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사상충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림프사상충증은 주로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기생충 감염으로, 림프관 손상과 림프부종을 유발한다. 주요 원인 기생충은 Wuchereria bancrofti, Brugia malayi, Brugia timori이며, 모기에 물린 상처를 통해 유충이 림프관으로 들어가 성충으로 성장한다.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은 증상이 없지만, 림프관 손상으로 팔, 다리, 생식기 등의 림프부종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만성적인 경우 사지가 비대해지는 코끼리 다리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진단은 혈액 내 미세사상충 검출을 통해 이루어지며, 항체 검사, PCR 검사, 영상 검사도 활용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살충제 사용, 모기장 설치, 대량 구충 프로그램 등이 시행된다. 치료는 구충제 조합과 항생제 독시사이클린을 사용하며, 수술적 치료와 림프부종 관리가 병행될 수 있다. 림프사상충증은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며, 2020년 WHO는 2030년까지 유행 국가의 80%에서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대병 - 회충증
회충증은 회충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회충 알이 섞인 음식 섭취를 통해 감염되며 장폐색, 내장 손상, 폐렴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대변 검사로 진단하고 위생 시설 개선과 구충제 사용으로 치료 및 예방한다. - 열대병 - 에볼라 출혈열
에볼라 출혈열은 에볼라바이러스속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출혈 질환으로, 독감 유사 증상으로 시작하여 구토, 설사, 출혈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지만,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치료는 증상 완화에 집중하며 감염 예방을 위한 격리 및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림프사상충증 | |
---|---|
질병 개요 | |
이름 | 림프사상충증 |
영어 이름 | Lymphatic filariasis |
기타 이름 | Elephantiasis tropica (열대 코끼리피부병) Elephantiasis arabum (아랍 코끼리피부병) |
임상 정보 | |
증상 | 무증상, 팔, 다리, 유방 또는 생식기의 심한 부종 |
발병 시기 | 알 수 없음 |
지속 기간 | 알 수 없음 |
원인 및 위험 요소 | |
원인 | 사상충류에 속하는 모기 매개 충 |
위험 요소 | 알 수 없음 |
진단 및 감별 진단 | |
진단 | 현미경 검사를 통한 혈액 검사 |
감별 진단 | 알 수 없음 |
예방 및 치료 | |
예방 | 모기장, 대량 구충 |
치료 | 알 수 없음 |
약물 치료 | 알벤다졸과 이버멕틴 또는 디에틸카바마진 병용 |
예후 | 알 수 없음 |
통계 정보 | |
유병률 (2022년) | 4천만 명 |
2. 원인
림프사상충증은 선충의 일종인 반크로프트사상충(전체 사례의 90%), 말레이사상충, 티모르사상충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13] 이 질병은 기생충, 기생충 내 공생체인 Wolbachia 박테리아, 숙주의 면역 반응, 그리고 여러 기회 감염 및 질환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
2. 1. 전파 경로

림프사상충증은 ''Wuchereria bancrofti''(전체 사례의 90%를 유발), ''Brugia malayi'', ''Brugia timori'' 세 종류의 선충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13] 이 기생충들은 감염된 모기에 물려 전파되며, 주로 ''Aedes'', ''Anopheles'', ''Culex'', ''Mansonia'' 속에 속하는 모기들이 관여한다.
모기가 물 때 감염성 선충 유충이 피부에 떨어져 물린 상처를 통해 들어가 피하 조직을 거쳐 근처의 림프관으로 이동한다. 림프관에서 약 1년에 걸쳐 성충으로 발달하며, 암컷 성충은 최대 10cm 길이에 달하고 수컷은 그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암컷과 수컷 성충이 교미하면 암컷은 "미세사상충"이라고 불리는 유충을 계속해서 방출하는데, 성충이 생존하는 약 5~8년 동안 매일 10,000마리 이상의 미세사상충을 방출한다. 미세사상충은 주로 밤에 혈류를 순환하며, 낮에는 모세 혈관에 모여 폐에 축적된다.
감염된 사람을 흡혈한 모기는 혈액 식사와 함께 미세사상충을 섭취할 수 있다. 모기 안에서 미세사상충은 위벽을 뚫고 날개 근육으로 이동하여 10~20일 동안 인간에게 감염 가능한 형태로 성숙한다. 그런 다음 모기의 입으로 이동하여 다음 흡혈 시 배출되어 생활 주기를 이어간다.
성충은 인간의 림프계에서 살며 신체 전체의 림프 흐름을 막는다. 이로 인해 만성 림프부종이 발생하며, 주로 하체(일반적으로 다리와 생식기)에서 관찰된다.[14] 이 기생충은 인간의 몸 안에서 최대 8년 동안 생존하면서 수백만 마리의 유충을 번식시키며 혈액을 통해 순환할 수 있다.[9]
3. 증상
림프사상충증에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초기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일부는 림프관 손상을 겪는다. 초기 증상으로는 림프절 부위의 반복적인 발열과 부종이 나타나며, 만성 증상으로는 림프부종, 피부 변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림프관 손상이 없는 경우에도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열대 폐 호산구 증가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제한성 폐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12]
3. 1. 초기 증상

림프사상충증을 유발하는 기생충에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12] 일부는 림프관 손상을 겪으며, 이는 의료용 초음파로 감지할 수 있다. 초기 감염 후 수개월에서 수년이 지나면 기생충이 죽어 가장 가까운 림프절(일반적으로 샅 림프절) 부위에 반복적인 발열과 고통스러운 부종이 나타나는 면역 반응을 유발한다.[12] 림프사상충증이 유행하는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에 감염되며, 증상은 청소년기에 시작된다.
3. 2. 만성 증상
장기간 감염이 지속되면 림프관 손상으로 인해 림프액 순환이 저해되고, 팔, 다리, 유방, 음낭 등에 만성적인 부종(림프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림프 기능 상실(면역 세포를 운반)은 해당 부위의 반복적인 감염을 초래한다. 수년에 걸쳐 반복적인 감염, 염증 및 림프관 손상은 영향을 받는 사지를 매우 큰 크기로 붓게 한다.[12] 주변 피부는 두꺼워지고 건조해지며 변색되고 림프관의 구불구불한 고리가 포함된 사마귀 모양의 덩어리로 덮인다.림프 손상이 없는 사람도 때때로 폐의 모세혈관 내 기생충 유충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 열대 폐 호산구 증가증을 앓는다. 이러한 사람들은 밤에 기침, 피로, 체중 감소가 나타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는 폐를 손상시켜 제한성 폐 질환(폐 용량 감소)을 유발할 수 있다.
4. 진단
림프사상충증의 진단은 혈액을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미세사상충을 찾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혈액 샘플은 두꺼운 도말 표본 형태로 만들어 김자 염색으로 염색한다. 미세사상충은 밤에만 혈액을 순환하기 때문에 혈액 검체는 밤에 채취해야 한다.[15]
진행된 경우에는 원인 병원체를 말초 혈액에서 검출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혈청 검사를 통해 질병에 대한 항체를 검사할 수도 있다.[3]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검사는 1pg 정도의 극소량의 사상충 DNA도 검출할 수 있다.[17] 엑스레이 검사로 죽어 석회화된 벌레를, 초음파 검사로 성충의 움직임과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18]
4. 1. 혈액 검사
림프사상충증을 진단하는 최적의 방법(Gold standard (test)|최적의 방법]은 현미경으로 혈액 내 미세사상충을 확인하는 것이다. 혈액 샘플은 일반적으로 두꺼운 도말 표본 형태로, 김자 염색으로 염색한다. 혈액 도말 검사를 분석하는 기술자는 ''W. bancrofti''와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기생충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혈액 도말 검사는 미세사상충이 말초 순환에 있는 동안 혈액 샘플을 채취하면 간단하고 상당히 정확한 진단 도구이다. 미세사상충은 밤에만 혈액을 순환하기 때문에 혈액 검체는 밤에 채취해야 한다.[15]4. 2. 혈청 검사
혈청 검사는 혈액 내 사상충 항체를 검사하여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3] 진행된 경우, 원인 병원체를 말초 혈액에서 검출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6] 중합효소 연쇄 반응 검사는 1pg 정도의 극소량의 사상충 DNA도 검출할 수 있다.[17]4. 3. 분자생물학적 검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검사를 통해 1pg 정도의 극소량의 사상충 DNA도 검출할 수 있다.[17]4. 4. 영상 검사
엑스레이 검사로 죽어 석회화된 벌레를 확인할 수 있다.[18] 초음파 검사로 성충의 움직임과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18]4. 5. 감별 진단
림프사상충증은 맨발로 자극적인 알칼리성 점토 토양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비감염성 질환인 포도코니오시스(비사상충성 코끼리 다리병이라고도 함)와 혼동될 수 있다.[19][20] 포도코니오시스는 일반적으로 양쪽 다리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상충증은 한쪽에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19] 또한 포도코니오시스는 사타구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사상충증은 사타구니를 자주 침범한다. 지리적 위치도 두 질환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포도코니오시스는 주로 고도가 높고 계절성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반면, 사상충증은 모기가 많은 저지대 지역에서 흔히 발생한다.[19]5. 예방
림프사상충증은 알려진 동물 숙주가 없기 때문에 전 세계적인 림프사상충증 퇴치가 최종 목표이며, 이는 달성 가능하다고 여겨진다.[23] 세계 보건 기구(WHO)는 림프사상충증 퇴치를 위한 세계적인 노력을 조정하고 있다. 2011년 스리랑카는 WHO로부터 림프사상충증을 퇴치한 것으로 인증받았으며, 2017년 7월에는 통가에서 이 질병이 제거되었다고 발표했다. 캄보디아, 중국, 쿡 제도, 이집트, 키리바시, 몰디브, 마셜 제도, 니우에, 팔라우, 대한민국, 태국, 바누아투, 베트남, 왈리스 퓌튀나에서도 이 질병이 제거되었다.[25] 2020년, WHO는 유행 국가의 80%에서 림프사상충증을 제거하기 위한 2030년 목표를 발표했다.[26]
백신은 아직 이용할 수 없지만, 2013년 일리노이 대학교 의과대학은 마우스에서 ''B. malayi''에 대한 테스트에서 95%의 효능을 보고했다.[27]
5. 1. 개인 예방
유행 지역에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림프사상충증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살충제와 모기장(특히 델타메트린 또는 퍼메트린과 같은 살충제로 처리된 경우)[21]은 림프사상충증의 전파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3][22] 잔류 살포와 개인 보호 장비도 매개체를 통제하는 방법이다.[9]5. 2. 집단 예방
세계 보건 기구(WHO)는 림프사상충증 퇴치를 위한 세계적인 노력을 조정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의 주된 내용은 항사상충 약물로 위험에 처한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량 구충이다. 구체적인 치료법은 림프사상충증과 다른 사상충 질환의 동시 유행에 따라 다르다. WHO의 연간 대량 구충(MDA) 지침은 다음과 같다.- 로아증과 동시 유행 지역: 알벤다졸 400mg 투여.
- 온코세르카증과 동시 유행 국가: 이버멕틴 200mcg/kg을 알벤다졸 400mg과 함께 투여.
- 온코세르카증이 없는 국가: 디에틸카르바마진 시트르산염(DEC) 6mg/kg과 알벤다졸 400mg 사용.
- 온코세르카증이 없고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87823/#:~:text=Two%20alternative%20regimens%20for%20MDA,with%20the%20current%20two%2Ddrug IDA Guidelines]가 충족되는 국가: 이버멕틴 200mcg/kg을 디에틸카르바마진 6mg/kg 및 알벤다졸 400mg과 함께 사용.[9][10]
기생충은 번식을 위해 인간 숙주가 필요하기 때문에 위험에 처한 인구를 4~6년 동안 매년 지속적으로 치료하면[2] 전파 주기를 끊고 원인균의 멸종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24]
6. 치료
림프사상충증 치료는 질병이 발생한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구충제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알벤다졸과 이버멕틴을 사용하며, 서태평양 지역에서는 세 가지 구충제를 모두 사용한다. 디에틸카바마진은 알벤다졸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10] 로아사상충증이 유행하는 지역에서는 알벤다졸 단독 요법이 사용되기도 한다.[10]
볼바키아라는 공생체 세균을 이용한 치료법도 있는데, 독시사이클린은 이 세균을 죽여 림프사상충증을 치료하는 효과를 낸다. 하지만, 치료 기간이 길고, 어린이나 임산부에게는 사용할 수 없으며, 광독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29]
음낭수종과 같은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지 상피병에는 효과가 없다.[33]
6. 1. 약물 치료
알벤다졸, 이버멕틴, 디에틸카바마진 (DEC) 등의 구충제를 단독 또는 병용 투여한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알벤다졸과 이버멕틴을, 서태평양 지역에서는 세 가지 구충제를 모두 사용한다. 디에틸카바마진은 알벤다졸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10] 알벤다졸 단독 요법은 로아사상충증 유행 지역에서 통합적인 매개체 방제와 함께 사용되며, 2022년에는 1120만 명이 이 치료법을 사용했다.[10]볼바키아는 림프사상충증을 일으키는 선충 장내에 서식하며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는 공생체 세균이다. 독시사이클린은 이 세균을 죽여 미세사상충이 성충으로 성숙하는 것을 막고, 성충의 수명을 단축시킨다.[28] 독시사이클린은 림프사상충증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4~6주 동안 치료해야 하며, 어린이나 임산부에게는 사용할 수 없고, 광독성이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29]
알벤다졸은 구충제로, 벌레가 포도당을 흡수하는 것을 막아 기아와 피로로 죽게 한다.[30] 알벤다졸 단독 효과는 다양하지만, DEC와 함께 사용했을 때 더 효과적이다.[31] 이버멕틴은 알벤다졸과 함께 투여되며, 기생충의 신경 세포에 작용하여 마비로 인한 죽음을 유발한다. 그러나 이버멕틴은 기생충의 초기 단계에서만 효과가 있고 성충은 죽일 수 없어, 미세사상충과 성충 모두를 죽이기 위해 DEC와 함께 사용된다.[32]
음낭 상피병과 음낭수종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사지 상피병에는 효과적이지 않다.[33] 림프부종과 음낭수종으로 인한 급성 염증 반응은 위생, 피부 관리, 운동, 감염된 사지 거상을 통해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9]
6. 2. 수술적 치료
음낭 상피병과 음낭수종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33] 그러나 수술은 일반적으로 사지 상피병을 교정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33] 림프부종과 음낭수종으로 인한 급성 염증 반응은 좋은 위생, 피부 관리, 운동, 감염된 사지 거상을 통해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9]6. 3. 림프부종 관리
림프부종과 음낭수종으로 인한 급성 염증 반응은 좋은 위생, 피부 관리, 운동, 감염된 사지 거상을 통해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9] 림프부종은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2차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7. 역학
림프사상충증은 아프리카, 아시아, 중앙 아메리카, 카리브해, 남아메리카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과 특정 태평양 섬 국가에서 발생한다. 림프사상충증으로 인한 코끼리 다리는 세계에서 영구적인 장애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7] 2018년 기준 5,100만 명이 림프사상충증에 감염되었으며, 2022년에는 약 4,000만 명으로 감소했고, 47개국에서 여전히 유행하고 있다.[4]
''W. bancrofti''는 림프사상충증의 90%를 차지한다. ''Brugia malayi''가 나머지 대부분의 사례를 유발하며, ''Brugia timori''는 드문 원인이다.[4] ''W. bancrofti''는 아프리카, 나일 삼각주, 터키, 인도, 동인도, 동남아시아, 필리핀, 대양주 섬 및 남아메리카 일부를 포함하는 넓은 적도 벨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림프사상충증은 감염 확산을 위해 여러 달에서 여러 해 동안 여러 번 모기에 물려야 하기 때문에 관광으로 인한 감염은 낮다.[34]
남아메리카에서는 브라질, 도미니카 공화국, 가이아나, 아이티 등 4개 유행 국가가 림프사상충증 근절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36]
8. 역사
림프사상충증은 4000년 전부터 인류에게 알려져 왔다.[41] 기원전 1500년에서 기원전 1200년경에 작성된 고대 베다 텍스트인 리그베다에는 상피병에 대한 언급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리그베다 7권의 50번째 찬가에서는 미트라, 바루나, 아그니에게 "안에서 둥지를 틀고 부어오르는 것"으로부터 보호해 달라고 요청한다. 찬가의 저자는 신들에게 벌레가 자신의 발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간청한다. 이 질병은 발목과 무릎에 발진이 나타나는 것으로 묘사된다.[42] 고대 이집트(기원전 2000년)와 서아프리카의 노크 문화 유물(기원전 500년)에서는 상피병의 증상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 이 질병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언급은 고대 그리스 문헌에서 나타나는데, 학자들은 림프사상충증의 증상이 종종 나병의 증상과 유사하다는 것을 구별하여 나병을 ''elephantiasis graecorum''으로, 림프사상충증을 ''elephantiasis arabum''으로 묘사했다.[41]
16세기에 얀 휘헌 판 린스호텐이 고아를 탐험하는 동안 이 질병에 대해 기록하면서 증상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나타났다. 이후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 탐험가들도 유사한 증상을 보고했지만, 수 세기가 지난 후에야 이 질병에 대한 이해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원인 물질은 19세기 후반에 처음으로 확인되었다.[43] 1866년, 티모시 리차드 루이스는 Jean Nicolas Demarquay|장 니콜라 데마르케프랑스어와 O. E. H. Wucherer|오토 헨리 부헤러de의 연구를 바탕으로 미세사상충과 상피병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내어, 이 질병을 설명할 연구의 방향을 정립했다. 1876년, 조셉 뱅크로프트는 성충 형태의 벌레를 발견했다.[44] 1877년, 패트릭 맨슨은 절지동물 매개체를 포함하는 생활 주기를 이론화했으며, 모기에서 벌레의 존재를 입증했다. 맨슨은 이 질병이 모기가 알을 낳은 물과의 피부 접촉을 통해 전염된다고 잘못 가설을 세웠다.[45] 1900년, 조지 카마이클 로는 모기 매개체의 주둥이에서 벌레의 존재를 발견하여 실제 전염 방법을 결정했다.[41]
9. 연구 동향
일리노이 대학교 시카고(UIC) 연구진은 림프사상충증 예방을 위한 새로운 백신을 개발했다. 이 백신은 림프사상충증에 감염된 생쥐 모델에서 강력하고 방어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백신으로 유도된 면역 반응은 생쥐 모델에서 ''W. bancrofti''와 ''B. malayi'' 감염 모두에 대해 방어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사람에게도 유용할 수 있다.[47]
2007년 9월 20일, 유전학자들은 림프사상충증을 유발하는 선충 중 하나인 ''Brugia malayi''의 완전한 게놈(유전 정보) 초안을 발표했다.[48] 1994년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2000년까지 게놈의 80%가 결정되었다. 유전자 내용을 확인함으로서 새로운 약물 및 백신의 약물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49]
참조
[1]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5
[2]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Fact sheet N°102
https://www.who.int/[...]
2014-03
[3]
웹사이트
Parasites – Lymphatic Filariasis Diagnosis
https://www.cdc.gov/[...]
2013-06-14
[4]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https://www.who.int/[...]
2019-10-04
[5]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https://www.who.int/[...]
2016-05-07
[6]
논문
Lymphatic filariasis: Perspectives on lymphatic remodeling and contractile dysfunction in filarial disease pathogenesis
2013-07
[7]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https://www.cdc.gov/[...]
2018-10-22
[8]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http://allcountrie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09-25
[9]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https://www.who.int/[...]
2023-11-17
[10]
간행물
Global programme to eliminate lymphatic filariasis: progress report, 2022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10-13
[11]
논문
Working to overcome the global impact of neglected tropical diseases – Summary
https://www.who.int/[...]
2011-03
[12]
웹사이트
About Lymphatic Filariasis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4-05-13
[13]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06-01
[14]
서적
Anatomy & Physiology: The Unity of Form and Function
McGraw-Hill
[15]
논문
A rapid, simple method for isolation of viable microfilariae
[16]
논문
Filariasis and lymphoedema
2009-11
[17]
논문
A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for detection of the parasite ''Wuchereria bancrofti'' in human blood samples
[18]
논문
Live adult worms detected by ultrasonography in human Bancroftian filariasis
[19]
논문
Podoconiosis, a neglected tropical disease
https://www.njmonlin[...]
[20]
논문
Podoconiosis: non-infectious geochemical elephantiasis
[21]
웹사이트
Malaria: Fever Wars
https://www.cdc.gov/[...]
CDC
[22]
웹사이트
Lymphatic
https://www.cdc.gov/[...]
2010-07-08
[23]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Elimination Program
http://www.cartercen[...]
2015-11-28
[24]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Elimination Program
http://www.cartercen[...]
2015-11-28
[25]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Tonga! Pacific island state eliminates lymphatic filariasis as a public health problem
https://www.who.int/[...]
2017-07-31
[26]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reporting continued progress towards elimination as a public health problem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10-29
[27]
논문
Multivalent fusion protein vaccine for lymphatic filariasis
2013-03
[28]
논문
Anti-filarial activity of antibiotic therapy is due to extensive apoptosis after Wolbachia depletion from filarial nematodes
2011-11
[29]
논문
Anti-Wolbachia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safe macrofilaricides for onchocerciasis and lymphatic filariasis
[30]
웹사이트
CDC - Lymphatic Filariasis - Resources for Health Professionals - Guidance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https://www.cdc.gov/[...]
2020-10-26
[31]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https://www.who.int/[...]
2023-12-12
[32]
논문
Ivermectin: effectiveness in lymphatic filariasis
https://pubmed.ncbi.[...]
2000
[33]
서적
Vascular surgery
WB Saunders
1995
[34]
웹사이트
CDC - Lymphatic Filariasis - Epidemiology & Risk Factors
https://www.cdc.gov/[...]
2021-08-26
[35]
서적
Hunter's tropical medicine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E.B. Saunders
[36]
논문
Progress towards elimination of lymphatic filariasis in the Americas region
2020-12-22
[37]
논문
The microfilarial periodicity of Wuchereria bancrofti in north-eastern Brazil
https://pubmed.ncbi.[...]
2000-06
[38]
논문
Lymphatic filariasis in Brazil: epidemiological situation and outlook for elimination
2012-11-26
[39]
논문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lymphoedema patients following introduction of a hygiene and skin care regimen in a Guyanese community endemic for lymphatic filariasis: A preliminary clinical intervention study
2003-01-24
[40]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Elimination Program
http://www.cartercen[...]
2008-07-17
[41]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Discovery
http://www.stanford.[...]
2008-11-21
[42]
웹사이트
HYMN L. Various Deities
https://www.sacred-t[...]
[43]
논문
History, Epidemiology and Control of Filariasis
[44]
서적
A history of human helminthology
CAB International
1990
[45]
서적
Tapeworms, lice and prions: a compendium of unpleasant infe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46]
서적
Project Of History Of Science, Philosophy And Culture In Indian Civilization, Volume Xiii Part 2: From Physiology And Chemistry To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47]
논문
Multivalent fusion protein vaccine for lymphatic filariasis
2013-03
[48]
논문
Draft genome of the filarial nematode parasite Brugia malayi
2007-09
[49]
논문
The filarial genome project: analysis of the nuclear, mitochondrial and endosymbiont genomes of Brugia malayi
2000-04
[50]
서적
World Class Parasit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51]
서적
Advances in Parasitology
Elsevier
[52]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5
[53]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Fact sheet N°102
http://www.who.int/m[...]
2014-03
[54]
웹사이트
Lymphatic filariasis
http://www.who.int/m[...]
2016-05-07
[55]
웹사이트
Parasites - Lymphatic Filariasis Diagnosis
https://www.cdc.gov/[...]
2013-06-14
[56]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57]
웹사이트
CDC - Lymphatic Filariasis
https://www.cdc.gov/[...]
2016-05-07
[58]
서적
Tropical Dermatology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
[59]
논문
Working to overcome the global impact of neglected tropical diseases – Summary
http://www.who.int/w[...]
2011-03
[60]
웹인용
Lymphatic filariasis Fact sheet N°102
http://www.who.int/m[...]
2014-03
[61]
웹인용
Parasites - Lymphatic Filariasis Diagnosis
http://www.cdc.gov/p[...]
2013-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