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블린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블린주는 폴란드의 역사적 지역인 루벨슈치즈나에 위치하며, 1999년 폴란드 지방 정부 개혁으로 루블린, 헬름, 자모시치, 비아와 포들라스카, 타르노브제크, 시에들체 주에서 분할되어 설립되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절에는 루블린주로 존재했으며, 루블린 연합이 체결된 곳으로, 루블린, 헬름, 카지미에시 돌니, 자모시치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도시들이 위치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유대교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으나, 전쟁 중 나치에 의해 많은 유대인이 희생되었다. 현재는 4개의 도시와 20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루블린 공항이 위치하고 S12, S17, S19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주요 관광지로는 자모시 구시가지, 카지미에시 돌니 구시가지, 루블린 구시가지 등이 있으며, 루블린 르네상스 양식의 건축물과 다양한 박물관, 제2차 세계 대전 기념관이 있다. 루블린주는 다양한 지역 특산 음식과 음료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주 - 포모제주
포모제주는 폴란드 북부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주로, 삼시티를 포함한 다양한 도시와 농촌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풍부한 자연 및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해양 및 관광 산업이 발달했고,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소재한다. - 폴란드의 주 - 서포모제주
서포모제주는 폴란드 북서부에 위치한 주로, 슈체친을 주도로 발트해 해안을 따라 다양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며 관광, 농업, 수산업 등이 발달했다. - 폴란드의 행정 구역 - 크라쿠프
크라쿠프는 폴란드 남부 비스와 강 유역에 위치한 마워폴스카주의 주도로, 7세기부터 존재했으며 폴란드 왕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였고, 몽골 침략 후 재건되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폴란드의 아테네'로 불리며 번성했으며, 폴란드 분할과 나치 독일 점령의 비극을 겪었지만 역사적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주요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유적과 문화 시설을 보유한 학술 및 경제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행정 구역 -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는 폴란드 남서부 실레시아 주에 위치한 오데르 강변의 도시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시대 학술, 예술, 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환원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중요한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루블린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Województwo lubelskie |
모토 | Smakuj życie! (인생을 맛보라!) |
소재지 | 루블린 |
군 | 4개의 도시, 20개의 육지 군* |
면적 | 25,155 km2 |
인구 | 2,112,216명 (2019년) |
도시 인구 | 981,166명 |
농촌 인구 | 1,131,050명 |
HDI (2019년) | 0.866 |
ISO 3166-2 | PL-06 |
차량 번호판 | L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대 | CEST |
UTC 오프셋 (하계) | +2 |
웹사이트 | 루블린 주 공식 웹사이트 |
각주 | * 213개의 그미나로 더 나뉨 |
정치 및 행정 | |
정부 기관 | 집행위원회 |
주지사 | 크시슈토프 코모르스키 (PO) |
마르샬 | 야로스와프 스타비아르스키 (PiS) |
유럽 의회 의원 | 루블린 선거구 |
경제 | |
GDP (총액) | 212억 9600만 유로 |
GDP (1인당) | 10,100 유로 |
교통 | |
주요 공항 | 루블린 공항 |
고속도로 | [[파일:S12-PL.svg|32px|link=고속도로 S12 (폴란드)]] [[파일:S17-PL.svg|32px|link=고속도로 S17 (폴란드)]] [[파일:S19-PL.svg|32px|link=고속도로 S19 (폴란드)]] |
상징 | |
![]() | |
![]() | |
![]() | |
지도 정보 | |
![]() | |
![]() |
2. 역사
폴란드 역사 지역으로 루블린을 포함하는 지역은 "루벨슈치즈나"(Lubelszczyzna)로 알려져 있으며, 이 지역은 폴란드 분할 이전의 루블린 주와 대략 일치한다. 루블린을 중심으로 한 주는 폴란드 역사 전반에 걸쳐 존재했다.
17세기에는 루블린과 자모시치에 상당한 규모의 스코틀랜드인 공동체가 있었고,[5] 오폴레 루벨스키에에도 작은 공동체가 있었다.[6] 루블린과 자모시치에는 아르메니아인 소수 민족도 거주했다.[7]
이 지역의 산업은 폴란드의 중앙 공업 지역의 일부로 크게 확장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이 지역은 세계 주요 유대교 중심지 중 하나였다. 전쟁 전 이 지역에는 30만 명의 유대인이 살고 있었으며,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 벨제크 절멸 수용소, 소비부르 절멸 수용소는 물론 여러 노동 수용소가 위치해 있었다. 이곳은 한때 독일 점령 유럽에서 가장 큰 강제 노동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약 4만 5천 명의 유대인 포로가 수용되어 있었다. 전쟁 후, 살아남은 소수의 유대인들은 대부분 이 지역을 떠났다. 오늘날에는 유대인의 역사적 관심 지역이 일부 복원되었고, 가족의 역사적 뿌리를 찾으려는 유대인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폴란드인 또한 독일의 박해와 폴란드 민족에 대한 나치 범죄의 피해자였으며, 여기에는 나치 강제 수용소로의 추방, 강제 노동, 아동 납치, 그리고 이 지역에서의 대량 학살을 포함했다.[8] 폴란드의 자모시치 봉기가 독일 점령에 대항하여 일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전쟁 포로 수용소 또한 폴란드,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세네갈, 그리고 소련 전쟁 포로를 위해 설치되었으며, 여러 강제 노동 하위 수용소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기아, 전염병으로 사망하거나 학살되었다.[9][10][11]
루블린주는 1998년에 채택된 폴란드 지방 정부 개혁에 따라 1999년 1월 1일에 이전의 루블린, 헬름, 자모시치, 비아와 포들라스카 주에서 분할되어 만들어졌다.
2. 1. 고대와 중세
폴란드 역사 지역으로 루블린을 포함하고, 폴란드 분할 이전의 루블린 주와 대략 일치하는 지역은 "루벨슈치즈나"(Lubelszczyzna)로 알려져 있다. 루블린을 중심으로 한 주는 폴란드 역사 전반에 걸쳐 존재했다.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도시와 마을은 루블린, 헬름, 카지미에시 돌니, 자모시치이다. 루블린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수립한 회의(참고: 루블린 연합)를 포함하여 여러 차례 폴란드 의회 회의가 열렸고, 소폴란드 주의 왕관 재판소의 본거지였으며, 폴란드 왕국 최고 항소 법원이었다. 파르체프에서도 한 차례 폴란드 의회 회의가 열렸다.[4] 호로도는 폴란드-리투아니아 호로도 연합이 체결된 곳으로, 루블린 연합보다 앞선다.17세기에는 루블린과 자모시치에 상당한 규모의 스코틀랜드인 공동체가 있었고,[5] 오폴레 루벨스키에에도 작은 공동체가 있었다.[6] 루블린과 자모시치에는 아르메니아인 소수 민족도 거주했다.[7]
2. 2. 근세
폴란드 역사 지역인 루벨슈치즈나(Lubelszczyzna)는 루블린을 포함하며, 폴란드 분할 이전의 루블린주와 대략 일치한다. 17세기에는 루블린과 자모시치에 상당한 규모의 스코틀랜드인 공동체가 있었고,[5] 오폴레 루벨스키에에도 작은 공동체가 있었다.[6] 루블린과 자모시치에는 아르메니아인 소수 민족도 거주했다.[7]2. 3. 근대
17세기에는 루블린과 자모시치에 상당한 규모의 스코틀랜드인 공동체가 있었고,[5] 오폴레 루벨스키에에도 작은 공동체가 있었다.[6] 루블린과 자모시치에는 아르메니아인 소수 민족도 거주했다.[7]이 지역의 산업은 폴란드의 중앙 공업 지역의 일부로 크게 확장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이 지역은 세계 주요 유대교 중심지 중 하나였다. 16세기 중반 이전에는 루블린, 카지미에시 돌니, 헬름에 소수의 유대인이 집중되어 있었지만, 새로운 사유 도시의 설립으로 유대인들이 무역과 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해 이 지역으로 대거 이동했다. 이 새로운 도시들이 기존 도시들과 사업 경쟁을 벌이면서 유대인 이민을 제한하려는 시도는 실패했고, 그에 따라 지속적인 반감이 나타났다. 유대인들은 주로 도시와 마을에 정착하는 경향이 있었고, 개인 가족만이 농촌 지역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이러한 도시와 농촌의 분할은 새롭게 도착한 경제적 경쟁자에 대한 반감을 더욱 부추기는 또 다른 요인이 되었다. 18세기 중반까지 유대인들은 크라시니크, 루바르투프, 웽크나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20세기에는 유대인이 11개 마을 인구의 70% 이상, 와슈추프와 이즈비차 인구의 거의 100%를 차지했다. 이 지역에서는 이즈비차의 모르데차이 요세프 라이너, 푸와비의 차임 이스라엘 모르겐슈테른, 비우고라이의 모텔레 로케아흐와 같은 종교 지도자뿐만 아니라 유명한 세속 작가 이스라엘 조슈아 싱어가 배출되었다. 이스라엘의 형제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는 비우고라이에서 태어나지 않았지만, 그곳에서 생애의 일부를 보냈다. 루블린의 "구시가지"에는 유명한 예시바, 유대인 병원, 회당, 묘지, 카할(kahal), 그리고 그로츠카 문(유대인 문으로 알려짐)이 있었다.
전쟁 전 이 지역에는 30만 명의 유대인이 살고 있었으며, 이곳은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 벨제크 절멸 수용소, 소비부르 절멸 수용소는 물론 여러 노동 수용소(트라브니키, 포니아토바, 부진, 푸와비, 자모시치, 비아와 포들라스카, 그리고 루블린 노동 수용소인 리포바 7 수용소, 플루그플라츠, 슈포르트플라츠)가 위치해 베르마흐트와 루프트바페에 군수품을 생산했다. 이곳은 한때 독일 점령 유럽에서 가장 큰 강제 노동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약 4만 5천 명의 유대인 포로가 수용되어 있었다. 전쟁 후, 살아남은 소수의 유대인들은 대부분 이 지역을 떠났다. 오늘날에는 유대인의 역사적 관심 지역이 일부 복원되었고, 가족의 역사적 뿌리를 찾으려는 유대인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폴란드인 또한 독일의 박해와 폴란드 민족에 대한 나치 범죄의 피해자였으며, 여기에는 "AB-Aktion", "T4 작전" 및 자모시치 작전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나치 강제 수용소로의 추방, 강제 노동, 아동 납치, 그리고 이 지역에서의 대량 학살을 포함했다.[8] 폴란드의 자모시치 봉기가 독일 점령에 대항하여 일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전쟁 포로 수용소 또한 폴란드,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세네갈, 그리고 소련 전쟁 포로를 위한 헬름, 뎨블린, 비아와 포들라스카, 자모시치, 칼릴루프에 위치해 있었으며 여러 강제 노동 하위 수용소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기아, 전염병으로 사망하거나 학살되었다.[9][10][11]
2.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이 지역은 세계 주요 유대교 중심지 중 하나였다.[8] 16세기 중반 이전에는 루블린, 카지미에시 돌니, 헬름에 소수의 유대인이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사유 도시의 설립으로 유대인들이 무역과 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해 이 지역으로 대거 이동했다. 이러한 새로운 도시들이 기존 도시들과 사업 경쟁을 벌이면서 유대인 이민을 제한하려는 시도가 실패하고, 그 결과 유대인에 대한 저강도의 지속적인 반감이 나타났다. 유대인들은 주로 도시와 마을에 정착하는 경향이 있었고, 개인 가족만이 농촌 지역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이러한 도시/농촌 분할은 새롭게 도착한 경제적 경쟁자에 대한 반감을 더욱 부추기는 또 다른 요인이 되었다. 18세기 중반까지 유대인들은 크라시니크, 루바르투프, 웽크나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8]
20세기에는 유대인이 11개 마을 인구의 70% 이상, 와슈추프와 이즈비차 인구의 거의 100%를 차지했다. 이 지역에서는 이즈비차의 모르데차이 요세프 라이너, 푸와비의 차임 이스라엘 모르겐슈테른, 비우고라이의 모텔레 로케아흐와 같은 종교 지도자뿐만 아니라 유명한 세속 작가 이스라엘 조슈아 싱어가 배출되었다. 이스라엘의 형제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는 비우고라이에서 태어나지 않았지만, 도시에서 생애의 일부를 보냈다. 루블린의 "구시가지"에는 유명한 예시바, 유대인 병원, 회당, 묘지, 카할(kahal), 그리고 그로츠카 문(유대인 문으로 알려짐)이 있었다.[8]
전쟁 전 이 지역에는 30만 명의 유대인이 살고 있었으며, 이곳은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 벨제크 절멸 수용소, 소비부르 절멸 수용소는 물론 여러 노동 수용소(트라브니키, 포니아토바, 부진, 푸와비, 자모시치, 비아와 포들라스카, 그리고 루블린 노동 수용소인 리포바 7 수용소, 플루그플라츠, 슈포르트플라츠)가 위치해 베르마흐트와 루프트바페에 군수품을 생산했다. 이곳은 한때 독일 점령 유럽에서 가장 큰 강제 노동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약 4만 5천 명의 유대인 포로가 수용되어 있었다. 전쟁 후, 살아남은 소수의 유대인들은 대부분 이 지역을 떠났다. 오늘날에는 유대인의 역사적 관심 지역이 일부 복원되었고, 가족의 역사적 뿌리를 찾으려는 유대인 관광객의 급증이 일어나고 있다.[8]
폴란드인 또한 독일의 박해와 폴란드 민족에 대한 나치 범죄의 피해자였으며, 여기에는 "AB-Aktion", "T4 작전" 및 자모시치 작전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나치 강제 수용소로의 추방, 강제 노동, 아동 납치, 그리고 이 지역에서의 대량 학살을 포함했다.[8] 폴란드의 자모시치 봉기가 독일 점령에 대항하여 일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전쟁 포로 수용소 또한 폴란드,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세네갈, 그리고 소련 전쟁 포로를 위한 헬름, 뎨블린, 비아와 포들라스카, 자모시치, 칼릴루프에 위치해 있었으며 여러 강제 노동 하위 수용소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기아, 전염병으로 사망하거나 학살되었다.[9][10][11]
2. 5. 현대
폴란드 역사 지역으로 루블린을 포함하고, 폴란드 분할 이전의 루블린주와 대략 일치하는 지역은 "루벨슈치즈나"(Lubelszczyzna)로 알려져 있다. 루블린을 중심으로 한 주는 폴란드 역사 전반에 걸쳐 존재했다. 이 지역의 산업은 폴란드의 중앙 공업 지역의 일부로 크게 확장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이 지역은 세계 주요 유대교 중심지 중 하나였다. 16세기 중반 이전에는 루블린, 카지미에시 돌니, 헬름에 소수의 유대인이 집중되어 있었지만, 새로운 사유 도시의 설립으로 유대인들이 무역과 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해 이 지역으로 대거 이동했다. 유대인들은 주로 도시와 마을에 정착하는 경향이 있었고, 개인 가족만이 농촌 지역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18세기 중반까지 유대인들은 크라시니크, 루바르투프, 웽크나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20세기에는 유대인이 11개 마을 인구의 70% 이상, 와슈추프와 이즈비차 인구의 거의 100%를 차지했다. 루블린의 "구시가지"에는 유명한 예시바, 유대인 병원, 회당, 묘지, 카할(kahal)이 있었다.
전쟁 전 이 지역에는 30만 명의 유대인이 살고 있었으며, 이곳은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 벨제크 절멸 수용소, 소비부르 절멸 수용소는 물론 여러 노동 수용소가 위치해 있었다. 이곳은 한때 독일 점령 유럽에서 가장 큰 강제 노동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약 4만 5천 명의 유대인 포로가 수용되어 있었다. 전쟁 후, 살아남은 소수의 유대인들은 대부분 이 지역을 떠났다. 오늘날에는 유대인의 역사적 관심 지역이 일부 복원되었고, 가족의 역사적 뿌리를 찾으려는 유대인 관광객의 급증이 일어나고 있다.
폴란드인 또한 독일의 박해와 폴란드 민족에 대한 나치 범죄의 피해자였으며, 여기에는 나치 강제 수용소로의 추방, 강제 노동, 아동 납치, 그리고 이 지역에서의 대량 학살을 포함했다.[8] 폴란드의 자모시치 봉기가 독일 점령에 대항하여 일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전쟁 포로 수용소 또한 폴란드,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세네갈, 그리고 소련 전쟁 포로를 위해 설치되었으며 여러 강제 노동 하위 수용소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기아, 전염병으로 사망하거나 학살되었다.[9][10][11]
루블린주는 1998년에 채택된 폴란드 지방 정부 개혁에 따라 1999년 1월 1일에 이전의 루블린, 헬름, 자모시치, 비아와 포들라스카 주에서 분할되어 만들어졌다.
3. 행정 구역
루블린 주는 4개의 도시(市)와 20개의 군(郡)을 합쳐 총 24개의 포비아트(powiat)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다시 213개의 그미나(gmina)로 나뉜다.[1]
한글 이름 | 면적 (km2) | 인구 (2019년) | 중심 도시 | 기타 도시 | 총 그미나 수 |
---|---|---|---|---|---|
시(市) | |||||
루블린 | 147km2 | 339,770 | 1 | ||
자모시치 | 30km2 | 63,511 | 1 | ||
헤움 | 35km2 | 62,331 | 1 | ||
비아와 포들라스카 | 49km2 | 57,264 | 1 | ||
군(郡) | |||||
루블린군 | 1679km2 | 154,760 | 루블린* | 베우지체, 비흐바 | 16 |
푸와비군 | 933km2 | 113,441 | 푸와비 | 나웽초프, 카지미에시 돌니 | 11 |
비아와군 | 2754km2 | 111,078 | 비아와 포들라스카* | 미엔지제치 포들라스키, 테레스폴, 피슈차츠 | 19 |
자모시치군 | 1872km2 | 106,526 | 자모시치* | 슈체브제신, 즈비에르지니에츠, 크라스노브루트 | 15 |
우쿠프군 | 1394km2 | 107,144 | 우쿠프 | 스토체크 워코프스키 | 11 |
비우고라이군 | 1678km2 | 101,152 | 비우고라이 | 타르노그루트, 유제푸프, 프람폴, 고라이, 투로빈 | 14 |
크라시니크군 | 1005km2 | 95,618 | 크라시니크 | 아노폴, 우르젭두프 | 10 |
루바르투프군 | 1290km2 | 88,591 | 루바르투프 | 코츠크, 오스트루프 루벨스키, 카미온카 | 13 |
토마슈프군 | 1487km2 | 83,148 | 토마슈프 루벨스키 | 티쇼프체, 워슈초프, 루비차 크롤레브스카 | 13 |
헤움군 | 1780km2 | 78,074 | 헤움* | 레이오비에츠 파브리치니, 레이오비에츠 | 15 |
시비드니크군 | 469km2 | 71,897 | 시비드니크 | 피아스키 | 5 |
크라스니스타프군 | 1067km2 | 63,554 | 크라스니스타프 | 이즈비차 | 10 |
흐루비에슈프군 | 1269km2 | 63,320 | 흐루비에슈프 | 8 | |
오폴레군 | 804km2 | 59,511 | 오폴레 루벨스키 | 포니아토바, 유제푸프 나드 비스와 | 7 |
라진군 | 965km2 | 59,057 | 라진 포들라스키 | 체미에르니키 | 8 |
리키군 | 616km2 | 55,919 | 리키 | 젭블린 | 6 |
웽치나군 | 634km2 | 57,372 | 웽치나 | 6 | |
야누프군 | 875km2 | 45,845 | 야누프 루벨스키 | 모들리보르지체 | 7 |
브워다바군 | 1256km2 | 38,524 | 브워다바 | 시에들리슈체 | 8 |
파르체프군 | 953km2 | 34,809 | 파르체프 | 7 | |
* 군의 일부가 아닌 행정 중심지 |
3. 1. 도시군
루블린 주에는 2019년 공식 인구 통계 기준, 5개의 도시와 43개의 마을이 있다.'''도시 (인구 순):'''
'''마을 (인구 순):'''
순위 | 마을 | 인구 |
---|---|---|
1 | 시비드니크 | 39,217명 |
2 | 크라스니크 | 34,355명 |
3 | 우쿠프 | 29,885명 |
4 | 빌고라이 | 26,309명 |
5 | 루바르투프 | 21,948명 |
6 | 토마슈프 루벨스키 | 19,050명 |
7 | 웽치나 | 18,884명 |
8 | 크라스니스타프 | 18,675명 |
9 | 후루비에슈프 | 17,634명 |
10 | 미엔지제츠 포들라스키 | 16,736명 |
11 | 뎀블린 | 16,026명 |
12 | 라지인 포들라스키 | 15,709명 |
13 | 브로다바 | 13,167명 |
14 | 야누프 루벨스키 | 11,901명 |
15 | 파르체프 | 10,602명 |
16 | 리키 | 9,625명 |
17 | 포니아토바 | 9,144명 |
18 | 오폴레 루벨스키에 | 8,421명 |
19 | 베우지체 | 6,504명 |
20 | 테레스폴 | 5,537명 |
21 | 슈체브제신 | 4,991명 |
22 | 비하바 | 4,893명 |
23 | 레이오비에츠 파브리치니 | 4,406명 |
24 | 나웽초프 | 3,749명 |
25 | 타르노그루드 | 3,333명 |
26 | 코츠크 | 3,293명 |
27 | 즈비에르지니에츠 | 3,175명 |
28 | 크라스노브루트 | 3,091명 |
29 | 카지미에시 돌니 | 2,563명 |
30 | 피아스키 | 2,553명 |
31 | 스토체크 우쿠프스키 | 2,520명 |
32 | 안노폴 | 2,515명 |
33 | 유제푸프 | 2,486명 |
34 | 루비차 크루레프스카 | 2,447명 |
35 | 와슈초프 | 2,139명 |
36 | 티쇼프체 | 2,112명 |
37 | 오스트루프 루벨스키 | 2,078명 |
38 | 레이오비에츠 | 2,066명 |
39 | 우젠도프 | 1,699명 |
40 | 모들리보지체 | 1,462명 |
41 | 프람폴 | 1,428명 |
42 | 시들리슈체 | 1,413명 |
43 | 유제푸프 나트 비스워 | 915명 |
3. 2. 군
루블린주는 4개의 시(市)와 20개의 군(郡)으로 구성되어 있다.[1]한글 이름 | 면적 (km2) | 인구 (2019년) | 중심 도시 | 기타 도시 | 총 그미나(gmina) 수 |
---|---|---|---|---|---|
시(市) | |||||
루블린 | 147km2 | 339,770 | 1 | ||
자모시치 | 30km2 | 63,511 | 1 | ||
헤움 | 35km2 | 62,331 | 1 | ||
비아와 포들라스카 | 49km2 | 57,264 | 1 | ||
군(郡) | |||||
루블린군 | 1679km2 | 154,760 | 루블린* | 베우지체, 비흐바 | 16 |
푸와비군 | 933km2 | 113,441 | 푸와비 | 나웽초프, 카지미에시 돌니 | 11 |
비아와군 | 2754km2 | 111,078 | 비아와 포들라스카* | 미엔지제치 포들라스키, 테레스폴, 피슈차츠 | 19 |
자모시치군 | 1872km2 | 106,526 | 자모시치* | 슈체브제신, 즈비에르지니에츠, 크라스노브루트 | 15 |
우쿠프군 | 1394km2 | 107,144 | 우쿠프 | 스토체크 워코프스키 | 11 |
비우고라이군 | 1678km2 | 101,152 | 비우고라이 | 타르노그루트, 유제푸프, 프람폴, 고라이, 투로빈 | 14 |
크라시니크군 | 1005km2 | 95,618 | 크라시니크 | 아노폴, 우르젭두프 | 10 |
루바르투프군 | 1290km2 | 88,591 | 루바르투프 | 코츠크, 오스트루프 루벨스키, 카미온카 | 13 |
토마슈프군 | 1487km2 | 83,148 | 토마슈프 루벨스키 | 티쇼프체, 워슈초프, 루비차 크롤레브스카 | 13 |
헤움군 | 1780km2 | 78,074 | 헤움* | 레이오비에츠 파브리치니, 레이오비에츠 | 15 |
시비드니크군 | 469km2 | 71,897 | 시비드니크 | 피아스키 | 5 |
크라스니스타프군 | 1067km2 | 63,554 | 크라스니스타프 | 이즈비차 | 10 |
흐루비에슈프군 | 1269km2 | 63,320 | 흐루비에슈프 | 8 | |
오폴레군 | 804km2 | 59,511 | 오폴레 루벨스키 | 포니아토바, 유제푸프 나드 비스와 | 7 |
라진군 | 965km2 | 59,057 | 라진 포들라스키 | 체미에르니키 | 8 |
리키군 | 616km2 | 55,919 | 리키 | 젭블린 | 6 |
웽치나군 | 634km2 | 57,372 | 웽치나 | 6 | |
야누프군 | 875km2 | 45,845 | 야누프 루벨스키 | 모들리보르지체 | 7 |
브워다바군 | 1256km2 | 38,524 | 브워다바 | 시에들리슈체 | 8 |
파르체프군 | 953km2 | 34,809 | 파르체프 | 7 | |
* 군의 일부가 아닌 행정 중심지 |
4. 경제
2018년 루블린주의 국내총생산(GDP)은 185억유로로, 폴란드 경제 생산량의 3.7%를 차지했다. 같은 해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는 14400EUR로, EU27 평균의 48%였다. 종업원 1인당 GDP는 EU 평균의 54%였다. 루블린주는 폴란드에서 1인당 GDP가 가장 낮은 주이다.[13]
루블린 탄광 분지는 웽치나 근처 보그단카에 있는 보그단카 탄광을 중심으로 주에 위치해 있다.
5. 교통
루블린 공항은 이 지역의 유일한 공항이다. S12, S17, S19 고속도로가 이 주를 통과한다.
6. 관광
루블린주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도시와 마을이 많다. 루블린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수립한 루블린 연합 회의를 포함하여 여러 차례 폴란드 의회 회의가 열린 곳이며, 소폴란드주 왕관 재판소의 본거지였다.[4] 호로도는 루블린 연합보다 앞선 폴란드-리투아니아 호로도 연합이 체결된 곳이다.
17세기에는 루블린과 자모시치에 상당한 규모의 스코틀랜드인 공동체가 있었고,[5] 오폴레 루벨스키에에도 작은 공동체가 있었다.[6] 루블린과 자모시치에는 아르메니아인 소수 민족도 거주했다.[7]
이 지역은 중앙 공업 지역의 일부로 산업이 크게 확장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세계 주요 유대교 중심지 중 하나였다. 16세기 중반 이전에는 루블린, 카지미에시 돌니, 헬름에 소수의 유대인이 집중되었으나, 이후 유대인들이 대거 이주해왔다. 18세기 중반까지 유대인들은 크라시니크, 루바르투프, 웽크나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20세기에는 유대인이 11개 마을 인구의 70% 이상, 와슈추프와 이즈비차 인구의 거의 100%를 차지했다. 이즈비차의 모르데차이 요세프 라이너, 푸와비의 차임 이스라엘 모르겐슈테른 등 종교 지도자와 이스라엘 조슈아 싱어 같은 세속 작가가 배출되었다.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는 비우고라이에서 생애 일부를 보냈다. 루블린의 "구시가지"에는 유명한 예시바, 유대인 병원, 회당, 묘지 등이 있었다.
전쟁 전 이 지역에는 30만 명의 유대인이 살았으나,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 벨제크 절멸 수용소, 소비부르 절멸 수용소 등 나치 독일의 강제 수용소와 노동 수용소가 설치되면서 많은 유대인들이 희생되었다.[8] 전쟁 후 살아남은 소수의 유대인들은 대부분 이 지역을 떠났지만, 최근에는 유대인 역사 지역이 복원되고 유대인 관광객이 늘고 있다.
폴란드인 또한 독일의 박해와 폴란드 민족에 대한 나치 범죄의 피해자였다. 자모시치 봉기가 독일 점령에 대항하여 일어났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전쟁 포로 수용소가 설치되어 많은 사람들이 기아, 전염병으로 사망하거나 학살되었다.[9][10][11]
루블린주에는 2개의 국립공원과 17개의 조경 공원이 있다.
- 폴레시에 국립공원 (이 지역과 주변 지역은 2002년 유네스코에 의해 지정된 서부 폴레시에 생물권 보전 지역을 형성한다)
- 로스토체 국립공원
- 헬름 조경 공원
- 야누프 숲 조경 공원 (일부는 카르파티아 저지대 주)
- 카지미에르 조경 공원
- 코즐루프카 조경 공원
- 크라스노브로드 조경 공원
- 크르크초누프 조경 공원
- 웽치나 호수 지구 조경 공원
- 포들라스키 부크 협곡 조경 공원 (일부는 마조비아 주)
- 폴레시에 조경 공원
- 푸슈차 솔스카 조경 공원 (일부는 카르파티아 저지대 주)
- 스키에르비에슈프 조경 공원
- 소비부르 조경 공원
- 남부 로스토체 조경 공원 (일부는 카르파티아 저지대 주)
- 스트젤체 조경 공원
- 슈체브제신 조경 공원
- 비에프르 조경 공원
- 브르젤로비에츠 조경 공원
6. 1. 주요 관광지
루블린주에는 폴란드의 역사 기념물 7개와 세계 유산 1개가 있다.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자모시 구시가지 (두 목록에 모두 등재)[14]
- 카지미에시 돌니 구시가지[15]
- 루블린 구시가지[16]
- 코즐루프카 궁전[17]
- 차르토리스키 궁전 (푸와비)[18]
- 야누프 포들라스키 종마 사육장[19]
- 야브워치나 성 오누프리오스 수도원
이 외에도 아담폴, 비아와 포들라스카, 야노비에츠 성, 코츠크, 루바르투프, 와부니에, 와분키 피에르셰, 라지닌 포들라스키 등지에 많은 성과 궁전이 있다. 루블린 성의 삼위일체 예배당에는 폴란드에서 가장 오래되고 잘 보존된 중세 프레스코화가 있다. 이 지역은 특히 지역 루블린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진 교회 건축물로 풍부하며, 루블린 르네상스 트레일이 있다.
나웽추프와 크라스노브루드는 온천 마을이다. 크라스니스타프는 매년 열리는 맥주 축제인 '흐미엘라키'로 유명하다. 체움에는 도시 아래 백악으로 파고 들어간 터널 시스템인 체움 백악 터널이 있는데, 이는 유럽에서 독특한 구조이다. 루블린은 구시가지 광장 아래 역사적인 지하실에 지하 관광 코스를 제공한다.
루블린 국립 박물관, 뎅블린의 폴란드 공군 박물관, 그리고 로마누프의 유제프 이그나시 크라셰프스키, 볼라 오크제이스카의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나웽추프의 볼레슬라프 프루스와 스테판 제롬스키, 루블린의 빈센티 폴 등 폴란드 작가들의 생가 또는 옛집에 헌정된 박물관이 있다. 마이다네크 주립 박물관과 소비부르 박물관은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와 소비부르 강제 수용소에 있는 이전 나치 독일 강제 수용소 부지에 위치한 박물관이다.
또한 루리, 루블린 성, 보루프, 알렉산드로프, 소치 학살, 스몰리구프, 야미, 쿠모바 돌리나 및 올시안카에서 발생한 유대인 학살과 폴란드인 대량 학살 등, 루블린주 전역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제2차 세계 대전 기념관이 있다. 폴란드에서 가장 잘 보존된 역사적인 유대교 회당 중 하나이자 나치 독일에 의해 파괴되지 않은 몇 안 되는 브워다바 대 시나고그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7. 문화
루블린주는 폴란드 요리 외에도 꿀, 육류 제품 (키엘바사, 베이컨, 카샨카 등), 다양한 지역 특산 전통 음식과 음료로 유명하며, 폴란드 농림부에서 공식적으로 보호하는 다양한 요리와 식사도 포함된다.
7. 1. 지역 특산 음식
루블린주는 폴란드 요리 외에도 다양한 지역 특산 전통 음식과 음료로 유명하다. 특히 꿀, 육류 제품 (키엘바사, 베이컨, 카샨카 등), 음료 등이 있으며, 폴란드 농림부에서 공식적으로 보호하는 다양한 요리와 식사도 포함된다.지역 특산 피에로기, 케이크, 페이스트리 ( 폰치키, 양귀비 씨 롤 등) 및 라쿠치가 있다.[20] 오스트루프 루벨스키의 머랭, 루블린의 케이크 퍼프, 초콜릿 프랄린도 지역 특산품이다.
전통 음료로는 야누프 루벨스키, 크라시니크, 오폴레 루벨스키, 고미나 콘스코볼라에서 생산되는 나레우카, 폴란드의 미드, 크라시니크의 라즈베리 보드카[21], 미코와유프카의 사과주가 있다. 루블린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주스, 차, 시럽, 핫 초콜릿 등 전통적인 무알코올 음료를 생산한다.
8. 인물
- 마레크 그레후타 - 가수, 작사가, 작곡가
참조
[1]
웹사이트
EU regions by GDP, Eurostat
https://ec.europa.eu[...]
2023-09-18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Subnational HDI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Radboud University Nijmegen
2021-12-13
[3]
웹사이트
Tłumaczenie polskich nazw geograficznych na język angielski
http://serwistlumacz[...]
2016-03-03
[4]
서적
Chronologia sejmów polskich 1493–1793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5]
간행물
Szkoci i Anglicy w Zamościu w XVI-XVIII wieku
Zarząd Główny Polskiego Towarzystwa Historycznego
[6]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VII
[7]
서적
Pod wspólnym niebem. Narody dawnej Rzeczypospolitej
Muzeum Historii Polski, Bellona
[8]
서적
Był rok 1939. Operacja niemieckiej policji bezpieczeństwa w Polsce. Intelligenzaktion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9]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10]
간행물
Można na nas liczyć
[11]
간행물
Obóz jeńców włoskich w Białej Podlaskiej wrzesień 1943 – czerwiec 1944
[12]
웹사이트
Population. Size and structure and vital statistics in Poland by territorial division in 2019. As of 30th June
https://stat.gov.pl/[...]
2020-09-11
[13]
웹사이트
Regional GDP per capita ranged from 30% to 263% of the EU average in 2018
https://ec.europa.eu[...]
[14]
법률
Zarządzenie Prezydenta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8 września 1994 r. w sprawie uznania za pomnik historii.
[15]
법률
Rozporządzenie Prezydenta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25 kwietnia 2007 r. w sprawie uznania za pomnik historii "Lublin - historyczny zespół architektoniczno-urbanistyczny"
[16]
법률
Rozporządzenie Prezydenta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25 kwietnia 2007 r. w sprawie uznania za pomnik historii "Kozłówka - zespół pałacowo-parkowy"
[17]
법률
Rozporządzenie Prezydenta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31 maja 2021 r. w sprawie uznania za pomnik historii "Puławy - zespół pałacowo-parkowy"
[18]
법률
Rozporządzenie Prezydenta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22 listopada 2017 r. w sprawie uznania za pomnik historii "Janów Podlaski - stadnina koni"
[19]
법률
Rozporządzenie Prezydenta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26 stycznia 2023 r. w sprawie uznania za pomnik historii "Jabłeczna - prawosławny klasztor św. Onufrego"
[20]
서적
W krainie lubelskich produktów tradycyjnych
[21]
서적
W krainie lubelskich produktów tradycyjnych
[22]
웹사이트
Statistics Poland - National Censuses
https://bdl.stat.gov[...]
[23]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of Poland
http://pop-stat.mash[...]
2016-05-04
[24]
문서
Mały Rocznik Statystyczny
[25]
웹사이트
EU regions by GDP, Eurostat
https://ec.europa.eu[...]
2023-09-18
[26]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Subnational HDI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Radboud University Nijmegen
2021-12-13
[27]
웹사이트
Statistics Poland - National Censuses
https://bdl.stat.gov[...]
[28]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of Poland
http://pop-stat.mash[...]
2016-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