tina Kover) 영어 번역, 유로파 에디션(Europa Editions) 출판. 트루히요의 장녀 플로르 데 오로(Flor de Oro)의 허구적인 삶을 그림.


6. 1. 문학

매체 종류제목출시일세부 정보
나비의 시간 (In the Time of the Butterflies)1994년줄리아 알바레스(Julia Alvarez)가 저술. 트루히요 정권하에서 살았던 미라발 자매 네 명의 삶을 묘사. 그중 세 명은 그의 통치에 저항하다가 결국 살해당함.
Before We Were Free (우리가 자유로워지기 전에)2002년[78]도미니카계 미국인 작가 줄리아 알바레스(Julia Alvarez)의 청소년 소설. 1960년 도미니카 공화국에 사는 12세 소녀 아니타가 트루히요 통치하의 삶이 이전에 알았던 것보다 훨씬 어둡고 위험하다는 것을 깨닫는 이야기.
염소의 향연 (The Feast of the Goat)2000년마리오 바르가스 요사(Mario Vargas Llosa)의 책. 도미니카 공화국을 배경으로 도미니카 독재자의 암살과 그 여파를 한 세대의 차이를 둔 두 가지 관점에서 묘사. 1961년 5월 암살 직전과 직후, 그리고 35년 후인 1996년.
오스카 바오의 짧고 경이로운 삶 (The Brief Wondrous Life of Oscar Wao)2007년산토 도밍고 출신 미국인 주노 디아즈(Junot Díaz)의 퓰리처상 수상작. 도미니카계 미국인 가족에 대한 허구적인 이야기. 가족의 불행과 트루히요 정권의 잔혹 행위를 엮어 묘사하며, 그중 일부는 가족의 운명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세대를 거쳐 저주나 푸쿠처럼 따라다님.
족장의 가을2007년, 2011년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저, 고즈에 나오미 역, 슈에이샤 문고 신판(2011년), 신초사(2007년)
La Fiesta del Chivo2000년, 2010년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저, 『염소의 향연』 야에가시 카츠히코·유키코 역, 작품사 (2010년)
영화The Feast of the Goat2005년트루히요 암살 계획을 그림. 루이스 호사 감독, 이사벨라 로셀리니 주연 (일본 미개봉)
The Brief Wondrous Life of Oscar Wao2011년준오 디아스 저, 『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 도코우 코우지·쿠보 나오미 역, 신초사, 2011년


6. 2. 영화

제목출시일세부 정보
잭켈의 날 (The Day of the Jackal)1973년프레드 지네만(Fred Zinnemann) 감독. 프레더릭 포사이스(Frederick Forsyth)의 소설 잭켈의 날을 원작으로, 암살의 "공로"를 주인공 암살자에게 돌리는 허구적 내용을 담고 있다.
나비의 시간 (In the Time of the Butterflies)2001년마리아노 바로소(Mariano Barroso) 감독, 에드워드 제임스 올모스(Edward James Olmos)가 트루히요 역을 맡았다. 줄리아 알바레스(Julia Alvarez)의 소설 나비의 시간을 바탕으로, 반체제 인사였던 미라발 자매의 암살 사건을 다룬다.
염소의 향연 (The Feast of the Goat)2006년루이스 요사(Luis Llosa) 감독, 토마스 밀리안(Tomás Milián)이 트루히요 역을 맡았다.
피의 열대 지방 (Trópico de Sangre)2010년후안 델란서(Juan Delancer) 감독, 후안 페르난데스 데 알라르콘(Juan Fernández de Alarcon)이 트루히요 역을 맡았다. 미네르바 미라발과 자매들이 트루히요에 맞서 싸우다 1960년 암살당한 실화를 다루며, 이 사건이 트루히요 암살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6. 3. 다큐멘터리

매체 종류제목출시일세부 정보
다큐멘터리El Poder del Jefe I (권력의 수장 I)1994년르네 포르투나토(René Fortunato) 감독
다큐멘터리켄 번스의 야구 (Ken Burns’ Baseball)1994년5회: 그림자 볼(Shadow Ball)에서 새치 페이지(Satchel Paige)와 조시 깁슨(Josh Gibson)과 함께 도미니카 국가 선수권 대회 우승을 다룬다.
다큐멘터리El Poder del Jefe II (권력의 수장 II)1996년르네 포르투나토 감독
다큐멘터리El Poder del Jefe III (권력의 수장 III)1998년르네 포르투나토 감독
영화Code Name: Butterflies (암호명: 나비들)2009년세실리아 도메이코(Cecilia Domeyko) 감독. 관련 인물들의 인터뷰와 주요 사건 재현을 통해 미라발 자매의 삶과 죽음에 대한 영화.


참조

[1] 웹사이트 Descendencias Presidenciales: Trujillo http://www.idg.org.d[...] Instituto Dominicano de Genealogía 2015-04-15
[2] 뉴스 I shot the cruellest dictator in the Americas https://www.bbc.co.u[...] 2013-06-19
[3] 문서 Dominican Republic Presidents
[4] 서적 Professor Galíndez : Disappearing from Earth : Governments, Complicity, and How a Kidnapping in the Midst of American Democracy Went Unsolved CUNY Dominican Studies Institute
[5] 웹사이트 Documentary Heritage on the Resistance and Struggle for Human Rights in the Dominican Republic, 1930–1961 http://www.unesco.or[...]
[6] harvp
[7] harvp
[8] 저널 Development and Dependency in the Dominican Republic https://www.jstor.or[...]
[9] 웹사이트 Rafael Trujillo http://www.history.c[...] The History Channel website 2015-05-14
[10] 웹사이트 Trujillo: Descendiente de la Oligarquía Haitiana (1 de 2) http://www.idg.org.d[...] Instituto Dominicano de Genealogía 2014-05-01
[11] 웹사이트 Trujillo, descendiente de oligarquía haitiana (2 de 2) http://hoy.com.do/ca[...] Hoy 2014-05-01
[12] 문서 Trujillo's Siblings
[13] 서적 The Dictator Next Door: The Good Neighbor Policy and the Trujillo Regime in the Dominican Republic, 1930–1945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4] harvp
[15] 서적 A Military Miscellany: From Bunker Hill to Baghdad: Important, Uncommon, and Sometimes Forgotten Facts,Lists, and Stories from America#s Military History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008
[16]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Latinos and Latinas in the United States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Golpe de Estado a Horacio Vásquez http://www.museodela[...] Museo Memorial de la Resistencia Dominicana 2013-06-08
[18] 뉴스 Golpe de Estado a Horacio http://www.elnaciona[...] 2013-06-08
[19] harvp
[20] 문서 Official results
[21] 문서
[22] 웹사이트 Rafael Trujillo http://www.history.c[...] 2021-03-08
[23] harvp
[24] harvp
[25] harvp
[26] harvp
[27] 서적 The dictator's seduction: politics and the popular imagination in the era of Trujillo Duke University Press 2009
[28] harvp
[29] 서적 The Ominous Ear Award House
[30] 서적 Binding Violence: Literary Visions of Political Origins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31] 저널 Latin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Encyclopedia of modern Latin America (1900 to the present) https://login.avoser[...] 2019-11-18
[32] 잡지 Dominican Republic: Chambers of Horror https://content.time[...] 2024-01-02
[33] harvp
[34] 서적 Reminiscences of Clem S. Clarke: Oral history, 1951 Columbia University
[35] 웹사이트 Trujillo y Franco, la alianza de dos generalísimos http://hoy.com.do/tr[...]
[36] harvp
[37] harvp
[38] harvp
[39] harvp
[40] harvp
[41] 저널 Genocide next door: the Good Neighbor policy, the Trujillo regime, and the Haitian massacre of 1937
[42] 서적 Quisqueya la bella M. E. Sharpe
[43] 서적 Latin American Dictators of the 20th Century: The Lives and Regimes of 15 Rulers McFarland 2012
[44] 저널 A Hidden Haitian World http://www.nybooks.c[...]
[45] 저널 VIVE 1804!: The Haitian Revolution and the Revolutionary Generation of 1946 Taylor & Francis, Ltd. 2004-12-01
[46] harvp
[47] harvp
[48] harvp
[49] harvp
[50] harvp
[51] harvp
[52] 웹사이트 Reach Information Portal http://www.healthcar[...] Healthcare.reachinformation.com 2009-03-24
[53] 저널 The Dictator's seduction: gender and state spectacle during the Trujillo regime
[54] 웹사이트 Remembering Legendary Pitcher Satchel Paige http://www.smithsoni[...] Smithsonian.com 2015-07-19
[55] harvp
[56] harvp
[57] harvp
[58] 웹사이트 Moreorless: Heroes & Killers of the 20th century http://www.moreorles[...]
[59] 웹사이트 Heroes del 30 de Mayo. Resenas Biograficas http://www.museodela[...]
[60] harvp
[61] harvp
[62] 뉴스 I shot the cruellest dictator in the Americas https://www.bbc.co.u[...] 2011-05-27
[63] 웹사이트 Meeting with President de Gaulle in France – John F. Kennedy http://www.netplaces[...]
[64] harvp
[65] 웹사이트 Solitaria, en cementerio poco importante, está la tumba de Trujillo http://almomento.net[...] Almomento.net 2008-04-11
[66] 웹사이트 The Assassination of Rafael Trujillo https://richpersonal[...] Sovereign Media 2018-12-09
[67] 웹사이트 The Kaplans of the CIA – Approved For Release 2001/03/06 CIA-RDP84-00499R001000100003-2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72-11-24
[68] 문서 Justice Department Memo http://www.gwu.edu/~[...] National Security Archive 1975
[69] 서적 U.S. Foreign Intelligence: The Secret Side of American history http://www.umsl.edu/[...] Lexington Books
[70] 저널 "Who Will Impose Democracy?": Sacha Volman and the Contradictions of CIA Support for the Anticommunist Left in Latin America https://academic.oup[...] 2013-04-24
[71]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1–1963, Volume XII, American Republics 310. Memorandum by the Under Secretary of State (Bowles) Notes on Crises Involving the Dominican Republic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1961-06-03
[72] 웹사이트 CIA "Family Jewels" Memo, 1973 http://www.gwu.edu/~[...]
[73] 잡지 Whirlaway http://www.time.com/[...] 2009-05-02
[74] 웹사이트 The CIA, the JM Kaplan Fund & a 1971 Prison Breakout in Mexico http://www.constanti[...] 2010-03-16
[75] 잡지 The Strange Case of the Non-Criminal Jail Break https://time.com/391[...] 2015-06-08
[76] 잡지 Time https://web.archive.[...] 1939
[77] 웹사이트 Order of the Holy Sepulchre of Jerusalem https://www.vatican.[...]
[78] 서적 Before We Were Free https://archive.org/[...] A. Knopf
[79] 웹사이트 Rafael Trujillo http://www.history.c[...] The History Channel website 2015-05-14
[80] 잡지 One Round for Us and Freedom 1961-12-01
[81] 서적 In the Shadow of the United States
[82] 잡지 1957-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